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취업구조의 변화와 전망

취업구조는 위의 인구구조나 경제활동참가율에 비해 고용구조의 양적 변 화 및 질적 변화를 더욱 잘 반영하는 것이다. 최근 기술 및 경제 환경의 변

3) 이러한 경제활동참가율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청년층과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율은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장창원 외, 1998).

화에 의해 생산조직 또는 생산양식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 한 변화의 결과에 대한 거시적 관찰은 산업별 취업구조와 직업별 취업구조 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1) 산업별 취업자수 변화

우선 산업별 취업구조는 1차 산업의 취업자수가 크게 감소하는 반면 3차 산업의 취업자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체적으로 농림어업의 취업자수는 1993~1997년간 연평균 -4.8 %에서 1997~2003년간 연평균 -5.2 % 로 크게 감소할 전망이다. 농업의 경우 고부가가치 작물재배의 확대 및 영 농규모의 확대로 농업구조개선은 지속될 것이나 시장개방에 따른 농산물의 수입이 확대되면서 전체적인 성장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는 데 기인하는 것 이다.

제조업 취업자수의 연평균증가율은 1993~1997년간 -1.0%로 감소하다가 1997~2003년간 2.0 %로 약간 증가하나,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취업자수의 비중은 1990년대 초반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것은 경제가 성숙 단계에 진입하면서 제조업의 비용구조 개선을 위한 분업구조의 확대 및 해 외생산거점의 확대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이다. 또한 제조업 내에서도 지식 및 기술 집약적인 특성을 가진 산업들이 제조업의 중심 축을 이룰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제조업 취업자수의 비중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부가가치 가 높은 업종의 취업자수는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차산업의 경우 전기, 운수, 금융업과 기타 서비스업의 취업자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건설업과 도・소매업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건설업과 도・소매업은 1997년까지 증가추세에서 반전되어 이후 2003년까지 연평균 0.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 운수, 금융업은 1997년까지 연 평균 16.4 %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이후 2003년까지 연평균 0.7% 증가 하여 그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이며, 기타 서비스업은 1997년까지 연평균 0.7 % 감소하나 이후 2003년까지 5.2 %로 높은 증가율을 보일 전망이다. 이와 같이 건설업 및 도・소매업을 제외하면 3차산업의 취업자수 증가세가 현저

하다.

<표Ⅱ-4> 산업별 취업자수 추이와 전망

(단위 : 천명, %)

1993 1995 1997 1999 2003

증가율

A B

전체 19,130(100) 20,375(100) 21,048(100) 20,354(100) 22,481(100) 2.4 1.1 농림어업 2,828(14.8) 2,541(12.5) 2,324(11.0) 2,126(10.5) 1,684(7.59) -4.8 -5.2 광업 52( 0.3) 26( 0.1) 27( 0.1) 25( 0.1) 22( 0.1) -15.1 -3.0 제조업 4,652(24.3) 4,773(23.4) 4,474(21.3) 4,232(20.8) 5,043(22.4) -1.0 2.0 건설업 1,685( 8.8) 1,896( 9.3) 2,004(9.5) 1,909( 9.4) 1,937(8.6) 4.4 -0.6 도소매 4,838(25.3) 5,358(26.3) 5,798(27.6) 5,407(26.6) 5,546(24.7) 4.6 -0.7 전기,운수,금융 1,711( 8.9) 1,856( 9.1) 3,149(14.9) 3,065(15.1) 3,819(17.0) 16.4 3.2 기타서비스업 3,364(17.6) 3,925(19.2) 3,272(15.6) 3,590(17.6) 4,430(19.7) -0.7 5.2

: 증가율 A는 1993~1997년, B는 1997~2003년간 연평균 증가율임.

자료 : 통계청(각 연도),『경제활동인구연보』.

장창원 외(1998),『산업인력수급 전망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 직업별 취업자수 변화

국제통화기금 관리체제하에서 직업별 취업자수의 변화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1998년 분기별로 살펴 본 취업구조는 경제위기로 인하여 농 림어업직과 전문기술직을 제외하면 취업자수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해 전문・기술・행정관리직의 취업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1999년 경기회복의 조짐과 함께 증가폭이 커지고 있다. 한편 농림・어업직은 경제 위기 이후 취업자의 증가가 가장 높았으나 1999년 들어 오히려 감소하고 있 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취업자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은 경제의 구조조정과 경제환 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기술직의

취업자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향후 고용구조가 전문・기술직을 중 심으로 한 고급인력의 수요가 증대할 것임을 시사해주는 것이다.

