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장 위생수준 변화

1. 농장 HACCP 도입의 영향 분석

1.1. 농장 위생수준 변화

HACCP 인증으로 인하여 농장의 위생수준이 향상되고 방역 환경이 향상 되면 농장에서 발생하는 질병발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인증 농가의 질병발생이 감소하면, 미인증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과 인증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에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인증 농가와 미인증 농가 의 질병발생 확률을 비교함으로써 HACCP으로 인한 위생수준의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려고 한다.

일정기간 동안 질병이 발생한 농가를 HACCP 인증 농가와 전체 농가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인증 농가의 발병률과 전체 농가의 발병률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HACCP 인증이 질병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면 인증 농 가의 질병발생 확률과 전체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은 일치할 것이다. 반면, HACCP 인증이 질병발생에 영향을 준다면 두 비율에 차이가 발생할 것이다.

다른 조건이 다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HACCP 인증 농가의 질병발생 확 률이 전체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보다 낮다면 HACCP 인증으로 인하여 질 병발생 확률이 감소하였다고 할 수 있고, 반대로 높으면 HACCP 인증이 질병발생 확률을 증가시켰다고 할 수 있다.

분석의 대상 축종은 닭을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4년까지 질병발생 현 황을 조사하였다. 질병발생 현황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관리하는 법정전 염병 발생현황을 참고하였다. 해당기간 동안 닭에게 발생했던 질병은 가금 티프스, 결핵병, 고병원성 AI, 뉴캣슬병, 추백리가 있다.

연도 2010 2011 2012 2013 2014

질병발생 횟수 90 46 57 31 91

: 2014년은 9월까지 현황.

자료: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http://www.kahis.go.kr).

표 3-1. 닭의 법정전염병 발생 현황

해당연도 질병발생 농가 중 인증 농가를 식별하기 위하여 축산물안전관 리인증원이 관리하는 HACCP 인증업소 현황 자료를 참조하였다. 2000년의 질병발생 농가 중 인증 농가를 식별하기 위한 기준은 2009년까지 HACCP 인증을 받은 농가 현황을 활용하였다. 마찬가지로 2013년 질병발생 농가는 2012년까지 인증을 받은 농가 현황을 이용하였다. 2014년 질병발생 현황 은 2014년 9월까지의 실적이다.

HACCP 인증 농가는 2009년 93농가에서 2013년 1045농가로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전체 농가 대비 인증 농가의 비율은 1.2%에서 18.5%까지 증가하였다.

2009 2010 2011 2012 2013 사육 농가 수 7,962 7,347 6,347 6,040 5,636

인증 농가 수 93 254 425 759 1,045

인증 농가 비율 1.2% 3.5% 6.7% 12.6% 18.5%

: 사육농가수는 해당연도 12월 현황. 인증 농가 수는 해당연도 말까지 HACCP 인증 누적 현황.

자료: 가축동향. 각 연도. 축산물안전관리인증원(www.ihaccp.or.kr).

표 3-2. 닭 HACCP 인증 농가 현황

닭의 질병발생 수는 2010년 90회에서 2013년 31회로 감소하였으나 2014 91 11 1.1% 1.6% 5,636 1,045 2013

표 3-3. 닭 질병발생과 양계 농가 중 HACCP 인증 비율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 전체 축산농장의 질병발생 확률을 이용하여 연도별 HACCP 인증 농가 수만큼 표본 을 추출하여 분포를 작성한 것임.

그림 3-1. 축산농가의 질병 발생 분포

20.3%(2011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의수준 10%에서 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HACCP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이 전체 농가의 확률보다 낮지만, 통상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2012년과 2013년에는 HACCP 인증 농가에서 질병이 각각 2건씩 발생 하였다. 해당연도의 분포에서 발생횟수 2건을 찾아 2건까지의 누적확률 (0+1+2)을 계산하면 26.5%(2012년), 25.3%(2013년)을 구할 수 있다. 따라 서 10% 유의수준에서 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HACCP 농가의 질병발생 확률이 전체 농가의 확률보다 낮지만, 통상적으로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위의 두 단락에서 HACCP 농가의 질병확률이 전체 농가에 비해 작은데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이유는 HACCP 인증 농가의 수에 비해 질병발생 확률이 낮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2010~2013년의 경우 HACCP 농가의 발병확률이 더 낮은 정황은 있지만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2014년의 경우 HACCP 농가의 질병발생 횟수가 11회를 기록하였다. 인증 농가의 질병발생 분포에서 발생 11회까지 누적확률이 8.8%로 계산된다. 10%

유의수준에서 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인증 농가의 발병확률이 전체 농가의 발병확률과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다르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2014년의 경우 HACCP 인증이 질병발생 확률을 감소시켰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