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해외직접투자 결정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

해외직접투자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매우 광범위하며 대부분의 선행연구 들은 해외직접투자의 원인 규명과 효과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각 선 행연구들에서는 해외직접투자의 원인을 전문적인 생산기술과 전문경영기 술 이용(수평적 통합), 필요한 해외원자재 개발 및 해외시장에 대한 지배권 확보(수직적 통합), 수입관세 및 기타 무역 제한 회피 및 생산보조금을 지 원받지 위한 것, 해외과점시장으로의 진입, 해외기업의 매입으로 앞으로의 경쟁 회피, 자금 조달 능력 등으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농식품 분야의 해외직접투자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는 2007년 기준 전 세계 농식품 분야 해외직접투자(FDI) 저량은 320억 달러로 전체 FDI 저량의 2% 수준에 지나지 않아 전체 FDI에서 농식품 FDI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고, 또한 농식품 관련 FDI 자료가 제한되 어 있는 다국적기업들에 의해서 FDI가 주로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농식품 FDI를 다룬 주요 논문들로는 Paul Riethmuller(1992), Yulin Ning and Michael R. Reed(1995), J.C. Bunhan and J.E. Epperson(1998), Peter D. Goldsmith and Thomas L. Sporleder(1998), Munisamy Gopinath(2000) Peter Walkerhorst(2001), Csaba Jansik(2003), W.H. Furtan and J.J. Holzman(2004), Elibariki Msuya(2007), Lucie Weissleder(2009), Patrick E. McNelis(2009)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선행연구에서는 특정 국 가(일본, 미국, 유럽 등)들의 농식품 FDI 실태와 원인을 규명하였다. 그러 나 최근 농식품 FDI가 증가하는 주요 이유는 종전의 효율성 추구 (efficiency seeking)나 시장 추구(market-seeking)와는 달리 식량안보나 재 정수익의 확보를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3.2. 해외농업개발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과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일반 경제 관련 사업과 관련해서는 이론적으로 경제적 타당성 분석 기법 이 오랫동안 잘 개발⋅발전되어 왔으며, 실제 많은 사업들에 적용되어 왔 다. 그러나 농업개발사업 특히 해외농업개발 관련 사업에 있어서는 경제적 타당성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 않았고 또 이루어져도 이론을 바탕으 로 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Boramy․권용대․구승모(2009)는 캄보디아 캄퐁지역의 통 합식량안보사업(IFSP: Integrated Food Security Project)의 경제적 타당성 분석을 수행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사업 지역의 곡물생산성 분석, B/C ratio, NPV, IRR 분석을 통한 사업 타당성 분석, 식량안보, 빈곤완화, 농가 소득 향상을 위한 농업 정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B/C ratio는 1.68, NPV는 $407,490, IRR은 32.27%로 추정되어 사업의 타당성이 입증 되었다.

다음으로 김경덕 외(2009)는 경상남도의 러시아 연해주 농장 개발의 필 요성과 경제적 타당성을 임차규모별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러시아 연해주 농장개발사업의 재무분석 결과, 재무내부수 익률(FIRR)은 14.07%로 도출되어 재무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남의 관련 산업(축산업, 화훼 및 원예 작물, 관련 농기계 산업)의 파급효과, 중앙아시아 출신 고려인, 중국 동북 3성 출신 조선족, 북한 동포 등에 일자리 및 소득원 제공 등 정책적 타당성도 있는 것으로 전망하였다.

또한 기본 시나리오를 대상으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생산량 10% 감소, 농작물 가격 10% 하락, 초기투자비용 10% 상승, 투입물 비용 10% 상승 가정), 생산량 감소 시 민감도 지수가 3.98로 도출되어 단수 증가가 연해주 농장 개발에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상남도의 연해주 농장 개발이 안정된 사업으로 진행되기 위한 방향으로는 현지 사정에 능통

한 전문농업경영인 채용을 통해 투자 초창기에 불필요한 지출 최소화, 현

다음으로 우크라이나 농업투자환경조사보고서(2008)에서는 우크라이나 의 내부 정치적 문제, 외환위기 등으로 인해 투자에 따른 환차를 면밀히 검토해야 하고 토지개혁, 조세, 투자 인센티브 등과 같은 제도적인 면도 고 려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판로를 고려하여 투자를 해야 하고, 내수시 장이나 유럽시장을 목표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창고, 저장시설을 통한 농축산물 유통 부문의 투자가 유망하고 식품가공시설이 부족하므로 농축산물의 가공산업도 전망이 좋다고 하였고 시설농업을 통 한 과수, 채소, 원예작물도 전망이 좋다고 하였다. 또한 지하경제 규모가 크고 소비자의 구매력이 커 고품질의 농축산물 유통도 가능하다고 하였다.

