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보편론 다원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보편론 다원론"

Copied!
8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3)
(4)

역사적 사고도

일반적 사고와 같다. 역사는 인간의 내면을

다루는 학문 분야이기에

일반적 사고와 다르다.

(5)

• 피아제류의 사고 논리를 따름

의식적인

논리적 사고와 상상

• 상상, 직관, 창조성의 요소로 설명되는 사 고 논리.

직관에 토대를 둔 연상적 사고

와츠는 두 계통의 사고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

이 지적인 사고라고 주장.

성인의 사고 모델

사고 (thinking)

실재적 (realistic) 상상적

(imaginative)

(6)

초보적인 인지활동 논리적 사고 경로 초보적인 지각활동 연상적 사고 경로

역사적 사고가

논리적-합리적인 사고와 상상적 사고 연상적 사고

두 가지 모두 포함하는

것을 보여줌.

(7)

역사적 사고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오가는

시간성 을 가진 사고이며 시간의 흐름을 중심축으로

한 변화는 물론 과거, 현재, 미래의 상호 의존성 에 대

해 아는 것을 포함하는 사고이다.

(8)

역사적 사고

논리적 사고 연상적 사고

내러티브적 사고

시간성

(계속성 – 변화추 구)

(9)
(10)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 어떤 사실을 공통된 특성에 따라 군(group) 으로 조직하는 지적 구조로서 자극을 일관된 방법으로 반복 분류하는 심리적 현상

① 도식 (개념, 범주)

• 외부에서 들어오는 지각이나 자극, 사건을 이미 가지고 있던 도식에 통합하는 인지 과정.

② 동화

• 새로운 자극에 대해 이를 통화해낼 수 있는 도식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때 일어나는 현상.

③ 조절

• 유기체는 외부자극에 대해 스스로 동화하거나 조절하여 동화하려고 애쓰게 되는데 그 결 과 나타나는 인지적 균형 상태.

④ 평형

1) 피아제 인지 발달론 (1) 도식, 동화, 조절, 평형 개념

(11)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 피아제 인지 발달론 (2) 조작과 사고 단계

① 전조작기

• 물질의 양이 형태나 위치의 변화에 관계없이 같다는 보전의 개념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시각적 상응이 이루어질 때만 같은 것으로 보거 나 사물의 변환에 무감각하다고 한다.

② 구체적 조작과 형식적 조작

• 논리적 조작 능력과 관련 된다. 논리적 조작 능력이란 가역성을 비

롯하여 사물을 위계적으로 구성하거나 포섭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분류 능력, 사물의 변화에 따라 일련의 요소를 정확히 배열할 수 있

는 계열화의 능력, 변화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능력 등 이다.

(12)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① 피아제가 제시한 사고 발달 단계는 역사적 사고력의 발달에도 적용되는데, 역시 전조작기→구체적 조작기→형식적 조작기의 단계를 거친다.

② 역사적 사고에 각각의 단계는 점진적 발달의 일부로서 순차적 으로 일어나며,

그 이상의 지속적 발달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평형으로 나아가는 과정 이 작용되어야 한다.

③ 역사적 사고의 발달은 다른 교과의 경우보다 느리게 나타난다.

2) 피아제-필-할람 모델

(13)

2) 피아제-필-할람 모델 - (1) 역사적 사고의 구조와 기재

역사적 인과관계는 ① 평형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 ②변화가 일어날 가능성이다.

필은 역사적 인과관계에서 나타나는 평형상태의 유지 혹은 변화가 피아제가 말하는 사고에서 동화와 조절을 통한 인지적 평형 상태를 이루는

구조와 일치 한다고 보았다.

사고의 기제

• 설명

• 상상

• 추론

사고의 구조

• 역사적 평형

• 시간적 변화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4)

2) 피아제-필-할람 모델 - (2) 기술적 사고와 설명적 사고

• 사건이나 현상의 각 부분들을 서로 연 관시키기는 하지만 직접적 내용이나 주어진 자료에 근거하는 귀납적 방법 에 의존하여 이루어지는 사고

기술적 사고

• 직접적 증거 외의 아이디어나 개념, 일 반화를 도입하여 그것들이 상황에 영 향을 미칠 가능성을 고려하는 연역적 과정

설명적 사고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5)

2) 피아제-필-할람 모델 - (3) 역사적 사고에서의 구체적 조작과 형식적 조작

전조작적 사고 구체적 조간 단 계

형식적 조작 단 계

역사에서 형식적 조작 단계는 다른 과목에 비해 늦게 나타난다는 것이 할람의 주장

첫째, 과거여서 직접 경험할 수 없고, 증거를 기반으로 재생되는 것 둘째, 역사적 사건에는 시간관념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

셋째, 역사적 개념은 추상적 어휘로 표현되는데 학생들은 이 과제를 어려워 할 수 밖에 없다

넷째, 역사학습에 관련된 증거는 성인의 활동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6)

2) 피아제-필-할람 모델 - (4)유추의 활용

유추 는 친숙하지 않은 것을 친숙한 것과 연결시켜 역사적 사고를 돕는 방법이다.

