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개입의 차원에서 희망복지지원단의 경우에는 개인차원의 개입은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었다. 개입의 내용을 설명하는데 대부분 욕구에 맞는 자 원의 개발과 연계와 같은 환경차원의 개입이 차지하고 있었다. 명시적으 로 사례관리 자체를 서비스 조정과 연계라고 규정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 한 A구의 경우에는 개별 사례를 지역차원에서 바라보고, 지역차원에서 개입을 해야 한다고 표현하고 이러한 이해가 하나의 사례관리 사업의 대 원칙으로 대부분의 관계자가 공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사례관리가 지역의 사례가 되도록 하는게.. 어떻게 하면 될 수 있냐가 가장 큰 고민이었거든요. ... 어떤 조금이라도 개별사례들 기관의 사 례, 한 사례관리자가 갖고 있는 사례가 지역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좀 (마련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A구 희망복지팀 팀장)

그것들이(직접적인 개입이) 돌아가게끔 하기 위한 지지체계로서의 어떤 지원역할 어떻게 보면 간접적 역할인데요. (A구 희망복지팀 팀장)

그런 것들은 저희가 사례관리. 아예 자원북이라는 걸 만들어가지고. 저 희가 동이랑 저희가 손쉽게 쓸 수 있도록. 저희 내에 있는 모든 걸 다 집어넣었어요. ... 그래서 거기서 사례관리와 관련된 복지와 관련된 정 보는. 다 거기서 심리만 탁 치면 심리에 관련된 것들이 딱 이렇게 나 올 수 있게. 그렇게 해서 거기서. 그게 센터가 될 수도 있고 심리치료 실이 될 수도 있고 뭐.. 언어치료실 무슨 뭐.. 많잖아요 모래놀이치료 실.. 그런 것들을 심리 탁 치면 그게 10개면 10개가 쫙 나올 수 있게.

그렇게 자원을 직접 등록을 해서 사용을 하고 있어요. (A구 희망복지 팀 팀장)

사례관리라는거는 서비스를 잘 조정하고 잘 관리해서 대상자들에게 (제공해주는 것이잖아요.) (A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사)

(사례관리를 하는데 있어서) 이 쪽 자원을 동원을 해서 뭔가를 파악해 야 되고 개입을 해야 되기 때문에 (어려운 점이 있어요.) (B시 희망복 지지원단 팀장)

(사례관리를 하면서) 욕구에 맞는 자원을 발굴하려고 하기 때문에(C시 사회복지과 행복키움지원팀 팀장)

왜냐면 필요에 따라서 맞춤형으로 개발을 하다보니까 저희도 저희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이 아닌거를 개발을 해가지고 끌어다가 하는 경우 가 대다수예요 시골로 갈수록 확보할 수 있는 비공식 자원이 적어요.

그러다보니까 맞춤형으로 사례가 되게 그자원을 발굴하러 뛰어다니거 죠. (D군 주민생활지원과 희망복지지원팀 팀장)

드림스타트센터의 경우에는 담당자에 따라 개인차원의 개입을 더욱 핵 심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있었다. “가정이 활성화 될 수 있게”하고(C시 드림스타트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가정의 어려움이 치유되는 과 정”으로(C시 드림스타트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사례관리를 이해하 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례관리 사업에 대한 설명은 환경적 개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자원연계, 지역기 반, 프로그램 제공, 맞춤형 서비스 등이 사례관리 사업의 내용을 차지하 고 있었다. 특히 지역 자원을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향해야 하는 방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0%만 저희가 직접사업을 할 수 있고 나머지는 다 자원연계로 풀어나 가야되는데. 저희는 일단 사업비.. 사업비가 많기 때문에 모든거를 다 직접 연계로 풀 수 없는 그런 한계점들도 있고. 또. 또 저희 지방같은 경우에는 어.. 자원이 없기 때문에. 직접사업의 비중이 엄청 커요. (A

구 노인청소년과/드림스타트 사회복지9급)

