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구 및 가구원 특성

문서에서 식품소비행태조사 2020 (페이지 85-92)

조사 내용과 방법

4. 가구 및 가구원 특성

4.1. 조사 대상 가구 특성

❍ 2020년도 식품소비행태조사는 3,335 가구가 조사에 참여하고, 분석에 사용됨.

❍ 가구의 권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이 49.8%, 충청권 11.0%, 호남권 11.0%, 대경 권 10.0%, 동남권 15.3%, 강원권이 3.0%로 나타남<표 3-5>.

- 행정구역별로는 동지역이 83.6%, 읍·면지역이 16.4%

❍ 가구원 수에 의한 가구 규모별 분포를 살펴보면 1인 가구 및 2인 가구가 각각 28.8%, 26.7%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3인 가구 22.4%, 4인 가구 19.7%, 5인 이상 가구는 2.4%로 절반 이상이 2인 이하 가구로 나타남<표 3-6>.

<표 3-5> 가구의 지역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8,657,941 3,335

권역

수도권 49.8 9,299,807 960

충청권 11.0 2,043,620 552

호남권 11.0 2,055,247 523

대경권 10.0 1,856,665 467

동남권 15.3 2,851,456 631

강원권 3.0 551,146 202

행정구역 동 83.6 15,605,360 2,583

읍·면 16.4 3,052,581 752

<표 3-6> 가구의 규모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8,657,941 3,335

가구원 수

1인 28.8 5,368,882 892

2인 26.7 4,979,249 1,253

3인 22.4 4,186,899 648

4인 19.7 3,684,127 482

5인 이상 2.4 438,783 60

❍ 월평균 가구 소득은 100만 원 미만이 4.2%, 100만 원대 10.9%, 200만 원대 20.3%, 300만 원대 17.5%, 400만 원대 15.9%, 500만 원대 17.0%, 600만 원 이상이 14.2%

로 나타남<표 3-7>.

❍ 가구 주거유형별 분포는 아파트가 53.8%로 가장 높았으며, 연립·다가구주택이 23.3%, 단독주택이 21.8%로 나타남<표 3-8>.

❍ 맞벌이하는 가구는 63.2%, 맞벌이하지 않는 가구는 36.8%로 나타남.

2020년 식품소비행태조사에서 가구 내 소득이 있는 가구원이 2명 이상인 경우를 맞벌 이 가구로 정의함<표 3-9>.

<표 3-7> 가구의 소득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8,657,941 3,335

월평균 가구 소득

100만 원 미만 4.2 783,054 205

100만 원대 10.9 2,042,859 488

200만 원대 20.3 3,796,106 711

300만 원대 17.5 3,262,696 563

400만 원대 15.9 2,957,949 539

500만 원대 17.0 3,166,966 502

600만 원 이상 14.2 2,648,311 327

<표 3-8> 가구의 주거유형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8,657,941 3,335

주거 형태

아파트 53.8 10,040,110 1,750

연립·다가구주택 23.3 4,352,090 579

단독주택 21.8 4,072,347 981

기타 1.0 193,394 25

<표 3-9> 가구의 맞벌이 여부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3,258,674 2,434

맞벌이 여부 맞벌이 63.2 8,380,827 1,440

맞벌이 안 함 36.8 4,877,847 994

4.2. 조사 대상 가구원 특성

4.2.1. 가구주의 특성

❍ 가구주는 남성인 경우가 69.7%, 여성이 30.3%로 나타났으며, 가구주 연령은 30대 이하가 24.9%, 40대 23.0%, 50대 25.9%, 60대 19.0%, 70대 이상이 7.2%로 나타남

<표 3-10>.

- 가구주 교육 수준은 전문대졸 이상이 51.6%, 고졸 38.0%, 중졸 이하가 10.4%

- 가구주 직업은 관리자·전문가·사무직이 38.6%, 서비스·판매종사자가 27.3%, 농업·

단순노무·기능원이 24.9%, 주부 6.2%, 기타 3.0%

<표 3-10> 가구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개) 가구 수(개)

전체 100.0 18,657,941 3,335

가구주 성별 남성 69.7 13,012,571 1,880

여성 30.3 5,645,370 1,455

가구주 연령

30대 이하 24.9 4,642,970 472

40∼49세 23.0 4,289,416 779

50∼59세 25.9 4,838,035 997

60∼69세 19.0 3,549,490 778

70대 이상 7.2 1,338,029 309

가구주 교육

중졸 이하 10.4 1,940,437 513

고졸 38.0 7,093,018 1,466

전문대졸 이상 51.6 9,624,486 1,356

가구주 직업

관리자·전문가·사무직 38.6 7,199,153 978

서비스·판매종사자 27.3 5,097,159 983

농업·단순노무·기능원 등 24.9 4,636,776 941

주부 6.2 1,163,479 314

기타 3.0 561,374 119

4.2.2. 성인 가구원의 특성

❍ 성인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50.0%, 충청권 10.7%, 호남권 11.1%, 대경권 10.0%, 동남권 15.4%, 강원권이 3.0%로 나타남<표 3-11>.

