•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시 현황

현재 중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실태는 <표 4>와 같다.

<표 4>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시현황

구 분 사례수 백분율(%)

1. 실시하고 있다 90 70.3

2. 실시하지 않고 있다 38 29.7

계 128 100.0

전체 128명의 사회과 교사 중 90명(70.3%)의 교사가 현재 수준별 교육과 정을 실시하고 있다고 대답하여, 대부분의 학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 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미 초등학교에서는 2000년도부터 수준별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어서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관심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고등학교까지의 확대 시행을 눈앞에 둔 현 시 점을 고려하면 그 실시비율이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또한 초등학교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학습자들의 능력의 차이가 큰 영어나 수학교과에서만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사회, 과학, 국어 교과의 경우에는 거의 실시하 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보면 ‘실시하고 있다’에 응답한 70.3%의 비율은 대부분 단계형 교육과정의 실시비율임을 짐

작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의 <표 5>에 잘 나타나 있다.

<표 5>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시과목 (

단위 : %)

구 분 국어 영어 수학 과학 사회

1. 실시하고 있다 24.2 61.7 63.3 25.0 27.3 2. 실시하지 않고 있다 75.8 38.3 36.7 75.0 72.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수준별 수업이 가장 많이 실시되고 있는 과목은 수학(63.3%)이었으며, 다 음으로는 영어(61.7%), 사회(27.3%), 과학(25.0%), 국어(24.2%) 순으로 나타 났다.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영어나 수학의 경우에는 그 실시 비율이 60%가 넘게 나타나 과반수 이상의 학교에서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 정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교과인 국어, 과학, 사회의 경우에는 30%가 채 되지 않는 비율을 보임으로 써,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경우 학습자들의 능력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기 때문에 수준별로 나누어서 수업을 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크 게 느끼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학습자 능력의 개인차가 크지 않은 집단에서 수준을 나누는 기준의 문제가 현장 교사들에게 있어 상당한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는 듯 보인다.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 영하는 과목들만을 비교하면 사회과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을 가장 많이 운영 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 비율이 매 우 낮고,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경우에도 수준별 이동 수업의 형태로 제 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시행 된 점을 감안하여 본다면, 전체적으로 수준 별 교육과정은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실시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나.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시 경향

교사 개인적으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가하는 물음에 관한 응답은 <표 6>과 같다.

<표 6>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실시 경향

구 분 사례수 백분율(%)

1. 실시하고 있다 26 20.3

2. 실시하지 않고 있지만, 계획은 있다 55 43.0 3. 실시하지도 않고 있고, 계획도 없다 47 36.7

계 128 100.0

사회과에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다고 대답한 교사는 20.3%로써 매 우 저조했다. 그러나 현재 실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앞으로 실시할 계획이 있다고 대답한 교사가 43%로써, 실시할 계획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고 대답 한 36.7%보다 많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지금 현재에는 수준별 교육과 정의 실시 비율이 매우 낮으나, 계획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과반수 가까이 차지하여, 앞으로 사회과 수준별 수업이 훨씬 활성화될 가능성을 보이고 있 는 것이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수준별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와 계획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63.3%를 차지하여, 사회과의 수준별 수업에 대한 교사 의 관심과 노력이 비교적 부족한 편임을 알 수 있다.

다.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준비도

수준별 수업을 진행하기 위한 교수-학습자료의 충분성을 묻는 질문에 대 한 응답은 <표 7>과 같다.

<표 7> 교수-학습자료의 준비도

구 분 사례수 백분율(%)

매우 충분하다 1 0.8

어느 정도 충분하다 16 12.5

별로 충분하지 않다 71 55.5

전혀 충분하지 않다 40 31.2

계 128 100.0

거의 대부분의 교사(86.7%)가 수준별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다고 대답하였으며, 이 중 ‘전혀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한 교사는 32.1%인 반면에 ‘매우 충분하다’ 와 ‘어느 정도 충분하다’에 응답한 교사는 13.3%에 그쳐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매우 절박한 실정이라 하겠 다.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려면 교과서 이외의 수준 별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혹은 확보가 용이해야 한다(최용규, 1998). 수준별 교육과정의 운영에 따른 다양한 학습 지도에 필요한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미흡하게 되면 교사의 수업 준비 부담으로 이어지게 되고, 결과 적으로 최선의 교육을 제공받아야 할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것이다. 연구결 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한 교수-학습자료 의 절대적 부족은 사회과에서 수준별 수업이 이루어지는데 있어 커다란 장 애요소가 될 수 있으며, 지금까지 교육과정 중심의 수업이 아닌 교과서 중 심의 수업을 진행해 왔던 교사들에게 더욱 큰 부담을 안겨 주고 있다.

