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385 2011 (페이지 141-155)

본고에서는 일본의 사서자격제도와 사서자격 취득방법으로서의 사서양성교육체계, 제도개 선을 위한 최근의 개혁내용 및 실시배경 등에 대해 검토하고 문제점 분석을 통해 개혁의 성 공요건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도서관법에 규정된 사서자격제도는 전 관종에 통용되는 자격이 아니라 공공도 서관의 사서자격이다. 자격 취득을 위한 최저 학력요건은 단기대학 졸업 이상이며, 가장 일 반적인 자격 취득방법은 대학에서 문부과학성령에 규정된 도서관학 과목을 최저 15~24학점

이수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일본의 사서자격제도는 무시험 국가자격으로 자격취득이 용이 하다는 점, 전공에 구애됨이 없이 개방되어 있다는 점, 공공도서관 사서자격에만 국한된다 는 점, 채용시험에서 자격증 소지가 필수여야 하는 업무 독점자격이 아니라는 점(22), 자격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그다지 높지 않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둘째, 자격취득을 위한 사서양성교육체계는 도서관학 강의과목 개설대학, 강습과정 개설 대학, 통신과정 개설대학으로 나눌 수 있으며 도서관학 강의과목 개설대학은 전체대학수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등 지나치게 많은 대학에서 사서자격자를 배출하고 있다. 이것은 도서 관학 교육의 저변 확대로 도서관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이해를 높이고 도서관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반면에, 자격증의 남발로 수요와 공급의 지나친 불균형을 초래하고, 자격취득의 용이성으로 인한 사서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 회적 인식의 저하 등 부정적 측면을 간과할 수 없다.

셋째, 최근의 법개정과 제도개혁을 위한 움직임은 학계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정부의 정책에 반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진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특히 일본도서관협회와 일본도서관 정보학회가 2010년도부터 실시하고 있는 인정사서와 검정시험은 10여 년이라는 오랜 기간 의 연구와 검토를 토대로 한 것이라는 점, 정부의 규제완화정책에 역행하지 않는 개혁이라 는 점, 법제화와 같은 법적 구속력을 동반하지 않는 민간 전문단체의 자율적 시도라는 점에 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마지막으로, 일본의 사서자격제도 개혁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향후 민간 전문단체의 개혁에 대한 연구 및 노력이 법제화에 반영되어야 하며, 채용이나 승진임용과 연결되는 인센티브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나아가 공공도서관만이 아닌 관종을 초월한 사서자격제도 로 발전해 나가야 참된 개혁에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사서자격제도는 학력요건 및 취득방법, 등급화 등의 면에서 일본의 제도에 비해 우수한 제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시 험 국가자격으로 자격취득이 용이하며, 이로 인한 사서직의 전문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 지 않다는 점에서는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평가라는 잣대의 도입을 통해 사서자격의 수준을 높이고, 한 단계 높은 등급화를 통해 사서자격의 전문성을 인정받고자 하는 일본의 개혁 움 직임은 우리에게도 참고가 될 만하며 적용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22) 국립국회도서관은 도서관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국립국회도서관법에는 사서자격에 대한 규정이 없다. 직원 채용시에는 학력에 따라 국 가공무원 I, II, III종 시험을 실시하며, I, II종 시험의 선택과목에 도서관학이 들어있다. 일본 도서관계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는 국가

07

일 본 의 사 서 자 격 제 도 에 관 한 연 구 도 서 관 현 장 연 구

참고문헌

根本彰. 2007. 圖書館員養成とポストLIPER報告.

『圖書館雜誌』, 101(11): 741-743.

根本彰. 2009. 圖書館情報學檢定試驗の實施計劃について.

『圖書館雜誌』, 103(9): 640-643.

根本彰, 硏究責任. 2010. 『情報專門職養成をめざした圖書館情報學敎育の再編成 (硏究成果報告書)』. 東京: 根本彰.