3.3. 해외농업개발 진출기업의 경영성과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 구 검토

해외농업개발 진출의 전반적인 현황에 대한 검토는 꾸준히 수행되었으 나, 개별적으로 진출 기업 등 시행 주체의 경영사례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아,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높다.

유병규(2001)는 해외농업개발사업을 농장개발형과 개발수입형으로 나누 어 유형별로 전개 과정을 요약․분석하였다. 또한 사업의 시행 주체를 정 부와 민간기업으로 구분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지자체와 기업의 사례를 상세히 제시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지자체지원형 해외농업개발사업의 사례 로 경상북도와 K영농조합법인의 사례를 상세히 소개하고,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개별 진출기업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연구대상 지역의 해외농업개발 현황을 분석과 관련해서 윤재희·강명구(2006)는 연해 주지역의 농업 부문에 진출한 농기업 및 단체의 투자 현황과 계약형태 등 을 분석하였고, 김완배·김관수(2008)는 몽골지역에서 시행 중인 한국농어 촌공사와 KOICA의 사업 진행 현황을 제시한 바 있다. 제민·허가형(2010) 은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여러 분야 중 농수산자원 분야의 현황과 지금까지

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해외진출기업에 대한 경영이론적 접근은 여러 경영학 관련 문헌(예, Hitt, Ireland, Hoskisson, 2010)에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진출 의 방법, 전략적 장단점에 대한 논의들이 다루어졌다. 먼저 해외 진출 방법 으로는 수출(Exporting), 면허(Licensing), 전략적 제휴(Strategic Alliances), 인수합병(Acquisition), 벤처 설립(Greenfield Venture) 등에 대한 방안들이 다루어졌다. 다음으로 해외 진출에 대한 인센티브로는 시장의 확대 (Increase of Market size) 측면, 투자수익(Return on Investment)의 측면, 규 모의 경제와 지식의 경제(Economies of Scale and Learning) 측면, 지역입 지적 측면(Location Advantage) 등이 소개되었으며, 해외문화 및 환경의 어 려움(Liability of Foreignness)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다루어졌다.

3.4. 선행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본 연구의 차별성

앞에서 살펴본 선행연구들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8년의 금융 위기로 전 세계 국가들의 해외직접투자 규모와 마찬가지로 농식품 분야의 해외직접투자도 크게 줄었으나, 최근 다시 해외직접투자 규모를 늘리고 있 다. 이렇게 해외직접투자 규모가 늘고 있는 이유는 종전의 효율성 추구 (efficiency seeking)나 시장 추구(market-seeking) 이 외에도 식량안보나 재 정수익의 확보가 주요 요인에 포함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기업 차원에 서 국제식량 수급구조를 매우 불안하게 보고 있다는 것과 식량 확보를 새 로운 수익창출의 기회와 투자 포트폴리오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의 미한다.

둘째, 우리나라 해외농업개발 진출 기업들의 해외진출 전략이 경제학적·

경영학적 검토에 바탕을 둔 진출 전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해외농업개발은 투자 대상국에서 직면할 수 있는 장 애요인 즉, 국별 위험(Country Risk)이 존재하기 때문에 개발 대상국의 농 업투자환경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진출 기업의 전략에

이런 부분들이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제까지 정부 정책으로 해외농업개발을 지원해 온 해외농업개발 사업의 실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해 보고 향후 해외농업개발사업이 성공적 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어떤 보완 대책이 필요한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넷째, 이론과 현장을 모두 고려한 해외농업개발의 유형별․지역별 성공 모델을 개발하여, 해외진출기업들의 조직, 기구, 지원체계, 현지전략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실행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은 첫째 해외 진출 농식품기업 이 해외직접투자를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농식품기업의 해외 진 출 촉진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품목별(옥수수, 콩, 밀), 지역별 해외농업개발의 진출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해외농 업개발 시행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제적 토지 수탈 논의에 대응하여 국제적 논의 동향과 일치되면서 국내기업이 효과적으로 해외농업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해외농업개발 투자 규범을 마련한 점이다. 넷째, 유형별 로 대표적인 해외농업개발사업 사례를 선정하여 이 사업이 경제적으로 타 당한지를 분석해 보고 해외농업개발 진출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도출한 것이다. 다섯째, 농식품 분야에서 해외로 진출한 기업들을 성공 사례와 철수 사례로 구분하여 이들 경영 사례를 분석한 후 에 성공요인과 철수 요인을 도출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외농업 진출 전 략과 해외농업개발의 경제성 분석 및 경영성과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해외 농업개발사업의 성공 모델을 도출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