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수업지도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71-89)

1 ) 탐 구 수 업 1차 시 ( 1/ 2 )

가 ) 전시 학습 내용 및 과제 확인

① 질의 응답을 통해 전시 학습 내용을 복습한다.

② 단원 학습 내용 및 본시 학습 목표를 제시한다.

③ 전시간에 제시한 과제를 확인한다.

나 ) 동기 유발

- 오늘 학습할 제재는 조선 시대 가사 문학의 제 1인자로 꼽히는 정철의 대 표작으로, 독창적이고 서정적인 기행가사이다. 특히 이 작품은 인간의 갈등과 그 해소 과정이 함축적으로 드러나 있고,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잘 살아나 있는

작품이다.

다 ) 현대어로 풀이하기

- 먼저 낭독해 보고 현대어로 풀이하며 읽어 본다. (사전에 개인별 과제로 제시된 것을 6부분으로 나누어 모둠별로 발표시킴.)

라 ) 작품 개관 - 과제를 참고하여, 질의 응답으로 정리한다.

・ 종류 : 가사 - 양반가사, 기행가사, 서정가사, 정격가사

・ 연대 : 선조13년 (1580년 ), 작자 45세때

・ 배경사상 : 충의, 애민, 신선 사상

・ 구성 : 서사 -본사 -결사의 3단 구성 (시간,여정에 따른 추보식구성 )

・ 가치 : 우리말 구사력이 뛰어난 가사문학의 대표작.

・ 주제 : 관동 지방의 절경 유람과 연군, 애민의 정

・ 출전 : <송강가사> 이선본 (李選本 ), 숙종 16년 (1690년 ) 마 ) 작품 속의 여정을 찾아 정리해 보자.

( 1) 부임과 관내의 순력

창평→한양→평구역→흑슈→셤강・티악→쇼양강→동쥬→븍관뎡→회양 (2 ) 금강산 유람

만폭동→금강대→진헐대→개심대→화룡소→블뎡대→산영루 (3 ) 관동 팔경 유람

총석정→삼일포→의상대→죽서루→망양정 바 ) 작품의 개요를 작성해보자.

( 1) 교과서P (244. 3~244. 6 ) : 강원도 관찰사가 되어 원주에 부임하게 되다.

(2 ) (244. 5~244.11) : 관내를 순력하면서 선정의 포부를 읊었다.

(3 ) (244.11~245. 2 ) : 만폭동 폭포의 장관을 구경하고 금강대에 노니는 학을 보니 신선이 된 듯 하였다.

(4 ) (245. 2~245. 8 ) : 진헐대에 올라 금강산의 모습에 감탄하고, 망고대, 혈망봉의 기개를 보고 충절을 다짐했다.

(5 ) (245. 8~245.15 ) : 개심대에서 인재를 갈망하고, 비로봉을 바라보며 공자의 높은 덕을 흠모했다.

(6 ) (245.15~246. 5 ) : 화룡소를 바라보며 선정을 다짐하고, 십이 폭포의 장관에 감탄했다.

(7 ) (246. 6~246.12 ) : 해금강으로 향하며 명사 십리 길에서의 흥취를 노 래하고, 총석정의 장관에 감탄했다.

(8 ) (246.12~247. 2 ) : 삼일포에서 사선을 추모하고, 의상대에서 해돋이를 바라보며 나랏일을 근심하였다.

(9 ) (247. 2~247. 9 ) : 경포의 장관을 구경하고, 강릉의 미풍양속에 감탄 하였다.

( 10 ) (249. 9~247.16 ) : 죽서루에서 연군의 정과 그윽한 회포를 느끼고 망 양정에서 파도의 장관에 경탄하였다.

( 11) (247.16~248. 5 ) : 망양정에서 아름다운 월출을 구경하며 풍류를 즐 겼다.

( 12 ) (248. 5~248.15 ) : 소나무 아래에서 선잠을 자다가, 꿈 속에서 신선 을 만나 대작과 대담을 하였는데 깨고 보니 달이 온 누리에 환하게

비치고 있었다.

사 ) 개요 작성한 것을 바탕으로 작품의 짜임을 정리하여 보자.