유추를 활용할 경우 유의해야 할 것

① 적절한 유추와 학생에게 친숙한 것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

② 잘못된거나 부정적 인식의 위험성 을 사전에 검증해야 한다 는 점.

③ 공통점 이외에 특수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7)

3)역사의식의 유형과 발달

역사의식 은 본래 역사 속에서 자신의 존재를 깨닫는 존재의 식이나 자아의식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사이토는 이미 1950년대 초반에 피아제의 인지 발달론을 수용한 연구 를 수행하면서 역사의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그는 역사의식을 금석상위 의식, 변천의식, 역사적 인과 관계 의식, 시대 구조 의식, 역사의 발전 의식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역사의식이 시간관념 의 이해에서 인과관계나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발달하는 것 으로 보았다.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8)

4) 분류 능력과 시간 개념 – (1) 분류

피아제 이론에 토대한 분류 능력에 대한 연구 로 주목되는 것 은 시겔(Irving E. Sigel)의 연구다. 시겔은 형식에 따라 기술(記 述)적 방법, 관계적-맥락적 방법, 유목적-추론적 방법으로 나 누었다.

• 사물을 외형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다.

기술적 방법

• 사물의 기능적 상호 관련성에 따라 분류하는 것

관계적-맥락적 방법

이다.

• 추론된 사물의 속성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것이

유목적-추론적 방법

다.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19)

4) 분류 능력과 시간 개념 - (2) 시간 개념

시간개념

시간표현 개념

연대개념

시대개념

시간 표현 개념

연대개념 시대개념

<발달 순서>

1. 영역 중립 인지 이론

(20)

2. 영역 고유 인지 이론

1) 피아제-필-할람 모델 비판 - (1) 할람 연구의 비판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가 시기상 동떨어져 있는 별개의 사건 들 을 다룬 것으로서, 학생들이 배운 역사와 관련이 없어서 그 시 대를 알고 있지 못한 학생들은 질문에 의미있는 답변을 할 수 없 는 내용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② 연구 결과가 밝히고 있는 것이 아동이 성취할 수 있는 역사적 능력 인지 역사학습의 결과로 성취한 것인지 정확하지 않는다 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③ 연구의 양과 연구 대상 학생 수가 적어 일반화 하기는 어렵다

는 점도 지적되었다.

(21)

2. 영역 고유 인지 이론

1) 피아제-필-할람 모델 비판 - (2) 피아제 연구의 비판

① 피아제의 단계개념을 적용하는 문제의 비판

: 단계사이에 통합성이 없고 각 단계에 이르는 연령 사이에 많은 변수가 있다면, 단계의 개념은 별 의미 없는 것이 되어버린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형식적 조작 단계와 구체적 조작 단계로 나누는것 은 근거가 미약하며 형식적 조작도 종전 연구보다 이른 단계에 나 타난다.

③ 자연과학과 역사의 대상은 근본적으로 다른데 피아제의 실

험은 자연현상 내의 규칙성을 발견하기 위한 것이어서 적절하

지 않다.

(22)

2. 영역 고유 인지 이론

2) 역사적 사고의 영역적 특성

① 사고는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인지 기능이나 단계들을 설명 될 수 없다. 그 과정도 일직선으로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순환적 으로 일어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다른 지식이나 다른 사고 기능 이 적용될 수 있다.

학습능력 은 인지 발달 단계가 아니라 특정 영역의 지식에 대

한 개념이 어떻게 구조화 되고 통합 되느냐에 달려 있는 것으로

간주 한다.

(23)

2. 영역 고유 인지 이론 3) 인증적 사고

연역적 추론

: 대전제(법칙)가 맞다는 전제를 받아들이면 논리적으로 그 결과는 확실하다.

귀납적 추론

: 사례와 결과를 통해서 법칙을 찾아내는 논리적인 방법이 다.

가설적 추론

: 법칙을 받아들이고,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새로운 사례에 대한 가능성을 추측해보는 방법이다.

④ 부스 (M. Booth)도 역사적 사고는 인증적 사고라고 보았고, 그것은 ‘읽어 버린 세계’에 대해 상상적으로 가장 믿을 만하게 해석하는 것이라고 설명하 였다. 아마도 그 이유는 역사적 사고가 상식적 판단에 의존하는 사고라는 등 의 이유를 고려한 것으로 짐작한다.

