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二絡繆刺(繆如紕繆紀綱)

문서에서 A study on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페이지 72-76)

【原文】

帝曰 餘聞繆刺 未得其意 岐伯曰 邪客 於皮毛 入於孫絡 留而不去 閉塞不通 不得 入於經 流溢於大絡 而生奇病也 夫邪客大絡 者 左注右 右注左 上下左右 與經相幹 而布 於四末 其氣無常處 不入於經俞 命曰繆刺 帝曰 願聞繆刺 以左取右 以右取左奈何 其 與巨刺 何以別之 曰 絡病者 其痛與經脈繆 處 故命曰繆刺(『素問』繆刺論)

【直譯】

黃帝가 물으시기를 “내가 繆刺법에 대해 듣기는 하였으나 그 뜻은 알 수 없습니다.”

岐伯이 답하기를 “邪氣가 먼저 皮毛에 깃드 니 물러가지 않으면 孫絡으로 들어가고 머 물러 물러가지 않으면 통하지 않고 사기가 경맥으로 들어갈 수 없어 大絡으로 넘쳐흐 르게 되어 氣病이 發生합니다. 邪氣가 大絡 에 侵入하면 左側에 있는 邪氣는 右側으로 右側에 있는 邪氣는 左側으로 주입되며 身 體의 上ㆍ下ㆍ左ㆍ右로 經脈과 간섭하여 四肢로 分布되므로 邪氣가 일정한 자리에 머물지 않고 경맥의 유혈로 들어가지 않으 니 繆刺라고 합니다.” 라고 하였다.

【原文】

邪客於足少陰之絡 令人卒心痛暴脹 胸脅 支滿 無積者刺然骨之前出血 如食頃而已 左 取右 右取左 病新發者 取五日已 邪客於手 少陽之絡令人喉痹329)舌卷330) 口幹心煩 臂 外廉331)痛 手不及頭 刺手中指次指爪甲上去 端如韭葉各一痏332) 壯者立已 老者有頃333)

329)喉痺: 목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막힌감이 있는 咽喉病을 통틀어 이르는 말

330)舌卷: 혀가 오그라드는 증상 331)廉: 옆변두리렴

332)痏: 흉터유

已 左取右 右取左 此新病數日已 邪客於手 足厥陰之絡 令人卒疝暴痛 刺足大指爪甲上 與肉交者各一痏 男子立已 女子有頃已 左取 右 右取左 邪客於足太陽之絡 令人頭項肩痛 刺足小指爪甲上與肉交者 各一痏立已 不已 刺外踝下三痏 左取右 右取左 如食頃已 (『素問』繆刺論)

【直譯】

邪氣가 足少陰의 絡脈에 侵入하면 갑자 기 卒心痛, 暴脹, 胸脇支滿이 발생하게 되 니, 積聚가 없는 사람은 然骨 앞의 穴에 刺 鍼하여 出血시키면 밥 한 끼 먹을 정도의 시간이면 낫고, 낫지 않으면 左側病은 右側 에서, 右側病은 左側에서 치료합니다. 發病 한지 얼마 안된 것은 5日이면 낫습니다. 邪 氣가 手少陽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喉痺․

舌卷․口乾․心煩이 발생하게 하고 臂의 바깥쪽이 아파서 손을 머리까지 들지 못하 게 하니 手中指次指의 爪甲上으로부터 끝 쪽으로 韭葉의 넓이만큼 떨어진 곳에 左右 에 각각 한 번씩 刺鍼하면 壯年인 사람은 바로 낫고, 老年인 사람은 잠시 뒤에 낫습 니다. 왼쪽의 病은 오른쪽에서, 오른쪽의 病은 왼쪽에서 치료하고 발병한지 얼마 안 된 것은 며칠이면 낫습니다. 邪氣가 足厥陰 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갑자기 疝症이 발생 하여 痛症이 심하게 되니 足大指의 발톱과 肌肉이 서로 만나는 곳에 각각 左右로 1번 씩 刺鍼하면 男子는 바로 낫지만 女子는 잠시 뒤에 낫게 된다. 왼쪽의 병은 오른쪽 에, 오른쪽의 병은 왼쪽에서 치료합니다.

邪氣가 足太陽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頭項 部와 肩部에 痛症이 있으니, 足小指爪甲上 과 肌肉이 만나는 곳을 각각 좌우로 1번씩 刺鍼하면 바로 낫고, 낫지 않으면 外踝의 아래를 3번 刺鍼하는데, 왼쪽 病은 오른쪽 333)頃: 잠시경

에서, 오른쪽 病은 왼쪽에서 치료하면 밥 한 끼 먹을 시간이 지나 낫습니다.

