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선행연구 검토 및 차별성

3.1. 선행연구 검토

조광호 외(2008)는 양돈농장의 HACCP 도입에 따른 생산성과 경제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HACCP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를 비교하고, 인증 농가의 인증 전과 인증 후 변화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생산성과 경제성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였다. 생산성과 경제성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 을 찾기 위하여 경로분석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산자 수, 모돈회전 수, PSY, MSY, 육성/비육돈 폐사율은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따라 서 HACCP 인증 농가의 생산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생산성 지표 경로분석 결과는 HACCP 도입 → 농장의 위생 및 질병관 리 수준이 향상 → MSY 등 주요 생산성 지표의 향상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성 변화의 경로분석 결과 HACCP 도입 → 위생 및 질병관리 수준 향상 → MSY 향상 → 평균 매출액 증가의 경로와 HACCP 도입 → 위생 및 질병관리 수준 향상 → 두당 생산비 감소 → 평균 매출액 증가의 경로 가 확인되었다.

양돈농장의 HACCP 인증 확대를 위하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격 차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농장 HACCP 인증마크를 부착할 것을 방안으 로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HACCP 인증 농가 조직화를 통한 브랜드 구 축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정부 정책에 참여할 때 HACCP 인증 농 가에게 가산점을 부여하고, 학교급식, 군납 등의 공공 수요에서 HACCP 인증 축산물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소비자 인지 도와 지불 의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소비자 홍보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 을 제안하였다.

김기현 외(2010)는 산란계 농장의 HACCP 도입 효과를 계측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를 비교, 분석하였고 HACCP 인증이 농장의

생산성,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소비자 지불 의향을 조사하였다.

젖소농장 HACCP 도입에 관한 소비자 조사에서 소비자의 55.8%는 젖 성 대장균(Pathonenic E. coli), 살모넬라(Salmonella ssp.),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이다. 병원성대장균과 살모넬라는 삭품매개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미생물이며, 황색포도상구균은 착유우의 유방염 원인균 중 가장 심각한 세균이다.

검사 대상 중 대장균은 모든 축종의 분변 시료에서 발견되었고 바닥과 퇴비 사(또는 분변벨트)에서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축종별 검출률에는 차이가 있었다.

살모넬라는 한우와 젖소의 분뇨, 축사 바닥, 퇴비사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돼지와 산란계의 경우 축사 바닥, 퇴비사(분변벨트)에서 5.7~7.5%의 시료에서 살모넬라가 검출되었다. 검출 결과를 기존 문헌과 비교하여 평균 적인 농장에 비해 HACCP 인증 농장의 살모넬라 검출류이 더 낮은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 결과에 따라 HACCP 인증으로 인한 살모넬라에 대한 관리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원유 냉각기에서 채취한 시료에서는 발견되지 않아 HACCP 인증 농가의 위생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정윤필 외(2010)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동물복지 축산물의 경제적 가 치를 추정한 전 세계의 연구 동향에 대해 정리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쇠고기, 돼지고기, 가금육, 비육류 식품에 대한 소비량과 소비자가격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분석모형으로는 Logit 모형 분석, WTP 분석, 구조방정식, 회귀분석, 컨조인트분석 등을 이용하여 분석되고 있었다.

최지현 외(2012)는 GAP과 HACCP 제도의 국내외 도입 동향과 제도의 도입 현황과 성과 평가 등 제도의 도입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소비자 신뢰 확보를 위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통해 위해요소 사전관리 시스템 제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HACCP의 분석은 도 축장과 집유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축산농장에 대한 분석은 제외되었다.

3.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기존 연구는 개별 축종에 한정된 위생안전관리 제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전 축종을 포괄한 농장 수준의 위생안전관리 관련 제도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 하여 농장의 질병발생 자료를 활용하여 위생안전관리 관련 인증 농가와 미 인증 농가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 등 관 련 기관에서 공표된 자료를 바탕으로 위생안전관리의 효과를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