- 행정구역별로는 동지역이 82.9%, 읍·면지역이 17.1%

❍ 성인 가구원은 남성인 경우가 48.7%, 여성이 51.3%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50대가 20.6%, 40대 19.8%, 30대 16.8%, 20대 15.8%, 60대 14.9%, 70대 이상이 12.0%로 나타남<표 3-12>.

❍ 성인 가구원 교육 수준은 전문대졸 이상이 45.0%, 고졸이 39.6%, 중졸 이하가 15.5%

로 나타났으며, 구성원 직업은 관리자·전문가·사무종사자가 32.1%로 가장 높았으

며, 서비스·판매종사자는 23.1%, 농업·단순노무직·기능원은 22.5%, 주부는 11.2%,

기타 11.1%로 나타남<표 3-12>.

<표 3-11> 성인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명) 성인 가구원 수(명)

전체 100.0 40,567,833 6,355

권역

수도권 50.0 20,275,015 1,946

충청권 10.7 4,320,758 955

호남권 11.1 4,483,843 1,086

대경권 10.0 4,048,755 909

동남권 15.4 6,230,177 1,160

강원권 3.0 1,209,285 299

행정구역 동 82.9 33,611,364 5,054

읍·면 17.1 6,956,469 1,301

<표 3-12> 성인 가구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명) 성인 가구원 수(명)

전체 100.0 40,567,833 6,355

성별 남성 48.7 19,754,516 2,820

여성 51.3 20,813,317 3,535

연령

20∼29세 15.8 6,429,583 805

30∼39세 16.8 6,832,376 760

40∼49세 19.8 8,016,137 1,417

50∼59세 20.6 8,356,635 1,711

60∼69세 14.9 6,058,955 1,273

70대 이상 12.0 4,874,148 389

교육

중졸 이하 15.5 6,284,931 890

고졸 39.6 16,045,351 2,836

전문대졸 이상 45.0 18,237,550 2,629

직업

관리자·전문가·사무직 32.1 13,014,159 1,843

서비스·판매종사자 23.1 9,372,109 1,701

농업·단순노무·기능원 등 22.5 9,131,193 1,484

주부 11.2 4,559,052 725

기타 11.1 4,491,320 602

월평균 가구 소득

100만 원 미만 4.5 1,816,440 278

100만 원대 10.3 4,169,170 705

200만 원대 15.3 6,209,820 1,053

300만 원대 15.2 6,175,885 1,049

400만 원대 17.1 6,942,414 1,183

500만 원대 19.8 8,040,397 1,230

600만 원 이상 17.8 7,213,706 857

주거 형태

아파트 55.0 22,306,898 3,532

연립·다가구주택 21.5 8,703,108 1,071

단독주택 23.0 9,335,130 1,723

기타 0.5 222,697 29

4.2.3. 청소년 가구원의 특성

❍ 청소년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48.8%, 충청권 11.5%, 호남권 12.1%, 대경권 9.8%, 동남권 14.8%, 강원권이 3.0%로 나타남<표 3-13>.

- 행정구역별로는 동지역이 88.2%, 읍·면지역이 11.8%

❍ 청소년은 남학생인 경우가 51.6% 여학생이 48.4%이며, 중학생이 45.7%, 고등학생이 54.3%임<표 3-14>.

<표 3-13> 청소년 가구원의 지역별 분포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명) 청소년 가구원 수(명)

전체 100.0 2,860,561 622

권역

수도권 48.8 1,395,583 173

충청권 11.5 329,020 60

호남권 12.1 346,004 116

대경권 9.8 281,082 142

동남권 14.8 424,271 71

강원권 3.0 84,601 60

행정구역 동 88.2 2,523,918 523

읍·면 11.8 336,643 99

<표 3-14> 청소년 가구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분 비중(%) 모수 추정치(명) 청소년 가구원 수(명)

전체 100.0 2,860,561 622

성별 남성 51.6 1,475,837 324

여성 48.4 1,384,724 298

교육 중학생 45.7 1,307,810 218

고등학생 54.3 1,552,751 404

월평균 가구 소득

100만 원 미만 0.5 15,533 8

100만 원대 3.6 102,907 38

200만 원대 8.5 242,115 68

300만 원대 14.1 403,494 107

400만 원대 24.0 685,321 148

500만 원대 24.8 710,364 147

600만 원 이상 24.5 700,827 106

주거 형태

아파트 67.7 1,935,661 418

연립·다가구주택 20.1 574,468 97

단독주택 12.3 350,432 107

문서에서 식품소비행태조사 2020 (페이지 8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