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새로운 진전

미국의 반대로 표류하던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대한 논의는 아 시아・유럽 정상회의(Asian-Europe Meeting:ASEM) 출범을 계기 로 재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ASEM의 출범은 EAEG를 무산시키

면서 APEC 체제로 동아시아를 자신의 영향권 내에 존속시키고 자 하는 미국의 對동아시아 조치에 대한 유럽의 대응으로 파악할 수 있다. ASEM 회의가 1996년 처음으로 열리면서 새로운 아시 아・유럽관계가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ASEM 체제의 중요한 의미 중 하나는 유럽의 EU와 협상하기 위해 역사상 처음으로 동아시 아 국가들만의 회동이 이루어졌고, 이것이 정례화되었다는 점과 아시아 금융위기로 인해 이런 문제에 대해 지역적인 단합으로 대 처해야할 것이란 시급성을 깨닫게 되었다는 점일 것이다.

① 1997년 12월 15일 ASEAN-중・한・일 정상의 비공식회동이 말레이시아 수도 콸라룸푸르에서 개최(당시는 9+3)되었다.

이 회동의 주제는 아시아 금융위기 대비 지역협력의 강화, 21세기 동아시아의 발전에 대한 전망이었다. 논의된 주제들 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되고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강화에 관 한 명확한 정치적 의지를 보여주었다.

② 1998년 12월 16일 제2차 동아시아 정상의 회동이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서 개최되었다. 이 회의에서는 중국측의 제의 로 역내 재정, 금융 부문의 협력을 강화하고, 금융위기의 극 복과 동아시아 지역경제의 안정 및 성장세 회복을 위해 재 경부 차관, 중앙은행 부행장 등의 회동을 정례화하기로 합의 하였다. 이리하여 동아시아 지역 내의 기능간, 부문간의 대 화와 협상의 기틀이 탄생하게 되었다.

③ 1999년 11월 28일 제3차 동아시아 정상의 회동이 필리핀 마 닐라에서 개최되었다. 주제는 동아시아 경제협력의 추진이었 다. 정상들은 󰡔동아시아 경제협력 공동성명󰡕에서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원칙, 방향 및 중점 분야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공동성명에서 동아시아 정상들은 “동 아시아 협력의 심화와 확대에 대한 결의를 채택하고 협력의

실효성을 강구하며, 동아시아 국가의 국민들의 삶의 질을 제 고하여, 이 지역의 안정적 발전을 도모”할 것을 강조하였다.

공동성명에서 채택한 정치, 경제, 사회 및 기타 영역에서 중 점 협력분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협력 분야에서는 무 역, 투자와 기술이전을 가속화, 기술 및 전자 비즈니스 부문 의 기술협력 장려, 공업, 농업영역의 제반 협력과 중소기업 들간의 협력증진, 동아시아 산업포럼의 설치, 메콩Mekong분 지 등 동아시아의 새로운 경제성장축의 발전, 동아시아 경제 위원회의 창설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둘째, 통화와 금융 협 력 분야에서는 통화, 금융정책에 관한 대화, 협조 및 협력을 강화하고, 거시경제 리스크 관리, 회사관리, 자본유동에 관한 역내 통제, 은행과 금융 시스템의 개선 등 ‘10+3’의 틀에서의 역내 상호지원과 협조의 기틀 구축 등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셋째는 사회 및 인력자원 분야에는 󰡔ASEAN 인력자원개발에 관한 협의󰡕를 추진하고 󰡔인력개발기금󰡕을 창설하기로 하였 다. 넷째는 과학기술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고, 기술개발력을 제고시켜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성장에 이바지 하도록 하였 다. 다섯째는 정보와 문화영역의 협력을 강화하고, 문화교류 의 증진을 통한 상호이해를 심화시키며, 여섯째는 경제의 지 속적 발전에 관한 교류를 강화하고, 일곱째는 정치, 안보 영 역의 대화, 협조와 협력을 통한 상호이해 및 신뢰를 증진시 키고 다자간의 정치, 안보 문제의 처리에 협력할 것을 다짐 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의 제의로 󰡔동아 시아 협력 전망그룹󰡕을 설치하여 동아시아 협력의 전망과 기 획이란 과업을 담당케 하기로 하였다.