【原文】

邪客於陽明之絡令人氣滿 胸中喘息 而支 胠胸中熱 刺手大指次指爪甲上去端如韭葉各 一痏 左取右 右取左 如食頃已 邪客於臂334) 掌之間 不可得屈 刺其踝後 先以指按之 痛 乃刺之 以月死生爲數 月生一日一痏 二日二 痏.十五日十五痏 十六日十四痏 邪客於足陽 蹺之脈 令人目痛從內眦始 刺外踝之下半寸 所各二痏 左刺右 右刺左 如行十裏頃而已 人有所墮335)336) 惡血337)留內 腹中滿脹 不得前後 先飲利藥 此上傷厥陰之脈 下傷少 陰之絡 刺足內踝之下然骨之前血脈 出血 刺 足跗上動脈 不已 刺三毛上各一痏 見血立已 左刺右 右刺左(『素問』繆刺論)

【直譯】

邪氣가 手陽明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胸 中이 답답하며 喘息을 하고 옆구리가 치밀 고 胸中이 熱하게 되니 手大指次指의 爪甲 上으로부터 끝으로 韭葉의 넓이만큼 떨어 진 곳에 左右로 각각 1번씩 刺鍼을 하는데 왼쪽 病은 오른쪽에서, 오른쪽 病은 왼쪽에 서 치료하면 밥 한 끼 먹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낫습니다. 邪氣가 臂와 掌 사이에 침입하면 구부릴 수 없으니 踝後를 먼저 손가락으로써 눌러 보아 통증이 나타나는 곳이라야 刺鍼할 수 있으니, 달이 차고 기 우는 것으로써 刺鍼하는 回數를 定하여 달 이 찬지 1日이면 1번, 2日이면 2번, 15日이 면 15번, 16日이면 14번을 刺鍼합니다. 邪氣 가 足陽蹻脈에 침입하면 目痛이 內眥로부

334)臂: 팔뚝비 335)墮: 떨어질타 336)墜: 떨어질추

337)惡血: 핏줄에서 나와 조직 사이에 몰려 있는 피.

죽은 피를 말한다. 瘀血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터 시작되니 外踝의 아래 半寸 部位에 각 각 2번 刺鍼하고 왼쪽 病은 오른쪽에서, 오 른쪽 病은 왼쪽에서 刺鍼하면 10里 정도 걷 는 시간이 지나면 낫습니다. 사람이 높은 곳에서 떨어진 적이 있어서 惡血이 안에 있어 腹中滿脹하고 大小便을 보지 못하면 먼저 瘀血을 없애는 藥을 복용하니 이는 위로는 厥陰經의 脈이, 아래로는 少陰經의 絡이 손상된 것입니다. 足內踝의 아래 然骨 의 앞에 있는 血脈을 刺鍼하여 出血시키고, 足跗上에 있는 動脈에 刺鍼하여야 합니다.

낫지 않으면 三毛 위에 있는 部位를 左右 를 각각 한 번씩 刺鍼하여 出血을 시키면 바로 나으니 왼쪽 病은 오른쪽에서, 오른쪽 病은 왼쪽에서 刺鍼합니다.

【原文】

邪客於手陽明之絡 令人耳聾 時不聞音 刺手大指次指爪甲上去端如韭葉各一痏立聞 不已刺中指爪甲上與肉交者立聞 其不時聞者 不可刺也 耳中生風338)者 亦刺之如此數 左 刺右 右刺左 凡痹339)往來無常處者 在分肉 間痛而刺之 以月死生爲數 用針者隨340)氣盛 衰 以爲痏數 針過其日數則脫氣 不及日數則 氣不瀉 左刺右 右刺左 病已止 不已 複刺之 如法 月生一日一痏 二日一痏 漸多至十五日 十五痏 十六日十四痏 漸少之 邪客於足陽明 之經 令人鼽341)衄上齒寒 刺足中趾次指爪甲 上與肉交者 各一痏 左刺右 右刺左(『素 問』繆刺論)

【直譯】

邪氣가 手陽明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耳

338)耳中生風: 귀울음의 하나. 귀에서 바람소리같은 것이 들리는 것을 말한다.