드림스타트는 철저히 지역에서 홀로 서있는데가 많아요. 이유인즉 돈 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지역하고 이거를 연계를 안해도 되요. 내가 서 비스 만들어서 연계라는 이름으로만 하면 되거든요. ... 이제 우리 같 은 경우는 건가정이나 청소년파트나 요런데하고 저희가 지금 연계를 해서 하거든요. 근데 지금 저희가 시작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면서 드림스타트를 만약에 그 방향으로 올린다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 는데(A구 노인청소년과/드림스타트 팀장)

드림스타트 가장 본연의 업무는 사례관리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사례 관리는 그럼 지역기반이어야 되는데. 그럼 지역기반은 뭐냐면 복지관 이 사례관리의 거점이라고 저는 생각을 했었구요. 그 다음에 두번째 1 2세이하 전 아동들이 걸려져있기 때문에 거기의 기반은 학교. 학교가 기반이고 또 하나는 지역아동센터라고 봤어요. (A구 노인청소년과/드 림스타트 팀장)

저희 다문화가정에 케이스 같은 경우는 아동을 중점으로 하고 있구요.

예를 들어서 어머니가 한국어가 부족하다. 한국 예절이나 이런 부분이 부족하다하면 다문화에 연계해서 교육을 받으시게... (하고 있습니다.) (C시 드림스타트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저희가 예를 들면, 알콜 중독자 분이 계시다면, 저희가 알콜 중독을직 접적으로 관련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은 정신건강보건센터 에 알콜중독 담당자분들하고 연계를 하면 그 쪽에서 개입을 하게 되는 거죠. 그런거는 직접적으로 개입을 못하기 때문에... (C시 드림스타트 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사실 저희도 아동들에 맞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최대한 노력 을 하고 있지만, 그런 부분이 조금 어려워서 못하고 있는 부분도 사실 있어요. (C시 드림스타트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저희가 사례관리를 하면서 어려운 점은 저희가 이제 대상아동들을 담

당하다 보니까 가족들이나 형제자매들 같은 경우에 직접서비스의 어려 움이 있어요. 그래서 그런 부분들은 각 기관의 연계를 통해서 지금 사 례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C시 드림스타트센터 아동사례관리전문요원)

드림의 역할은 사례관리를 통해서 연계해주고 하는 것도 역할이지만 또 하다보면 그렇게 안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 (하지만) 사례관리 를 통해서 고위험에 있는 아동들을 저희가 발굴을 해서 심리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지원해 줄 수 있고 적절하게 학교하고 드림하고 가정하 고 통해서 아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거 그리고 희망 이랑 같이 연계해서 하는 것들이 잘 된 사례라 생각하고 ... 내년에 거점지역을 확대하게 된다면 저희가 아까 말했듯이 지역이 분산되어있 기 때문에 그런 지역아동센터를 거점으로 해서 프로그램을 같이 연계 한다던가 아니면 그 쪽에 지원을 해서 같이 하는 방법을 할 예정이에 요 (D군 드림스타트센터 팀장)

이제 2014년도 부터는 더 계획적으로 그런 우리가 프로그램을 직접 운영하는 것보다 그런 연계를 해주고 협의역할을 해주는 게 아동들에 게 뭐냐 중복적인 서비스가 아닌 꼭 필요한 사례관리를 통해서 이 아 이에게 정말 필요한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그걸 연계해주는 협의역할을 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D군 드림스타트센터 팀장)

저희가 다른 연계기관하고도 연계가 잘되어 있다보니깐 병원 쪽으로도 연계를 하기도 하고 저희가 ○○대 같은 경우에는 위원님들을 정신과 교수님들이라든가.. ○○대 병원 쪽하고 MOU체결을 했어요. 그런 쪽 하고 직접 연계를 해서 이렇게 심리적으로 이상이 있다 아이를 더 연 계해서 하고 부모가 문제 있다 알코올증상이 있다하면 부모를 연계시 키기도 하고 희망으로 하기도 하고 각계각층을 다 연계하고 있습니다.

(D군 드림스타트센터 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