김세훈, 연구책임. 2003. 『도서관 전문성 강화방안 :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內閣府 規制改革·民間開放推進會議.

“公表資料(中 中間とりまとめ-官製市場の民間開放による 「民主導の經濟社會の實現」).”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8.cao.go.jp/kisei-kaikaku/old/publication/index.

html>.

大谷康晴. 2005. 日本における公共圖書館の認定制度とその課題-圖書館職員の 硏修と處遇. 『現代の圖書館』, 43(1): 26-33.

文部科學省. “司書について.”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mext.go.jp/a_menu/shougai/gakugei/shisyo/>.

文部科學省. “平成23年度司書及び司書補の講習實施大學一覧.”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ation/detail/__

icsFiles/afieldfile/2011/05/13/1260111_01_3.pdf>.

文部科學省. 2011. “文部科學統計要覽(平成23年版).”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mext.go.jp/b_menu/toukei/002/002b/1305705.htm>.

絲賀雅兒. 2011. 司書のキャリアデザインと認定司書制度.

『圖書館雜誌』, 105(5): 270-271.

上田修一, 硏究代表. 2006.

『情報專門職の養成に向けた圖書館情報學敎育體制の再構築に關 する綜合的硏究』. 東京: 上田修一.

生涯學習審議會 社會敎育分科審議會. 1996.

社會敎育主事, 學藝員及び司書の養成, 硏修等の改善方策につい て(報告). 『圖書館雜誌』, 90(6): 416-425.

윤희윤. 2005. 『도서관 사서직제도 연구』. 서울: 태일사.

栗原祐司. 2008. 圖書館法等の改正と今後の課題について.

『圖書館雜誌』, 12: 634-637.

日本圖書館情報學會. “圖書館情報學檢定試驗.”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soc.nii.ac.jp/jslis/kentei/>.

日本圖書館情報學會 圖書館情報學檢定試驗 實施檢討委員會. 2011.

『圖書館情報學檢定試驗準備試驗報告書』.

東京: [日本圖書館情報學會].

日本圖書館情報學會 硏究委員會. 2006.

『圖書館情報專門職のあり方とその養成』.東京: 勉誠出版.

日本圖書館協會. “司書(補)資格の取得方法について(中 通信敎育について).”

[online]. [cited2011.10.17].

<http://www.jla.or.jp/ibrary/shisho/tabid/197/Default.aspx>.

日本圖書館協會. “認定司書事業委員會.” [online]. [cited 2011.10.17].

<http://www.jla.or.jp/committees/nintei/tabid/203/Default.aspx>.

日本圖書館協會. 2010. はばたけ 認定司書. 2p.

日本圖書館協會 圖書館調査事業委員會. 2011.

『日本の圖書館: 統計と名簿 2010』.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07

일 본 의 사 서 자 격 제 도 에 관 한 연 구 도 서 관 현 장 연 구

日本圖書館協會 認定司書事業委員會. 2010.

日本圖書館協會認定司書 募集要項.

『圖書館雜誌』, 104(10): 681-683.

日本圖書館協會 專門職員認定制度 特別檢討チ-ム(第四次). 2009.

專門職員認定制度について.

『圖書館雜誌』, 103(5): 305-307.

竹內比呂也. 2011. 圖書館情報專門職養成の高度化への道-檢定試驗の 經驗を踏まえて考えたこと.

『圖書館雜誌』, 105(5): 266-268.

總合規制改革會議. “制度改革·民間開放推進3か年計劃(中 資格制度關 係).” [online]. [cited2011.10.17].

<http://www8.cao.go.jp/kisei/siryo/040319/3-17-1.pdf>.

秋本敏. 2010. JLA中堅職員ステップアップ硏修の10年. 『圖書館雜誌』, 104(5): 266-267.

行政改革推進本部. “行政改革大綱(平成12年12月1日閣議決定).”

[online]. [cited2011.10.17].

