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해방이후 역사교육의 변천

문서에서 보편론 다원론 (페이지 47-85)

활용

Ⅲ. 해방이후 역사교육의 변천

1. 삼국∼ 조선전기의 역사교육

① 경사일체의 교육(經史一體) :

② 시대별 역사교육

㉠ 삼국시대 : 경서교육

㉡ 통일신라 : 국학 경서교육 , 독서삼품과, 5경 3사 ㉢ 고려 : 국자감, 사학12도

㉣ 조선 : 성리학적 유교이념에 입각한 역사교육 ㉤ 조선후기 : 역사교재 '동몽선습'이 서당에서 사용.

① 역사를 독자적인 학문분야로 인식 → 경사일체의 관념에서 탈피

② 화이관을 비판, 자국사의 중요성을 인식 → 우리나라 역사에도 정통론 제시

㉠ 이익 : 고금성패를 시세에 의해 결정

㉡ 정약용 : 물질면에서 역사의 진보를 논의

③ 한계점 : 여전히 상고주의 고수

① 실증적 방법으로 역사연구

② 사료비판을 통해 역사서술

③ 역사연구의 대상이 확대

④ 고대사 인식이 체계화 한반도 중심의 역사서술

⑥ 역사연구에서 지리의 중요성을 인식 → 유득공, 이종휘, 이익, 한치윤, 정약용

⑦ 강목체 형식으로 편찬한 역사책 - 안정복 '동사강목' → 대의명분이나 정통론 등의 사상성의 강조,

주자의 영향을 탈피 못함.

1. 개화기·한말의 역사교육

- 교육운동을 민족운동으로 인식

→ 민족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수단으로 역사교육 중시

1) 개화기

① 선교사계 학교에서 개화기의 역사교육 시작 → 일정한 교육과정이나 교수계획 없음

④ 인물에 대한 서술 많음 → 전통적인 교훈적 역사관,

⑤ 충의와 충효를 기초로 하는 전근대적인 역사의식

⑥ 자주의식을 높이는데 기여, 민족정신 일깨움

2) 한말

① 민족의식의 통제강화

② 학교교육에서 역사 폐지·축소

1)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① 한국인과 일본인에 대한 차별정책 ② 교육의 지침

㉠ 교육에 관한 칙어의 충량(忠良)한 국민을 육성 ㉡ 시세(時勢)와 민도(民度)에 맞도록 교수

㉢ 보통학교 교육기간 일본의 6년보다 짧은 4년,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은 설치 않음

일본사나 세계사의 주요 사실을 강조

㉥ 조선사 교육은 시행하지 않았으며, 민족정신을 가지게 할 우려가 있는 내용은 철저히 배제

③ 1919년 3·1운동 이후 ㉠ 식민지 통치정책을 변경

→ '문화정치'라는 조선인에 대한 유화정책

→ 명분뿐인 동화정책

② 역사교육

㉠ 한국사의 내용도

→ 일본사에 대한 종속적 의미로서만 다루어짐 ㉡ 식민사학보급 타율성과 정체성

㉢ 일선동조론에 따른 역사의식이 반영 ㉣ 일본 제국주의의 대외침략을 미화

② 황국신민화 교육 본격화

4) 제4차 조선교육령 시기

ⓛ 전시체제에 적합한 학교교육과 황국신민화

② 일본 국체의 본의를 깨닫고 국민정신을 함양

황국신민의 사명을 자각하여 실천에 옮길 수 있게 함

1. 해방∼교수요목기 1) 해방기

① 민족국가 건설을 열망하는 사회적 분위기 아래에서 국사교육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음

② 가르칠만한 교재 없음

(일제 말 국어와 국사교육 전면적 폐지) ③ 1945년 12월 국민학교용 교재

이듬해 5월 중등학교 국사교재 발간

② 교과서

㉠ 교과서 부족 → 프린트물 or 필사

㉡ 왕조사 중심의 통사적 내용으로 구성 ㉢ 고대사 중시

㉣ 교과서서술에서 일제식민사학의 영향

서구 문명, 1·2차 세계대전, 평화운동 등을 주요 주제

㉡ 각 단원 밑에 주제를 설문식으로 제시

→ 미국 진보주의 교육의 영향을 받은 교수방법

㉠ 편제상으로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틀을 따름 ㉡ 지적 체계를 강조하는 철저한 분과주의 형태 ㉢ 교과 전체의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고

㉣ 교과에 속하는 각 과목간의 진술 체계도 통일 않됨 ㉤ 내용상 생활중심 교육과정 지향

→ 주입식 교육 탈피 표방

③ 교과서

㉠ 국사, 세계사 분리 서술 구석기와 청동기시대를 교과서의 선사시대서술에 포함

㉡ 조선후기 한국사회의 발전상황 포함 ㉢ 정부의 구체적인 시책 포함

→ 정권의 홍보 수단으로 이용되는 결과 초래

㉠ 국민교육헌장 이념의 구현을 표방 ㉡ 한국적 현실과 국가 정책적 의지 국적 있는 교육이 강조

② 역사과목

㉠ 중·고등학교 국사가 사회과에서 떨어져 나와 독립교과 ㉡ 국사과의 국사교육과 사회과 안의 세계사 교육으로 이원화

㉣ 고등학교 국사

→ 문화사 중심으로 시대적 성격이나 문화적 특성을 강조

③ 세계사

㉠ 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이해 중요도 인식

동·서양의 역사적 특성과 독자적 성격 중시

㉠ 종합적·복합적 성격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표방 ㉡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이념 포함

