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4 장 제네릭 의약품 선택에 관한 일반인 인식 조사

1. 국외문헌

국외에서는 제네릭 의약품의 선택과 대체조제에 대한 소비자 및 환자 의 인식에 대한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Dunne(2016)은 제네릭 의약 품에 대한 소비자와 환자의 인식 및 경험과 관련하여 2005년부터 2015 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포함된 59개 논문 중 45개가 양적 연구였고, 12개가 질적 연구였 으며, 2개가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한 혼합연구였다. 해당 문헌들 에서 조사한 연구대상자 수는 적게는 14명에서 많게는 3182명에 이르렀 다. Dunne(2016)은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소비자 및 환자의 인식을 크 게 8개 주제와 기타 의견으로 분류하였다.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용도나 신뢰도와 관련 있는 인구사회학적 요 인으로는 연령, 소득 및 교육 수준, 보건의료시스템에 대한 만족도, 성별 등이 있다. 체계적 문헌 고찰에 포함된 다수의 연구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수용도 및 신뢰도가 낮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제네 릭 의약품에 대한 수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Babar et al., 2010;

Costa-Font, Rudisill, & Tan, 2014; Håkonsen & Toverud, 2011;

Heikkilä, Mäntyselkä, & Ahonen, 2011; Dunne, 2016, p.502 재인 용) 일부 문헌에서는 그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l-Gedadi, Hassali, & Shafie, 2008; Figueiras et al., 2009;

Dunne, 2016, p.502 재인용). 또한 대체로 소득 및 교육 수준이 높을수 록 제네릭과 브랜드 의약품을 동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Babar et al., 2010; Iosifescu, Halm, McGinn, Siu, & Federman, 2008; Toverud, Røise, Hogstad, & Wabø, 2011; Dunne, 2016, p.502 재인용), 보건의료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제네릭 의약

제4장 제네릭 의약품 선택에 관한 일반인 인식 조사 59

품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제네 릭 의약품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osta-Font et al., 2014,; Rathe, Søndergaard, Jarbøl, Hallas, & Andersen, 2014; Heikkilä et al., 2011; Jacomet et al., 2015; Dunne, 2016, p.504 재인용).

제네릭 의약품의 질, 안전성, 효능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다수의 연구 에서는 적어도 일부 소비자는 제네릭 의약품이 브랜드 의약품만큼 효과 적이지 않거나 질이 더 낮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몇몇 연구에 서는 환자가 브랜드 의약품에 대한 뚜렷한 선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 고되었다(Duune et al., 2014; Ibrahim, McKinnon, & Ngo, 2012;

Keenum, DeVoe, Chisolm, & Wallace, 2012; Ngo, Stupans, &

McKinnon, 2013; Dunne, 2016, p.504 재인용). 또한 소비자는 제네 릭의 더 낮은 가격은 효과가 약하거나 “진짜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고 생 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연구에서는 브랜드 의약품이 더 높은 기준 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unne et al., 2014;

Håkonsen & Toverud, 2011; Toverud et al., 2011; Ibrahim et al., 2012; Dunne, 2016, p.504 재인용). 그러나 위와 같은 연구 결과들과 대조적으로 소비자는 브랜드 의약품보다 제네릭 의약품이 더 열등하거 나, 안전성 및 효과가 더 낮다고 인식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된 연구들도 있었다(Figueiras et al., 2009; Heikkilä et al., 2011; Ibrahim et al., 2012; Dunne, 2016, p.504 재인용).

제네릭 의약품 사용 결정에 가장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격 과 함께 의사, 친구, 가족 등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정보 제공원이었다.

이 밖에 제네릭 의약품 사용에 대한 경험과 약국에서 해당 제네릭 의약품 의 사용 가능 여부, 보험자의 대체조제 의무화 등도 영향을 미치는 요인

60 수요 기전을 이용한 약품비 지출의 효율 제고 방안

이었다(Dunne, 2016, pp.504-505).

제네릭 의약품 사용이나 대체조제를 어렵게 하는 주요 이유로는 제네 릭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불확신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 는 제네릭을 사용함으로써 오리지널보다 더 많은 부작용이나 오리지널과 다른 종류의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제네릭 의약품의 모양, 크기, 제형, 포장 등이 다르기 때문에 야기되는 혼란과 복용의 어려움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제네릭 의약품이나 대체조제 사용을 가로막는 장벽은 소비자에게 각인된 브랜드 의약품에 대한 신뢰와 친숙함, 제네릭 사용에 대한 부정적 경험 등이었다(Dunne, 2016, p.505).

제네릭 의약품의 사용과 관련한 일반적 태도 측면에서 환자 및 소비자 는 의사나 약사가 제안하면 대체조제를 받아들일 것이라는 연구 내용이 우세하였지만(Al-Gedadi et al., 2008; Babar et al., 2010;

Costa-Font et al., 2014; Dunne et al., 2014; Håkonsen &

Toverud, 2011; Heikkilä et al., 2011; Dunne, 2016, p.505 재인용), 보건의료 전문가가 제안하더라도 대체조제는 수용하지 않겠다는 상반된 연구 내용도 있었다(Roman, 2009; Dunne, 2016, p.505 재인용). 만성 질환보다는 가벼운 질병이나 급성질환에서 제네릭에 대한 수용도가 더 높 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일부 연구에서는 제네릭을 사용함으로써 얻는 재 정적 이익보다는 제네릭에 대한 불신이 소비자에게 더 큰 것으로 보고되 었다(Dunne et al., 2014; Ngo et al., 2013; Kohli & Buller, 2013;

Dunne, 2016, p.505 재인용). 그리고 소비자는 제네릭에 대해 호의적인 의견을 표현하지만 실제로 약을 구매할 때는 브랜드 의약품을 구매하는 언행 불일치가 나타나기도 했다(Keenum et al., 2012; Heikkilä, Mäntyselkä, & Ahonen, 2012; Dunne, 2016, p.505 재인용).

