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 송강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54-59)

송강문학의 대략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이러한 작품세계를 가진 송강문학이 국문학사의 위치에 대해 짚고 넘어가는 것이 정철문학 교육의 필요성에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이므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송강 정철의 대표격인 가사문학은 유려한 문체, 정서의 곡진함 등에서 그 탁 월성을 보인다. 또한 정치적 이상에 대한 사대부로서의 의지가 강력히 배어 있 는 서경적 묘사는, 사실성을 바탕으로하여 현실의 세계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통로를 열고 있다.

즉, 송강 정철의 문학은 조선중기 사대부 문학의 한 정점을 이루며, 중기를 거쳐 후대에 이르러서는 근대적 성격 문학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이것은 국문 시가의 진정한 승리에 이르는 것이라 평가할 수 있겠다.

권용주는 그의 논문에서, 송강의 국문시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를 하 고, 그 국문학사적 의의를 설명하였다.

송강은 당시의 사대부들이 鄙野하다거나 격이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던 국 문을 사용한 시가의 창작에도 한시 창작 때와 똑같은 목적과 자세로 임했으 며, 우리말이 지니는 자연스러운 호흡과 다양한 어휘 구사력을 바탕으로 한 시보다 시적 기교가 앞서는 국문시가를 많이 창작했던 대표적 작가이다. 송 강의 이와 같은 선구적 업적이 있었기 때문에 우리의 국문시가는 漢詩를 詩 라고 하는데 반해 歌 또는 樂으로 천시되던 상황을 극복하고 종래에는 歌詩 一道의 수준으로까지 격상될 수 있었던 것이다.24 )

송강의 시가문학에 대한 평가는 그의 생존 당시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 은 사람들에 의하여 극찬되어 오고 있는 터이다.25 )

당대부터 현재까지 이루어진 송강의 가사에 대한 평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 다.

① <관동별곡>은 관동자연의 아름다움을 일일이 들어 언급하였고, 그윽하고 괴상한 모양과 자연현상의 오묘함을 다 이야기하였는데, 조어의 기묘함은 실로 악보 중에서 으뜸가는 노래이다.26 )

② 송강의 <관동별곡>과 <전후미인곡>은 우리나라 이소 (離騷 )이다....옛날부터 우리나라의 참된 문장은 이 세 편 뿐이다.27 )

③ 송강의 전후 사미인의 가사는 속된 말로 된 것인데 정계에서 밀려나 우울 한 마음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임금과 신하의 관계를 남녀의 관계로 비유한 이 가사는, 그 중심은 충성되고, 그 뜻은 깨끗하며, 그 절개는 곧고, 그 말은 우아 하고 곡진하며 그 가락은 슬프나 순순하여 거의 굴평의 이소 (離騷 )에 필적할 만하다.28 )

④ 우리나라 노래 중 정철이 지은 것이 가장 훌륭하여 <관동별곡>, <사미인 곡>, <속미인곡>이 후세에 성행하였다고 하였다.29 )

⑤ 조선조 가사의 작품은 산적하리만큼 많으나, 그 중에서도 최고봉은 정송

25 ) 17~ 19세기 송강 정철에 대한 추모와 작품에 대한 평가 , 그리고 수용양상에 대한 연구는 최규수 ( "송강정철 시가의 미적 특질 연구 -작품 수용 양상을 중심으로 - ," 박사학위논문 , 이화여대. ) 참고.

26 ) 關東別曲 , 宋江所製 歷擧關山水之美 說盡, 幽遐詭奇之觀 狀物之妙造語之奇 信樂譜之絶調也.

홍만종 , 순오지.

27 ) 宋江 關東別曲 前後美人歌 乃我東之離騷 - - -自古左海眞文章 只此三篇. 김만중 , 서포만필.

28 ) 其心忠 其志潔 其節貞 其調悲而曲 其調悲而正 庶幾追配屈平之離騷 김춘택 , 북헌집.

29 ) 鄭澈所作最善 - - - 關東別曲,思美人曲,續美人曲, 盛行於後世 이수광, 지봉유설.

강의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꼽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송강은 단가보다도 장평가사의 천재였다.30 )

⑥ 가사문학은 송강에 이르러 대성하였다...<관동별곡>, <성산별곡>, <전후미 인곡>은 모두 송강의 걸작이고, 또 가사문학의 수품 (秀品 )이다.31 )

이러한 평가들을 바탕으로 김종석은 많은 사람들의 평가를 종합하여 송강문 학이 차지하는 국문학사적 의의를 정리32 )한바 있는 데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 다.