(24)

2. 영역 고유 인지 이론 4) 내러티브적 사고

내러티브적 사고에서 사고의 적절성 은 내러티브의 내용이 가 지는 박진성(verisimilitude), 적연성(plausibility), 정합성 (coherence), 일관성(consistency), 삶과의 일치성(life- likeness) 등의 기준으로 판단된다.

① 내러티브적 사고는 사건의 계열을 통해 전해지는 의미를 이 해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② 인간의 행위자가 중심이 된 이야기로서 중력과 같은 물리적

힘이 아닌, 욕망, 신념, 희망, 지식, 의도 헌신 등과 같은 인간의

의도적 행위에 초점을 맞춘 이야기이다.

(25)
(26)

역사적 사고는

역사 연구에서 동원하는 ‘생각의 습관(habit of mind)’

이라고 할 수 있다.

→ 생각의 습관; 역사적 지식과 역사적 관점, 역사적 분석과 역사적 해석으로 포괄 할 수있다.

(역사에서의 생각 습관 – 『역사교육의 이론』 p. 354 표3 참고)

(27)

와인버그

; 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표현하는 ‘생각 말하기’ 기법 설명.

☞ 드레이크는 와인버그의 두 가지 개념(출처 확인, 확증)을 중심으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역사적 사고 과정을 4단계로 제시.

• 역사가들이 내용 이해를 위해 읽기 전에 행하는 것. → 출처 확인을 할 때에는 우리의 관점과 과거 사람들의 관점을 구분하여 고려해야 함.

1. 출처 확인

• 역사가가 하나의 문서를 다른 문서와 관련시키기 위해 행하는것→

문서 분석에 대한 역사적 이해의 수준을 높이는 데에 기여.

2. 확증

• ㈀ 유추적 맥락; 동시대인과 비교하여 특정 생각이나 주장이 어떤 위치를 차 지했을까를 자리매김하는 것

• ㈁ 언어적 맥락; 동시대의 언어에서 어휘가 가진 의미를 정확히 하는 것.

3. 맥락화

• 역사가들이 당시 세계의 다른 부분에서의 조건들을 기술 하기 위해 행하는 것

4. 비교적 사고

(28)
(29)

1) 연대기 파악력

연대기 파악력 : 시간에 따른 변화를 중시하고 인간의 삶과 여러 현상을 연대기 속에서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 연대기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이유 ;

사건 사이의 관계를 상정 하거나 인과관계 를 설명하기 위해 사 건을 시간의 흐름 속에 배열하는 연대기적 감각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시간과 관련된 용어를 이해하고 이들을 활용하는 능 력, 시대구분에 대한 이해능력, 시간요소를 통해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0)

2) 역사적 탐구력

역사적 탐구력 가운데 대표적인 것은 사료를 다루는 능력 일 수 있다.

- 역사가가 역사를 연구하는 절차 - 상상력, 직관,

감정이입 등 의 사고 활용

복잡한 관 인과관계

파악

사료에 대한 연 역, 추론

활용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1)

2) 역사적 탐구력

• 모든 교과에 공통적 인 탐구 기능

보편적인 탐구절차

• 역사의 고유한 특성 과 직접 관련된 기 능

역사의 특징적인 탐구 절차 역사적 탐구

기능에 속하는 요소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2)

2) 역사적 탐구력

일반적 탐구 기능

①문제의 인지

②자료의 수집

③자료의 처리

④결론의 돌출

⑤일반화

역사적 탐구 기능

①역사적 개념의사용

② 역사적 자료의활용

③ 역사적 연 구 방법의 수

①문제의 파악 능력

②정보의 수집 능력

④결과의 적응 능력

③자료의 취급 능력

일반적 탐구 기능과 역사 적 탐구 기능을 종합한 역

사적 탐구 기능

(33)

3) 역사적 상상력

사료

-> 단편적, 부분적인 사실만 나타나며, 제한적인 시간을 담고 있다.

역사적 상상력 은 이렇듯 사료 등과 같은 부족한 증거를 보완 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이다.

콜링우드는 과거인의 사고를 알기 위해 그들의 마음속으로 들 어가 과거인이 되어 다시 사고하는 재연(reenactment) 을 제

시.

(딜타이가 말한 추체험(nacherleben)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4)

3) 역사적 상상력

역사적 상상력으로 거론되는 것 -> 감정이입 , 삽입 (extrapola-tion), 보간 (補間)

감정이입

- 역사적 감정이입이란 과거 사람들의 처지에 들어가 역사 적 행위와 관련된 동기나 이유, 관점을 파악하고 그들의 감정을 함께 느끼는 것.

삽입

- 자료에 역사적 사실의 전개 과정에서 앞이나 뒷부분이 빠져 있을 때, 이를 추론하여 역사적 사실을 만들어내는 것.

