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原文】

足陽明之上 血氣盛則髯美長 血少氣多 則髯短 故氣少血多則髯少 血氣皆少則無髯 兩吻382)多盡 足陽明之下 血氣盛則下毛383) 美長至胸 血多氣少則下毛美短至臍 行則善 高舉足 足指少肉 足善寒 血少氣多則肉而善 瘃384) 血氣皆少則無毛 有則稀枯悴 善痿厥 足痹385)(『靈樞』陰陽二十五人)

【直譯】

足陽明之上에 血과 氣가 盛하면 髥이 아 름답고 길며, 血은 적고 氣가 많으면 髥이 짧으며, 따라서 氣는 적고 血이 많으면 髥 이 적고,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髥이 없으 며 양쪽 입 주위에 주름이 많습니다. 足陽 明之下에 血과 氣가 盛하면 陰毛가 아름답 고 길어서 흉부까지 이르고, 血은 많고 氣 가 적으면 陰毛가 아름답고 짧으며 배꼽까 지 이르고 걸을 때 발을 높이 들며 발가락 에 肌肉이 적고 발이 쉽게 寒冷해집니다.

血은 적고 氣가 많으면 肌肉이 차가워서 凍傷에 잘 걸리고,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陰毛가 없고, 있더라도 드물고 憔悴하며, 痿 厥과 足痹가 쉽게 발생합니다.

【原文】

足少陽之上 氣血盛則通髯386)美長 血多 氣少則通髯美短 血少氣多則少髯 血氣皆少 則無須 感於寒濕則善痹骨痛爪枯也 足少陽 之下 血氣盛則脛毛美長 外踝肥 血多氣少則 脛毛美短 外踝皮堅而濃 血少氣多則胻毛387) 少外踝皮薄而軟 血氣皆少則無毛 外踝瘦而 無肉(『靈樞』陰陽二十五人)

382)吻: 입가 문 383)下毛: 음모 384)瘃: 손발얼어터질 촉

385)痹: 뻣뻣할 비, 痺(암뱁새비)와는 不同.

386)通髥: 구레나룻이 鬢(빈, 귀밑털)과 이어져 난 털 수염.

387)胻毛: 胻毛와 脛毛는 같은 것으로 모두 小腿部의 毫毛를 가리킨다

【直譯】

足少陽之上에 氣와 血이 盛하면 通髥이 아름답고 길며, 血은 많고 氣가 적으면 通 髥이 아름다우나 짧으며, 血은 적고 氣가 많으면 通髥이 적으며, 血과 氣가 모두 적 으면 鬚가 없고 寒濕에 感觸되면 痹證과 骨痛, 爪枯가 잘 발생합니다. 足少陽之下에 血과 氣가 盛하면 脛毛가 아름답고 길고 足外踝에 피부가 두터우며, 血은 작고 氣가 많으면 胻毛가 적고 外踝의 피부가 얇고 연하며,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脛毛가 없 고 外踝에 피부가 말라 肌肉이 없습니다.

【原文】

足太陽之上 血氣盛則眉美 眉有毫毛388) 血多氣少則惡眉389) 面多少理 血少氣多則面 多肉 血氣和則美色 足太陰之下 血氣盛則跟 肉滿踵390)堅 氣少血多則瘦跟空 血氣皆少則 善轉筋 踵下痛(『靈樞』陰陽二十五人)

【直譯】

足太陽之上에 血과 氣가 盛하면 눈썹이 아름답고 눈썹 가운데 毫毛가 있으며, 血은 많고 氣가 적으면 눈썹이 나쁘고 얼굴에 잔주름이 많으며, 血은 적고 氣가 많으면 얼굴에 肌肉이 많고, 血과 氣가 조화를 이 루면 顔色이 좋습니다. 足太陰之下에 血과 氣가 盛하면 足跟에 肌肉이 豊滿하고 足踵 이 단단하며, 氣는 적고 血이 많으면 足跟 의 肌肉이 瘦瘠하고 비어있으며,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轉筋이 잘 발생하고 足踵 아 래가 아픕니다.

【原文】

388)毫毛: 細長毛, 가늘고 긴 털, 毫毛란 눈썹 가운데 의 긴 털인데 血氣가 盛하기 때문에 자란 것이다.