④ 2000년 11월 25일 제4차 동아시아 정상회동이 싱가포르에서 개최되었는데 1999년 채택한 󰡔동아시아 경제협력 공동성명󰡕

의 중점 협력사업을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조치를 제시하였 고, 2000년 5월 재정장관회의가 달성한 통화협력에 관한 󰡔치 앙마이 협의(Chiang Mai Initiative, CMI)󰡕를 긍정적으로 평가 하고, 금융연수, 인력자원 개발에 대한 행동계획을 제시하였 으며, 동아시아 정상들이 동아시아 자유무역, 투자지대의 창 설과 전면적 경제협력에 관해 공동연구하기로 합의하였다.

이 회동에서 동아시아 정상들의 지역협력의 실천과 미래를 향한 적극적 자세는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가일층 발전시키기 위한 기반을 닦아 놓았다. 󰡔치앙마이 협의󰡕는 역내의 금융협 력의 실천패턴을 개발함으로써 지역협력을 추진하는 데 도움 될 것이다. 󰡔치앙마이 협의󰡕는 양자간의 통화교환에 관한 협 의로서, 만약 협의를 체결한 일방은 자금에 어려움이 생기거 나 자본과 관련된 충격에 직면할 때 다른 일방이 상대방에 대한 지원을 하기로 한 협의이다. 동 협의에 의해 ASEAN의 통화교환기금은 2억 달러에서 10억 달러로, 한・중・일 3국은 각기 ASEAN과 통화교환협정을 체결하여 총금액이 350억 달 러에 달하게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치앙마이 협의󰡕는 향 후 동아시아의 보다 높은 차원의 금융협력을 위한 바탕을 마 련하는 데 커다란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제4차 동아시아 정상회동은 대화와 협력의 틀을 강화하였을 뿐더러 한・중・일 3국 정상들의 협상과 대화의 체제를 사상 처음으로 구축하였는데 동아시아 전 지역의 협력을 추진함 과 동시에 한・중・일 3국의 협력을 추진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다.

동아시아 정상들은 메콩강Mekong 유역개발 계획과 아시아-유 럽철도구축사업을 가속화하는 데에도 뜻을 같이하였다. 동아 시아 정상들은 본 지역의 장기적 발전에 대비하여 미래의

동아시아 자유무역, 투자지대를 창설하기 위한 타당성 연구 를 하기로 합의하고, 역내 각 나라들의 고위관리로 󰡔연구그 룹󰡕을 구성하여 정상들이 합의된 사항과 󰡔동아시아 전망그 룹󰡕이 제시한 건의에 대해서 연구, 검토하며 실천적 조치를 마련하기로 하였다.

⑤ 2001년 11월 제5차 “10+3” 정상의 회동이 브루나이에서 개 최되었다. ‘9.11’ 테러사건과 미국 경제상황의 악화 등으로 동아시아 다수 나라들의 경제적 불황에 직면하는 시점에 이 회의는 세인의 관심 속에서 개최되었는데 회의결과를 보면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첫째, 동아시아 정상들이 동아시아 협력의 필요성에 대한 결 의를 채택하고 제 나라의 고위관료들로 구성된 󰡔연구그룹󰡕

으로 하여금 󰡔전망그룹󰡕이 제시한 동아시아 장기협력구상 건의를 심도있게 연구하여 실천계획을 정상회의에 제시하도 록 하였다. 이 회의에서 󰡔전망그룹󰡕에 의해 제시된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 창설과 ‘10+3’의 틀은 ‘동아시아 정상회의’ 틀 로의 이행, 동아시아의 전면적 협력의 강화, ‘동아시아 공동 체’ 창설의 장기적 목표의 설정 등 일련의 중요한 건의를 통 과시키지 못하였으나 󰡔연구그룹󰡕에 계속 연구하도록 지시한 것은 동아시아 정상들이 동아시아 장기 협력플랜의 중요성 에 대해 인식을 공유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한・중・일 3국 정상은 한・중・일 3국간 협력의 강화, 동 아시아 협력의 추진에 대한 의지를 채택하고 한・중・일 3국의 경제장관회의, 무역장관회의와 상공商工포럼을 설립할 것을 합의하였다.