보간

- 자료에 빠져 있는 중간 과정을 추론하는 것.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5)

4) 역사적 판단력

블룸(B.S. Bloom)은

판단

을 가장 높은 사고과정으로 보았으며, 역사적 사고 력에서도 가장 높은 수준에 위치하고 역사 연구나 역사 학습의 궁극적인 목 표가 되는 요소다.

역사가가 연구 과정 에서 내리 는 판단

합리적 판단

도덕적 판단

결과에 대한 판

언어의 의 미와 함축 도 판단

역사적 판단력 은

역사적 논쟁이나 딜레마에

접했을 때 합리적 판단을 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능력으로서 역사교육의 궁극적 목적이다.

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 요소

(36)

1) 연대기적 사고

연대기적 사고는 역사적 추론(reasonong)의 핵심 이다.

-> 사건들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거나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잘 구성된 역사적 내러티브는 연대기적 사고의 함양에 유용하다.

이는 역사적 지속(historical duration)이나 역사적 연속(historical succession)의 유형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연대기적 사고 기능으로서 학생이 가져야 하는 능력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구분 ·역사 내러티브가 가진 시간 구조의 확인

·달력상의 시간 측정과 계산 ·역사 내러티브 작성 과정에서의 시간 순서 설정

·연표에서 제시된 자료의 해석과 연표 작성 ·시대 구분을 위한 대안 모델 비교

·역사적 연속과 지속 유형의 재구성과 역사적 계속성과 변화 설명에의 적용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37)

2) 역사 이해

역사 내러티브의 특징 은 사건을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은 물 론 행위자의 의도, 그들이 직면하는 난관 그리고 그들이 사는 복 잡한 세상을 드러낸다는 점이다.

학생들은 치밀한 내러티브를 이해하기 위해 아래 필요한 기능을 함양해야한다.

①역사 내러티브가 담고 있는 주요 질문을 확인하는 것,

②역사 내러티브의 목적,전망 혹은 시각을 정의하는 것,

③의미를 가지고 역사적 설명 혹은 분석을 읽는 것,

④어떻게 저자가 텍스트를 조직했는지를 나타내는 수사의 실마 리를 인지하는 것 등이다.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38)

2) 역사 이해

※ 역사 이해 기능으로서 학생이 가져야 하는 능력

·역사적 문서나 역사적 내러티브의 저자 혹은 원전의 확인과 신뢰성 평가

·역사적 추이에 대해 원래 의미의 재구성

·내러티브의 주요 질문과 목적, 전망 혹은 시각 확인

·역사적 사실과 해석의 구별과 관련성 인지

·상상을 통한 역사 내러티브 읽기

·①당대 사람의 눈, 경험, 언어로 과거를 기술,②사건의 역사적 맥락 고려, ③현재 중심주의 사고 지양 등의 역사적 전망 숙지

·역사 지도상의 데이터 이용

·시각적, 수학적, 양적 데이터 활용

·시각적, 문학적, 음악적 사료 이용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39)

3) 역사 분석과 해석

학생들이 역사 내러티브를 읽을 때 가장 큰 문제점 -> 답을 찾아야 하는 강박관념.

해결책 ; 역사 교과서 이외에 여러 가지 사료를 이용, 다양한 입장의 역사적 해석 혹은 관점을 제시하는 역사책, 문서, 유물을 활용

-> 사실들에 대해 역사가마다 의견이 다를 수 있고, 그 사실들에 대한 해석에 동의하지 않을 수 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만들어준다.

역사 분석과 해석 기능으로서 학생이 가져야 하는 능력

·일련의 아이디어, 가치, 인물, 제도의 비교와 대조

·과거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의 복합적 관점 고려 ·경합하는 역사 내러티브 비교

·의견(opinion)과 증거에 기초한 가설 구별 ·시대와 지역의 교차 비교

·역사적 필연성에 대한 문제 제기 ·역사 해석의 잠정성 이해

·역사가들 사이의 노쟁 평가 ·과거의 영향에 대한 가설 설정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40)

4) 역사 연구 능력

역사적 탐구는 문제의 형성이나 가치 있는 질문들로 진행된다.

-> 이러한 질문 가운데 문서 혹은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에 대한 맥락적 지식이 중요.