㉢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 강조 ㉣ 지식의 학문성뿐만 아니라 유용성 강조

② 역사교육

㉠ 국사과와 사회과 속의 세계사 교육이라는 이원적인 체제

③ 교과서

㉠ 상·하 2책으로 분책

㉡ 중학교 국사는 시대사 중심의 통사적 내용으로 구성 ㉢ 고등학교 국사는 사회·문화사 중심으로 내용 구성 ㉣ 고대사 서술을 둘러싼 논쟁

'일본의 역사왜곡사건' 식민사관의 잔재에 대한 비판

→ 역사 교과서의 이데올로기적 편양성에 대한 비판 ㉡ 역사교육이 정치적 예속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 인식 ㉢ 민족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 불러일으킴

㉣ 정치사 외에 사회사나 생활사의 중요성 부각

㉠ 제4차 교육과정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 ㉡교육과정의 효율성을 강조

② 역사교과

㉠ 국사과와 사회과 속에 세계사라는 이원적 체제 ㉡ 국사교육의 경우는 학교급별 계열성 강화 꾀함

③세계사

㉠ 중학교 : 세계사와 국사의 내용상의 연계성을 도모

㉡ 고등학교 : 고·중세는 문화권 학습, 근·현대는 주제 중심

㉠ 교육과정 결정의 분권화 ㉡교육과정 구조의 다양화 ㉢ 교육과정 내용의 적정화 ㉣교육과정 운영의 효율화 ② 역사교육

㉠ 국사과가 폐지 사회과 속에 통합

㉡ 별도의 교과서 사용, 별개의 수업 시수 편성

→ 구체적인 구상 없는 사회과 통합으로 많은 비판 → 역사교육의 약화로 역사교육계의 커다란 반발

→국사를 필수과목, 고등학교의 공통사회는 상·하 두 권 상권은 일반사회, 하권은 한국지리

㉠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심화선택과정으로 나눔 ㉡ 수준별 교육과정을 표방

→ 취지 : 교육의 다양화와 학생중심의 교육 → 비판 : 교육을 경제적 논리로서만 다룸 경쟁과 교육적 불평등을 심화 교육이 인간성 보다 기능 강조 수준별 교육과정은 탁상공론임

획일화 교육으로 학생들의 좌절감 증가

㉡ 2·3학년 간의 시수 균형이 무너짐 ㉢ 우리나라 역사와 우리생활의 폐지 ㉣ 정치사 중심의 통사적 구성

→ 중학교에서 사회경제사, 문화사 부분이 많이 빠짐 ㉤ 대단원 – 중단원 - 소단원 형식

→ 체제와 왕조 이름을 딴 단원명으로 환원

국사교육은 중학교 2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3개 학년을 계속하게 됨 → 계열화 어려움

㉡ 전근대사를 중심으로 한 분류사 체제를 취함

㉢ 각 단원을 고대, 중세, 근세, 근·현대의 4개 중단원으로 나누어 편성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2009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 '시간·공간·그리고 인간'이라는 대단원으로 독립 역사학과 역사연구의 본질의 중요성 강조

㉢ 탐구단원을 두어 학생들이 탐구활동 가능케 함

㉣ 해당 시대의 성격을 논의하던 중단원은 내용의 빈곤과 배우기 어렵다는 이유로 삭제

-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중학교 과정에서는 초등학교에서 학습한 한국사에 대한 기초적 이 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와 세계의 역사와 문화를 서로 관련지어 이 해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근・현대사를 중심으 로 세계사의 흐름 위에서 한국사를 주체적으로 파악하도록 한다.

가. 우리나라와 세계 역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한다.

나. 현대와 가까운 과거에 대한 이해를 심화함으로써 현대 세계와 우 리 국가와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확대한다.

다. 다양한 역사적 자료를 탐구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스스로 문 제의식을 가지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기른다.

라. 현대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그 의미와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마. 다양한 삶의 방식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다른 문화와 전통을 존 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학년

영역 8학년 9학년 10학년(한국사)

한국사 영역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삼국의 성립과 발전

◦통일 신라와 발해

◦고려의 성립과 발전

◦고려 사회의 변천

조선의 성립과 발전

◦조선 사회의 변동

◦근대 국가 수립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

◦우리 역사의 형성과 발전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동아시아의 변화와 조선의 근대 개혁 운

◦근대 국가 수립 운동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

일제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전체주의의 대두와 민족 운동의 발전

◦냉전 체제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대한민국의 발전과 국제 정세의 변화

◦세계화와 우리의 미래 세계사

영역

◦통일 제국의 형성과 세계 종교의 등장

◦다양한 문화권의 형성

◦교류의 확대와 전통 사회의 발전

◦산업화와 국민 국가의 형성

◦아시아・아프리카 민족 운동과 근대 국 가 수립 운동

◦현대 세계의 전개

‘동아시아사’ 과목은 공통 교육과정의 역사 영역에서 습득한 역사 이 해와 인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 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사회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크게 몇 시기로 나누고, 각 시기별로 몇 개의 주제를 두어 지역 전체 를 비교, 조망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우리가 속한 동아시아는 과거부터 지역 내 공동체 상호간의 긴밀한 교류를 통해 문자, 사상, 제도 등에서 나름의 정체성을 형성해 왔으 며,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되고 있는 역동적인 역사 및 지역 단위이다.

문서에서 보편론 다원론 (페이지 47-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