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규제개혁의 차원에서 전통적인 명령지시적 방식의 규제를 극복 하고 거버넌스 시대의 새로운 환경에 부응하는 개혁수단으로서 공동규제 방식의 규제를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공동규제에 대한 시론적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는 분야별 연구가 아닌, 종합적인 규제개혁의 관점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진 공동규제에 관한 연구로서 향후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인 공동규제에 관한 연구의 시발점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하는 의도해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시발점으로, 향후 대부분의 공동규제를 자율규제로 분류하고 있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공동규제에 대한 조작적 정의가 내려져야 할 것이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동규제의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경험과 우리나라의 실태를 접목한 개선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러한 향후 연구과제 주제와 관련하여, 유럽연합의 경우 공동규제의 문 제점과 한계점에 관한 연구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공동규제는 기본적 으로 자율규제의 장점을 살리면서 자율규제의 약점인 집행력을 공권력을 활용해 보완하는 강점을 갖는다. 이 결과로 공동규제는 정부의 규제와 관련된 행정부담 을 감소시키고,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환경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성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연합의 경우 공동규제와 관련된 주된 우려는 공동규제의 합법성(legitimacy)과 대표성(representativeness)의 문제 이다. 즉, 기본적인 우려는 ‘공익의 수호’와 관련된 것으로 실제에 있어서 산업계 가 공동규제를 사용하여 소비자의 이익과 보건을 희생하면서 자신들의 상업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설사 의도적이 아니더라도 민간의 사적 이해과 공적 이해가 충돌할 경우 사적 이해가 우선시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아울러, 공동규제 수단이 법률이나 공공기관에 의한 다른 방식의 구속력 있는 조 치를 잠식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법의 기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으며, 특히 전 체적인 규제의 목표와 법안의 기본틀은 국가가 제시하지만 규제의 구체적인 내 용을 민간이 제정하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대표로 구성된 입법기관의 역할을 축 소하며, 과연 이런 맥락하에서 제정된 규제가 합법성이 있는가 하는 우려가 강하 게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의 연구에 대한 자체 평가를 보 면 공동연구의 실무와 연구 분야에서 앞서 있는 유럽연합에서도 아직까지 유럽 연합의 공동규제가 기대하는 효과를 가져오고 있는 지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이 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이 또한 향후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참고할 사항이며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공동규제에 대한 시론적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139

참 고 문 헌

강휘원 (2002). “자율적 인터넷 거버넌스: 설계와 정책적 함의,” 한국행정학보제 36권 제3호(2002 가을): 185-205.

권상장 (2000). "선물시장발전과 자율규제," 무역학회지, 25(3):1345-378.

김대호 (2007). “미디어산업에 대한 규제체계의 패러다임 변화,” 사이버커뮤니케 이션학보, 제24호(2007-4)

김만섭 (2003). 인터넷상에서의 민간자율규제의 구성에 관한 분석 틀 검토 : 유해 정보 규제주체자의 합리적 선택모형.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11(1):67-99.

김병연 (2004). “은행경영 브리프: 은행의 자율규제기능 제고 방안,” 주간금융동 향, 한국금융연구원.

김유승 (2005). “인터넷 콘텐츠 공동규제 연구: 유럽연합(EU)의 ‘더 안전한 인터 넷 사용 증진을 위한 행동계획‘을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6 호(2005-2): 83-118.

김유승 (2006). 인터넷 공간의 자유와 규제: 공동규제모델의 발전을 위한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0호(2006-4): 85-118.

나석진 (2004). "한국 증권시장 구조개편에 따른 자율규제 방안," 산업경제연구, 17(5): 1915-1938.

류승호 (1997). “온라인 내용물의 자율규제 방안 연구 : 등급시스템도입과 역할분 담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1:787-816.

문시영 (2004). “전문직 자율규제의 윤리적 조건과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한국기독교학회

문철수․서범석 (2007). “방송 광고의 법적 사전 심의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18(4): 143~165.

박경효, 정윤수, “규제순응의 확보전략: 규제대안 및 규제다원주의의 관점에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2000)

박용성 (2004). “산업환경규제레짐의 유형과 특성: 선진 4개국 비교, 분석을 중심 으로,” 한국행정학보, 한국행정학회

배미경, 서민교, 우광명 (2004). “전자상거래 사업자의 소비자보호 자율규제에 관 한 연구,” 한국행화과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

성욱제 (2006). 「방송광고심의제도 개선방안 연구」. 서울: 방송위원회.

소영진 (1999). “한국의 산업안전보건규제 개선방안 연구: 자율규제 개념을 중심 으로,” 한국정책학회보, 8(2):183-204.