339)痺: 관절마디가 아프고 저린 감이 있으며 심하면 부으면서 팔다리의 운동장애가 있는 병증.

340)隨: 따를수 341)鼽: 코막힐구

聾이 되어 때때로 소리를 듣지 못하게 되 니, 手大指次指의 爪甲上으로부터 韭葉 넓 이만큼 떨어진 곳에 左右를 각각 1번 刺鍼 하면 곧 소리를 들을 수 있고, 만약 낫지 않으면 中指의 爪甲上과 肌肉이 만나는 곳 에 刺鍼하면 곧 소리를 들을 수 있고, 이렇 게 하여도 소리를 듣지 못하면 刺鍼을 해 서는 안 됩니다. 耳中에 바람소리가 들리는 것도 역시 이와 같이 刺鍼하니 왼쪽 病은 오른쪽에서, 오른쪽 病은 왼쪽에서 치료합 니다. 무릇 痺症이 옮겨 다녀서 部位가 一 定하지 않는 것은 分肉 사이에 있는 것이 니 痛症이 있는 곳을 刺鍼하되 달이 차고 기우는 것으로써 침의 차수를 결정합니다.

鍼을 놓을 때는 氣의 盛衰를 따라서 刺鍼 하는 回數를 삼으니 그 刺鍼回數가 日數보 다 많으면 脫氣가 되고, 日數에 不足하면 邪氣가 除去되지 않습니다. 左病은 右側에 右病은 左側에 刺針하여 病이 나으면 그치 고 낫지 않으면 다시 아래와 같은 방법으 로 刺針하니 초하루엔 1번 초이틀엔 2번 刺 針하여 점점 數를 더하여 보름엔 15번 刺針 하고 16日엔 14번 刺針하여 점점 줄여 갑니 다. 邪氣가 足陽明經에 침입하면 鼽衄하고 上齒寒하게 되니, 足中指次指의 爪甲上과 肌肉이 교차되는 곳에 左右를 각각 1번씩 刺鍼하되 왼쪽 病은 오른쪽에서, 오른쪽 病 은 왼쪽에서 刺鍼합니다.

【原文】

邪客於足少陽之絡 令人脅痛不得息咳而 汗出 刺足小趾次者爪甲上與肉交者各一痏 不得息立已 汗出立止 咳者溫衣342)飲食 一 日已 左刺右 右刺左 病立已 不已 複刺如法 邪客於足少陰之絡 令人嗌痛 不可內食 無故 善怒 氣上走賁上 刺足下中央之脈各三痏 凡

342)溫衣: 추위를 덜기 위해 옷을 따뜻하게 입는 것 을 말한다.

六刺立已 左刺右 右刺左 邪客於足太陰之絡 令人腰痛引小腹控䏚 不可以仰息 刺腰尻之 兩胂之上 是腰俞 以月死生爲痏數 發針立已 左刺右 右刺左 邪客於足太陽之絡 令人拘攣 背急引脅而痛 刺之從項始 數脊椎俠脊疾按 之應手如痛 傍刺之三痏立已(『素問』繆刺 論)

【直譯】

邪氣가 足少陽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脇 痛하고 숨을 제대로 쉴 수 없으며 기침을 하면서 땀이 나니, 足小指次指의 爪甲上과 肌肉이 교차되는 곳에 左右를 각각 1번씩 刺鍼하면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는 것은 곧 낫고 땀도 곧 그치나, 기침은 따뜻하게 입 고 먹으면 하루 만에 낫는다. 邪氣가 足少 陰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목이 아파서 음식 을 삼키지도 못하며 까닭없이 화를 잘 내 며 氣가 賁上으로 치밀어 오르니 발바닥 中央에 있는 脈을 左右 각각 3번씩 모두 6

邪氣가 足少陽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脇 痛하고 숨을 제대로 쉴 수 없으며 기침을 하면서 땀이 나니, 足小指次指의 爪甲上과 肌肉이 교차되는 곳에 左右를 각각 1번씩 刺鍼하면 숨을 제대로 쉴 수 없는 것은 곧 낫고 땀도 곧 그치나, 기침은 따뜻하게 입 고 먹으면 하루 만에 낫는다. 邪氣가 足少 陰經의 絡脈에 침입하면 목이 아파서 음식 을 삼키지도 못하며 까닭없이 화를 잘 내 며 氣가 賁上으로 치밀어 오르니 발바닥 中央에 있는 脈을 左右 각각 3번씩 모두 6

문서에서 A study on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페이지 7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