389)惡尾: 윤기가 없고 거친 눈썹

390)踵: 跟也, 발꿈치 종, 발뒤꿈치의 着地部分

手陽明之上 血氣盛則髭391)美 血少氣多 則髭惡 血氣皆少則無髭 手陽明之下 血氣盛 則腋下毛美 手魚肉392)以溫 氣血皆少則手瘦 以寒 手少陽之上 血氣盛則眉美以長 耳色美 血氣皆少則耳焦惡色 手少陽之下 血氣盛則 手卷多肉以溫 血氣皆少則寒以瘦 氣少血多 則瘦以多脈393)(『靈樞』陰陽二十五人)

【直譯】

手陽明之上에 血과 氣가 盛하면 髭가 아 름답고, 血은 적고 氣가 많으면 髭가 나쁘 고,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髭가 없습니다.

手陽明之下에 血과 氣가 盛하면 腋毛가 아 름답고 手掌의 魚의 肌肉이 따뜻하며, 氣와 血이 모두 적으면 手掌의 魚의 肌肉이 瘦 瘠하고 차갑습니다. 手少陽之上에 血과 氣 가 盛하면 눈썹이 아름답고 길고 귀의 색 이 좋으며,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귀가 焦 枯(초고)하고 색이 나쁩니다. 手少陽之下에 血과 氣가 盛하면 손에 肌肉이 많고 따뜻 하며,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손이 차갑고 肌肉이 瘦瘠하며, 氣는 적고 血이 많으면 손에 肌肉이 적어 脈絡이 많이 드러납니다.

【原文】

手太陽之上 血氣盛則有多須 面多肉以平 血氣皆少則面瘦惡色 手太陽之下 血氣盛則 掌肉充滿 血氣皆少則掌瘦以寒 曰 刺之有約 乎 曰 眉美者足太陽 之脈氣血多 惡眉者氣 血少 其肥而澤者血氣有餘 肥而不澤者氣有 餘而血不足 瘦而無澤者 氣血俱不足 審察其 形氣有餘不足而調之 可以知逆順394)矣(『靈

391)髭: 口上鬚, 코밑수염 자, 馬는 承漿穴 以下에 나 는 것이 髭라고 하였다.

392)魚肉: 엄지손가락 本節뒤의 두터운 肌肉이다. 手 陽明經의 脈이 둘째손가락에서 시작하여 合谷穴 로 나오므로 形體는 手魚肉에 드러난다.

393)多脈: 皮膚와 肌肉이 여위어서 脈絡이 대부분 밖 으로 드러나 있는 것”

394)逆順: 經脈 內外의 血氣가 교대로 서로 逆하고

樞』陰陽二十五人)

【直譯】

手太陽之上에 血과 氣가 盛하면 입에 須 가 많고 얼굴에 肌肉이 많아 평평하며, 血 과 氣가 모두 적으면 얼굴이 瘦瘠하고 顔 色이 나쁩니다. 手太陽之下에 血과 氣가 盛 하면 손바닥의 肌肉이 充滿하고, 血과 氣가 모두 적으면 손바닥이 瘦瘠하고 차갑습니 다. 황제께서 말하길 “刺鍼하는데 요점이 있습니까?” 岐伯이 대답하기를 “눈썹이 아 름다운 사람은 足太陽經脈에 氣血이 많고, 눈썹이 나쁜 사람 血과 氣가 적으며, 形體 가 肥厚하고 潤澤한 사람은 血과 氣가 有 餘하고, 肥厚하나 潤澤하지 않은 사람은 氣 는 有餘하고 血은 不足하며, 瘦瘠하고 潤澤 하지 않은 사람은 氣와 血이 모두 不足한 것이니, 그 形氣가 有餘한가 不足한가를 세 심하게 살펴서 調理하면 逆順을 알 수 있 는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原文】

曰 婦人無須者 無血氣乎 曰 沖脈任脈 皆起於胞中 上循背裏 爲經絡之海 其浮而外 者循腹右上行 會於咽喉 別而絡唇口 血氣盛 則充膚熱肉 血獨盛則澹滲皮膚生毫毛 今婦 人之生 有餘於氣 不足於血 以其數脫血也 沖任之脈不滎口唇 故須不生焉 曰 士人有傷 於陰 陰氣絕而不起 陰不用 然其須不去 其 故何也 宦者獨去何也 曰 宦者去其宗筋 傷 其沖脈 血瀉不複 皮膚內結 唇口不榮 故須 不生 曰 其有天宦者 未嘗被傷 不脫于血 然 其須不生 其故何也 曰 此天之所不足也 其 任沖不盛 宗筋不成 有氣無血唇口不滎 故須 不生(『靈樞』五音五味)

順하면서 運行하는 것을 말한다.