안춘수 (2002). “초고속 인터넷 시대와 정보통신윤리의 방향: 인터넷 내용에 대한 사업자의 책임과 자율규제,” 법학연구,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소

양만식 (2007) “증권시장의 자율규제에 관한 검토,” 법학논총, 단국대학교 법학연 구소

이민창 (2003). “자율규제의 성공요인과 한계: 신문판매공정규약사례를 중심으 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4권 제3호.

이민창 (2004). “자율규제의 재산권 이론적 함의: 김해 대포천 사례를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2권 제3호.

이상우 (2006). “통신, 방송 융합시대의 수평적 규제체계: 유럽연합과 OECD의 전 송(carriage)와 콘텐츠(contents) 분리 규제 분석,” KISDI 이슈리포트, 정보통 신정책연구원

이상호 (2006). “증권사랑방: 증건업협회의 자율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한국증 권학회보, 한국증권학회

이시훈, 송기인, 안주아, 김광협 (2007). “모바일 광고에 대한 전문가 인식연구:

요금체계, 표준화, 자율규제 방안을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한국광고학회.

공동규제에 대한 시론적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141

통신정책,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장우영 (2006). “인터넷 규제의 정치: 내용규제 레짐의 고찰을 중심으로,”

조병량 (2002). “한국방송광고 심의규정의 성격과 내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13(2): 75-91. 사회과학연구 제14권제1호: 34-71.

조택 (2006). “산업안전보건규제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한국정 부학회

정연우 (2007). “방송광고심의제도에 관한 쟁점과 제도적 모델에 대한 시론적 연 구”. 「광고학연구」18(5): 141~156.

정윤모 (2006). 자율규제기관의 제재 효율화 방안, 한국증권연구원 보고서

최경진 (2005), “저널리즘 윤리를 위한 자율규제와 그 하계: 독일과 한국의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보, 한국방송학회

최유성 (2004). 대안적 규제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보고서

한국금융연구원 (2007). “국제금융 이슈: 미국 증권시장의 자율규제기능 개선방향 및 시사점,” 주간금융브리프, 한국금융연구원 자료

한국금융연구원 (2007). “국제금융 이슈: 일본 대금업계의 자율규제기관 설립 및 역할,” 주간금융브리프, 한국금융연구원 자료

황성기 (2005). “현행 인터넷 내용심의제도의 법적 문제점에 관한 연구: 법적 규 제시스템과 자율규제시스템의 바람직한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사이버커뮤 니케이션학보

황성기 (2002). “인터넷 내용규제와 표현의 자유,” 인터넷 한국의 10가지 쟁점, 함께하는 시민행동

황성기, 최승훈 (2001). “인터넷과 윤리: 인터넷 컨텐츠 자율규제의 개념과 장치 들” 정보와 사회, 한국정보사회학회

황승흠 외 (2005). 인터넷 자율규제,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황진주, 여정성 (2006). “인터넷광고의 기능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자율규제 방안 연구,” 소비자학연구, 한국소비자학회

황철중 (1999). “통신망을 통한 음란물 규제시스템에 있어서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분담시스템,” 한국정보법학회 제3차 학술심포지움 발표논문집.

Aaiders, Marius (2002). Regulation and Co-regulat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Industry, ESRC(Economic & Social Research Council) seminar material, Centre for Environmental Law, University of Amsterdam, Netherland http://www.lse.ac.uk/collections/CARR/

events/previousSEminars/aald...)

Eijlander, Philip (2005). "Possibilities and Constraints in the Use of Self-regulation and Co-regulation in Legislative Policy: Experiences in the Netherlands - Lessons to Be Learned for the EU?" EJCL Vol.9(1) (January 2005).

Garcia, Marian, Andrew Fearne (2006). "Is Co-regulation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 Supplying Safer Food? - Insights from the UK," Kent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Kent, UK, Workshop paper, sponsored by Food Standards Agency, UK.

Hans-Bredow-Institut for Media Research, Final Report: Study on Co-Regulation Measures in the Media Sector (January 2006)

Hey, Christian (2003). "Co-regulation: An Example of Good Environmental Governance?" Speech to the Conference: Environmental Governance and Civil Society: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Europeans (Brussels, 2003.1.27)

Hustinx, Peter J. (2002). "Co-regulation or self-regulation by public and private

공동규제에 대한 시론적 유럽연합의 사례를 중심으로

143

Ostrom, E. (1990). Governing the Commons : The evolution of institutions for collective a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Ostrom, E, R. Gardner & J. Walker (1993). Rules, Games, & Common-Pool Resources. Michigan,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Senden, Linda A. (2005). "Soft Law, Self-regulation and Co-regulation in European Law: Where do they meet?" Electronic Journal of Comparative Law Vol.9, No.1 (January 2005)

Vogel, Steven K. (1996). Freer Markets, More rules: Regulatory Reform in Advanced Industrial Country,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대기업집단 규제와 기술혁신

정승일․이우성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