( 1) 4부분으로

・ 기 (~244 : 11)

관찰사 부임과 관내 순찰

・ 승 (~246 : 5 )

내금강 유람 (만폭동과 금강대→진헐대→개심대→화룡소・십이 폭포 )

・ 전 (~247 : 16 )

외・해금강과 동해안 유람 (동해→총석정→삼일포→의상대→죽서루→망 양정 )

・ 결 (248 : 끝 )

달맞이와 꿈을 통한 작자의 풍류 (2 ) 3부분으로

・ 서사 : 관찰사 부임과 관내 순찰

・ 본사 : 내금강과 관동팔경의 유람

・ 결사 : 달맞이와 꿈을 통한 작자의 풍류 아 ) 가사 문학의 흐름에 대하여 알아 보자.

( 1) 조선 전기의 가사

・조선 전기의 가사는 주로 사대부들에 의하여 창작되었다.

・주된 내용은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한 연군지정 (戀君之情 ), 상춘취락 (賞春醉樂 )임.

・정극인, 송순, 정철 등이 대표적 작가들이다.

・정극인은 <상춘곡>, 송순은 <면앙정가>, 정철은 <성산별곡>, <관동별 곡>, <사미인곡>, <속사미인곡>을 지었다.

・이들은 주로 벼슬에서 물러나 자연에 묻혀 사는 생활을 작품화 하였다.

・정철은 우리 말의 아름다움을 살려서 고도의 은유, 상징으로 격조 높은 작품들을 창작하여 가사 문학의 제 1 인자로 평가되고 있다.

(2 ) 조선 후기의 가사

・주된 내용은 실학 사상을 바탕으로 한 생활에서 소재를 구한 서사적인 것.

・이 시기에는 음풍 농월 (吟風弄月 )하던 서정 중심에서 벗어나 실생활에 서 제재를 구하고 서사적 내용이 가미되는 등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변격 가사가 많아졌고, 장편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편의 유배 가사, 기행 가사들이 창작되었다.

・박인로, 김인겸, 정학유 등이 이 시기의 대표적 작가들이다.

・부녀자들을 희로애락과 생활 감정을 주로한 내방 가사가 창작되었다.

자 ) 시조 (時調 ) 와의 공통점, 차이점을 알아보자.

( 1) 공통점 : 3.4조나 4.4조의 음수율

가사의 끝 구가 시조의 종장과 같음 (음수율 : 3.5.4.3 ) (2 ) 차이점 : 시조 : 길이가 짧음 (3장 6구 ) - 단가 (短歌 ) 라고 함

가사 : 작자의 생각이나 소재에 따라 길어짐 - 장가 (長歌 ) 라 고 함.

차 ) 이 작품이 주는 느낌을 알아 보자. (조별 발표 )

・명쾌, 화려, 활달하고 낭만적이어서 작자의 호탕한 기상이 잘 살아난다.

・탄력적이며 박진감 넘치는 운율이 낭송의 묘미를 더해 준다.

・지나치게 임금을 의식해서 쓴 아부형 글이다.

・쉽게 낭송되고 재미있게 읽혀진다.

카 ) 정리 및 평가

이 작품은 명쾌하고 화려하며 활달하고 낭만적이어서 작자의 호탕한 기상이 잘 살아나는 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탄력적이며 박진감 넘치는 낭송의 묘미를 더해 주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산에 올라 충절과 선정을 염원하고, 바다를 바 라보며 심리적 갈등과 혼돈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작가 정철의 인품과 도 밀접함을 알 수가 있다.

( 1) 고어 표기로 된 작품을 제대로 읽을 수 있는가?

(2 ) 이 작품의 내용을 충분히 알고 이해, 감상하는가?

(3 ) 여정을 충분히 정리할 수 있는가?

(4 ) 가사 문학의 흐름을 이해하고 있는가?

2 ) 탐 구 수 업 2차 시 ( 2 / 2 )

가 ) 전시 학습 내용 및 과제 확인

( 1) 질의 응답을 통해 전시 학습 내용을 복습한다.

(2 ) 단원 학습 내용 및 본시 학습 목표 제시 (3 ) 전시간에 제시한 과제를 확인한다.

나 ) 동기 유발

지난 시간에 이어서 정철의 관동별곡 을 소재로 작가인 정철에 대해 상상해 보고 이 글의 갈등과 그 해결 과정을 살펴서, 청자를 염두에 두고 말하기를 통 해 정리하자.

다 ) 작품에 나타난 작가 정철의 모습 을 비교적 자세하게 알아 보자.

관동별곡은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선비로서의 공명심 과 강호 자연에서 유유자적하는 심성을 보여주는 청철의 양면적인 태도이다.