<표Ⅱ-5> 직업별 취업자수

(단위 : 천명, %) 98. 1/ 4분기 98. 2/ 4분기 98. 3/ 4분기 98. 4/ 4분기 99. 1/ 4분기 99. 2/ 4분기 전체취업자 19,762(-3.6) 20,244( -5.3) 20,049( -6.3) 19,924( -5.7) 19,105( -3.3) 20,362( 0.6) 전문・기술・

행정관리직 3,697( 2.1) 3,724( 0.5) 3,733( 0.1) 3,782( 2.4) 3,799( 2.8) 3,818( 2.5) 사무직 2,573( -1.2) 2,450( -5.1) 2,356( -7.9) 2,294( -9.9) 2,182(-15.2) 2,207(-9.9) 서비스・판매직 4,763( -1.3) 4,729( -2.3) 4,708( -3.5) 4,744( -3.8) 4,748( -0.3) 4,764 ( 0.7) 농림어업직 1,999( 5.2) 2,652( 7.4) 2,591( 3.6) 2,217( 0 ) 1,744 (-12.8) 2,433(-8.3) 기능・기계조작

・단순노무직 6,730(-10.9) 6,689(-14 .1) 6,660(-13.9) 6,887(-11.1) 6,632( -1.5) 7,138( 6.7)

: ( )안은 전년동기 대비 증감률임.

자료 : 통계청(1999. 6),「경제활동인구월보」.

전체 취업자수에서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취업자수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3년 12.3 %에서 2003년 19.9 %로 증가하며, 취업자수는 1993~1997 년간 4.3 %, 1997~2003년간 5.8 %의 연평균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무직이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비슷한 추세를 유지하여 연평균 1.6 %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서비스 및 상점・시장판매근로자는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기능원,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의 경우 증가율이 낮 을 것으로 전망되며,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농업 및 어업 숙련근로자는 1997~2003년까지 연평균 5.7%, 단순노무직 근로자는 동기간 연평균 0.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을 종합하면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증가세가 확연하고, 단순 노무직과 농업 및 어업분야 취업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 한 현상은 산업에서 지식 및 정보기술의 필요성이 크게 높아지고 있으며,

산업구조가 빠르게 변하여 지식 및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고용구조로 이행해 가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표Ⅱ-6> 직업별 취업자수 추이와 전망

(단위 : 천명, %)

1993 1995 1997 1999 2003 증가율

A B

19,253(100) 20,377(100) 21,047(100) 20,359(100) 22,485(100) 2.3 1.1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523(2.7) 525(2.6) 531(2.5) 499(2.5) 692.2(3.1) 0.4 4.5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2,376(12.3) 2,811(13.8) 3,181(15.1) 3,292(13.2) 4,464(19.9) 4.3 5.8 사무직원 2,414(12.5) 2,510(12.3) 2,574(12.2) 2,414(11.8) 2,839(12.6) 1.6 1.6 서비스 및

상점・시장판매

근로자 4,029(20.9) 4,464(21.9) 4,857(23.1) 4,737(23.3) 5,133(22.8) 4.8 0.9 농업 및 어업

숙련근로자 2,546(13.2) 2,389(11.7) 2,213(10.5) 2,171(10.7) 1,558(6.9) -3.4 -5.7

기능원, 기계조

작원 및 조립원 5,252(27.3) 5,394(26.5) 5,336(25.4) 5,069(24.9) 5,501(24.5) 0.4 0.5 단순노무직

근로자 2,112(11.0) 2,284(11.2) 2,355(11.2) 2,179(10.7) 2,298(10.2) 2.8 -0.4 : 증가율 A는 1993~1997년, B는 1997~2003년간 연평균 증가율임.

자료 : 통계청(각 연도), 『경제활동인구연보』.

장창원 외(1998), 『산업인력수급 전망과 과제』,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