라.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나면 가장 먼저 수행해야 할 것이 교원연수이며, 교 원연수에 관한 문제는 개정된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는데 있어서 매 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더군다나 제 7차 교육과정이 단점중의 하나로 지적 받고 있는 것은 ‘교육과정자체의 복잡성’인 만큼 7차 교육과정은 상당 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그 어느 때보다 교원연수의 중요성이 강조 되어지며, 그 유형 또한 다양한 형태와 방법으로 이루어져 수준별 교육과정 을 핵심으로 하는 7차 교육과정의 이해를 도와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원연수의 현황을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청 단위 연수’, ‘학교단위 연수’, ‘동 학년 단위 연수’, ‘개인자율 연수’의 네 부분 으로 살펴보았다.

1) 교육청단위 연수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청 단위 연수의 현황은 <표 8>과 같다.

<표 8> 교육청단위 연수

구 분 사례수 백분율(%)

10시간 이상 1 0.8

5시간∼10시간 미만 7 5.5

1시간∼5시간 미만 42 32.8

전혀 받은 적 없음 78 60.9

계 128 100.0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몇 시간이고 연수를 받았다는 응답보다는 ‘전혀 받 지 않았다’(60.9%)는 응답이 더 많았다. 이는 현재 교육청 단위의 연수가 주 로 교무 등의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들의 연수 활동을 통한 전달연수의 경향이 강하다는 측면을 고려해 보더라도 매우 낮은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연수를 받은 시간은 ‘5시간 미만’(32.8%)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수준별 교 육과정에 대한 연수가 1일 이하의 연수에 그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2) 학교단위 연수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단위 연수의 현황은 <표 9>와 같다.

<표 9> 학교단위 연수

구 분 사례수 백분율(%)

1. 10시간 이상 받음 2 1.6

2. 5시간∼10시간 미만 받음 11 8.6 3. 1시간∼5시간 미만 받음 71 55.5 4. 전혀 받은 적 없음 44 34.4

계 128 100.0

제 7차 교육과정은 학교의 실정에 알맞게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의 특징 을 갖는다. 따라서 학교 단위의 연수는 매우 중요하다. 조사결과에서 보면,

‘전혀 받지 않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4.4%를 보여 교육청 단위의 연수와 비교해 볼 때 상대적으로 연수가 많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수 를 받은 시간으로 보면 ‘5시간 미만’(55.5%)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연수를 받은 84명(65.7%) 중 무려 84.5%의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학교단위의 연

다.

3) 동 학년단위 연수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동 학년단위의 연수 현황은 <표 10>과 같다.

<표 10> 동 학년단위 연수

구 분 사례수 백분율(%)

1. 10시간 이상 받음 1 0.8

2. 5시간∼10시간 미만 받음 4 3.1 3. 1시간∼5시간 미만 받음 12 9.4 4. 전혀 받은 적 없음 111 86.7

계 128 100.0

중등학교의 수준별 교육과정의 적용은 현재 중학교 1학년만을 그 대상으 로 하는 만큼 중등학교 사회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본 연구에서 동 학 년 단위의 연수 즉, 중학교 1학년 사회수업을 맡은 교사들간의 자율연수는 매우 의미 있는 것이다. 동 학년단위의 연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은 그만큼 수준별 수업을 하고자 하는 교사의 열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이기 때문이다. 중학교 1학년만 수준별 교육과정을 적용하도록 되어 있는 현 시점에서 수준별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동 학년단 위의 연수를 활성화하여 수업에 필요한 교수-학습자료 등을 서로 공유하고 함께 만들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동 학년단위의 연수가 많이 이루어지면 수준별 수업을 운영하는 데 따른 교사의 부담이 훨씬 줄어들 것 이다. 그러나 <표 10>에서 보면, ‘연수를 전혀 받지 않았다’는 응답이

86.7%로 매우 높게 나타나 아직까지는 동학년 단위의 연수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으며, <표 6>에서도 동일한

86.7%로 매우 높게 나타나 아직까지는 동학년 단위의 연수가 거의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사회과 수준별 교육과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으며, <표 6>에서도 동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