【直譯】

黃帝가 물으시길. “婦人에게 須가 없는 것은 血氣가 없어서입니까?”

岐伯이 답하기를 “衝脈과 任脈은 모두 胞中에서 일어나서 위로 등의 안쪽을 따라 올라가서 모든 經絡의 바다를 이룹니다. 그 중에서 들떠서 밖으로 행하는 것은 배의 오른쪽을 따라 올라가서 咽喉에서 모이고, 따로 脣口로 絡합니다. 血氣가 盛하면 皮膚 를 충실하게 하고 살을 덥히게 되고, 血만 이 특히 盛하면 皮膚를 적시고 毫毛를 나 게 합니다. 지금 婦人의 生은 氣는 남고 血 은 모자라는데, 그 까닭은 자주 脫血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衝脈과 任脈이 口脣을 영양하지 못하므로 須가 나지 않는 것입니 다.” 黃帝가 말하기를 “士人중에 陰을 다쳐 서 陰氣가 끊어져서 서지 않고, 陰도 쓸 수 없는 경우라 할지라도 須는 없어지지 않는 데 그 까닭은 무엇입니까? 宦만이 특히 없 어지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그 까닭을 듣고 싶습니다.” 岐伯이 답하기를 “宦은 宗 筋을 없앴으므로 衝脈을 傷하고 血을 쏟아 다시 회복시키지 못하여 피부가 안에서 맺 혀서 唇口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須가 나지 않는 것 입니다.” 黃帝가 말하기를 “그 중 에 天宦은 傷함 당하지도 않았고 血을 脫 하지도 않았는데 須가 나지 않는데, 그 까 닭은 무엇입니까?” 岐伯이 답하기를 “이는 天이 不足한 것입니다. 그 任脈과 衝脈이 盛하지 않고, 宗筋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氣 는 있으되 血은 없어서 脣口를 영양하지 못하므로 須가 나지 않는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3) 耐痛

【原文】

人之骨強筋弱 肉緩皮膚濃者耐痛 其於針

石之痛火亦然 黑色而美骨者耐火焫 堅肉 薄395)皮者不耐針石之痛 於火焫396)亦然 (『靈樞』論痛)

【直譯】

骨이 强하고 筋이 弱하고 肉이 緩하고 皮膚가 厚한 사람은 痛症을 잘 참고 鍼石 의 痛症에도 잘 참으며 火灸도 또한 그렇 습니다. 黑色이 美骨한 사람은 火灸를 잘 참습니다. 肉이 緊하고 皮가 薄한 사람은 鍼石의 통증을 잘 참지 못하고 火灸의 통 증 또한 그렇습니다.

4) 五逆

【原文】

屬性 帝曰 餘聞刺有五逆 曰病與脈相逆 熱病脈靜 汗已出脈盛躁 是一逆也 病泄脈洪 大 二逆也 著脾不移 膕肉397)破 身熱脈偏絕 三逆也 淫而奪形 身熱色夭然白 及後下血衃 血衃398)篤重 四逆也 寒熱奪形 脈堅搏 五逆 也(『靈樞』五禁)

【直譯】

黃帝가 말하기를 “내 들으니 刺針에는 五逆이 있다고 합니다.” 岐伯이 답하기를

“病과 脈이 서로 거스리는 것을 五逆이라 합니다. 熱病에 脈이 靜하거나 땀이 이미 나왔는데 脈이 盛躁한 것이 一逆이고, 泄瀉 病에 脈이 洪大한 것이 二逆이며, 著痺가 移動되지 않고 䐃肉이 破壞되며 몸에 熱이 나고 脈이 偏絶되는 것이 三逆이고, 好淫하 여 形肉이 奪取되고 몸에 熱이 나며 色이 妖邪하게 희어지는 것과 뒤로 피를 쏟고

“病과 脈이 서로 거스리는 것을 五逆이라 합니다. 熱病에 脈이 靜하거나 땀이 이미 나왔는데 脈이 盛躁한 것이 一逆이고, 泄瀉 病에 脈이 洪大한 것이 二逆이며, 著痺가 移動되지 않고 䐃肉이 破壞되며 몸에 熱이 나고 脈이 偏絶되는 것이 三逆이고, 好淫하 여 形肉이 奪取되고 몸에 熱이 나며 色이 妖邪하게 희어지는 것과 뒤로 피를 쏟고

문서에서 A study on zhenjiusunanyaozhi(鍼灸素難要旨) (페이지 8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