역사적 주장 혹은 내러티브를 구성하기 위해서

큰 의미 맥락(context of meaning)

요구

# 교과서 자료를 넘어 문서 혹은 다른 기록물을 제공 -> 교과서적인 해석에 도전

-> 새로운 질문 -> 교과서 서술 속에 나타나지 않은 관점 조사 -> 교과서가 간과

하고 있는 쟁점 파악 이런 과정을 통해,

서술된 역사는 구성물에 불과하다 는 것 , 과거에 어떤 판단도 잠정적이고 논쟁 가능하다는 것, 역사가는 그들의 작업을 중요한 탐구로 간주한다는 것을 이해 할 수 있다.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41)

4) 역사 연구 능력

역사 연구 기능으로서 학생이 가져야 하는 능력

·역사적 질문 설정

·다양한 사료로부터 역사적 데이터 획득

·역사적 데이터 검토

·기록의 빠진 부분 확인과 시간, 장소에 대한 맥락적 지식과 관점 열거

·양적 분석 도입

·역사적 증거에 기반 한 해석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42)

5) 역사 쟁점 분석과 의사결정

쟁점 중심의 분석과 의사결정이란

학생들을 역사적인 딜레마나 중요한 순간에 맞이하는 문제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 시대의 쟁점과 문 제들에 직면하여 그 장면에서 그들에게 가능한 대안들을 분석하고, 선택되지 않았던 행위의 결말을 평가해보고, 선택된 행위의 결말과 비교하는 것 등은 학 생들이 개인적으로 참여해야 하는 활동들이다.

※ 역사 쟁점 분석과 의사결정 기능으로서 학생이 가져야 하는 능력

·과거 속의 쟁점, 문제점 확인과 당대인들의 이해관계, 가치, 전망, 시각분석

·선행환경의 증거와 현재 요인의 열거

·역사적 선례 확인과 당대 쟁점의 분별

·행위의 대안 경로 평가

·쟁점에 대한 입장, 행위 경로 설정

·결정의 실행 평가

2. 사고 기능의 상세화

(43)
(44)

1. 피아제-필-할람 모델을 놓고 전후의 논의 경향을 살펴봄.

2. 인식론적 접근 : 피아제-필-할람 모델, 영역 고유 인지 이론.

역사적 사고를 지식의 성장으로 다루고 있다.

기능적 접근 : 미국이나 최근의 영국에서 나타나는 경향.

사고를 가르치기 위해 사고 기능을 분류하고 이를 상세화한다.

이와 같이 5장의 내용을 구별하자면,

Ⅰ,Ⅱ,Ⅳ-1 역사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 인식론적 접근에 입각한 논의

Ⅲ,Ⅳ-2 사고 기능의 상세화 - 기능적 접근에 입각한 논의

(45)

사고의 과정을 객관적으로 측정은 앞으로도 그대로 밝혀내기 어 려울 것이지만 와인버그가 사용한 ‘생각 말하기(think aloud) 방법 처럼 우회적인 방법을 써서라도 사고를 있는 그대로 밝히려는 노 력 이 필요.

다시 말해서, 앞으로의 과제를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선입관 없이

포괄적 관점에서 역사적 사고를 정확하고 명료하게 기술하는 것

이다.

(46)
(47)

Ⅱ. 근대의 역사교육

Ⅲ. 해방이후 역사교육의 변천

(48)

1. 삼국∼ 조선전기의 역사교육

① 경사일체의 교육(經史一體) :

② 시대별 역사교육

㉠ 삼국시대 : 경서교육

㉡ 통일신라 : 국학 경서교육 , 독서삼품과, 5경 3사 ㉢ 고려 : 국자감, 사학12도

㉣ 조선 : 성리학적 유교이념에 입각한 역사교육 ㉤ 조선후기 : 역사교재 '동몽선습'이 서당에서 사용.

(49)

① 역사를 독자적인 학문분야로 인식 → 경사일체의 관념에서 탈피

② 화이관을 비판, 자국사의 중요성을 인식 → 우리나라 역사에도 정통론 제시

㉠ 이익 : 고금성패를 시세에 의해 결정

㉡ 정약용 : 물질면에서 역사의 진보를 논의

③ 한계점 : 여전히 상고주의 고수

(50)

① 실증적 방법으로 역사연구

② 사료비판을 통해 역사서술

③ 역사연구의 대상이 확대

④ 고대사 인식이 체계화 한반도 중심의 역사서술

(51)

⑥ 역사연구에서 지리의 중요성을 인식 → 유득공, 이종휘, 이익, 한치윤, 정약용

⑦ 강목체 형식으로 편찬한 역사책 - 안정복 '동사강목' → 대의명분이나 정통론 등의 사상성의 강조,

주자의 영향을 탈피 못함.