제네릭 의약품과 관련한 교육이나 의사소통 측면에서 소비자는 제네릭

제4장 제네릭 의약품 선택에 관한 일반인 인식 조사 61

의약품에 대한 정보 제공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제네릭 대체조제에 대해 의사가 함 께 논의하는 등 처방 과정에서 환자와 의사 간 커뮤니케이션과 참여를 원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Dunne, 2016, pp.505-506).

이 밖에 선행연구에서 논의된 제네릭에 대한 기타 의견으로 환자는 제 네릭 의약품의 외형이나 포장이 달라지는 것은 우려하는 부분이 아니며 (Rathe et al., 2014; Duune, 2016, p.506 재인용), 제네릭을 사용하는 것이 브랜드 의약품을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Dunne et al., 2014; Heikkilä et al., 2011; Ngo et al., 2013; Dunne, 2016, p.506 재인용). 일부 환자들은 오리지널・제네릭 여부와 상관없이 처음에 처방 받은 의약품을 선호하였다(Dunne et al., 2014; Håkonsen &

Toverud, 2011; Dunne, 2016, p.506 재인용).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환자 및 소비자의 인식에 대한 국외 조사 연구는 최근까지도 홍콩, 스웨덴, 미국, 아일랜드, 그리스, 핀란드, 뉴질랜드 등 여러 국가에서 수행되었다.

홍콩에서 수행된 Lee et al.(2018)의 연구에서는 보건의료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제네릭 대체조제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반인 2100여 명이 참여하였다. 일반인 대상 조사 내용은 크게 제네릭 의약품 관련 지식 및 인식, 대체조제 경험, 대체 조제 정책에 대한 견해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조사에 참여한 일 반인 중 브랜드 의약품을 사용하는지, 제네릭 대체조제 의약품을 사용하 는지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은 약 53%로 과반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제네 릭 의약품에 브랜드 의약품과 동일한 활성 성분이 들어 있다는 것은 약 41%가 인지하고 있었고, 동일한 제형으로 되어 있다는 것은 약 23%가 인지하고 있었다. 일반인 응답자의 약 65%가 제네릭이 더 저렴하다고 인

62 수요 기전을 이용한 약품비 지출의 효율 제고 방안

식하고 있었으며, 약 15%는 제네릭의 질이 더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제네릭 의약품 대체조제를 고려할 때 가장 주요하게 고려하는 요인 은 약효였고, 그다음은 보건의료 전문가의 추천, 부작용 프로파일, 가격, 기원(origin), 브랜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의약품과 제네릭 의 약품의 가격 차이에 대한 선택 의향에서는 브랜드 의약품의 가격이 제네 릭 의약품의 가격보다 1.4배 이상 높은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 브랜드 의 약품을 선택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제네릭 대체조제 정책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 중 약 86%가 대체조제에 대해 환자에게 반드시 설명해야 한 다고 응답하였고, 약 85%는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50%

는 브랜드 제품 또는 제네릭 제품 선택에 환자의 재량권이 있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Lee et al., 2018, pp.555-558).

Olsson et al.(2018)은 스웨덴 12개 지역 약국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제네릭 의약품의 생물학적 동등성에 대한 신뢰도 관련 요인들 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과거에 처방약을 사용 했거나 현재 처방약을 사용하는 사람으로 대체조제를 경험한 환자 719명 이 참여하였다. 조사 내용은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견해, 대체조제에 대 한 정보 및 경험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전체 응답자의 약 70%가 상호 대체가 가능하지만 가격은 서로 다른 제네릭이 동등하다고 인식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복용하는 의약품 수가 많 을수록, 소득 및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서로 다른 제네릭의 동등성에 대 한 신뢰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보다 여자에게 가격이 다른 제네릭의 동등성에 대한 신뢰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조제에 대해서는 약 81%가 수용한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체조제를 경험한 응답 자의 29.6%는 의약품의 효과가 더 낮았다고 응답하였고, 22.1%는 더 많 은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응답하였다. 반대로 응답자의 18.4%는 더 나은

제4장 제네릭 의약품 선택에 관한 일반인 인식 조사 63

효과를 경험하였고 14.2%는 더 적은 부작용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는 대부분 약사로부터 대체조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았다고 응답하 였으며, 의사로부터 제공받았다고 응답한 환자는 65%였다. 대체조제로 인해 환자 본인의 재정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에는 86.6%가 동의하였고,

환자는 대부분 약사로부터 대체조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았다고 응답하 였으며, 의사로부터 제공받았다고 응답한 환자는 65%였다. 대체조제로 인해 환자 본인의 재정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에는 86.6%가 동의하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