첫째, 송강은 그의 문학 세계를 통하여 현실 세계에 대한 집착과 탈 현실에 대한 욕구를 상보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대부들에게 도피처로 이용 되었던 자연이 송강에 이르러 그 범주를 달리하는 강호로 바뀌고 있다. 즉 송 강은 자신의 문학에서 외면과 내면,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지향하였다.

둘째, 송강은 한문학과 국문학등 모든 양식에 통달했던 문인이었다. 가사, 시 조, 한문학 등에서 보여준 그의 문학적 성과는 어느 일 개인이 어느 특정한 분 야에서 독보적으로 보여준 문학적 성과 이상으로 성공적이었다. 송강을 우리 문학사의 최고봉으로 간주하는 이유가 바로 이에 연유하는 것이다.

셋째, 송강 문학이, 영향 관계로 파악할 수 있을 만큼 다른 작품의 영향을 받 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은 송강 문학은 문학적 개성이나 독창성이 뛰어난 창 조적 산물이라는 결론을 바꿀 만한 것은 아니다.

넷째, 송강이 남긴 국문 노래의 장르들은 국문학의 노래 장르를 체계화하는

30 ) 이병기 , 백철 공저. 국문학전사.

31 ) 조윤제 , 한국문학사 , 탐구당 , 1987, 168면.

데 있어 중요한 표본 내지 단서 역할을 하고 있다. 송강문학의 문학사적 의의 는 장르의식과 기법상의 진보성에서 찾을 수 있는데, 한문학을 독점하던 대표 적 식자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노래 문학에 대한 조예가 깊었다는 점은 장르 의식의 진보성을 입증하는 사실이다.

다섯째, 송강문학은 탁월한 언어의 조탁, 조어의 아름다움, 표현의 참신성, 격 조의 우아함, 작품의 언어, 형식, 내용, 표현, 기법, 구조, 시풍에 있어 단연 국 문학의 최고라고 단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강가사 는 아름다운 자연풍토에 대한 묘사를 자신의 민족적 긍 지와의 일치 속에서 진실하게 보여줌으로써 양반귀족들의 관조적, 도학적 음풍 영월의 시문학에 자기 시정신을 대치시킨 의의를 가진다.

후세의 비평가들이 그의 시문학에서, 17세기 이후 대중적인 시가 형태로 나 온 서민가사의 연원을 보고 있는 사실은 전혀 무근거한 일이 아니다. 박인로, 김만중, 허균, 김춘택 등이 모두 그를 높이 찬양하면서 그의 가사문학에서 소박 성, 진보성을 배웠으며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배웠을 것이다.

그의 가사문학은 풍부한 생활적 국문 시어의 세련된 묘사 -표현적 수법들에 의하여 조선어의 시어적 가치를 획기적인 단계로 제고시켰으며 국어국문 시가 의 원류를 가일층 뚜렷하게 하는데 기여하였다.33 )

근대 이후 송강문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인 이병기의 <송강가사연구>와 조 윤제의 <조선시가사강>에 뒤이어 송강문학에 대한 연구는 150여 편을 상회하는 논문이 있고, 아직까지 송강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33 ) 현종호 , 국어고전시가사연구 , 도서출판 보고사 , 1996, 360면.

2. 정철문학 교육의 필요성

본고는 그의 행적을 더듬어 나가면서 송강이라는 인물 특유의 품성과 인간적 풍모는 물론, 위대한 문인으로서의 자취와 작품 세계에 담겨진 특질을 살펴보 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그가 역사 격변기의 우여곡절이 심한 삶을 살아가 면서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행동한 모습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천부적인 감성 으로 노래한 그의 주옥같은 문학 작품들을 이해・향수할 수 있어야 한다. 또, 오늘날까지도 다양한 평가가 내려지고 있는 만큼, 탐구 여정을 마무리하는 시 점에서는 그의 다양한 얼굴과 역사적 평가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송강은 성장 환경・기질과 품성・작품 경향・삶에 대한 지향의식 등 의 면에서 퍽이나 대조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어느 국면에 이르러서 는 이런 대조적 측면들이 특유의 개성과 더불어 조화・통일된 형상으로 우리 앞에 그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그만큼 다채로우면서도 복합적인 형상을 지닌 인물이 바로 송강이다.

송강에게서 역사 격변기를 헤쳐나간 문인 지식인의 한 전형을 본다. 그는 강 렬하게 느끼고 주체적으로 사고했으며, 지식인다운 의지와 용기로써 행동했다.

그리하여 자신의 시대가 제기하는 삶과 사회 문제들에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갔다. 특히 그가 남긴 문학 작품들은 자신이 겪어 온 삶의 기록이자, 대대로 공감의 지평을 열어 준 사유와 감성의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21 세기 또 다른 격변의 시대에, 우리가 송강의 생애와 문학에 각별한 관심을 가 져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5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