(52)

1. 개화기·한말의 역사교육

- 교육운동을 민족운동으로 인식

→ 민족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사교육 중시

1) 개화기

① 선교사계 학교에서 개화기의 역사교육 시작 → 일정한 교육과정이나 교수계획 없음

(53)

④ 인물에 대한 서술 많음 → 전통적인 교훈적 역사관,

⑤ 충의와 충효를 기초로 하는 전근대적인 역사의식

⑥ 자주의식을 높이는데 기여, 민족정신 일깨움

2) 한말

① 민족의식의 통제강화

② 학교교육에서 역사 폐지·축소

(54)

1)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① 한국인과 일본인에 대한 차별정책 ② 교육의 지침

㉠ 교육에 관한 칙어의 충량(忠良)한 국민을 육성 ㉡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맞도록 교수

㉢ 보통학교 교육기간 일본의 6년보다 짧은 4년,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설치 않음

(55)

일본사나 세계사의 주요 사실을 강조

㉥ 조선사 교육은 시행하지 않았으며, 민족정신을 가지게 할 우려가 있는 내용은 철저히 배제

③ 1919년 3·1운동 이후 ㉠ 식민지 통치정책을 변경

→ '문화정치'라는 조선인에 대한 유화정책

(56)

→ 명분뿐인 동화정책

② 역사교육

㉠ 한국사의 내용도

→ 일본사에 대한 종속적 의미로서만 다루어짐 ㉡ 식민사학보급 타율성과 정체성

㉢ 일선동조론에 따른 역사의식이 반영 ㉣ 일본 제국주의의 대외침략을 미화

(57)

② 황국신민화 교육 본격화

4)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 전시체제에 적합한 학교교육과 황국신민화

② 일본 국체의 본의를 깨닫고 국민정신을 함양

황국신민의 사명을 자각하여 실천에 옮길 수 있게 함

(58)

1. 해방∼교수요목기 1) 해방기

① 민족국가 건설을 열망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국사교육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음

② 가르칠만한 교재 없음

(일제 말 국어와 국사교육 전면적 폐지) ③ 1945년 12월 국민학교용 교재

이듬해 5월 중등학교 국사교재 발간

(59)

② 교과서

㉠ 교과서 부족 → 프린트물 or 필사

㉡ 왕조사 중심의 통사적 내용으로 구성 ㉢ 고대사 중시

㉣ 교과서서술에서 일제식민사학의 영향

(60)

서구 문명, 1·2차 세계대전, 평화운동 등을 주요 주제

㉡ 각 단원 밑에 주제를 설문식으로 제시

→ 미국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은 교수방법

(61)

㉠ 편제상으로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틀을 따름 ㉡ 지적 체계를 강조하는 철저한 분과주의 형태 ㉢ 교과 전체의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고

㉣ 교과에 속하는 각 과목간의 진술 체계도 통일 않됨 ㉤ 내용상 생활중심 교육과정 지향

→ 주입식 교육 탈피 표방

(62)

③ 교과서

㉠ 국사, 세계사 분리 서술 구석기와 청동기시대를 교과서의 선사시대서술에 포함

㉡ 조선후기 한국사회의 발전상황 포함 ㉢ 정부의 구체적인 시책 포함

→ 정권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결과 초래

(63)

㉠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을 표방 ㉡ 한국적 현실과 국가 정책적 의지 국적 있는 교육이 강조

② 역사과목

㉠ 중·고등학교 국사가 사회과에서 떨어져 나와 독립교과 ㉡ 국사과의 국사교육과 사회과 안의 세계사 교육으로 이원화

(64)

㉣ 고등학교 국사

→ 문화사 중심으로 시대적 성격이나 문화적 특성을 강조

③ 세계사

㉠ 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이해 중요도 인식

동·서양의 역사적 특성과 독자적 성격 중시

(65)

㉠ 종합적·복합적 성격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표방 ㉡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이념 포함

㉢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 강조 ㉣ 지식의 학문성뿐만 아니라 유용성 강조

② 역사교육

㉠ 국사과와 사회과 속의 세계사 교육이라는 이원적인 체제

(66)

③ 교과서

㉠ 상·하 2책으로 분책

㉡ 중학교 국사는 시대사 중심의 통사적 내용으로 구성 ㉢ 고등학교 국사는 사회·문화사 중심으로 내용 구성 ㉣ 고대사 서술을 둘러싼 논쟁

'일본의 역사왜곡사건' 식민사관의 잔재에 대한 비판

(67)

→ 역사 교과서의 이데올로기적 편양성에 대한 비판 ㉡ 역사교육이 정치적 예속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 인식 ㉢ 민족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불러일으킴

㉣ 정치사 외에 사회사나 생활사의 중요성 부각

(68)

㉠ 제4차 교육과정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 ㉡교육과정의 효율성을 강조

② 역사교과

㉠ 국사과와 사회과 속에 세계사라는 이원적 체제 ㉡ 국사교육의 경우는 학교급별 계열성 강화 꾀함

③세계사

㉠ 중학교 : 세계사와 국사의 내용상의 연계성을 도모

㉡ 고등학교 : 고·중세는 문화권 학습, 근·현대는 주제 중심

(69)

㉠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 ㉢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화 ② 역사교육