<http://www.gyoukaku.go.jp/about/taiko.html>.

2011 년도 연구현황 Ⅲ

08 _ 2011년도 연구현황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 144

08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

2011년도 국민독서실태 조사

연구책임자 : 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우리 국민의 종합적인 표준 독서지표의 조사 및 국민 독서현황을 분석하고, 정부와 국회, 언론, 각급 교육기관, 도서관, 출판계 등에 배포하여 국민독서 증진 시책 수 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2011년도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

연구책임자 : 백원근(한국출판연구소 연구원)

독서환경 조성, 독서생활화 사업 추진, 독서운동 전개, 소외계층 독서활동 지원 등 독서 전반에 관한 종합적인 조사·연구를 통해 독서진흥에 관한 연도별 시행계획 등 독서진흥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 지표 개선 연구

연구책임자 : 조현양(경기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 결과 분석 및 지표별, 관종별 변화 추이 등의 분석을 통해 2012년 관종별 통계지표 및 「전국 도서관 통계조사」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전국 작은도서관 실태 조사 및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 윤소영(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원)

전국 작은도서관(문고)에 대한 실태조사, 공동주택단지 내 작은도서관 설치·운영 실태 및 사례조사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2011년도 연구현황

한국형 가상참고서가 구축 방안 연구

연구책임자 : 남영준(중앙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한국형 가상참고서가(KVRD: Korea Virtual Reference Desk) 구축 방향 및 시스 템 모형을 제안하여, 인터넷의 무질서하고 비체계성을 지닌 유용한 정보자원을 정 비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용지향적 도서관서비스를 구현한다.

국립중앙도서관

Linked Data를 활용한 상호운용성 확보에 관한 연구

공동연구자 : 박진호(디지털기획과 연구관)

오원석(㈜ 탑쿼드란트 코리아 책임연구원)

주제명, 저자명에 대한 국립중앙도서관의 Liked Data 발행을 위한 연구과제로 주 제명은 SKOS기반, 저자명은 FOAF기반의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변환하고 데이터 서비스 홈페이지 구축을 목표로 한다.

PREMIS 기반 보존메타데이터 목록 규칙 연구

공동연구자 : 박진호(디지털기획과 연구관)

박옥남(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교수)

디지털정보자원 영구보존을 위한 메타데이터 셋 확정을 위해 PREMIS Dictionary 분석 및 목록 규칙 생성에 관한 연구이다.

08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디지털화 중장기 전략 연구

연구책임자 : 남영준(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공동연구자 : 박재혁(대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전임교수)

정상원(중앙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전임연구원) 김혜경(경제인문사회연구회 전문위원)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에 대한 주제별, 유형별, 매체별 분석과 디지털화 우선순 위 기준을 마련하여 디지털화 추진로드맵을 수립하고, 디지털컬렉션 구축 방안 등 디지털 서비스 제고를 위한 중장기 추진방안을 제시한다.

국립중앙도서관 정보화사업 평가

연구책임자 : 강승호(㈜ 씨에이에스 전문위원) 공동연구자 : 변상선(㈜ 씨에이에스 연구원)

이수영(대림대 문헌정보학과 교수)

주요자료 원문정보 DB구축, 온라인자료 메타데이터 DB구축 등 정보화 5개 사업에 대하여 외부전문기관을 통한 위탁평가를 실시하여 각 사업의 문제점 도출 및 사업 수행절차, 성과향상 등에 대한 구체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국립중앙도서관 DAISY도서 전화서비스 연구

연구책임자 : 신인식(한국시각장애인선교연합회장) 공동연구자 : 이준(종달새 전화도서관)

송기안(종달새 전화도서관) 백종헌(종달새 전화도서관)

노년층 및 정보취약계층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국립중앙도서관 DAISY도서(디지털 음성도서)의 ARS 전화서비스 적용 및 서비스 방안을 제시한다.

문서에서 385 2011 (페이지 14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