가사는 작가의 삶의 모습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교술 장르라는 것을 생각해 볼때, 관동별곡에는 정철의 삶의 태도가 그대로 녹아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 다. 관동별곡 의 사상적 배경은 충의사상 과 신선사상 이라 할 수 있다. 정철 은 시골에 묻혀 지내다가도 임금의 부름에 주저하지 않고 나서는 선비로서의 신하된 도리를 다하고 있는 충의사상 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금강산과 아름다 운 관동 팔경을 지나면서도 임금의 은혜를 잊지 않는 모습을 지니고 있다. 반 면, 그는 곳곳에서 자신을 신선에 비유하여 이 세상에 얽매여 살아가기 싫어하 는 신선지향적인 모습을 발견할 수가 있다. 이 두 가지 모습이 두루 녹아 있다 는데 이 작품의 특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작품에는 충의사상이 더 강하게 표현되어 있는 것 같다. 아름다운 경치에 대한 감탄 뒤에 으레 따라 붙는 임금의 은혜에 감사하는 내용이라든지, 벼슬을 맡기자 경망스러우리만치 미련없이 자연속의 삶을 버리고 나서는 장면, 신하된 도리를 생각하는 장면 등 이 모두 충의 사상에 바탕을 둔 공명심이다다. 따라서 정철은 공명심 을 강하 게 지닌 충실한 신하였다고 볼 수가 있을 것이다.

라 ) 표현이 뛰어나다고 생각되는 곳을 찾아 그 이유를 알아 보자.

( 1) 은 무지개, 옥 룡 초리 (2 ) 들을 제 우레러니 보니 눈이로다 (3 ) 거든 디 마나, 셧거든 솟디 마나

대구의 묘미 (율격적내용 ) - 우리말의 원형적 율격의 묘미를 자아냄.

(4 ) 하직고 믈러나니 옥졀이 알 셧다.

생략 비약의 묘미 - 작가의 호방하고 문호 (文豪 )다운 면모 (5 ) 북두셩 기우려 챵 슈 부어 내여

웅장 호방한 표현

(6 ) 명사길 니근 이 션을 빗기 시러

우리말의 묘미 - 짧은 말마디 속에 함축의 묘미를 살리고, 여유와 멋을 느끼게 한다.

마 ) 산의 경치를 묘사한 표현들을 찾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된 색채 이 미지는 무엇이며, 이러한 색채 이미지들을 인간의 정신 상태로 유추해 보면 어 떤 특성점이 주목할 만하다.

( 1) 은 무지게 보니 눈이로다 부용을 고잣 , 옷을 믓건

(2 ) 거든 조티 마나 조커든 디 마나 등 백색 이미지

- 이러한 백색 이미지들은 성스러움, 고결, 승화 등을 느끼게 하는 함축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고결성의 바탕은 작자 자신 또는 시적 주인공의 면목이 그런 위치에 있음을 뜻하기도 하는데, 그런 해석을 가능하게 해 주는 것이, 위

정자로서의 모습과 생각을 나타내는 표현들이다. 즉, 출발 당시부터 셩은 에 감 사하고 있는 시적 주인공의 신분은 고신거국 의 처지이며, 그러기에 가는 곳마 다 쳔고흉망 을 생각하거나 천하의 넓음 을 확인하거나 음애예 이온 플을 다 살와 내온 것 을 떠올리게 된다.

이러한 생각의 연쇄는 그가 곧 위정자이며, 사회의 상층부에 속해 있는 책임 감 속에서 사유하는 흔적을 보여준다.

바 ) 바다를 바라보면서 신하로서의 책임과 인간으로서의 욕구 사이에 갈등 을 드러낸 표현을 찾아 그 이유를 알아 보자.

王程이 有限 고 風景이 못 슬믜니 幽懷도 하도 할샤, 客愁도 둘 듸 없다.

仙사를 띄워 내여 斗牛로 向 살가 仙人을 려 丹穴에 머므살가

- 왕정이 의식적으로 지향해야 하는 유한하고 고정된 현실이라면, 객수는 무 한하고 정처없는 영혼의 세계이다. 전자는 사회적 의무의 정신이요, 후자는 영

- 왕정이 의식적으로 지향해야 하는 유한하고 고정된 현실이라면, 객수는 무 한하고 정처없는 영혼의 세계이다. 전자는 사회적 의무의 정신이요, 후자는 영

문서에서 목 차 (페이지 7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