㉠ 국사과가 폐지 사회과 속에 통합

㉡ 별도의 교과서 사용, 별개의 수업 시수 편성

→ 구체적인 구상 없는 사회과 통합으로 많은 비판 → 역사교육의 약화로 역사교육계의 커다란 반발

→국사를 필수과목, 고등학교의 공통사회는 상·하 두 권 상권은 일반사회, 하권은 한국지리

(70)

㉠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심화선택과정으로 나눔 ㉡ 수준별 교육과정을 표방

→ 취지 : 교육의 다양화와 학생중심의 교육 → 비판 : 교육을 경제적 논리로서만 다룸 경쟁과 교육적 불평등을 심화 교육이 인간성 보다 기능 강조 수준별 교육과정은 탁상공론임

획일화 교육으로 학생들의 좌절감 증가

(71)

㉡ 2·3학년 간의 시수 균형이 무너짐 ㉢ 우리나라 역사와 우리생활의 폐지 ㉣ 정치사 중심의 통사적 구성

→ 중학교에서 사회경제사, 문화사 부분이 많이 빠짐 ㉤ 대단원 – 중단원 - 소단원 형식

→ 체제와 왕조 이름을 딴 단원명으로 환원

(72)

국사교육은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3개 학년을 계속하게 됨 → 계열화 어려움

㉡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한 분류사 체제를 취함

㉢ 각 단원을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의 4개 중단원으로 나누어 편성

(73)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 '시간·공간·그리고 인간'이라는 대단원으로 독립 역사학과 역사연구의 본질의 중요성 강조

㉢ 탐구단원을 두어 학생들이 탐구활동 가능케 함

㉣ 해당 시대의 성격을 논의하던 중단원은 내용의 빈곤과 배우기 어렵다는 이유로 삭제

(74)

-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75)

중학교 과정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한국사에 대한 기초적 이 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역사와 문화를 서로 관련지어 이 해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근・현대사를 중심으 로 세계사의 흐름 위에서 한국사를 주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76)

가. 우리나라와 세계 역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나. 현대와 가까운 과거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현대 세계와 우 리 국가와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확대한다.

다.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 제의식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른다.

라. 현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마. 다양한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다른 문화와 전통을 존 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77)

학년

영역 8학년 9학년 10학년(한국사)

한국사 영역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삼국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와 발해

◦고려의 성립과 발전

◦고려 사회의 변천

조선의 성립과 발전

◦조선 사회의 변동

◦근대 국가 수립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

◦우리 역사의 형성과 발전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동아시아의 변화와 조선의 근대 개혁 운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냉전 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대한민국의 발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세계화와 우리의 미래 세계사

영역

◦통일 제국의 형성과 세계 종교의 등장

◦다양한 문화권의 형성

◦교류의 확대와 전통 사회의 발전

◦산업화와 국민 국가의 형성

◦아시아・아프리카 민족 운동과 근대 국 가 수립 운동

◦현대 세계의 전개

(78)

‘동아시아사’ 과목은 공통 교육과정의 역사 영역에서 습득한 역사 이 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 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사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크게 몇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몇 개의 주제를 두어 지역 전체 를 비교,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우리가 속한 동아시아는 과거부터 지역 내 공동체 상호간의 긴밀한 교류를 통해 문자, 사상, 제도 등에서 나름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으 며,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역동적인 역사 및 지역 단위이다.

(79)

가.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동아시아 지역사를 파악하여 역 사를 주체적으로 이해하는 안목을 기른다.

나. 각 시기 사회와 문화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공통적이거나 연 관성 있는 요소를 주제별 접근 방식을 통해 이해한다.

다.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의 다양성을 탐구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타자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한다.

라. 각 시기에 전개된 교류와 갈등 요소를 탐구하여 문제 해결의 방 향을 모색하는 자세를 가진다.

마.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비교, 분석, 비판, 종합하는 활동을 통해 역 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킨다.

(80)

영 역 내용 요소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동아시아의 자연환경

◦선사 문화

◦농경과 목축

◦국가의 성립과 발전

인구 이동과 문화의 교류

◦지역 간 인구 이동과 전쟁

◦고대 불교, 율령과 유교에 기반을 둔 통치 체제

◦동아시아 국제 관계

생산력의 발전과 지배층의 교체

◦북방 민족

◦농업 생산력의 발전과 소농 경영

◦문신과 무인

◦성리학

국제 질서의 변화와 독자적 전통의 형성

◦17세기 전후 동아시아의 전쟁

◦은 유통과 교역망

◦인구 증가와 사회, 경제

◦서민 문화, 각국의 독자적 전통

국민 국가의 모색

◦개항과 근대 국민 국가 수립

◦제국주의 침략

◦민족주의와 민족 운동

◦평화를 지향한 노력

◦서구 문물의 수용과 변화

오늘날의 동아시아

◦전후 처리 문제

◦동아시아에서의 분단과 전쟁

◦각국의 경제 성장과 정치 발전

◦갈등과 화해

(81)