셋째, 중-ASEAN 정상의 회동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10년 기간으로 중국-ASEAN 자유무역지대 창설에 관한 합

의를 선포하였다.

넷째, 공동으로 테러리즘에 대응하고, 기타 비전통적 안보영 역에서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하였다.

⑥ 2002년 11월 제6차 10+3 회동이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개최 되었다. 2002년은 동아시아 지역협력에서 많은 진전이 이루 어진 해로서, 2002년 11월 󰡔중국-ASEAN 포괄적 경제협력 기본협정󰡕이 타결되어, 2010년까지 ‘중국-ASEAN FTA’를 달 성하기로 하였다. 2002년 1월 󰡔일본-싱가포르 JSEPA󰡕}협정 타결, 2002년 11월 󰡔일본-ASEAN 경제협력 기본협정󰡕}타결 향후 10년 내에 일본-ASEAN FTA를 달성하기로 하였다.

⑦ 2003년 10월 제7차 ASEAN과 한・중・일 정상회동(10+3) 및 제5차 한・중・일 3국 정상회동이 인도네시아의 파리도에서 개최되었다. 한・중・일 3국 정상회동에서 3국간 경제협력 추 진 문제를 논의하고 󰡔한・중・일 3국의 협력을 추진하기 위한 공동선언󰡕을 발표하였다. 이는 한・중・일 3국 정상이 발표하 는 3국 협력에 관한 첫 번째 문건으로, 3국의 정부간 및 비 정부간 협력의 틀이 탄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원쟈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향후 한・중・일 3자 협력증진을 위해 한・중・일 3자 위원회를 설치하여 3자 협력의 기획 및 협조기능을 담당하게 하고, 한・중・일 FTA 창설문제 공동연 구의 강화, 한・중・일 3자간 물류, 품질감독, 검사, 검역, 무역 의 편리화, 매스컴 등 영역의 협력강화를 건의하였고, 한・일 산업계가 중국의 󰡔동북 중화학공업기지 진흥󰡕}사업에 참여 하는 데 대한 환영의 뜻을 표명하였다.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특징과 시나리오

1. ‘10+3’의 사륜(四輪)마차

오늘날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협력과 통합은 ‘10+3’의 사륜마차 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 첫째 바퀴는 ‘10+3’, 즉 ASEAN+

한・중・일 3국이다. 둘째 바퀴는 ‘ASEAN 10’으로 ASEAN 10국 내부의 통합추진, 셋째 바퀴는 ‘10+1’, 즉 ASEAN의 한・중・일 3 국과 개별적인 대화와 협력의 기틀, 넷째 바퀴는 ‘3’, 즉 한・중・일 3국간의 대화와 협력의 틀이 그것이다.

‘10+3’의 사륜마차는 네 차원의 행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 다. (1) 정상회동:‘10+3’ 정상회동과 10+1 정상회동 1년 1차 개최, (2) 장관회의:이미 재경장관회의, 외교부장회의, 경제부장회의 정 례 개최함, (3) 고위 관료회의 등 실무그룹회의의 개최이다.

“10+3”의 4륜마차가 동아시아 경제협력을 이끌어가는 것은 동 아시아 경제통합 노력의 작동을 의미하며, 이정표적인 의의를 갖 고 있다. 비록 아직 초기단계에 있지만 이미 상당한 업적을 쌓고 있다.

① 1999년 제3차 “10+3” 정상회동에서는 “동아시아협력공동성 명”을 발표하여 동아시아 협력의 원칙과 방향 및 중점영역 에 대하여 공통의 인식을 갖게 되었다.

② 2000년 5월 “10+3” 재정장관회의에서는 󰡔치앙마이 협의󰡕를 체결함으로써, 단기적으로 국제수지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역내 성원에 대하여 유동외환의 도움을 제공할 것을 합의하 였다. 2002년에 이르러 ‘10+3’ 범위에서 여러 개의 양자간 화 폐교환협정이 체결되었으며, 교환량은 200억 달러에 달하였 다. 이와 동시에 ‘10+3’ 재정부장들은 “10+3” 비공식 정책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