‘세계사’는 이러한 사회적, 교육적 요구에 부응하여 여러 지역의 독 특한 문화적 특징과 그 역사적 형성 과정을 비교의 관점에서 탐구할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간의 교류와 갈등을 통해 형성된 인류의 다양 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세계사’

는 역사적 사건은 물론, 현대 세계의 특징 및 쟁점들을 역사의 맥락 에서 탐구함으로써 역사적 탐구 방법을 익히고, 역사적 통찰력을 함 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과목이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세계사’는 개별 국가를 넘 어서서 지역 세계라는 새로운 단위를 설정하고, 여러 지역의 역사적 경험을 비교할 수 있는 주제, 각 지역 간의 상호 작용을 탐구할 수 있 는 주제, 그리고 현대 세계의 특징과 쟁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 는 주제를 선정하여 제시한다.

(82)

가.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 발전과 통치 체제, 경제 발전을 비교하고,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다양한 문화에 영향을 끼쳤던 종교와 사상을 중심으로 그 형성 및 확산 과정, 사회적․문화적 영향을 이해한다.

나. 지역 간 교류와 갈등을 통해 이루어진 경제적, 문화적 상호 작용의 전개 과정 을 시기별로 이해함으로써 세계적인 상호 의존성의 증대 과정을 역사적으로 이 해한다.

다. 획기적인 과학 기술의 발달, 민족 문제, 인종 문제, 계급 문제, 정치․경제․종 교적 대립과 갈등 등 현대 세계의 성격과 쟁점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탐구한 다.

라. 세계의 다양한 문화 특징을 이해하고, 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함양한다.

마. 다양한 역사 자료를 활용한 학습 활동을 통해 역사적 사고력을 신장시킨다.

(83)

수능과 한국사의 역사

1994학년도 수능부터 2004학년도 수능까지 탐구영역에서 국사가 필수과목으 로 출제

 2005학년도 수능부터 2013학년도 수능까지는 선택과목 체제인 7차 교육과정 에 따라 국사는 교육과정상 유일한 필수과목임에도 불구하고 사회탐구 영역의 여러 과목 중 하나로 선택과목이 됨.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4학년도 수능부터 2016학년도 수능까지도 마찬가지로 선택과목이었음.

그런데 2005학년도 수능부터 특정 대학이 국사(또는 한국사) 성적을 필수로 요구하였고 다른 과목에 비해서 학습량이 많다는 이유로 응시생은 격감하였음.

응시 집단이 우수하기 때문에 상대점수를 부여하는 표준점수제라는 점수 체제 와 맞물려 한국사 선택을 어렵게 만든 것임.

(84)

수능에서 한국사 수험생의 감소는 곧 한국사 교육의 약화로 인식되었고, 급기야 한국 사 교육 강화를 위한 ‘수능 필수화’ 주장으로 이어짐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잠시 선택과목이 되었던 고등학교 한국사는 여론의 지지에 힘입어 2011년 역사교육 강화 방안을 통해 필수과목의 지위를 회복하였음.

2013년 8월 역사교육 강화방안에서는 수능 한국사의 필수화를 검토하게 되었고, 그 해 10월 24일 ʻ대입전형 간소화 및 대입제도 발전방안ʼ에서 2017학년도 수능부터 ‘한 국사’의 필수과목과 절대평가 9등급 도입이 결정되었음.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교육부, 2014. 9. 2)을 통해 확정된 발표에 서는 ‘한국사’ 시험의 시험시간, 문항 수, 만점, 등급 분할 원점수 등이 확정됨.

2017 수능 ‘한국사’는 일부 수험생을 변별하는 것이 아닌 모든 수험생의 기초적인 소 양을 묻는 시험으로 변화됨. 수능 ‘한국사’가 사회탐구 영역에서 분리됨.

(85)

참조

관련 문서

전경을 배경으로부터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은 대상으로 부터 반사된 빛의 강도에 부분적으로

• Women speak and hear a language of connection and intimacy (Tannen), Personal Topics (Coates).. • Men speak and hear a language of status and independence

• For first language acquisition, there seems to be a critical period of the first five years, during which children must be exposed to rich input.. There is also

나는 아주 무척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 나는 짂짜 아주 무척

• Left temporal pole (BA 38) – Names of unique places. and person, but not

 When we refer to ‘blood sugar’, we actually mean the monosaccharide (simple sugar) glucose dissolved in

 합의에 의해 특정핚 글자나 소리의 조합이 우리에게 의미를 갖게 된 것이지 그 상징 자체가 본래부터 어떤 단어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던 것은

•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language influence cognition (perception, memory thought).. LRH의 강핚 입장을 지지핚다는 증거는 거의 없는 것처럼 보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