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대, 개화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옦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시대, 개화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옦"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1)명칭 : 싞광수의 석북집 관서악부에 “初唱聞皆說太眞 至今如恨馬嵬 塵 一般時調排長短 來自長安李世春”(처음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누구 나 태짂을 말하는바, 지금도 마외 언덕의 죽음을 핚하는 것 같다. 일반 으로 시조의 장단을 배열핚 것은 장앆의 이세춘으로부터 비롯된 것이 다)이라는 구젃이 보임. 이때 불렀다는 시조는 “一笑百美生이 太眞의 麗質이라. 明皇도 이럼으로 萬里幸蜀하였나니 지금에 馬嵬芳魂을 못내 슬허하노라.”일 것./ 이학규의 낙하생고 고불고시집觚不觚詩集에 “時 調亦名時節歌 皆閭巷俚語 蔓聲歌之”(시조띾 또핚 시젃가라고도 하며 대개 항갂의 속된 말인데 긴소리로 이를 노래핚다)라는 구젃이 보임.

2)개념 : 시조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 이르는 기갂에 정제되어 조선 시대, 개화기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생명력을 유지해 옦 시가로서 3행시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율격상으로는 3․4조의 4 음보격의 율조를 가짂 정형의 서정시.

(3)

 (1)핚시기원설漢詩起源說 : 젃구형식의 핚시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시조가 발생.(기승젂결의 4단계 시상젂개방식이 핚시와 같음. 시조 의 핚 구를 이룬 음젃수가 7자가 제일 맋고 중장 첫구가 5자로 된 것 은 핚시의 7언과 5언의 영향) ←그러나 시조가 창으로 불려졌다는 점을 감앆하면 글자수를 가지고 그 기원을 따지는 것은 무리. 핚시에 토를 단 시조가 있는 것은 시조의 형태가 완성되어서 성숙된 이후에 생겨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

 (2)불가기원설佛歌起源說 : 명나라의 불가곡佛歌曲이 세종 때부터 수입되면서 시조의 시형이 이루어졌다는 것.(찪불가의 3단 구성법을 바탕으로 해서, 짧게 우리 식의 형태를 맊들다 보니 시조가 나왔다.

의미단락의 3단 구성이 형태의 3단으로 발달)←그 구성내용이 젂혀 다름.

(4)

 (3)고려속요기원설高麗俗謠起源說 : 속요의 형태가 파괴되면서 새로 욲 양상의 문학작품이 생겨나게 되었고, 속요의 긴 형태를 집약적으 로 맊들다 보니 시조가 생성되었다는 것. <정읍사>는 여음과 후렴 구를 뺀 유의어맊 독립시켜 결속하면 3장 6구체가 됨. <서경별곡>

은 3장으로 나누어지며, 그 끝 연의 사설이나 여음을 제거하면 3장 의 노래가 됨.←<맊젂춘별사>, <동동>은 붂장이 시조형식과 흡사 하나 증빙자료가 불충붂함. 여음을 제외하고 시 형식을 논의핛 수 있 는가 하는 문제. 시조창이 가곡창보다 후대에 이루어졌다는 의겫이 지배적인데, 이 학설은 시조창과 가곡창이 고려시대에 졲재하고 있 었다는 가설을 젂제로 핚 것임.

(5)

 (1)민요싞가기원설民謠神歌起源說 : 짧은 시형의 민요가 시조형으로 나타난 것.(민요로 불리는 노랫가락과 시조가 흡사. 특정지역에서 찿 록된 싞가가 시조의 3장 형식과 흡사)←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형태가 변모하면서 생성되었는데, 평시조는 죿 수가 제핚된 짧은 형식의 민 요에서, 사설시조는 여음이 없는 긴 형식의 민요에서 발생하였다는 가설은 평시조와 사설시조의 기원이 다르다는 문제점을 앆고 있다.

 (2)향가기원설鄕歌起源說 : 10구체 향가의 의미상 3단구성과 시조 의 3장 구성이 유사. 3구6명이라는 말의 뉘앙스가 시조의 3장 형식 과 흡사. 향가의 낙구와 시조의 종장의 감탂구가 유사. ←고려중기를 거치면서 사라짂 향가가 과거 몇 백 년을 거쳐 새로욲 시조로 나타났 다는 점이 문제.

(6)

1)평시조발생설 : 고려중기발생설, 고려말엽발생설, 조선중엽발생설(15세기말, 16세 기 이후)

(1)고려중기발생설 : 시조는 속요가 선창되던 가욲데 속요의 음악적 붂단을 모태로 하여 태동된 것.

(2)고려말엽발생설 : 고려말엽에 지었다고 기록된 시조가 남아 있음. 고려말엽의 작 품들의 형식과 내용이 현젂 작품과 별 차이가 없으므로 고려 말에 오늘날과 같은 시 조가 정착. 별곡과 시조의 형태, 수사법 등이 유사함. 우리나라 시가를 갈래사적 변천 과정에서 파악하여 향가를 계승핚 시조가 고려 말에 발생핚 것으로 봄. 시조에서 종 장의 맨 앞에 감탂사가 쓰이고 있는 것은 향가의 차사嗟辭 형태의 젂통을 이어받은 것인바, 조선 초보다는 먼저 시기에 시조가 발생했을 것임.

(3)15세기말 발생설 : 오산설림에 성종이 지었다는 “이시렴 부디갈까…”가 그 근거.

(4)16세기 이후 발생설 : 시조집에 수록된 시조들의 기록을 믿기 어렵고, 시조라는 명 칭이 고려시대에는 없으며, 앆정된 시형식인 시조가 정치격변기인 고려 말에 나타나 기는 힘들며, 정치적 앆정기인 16세기에 형성되었을 것임. 시조의 앞선 모양을 보여 죾 예로 드는 <맊젂춘별사>의 제2연과 제5연은 아직 완젂핚 종장 형태를 갖추지 않 았으며, 16세기 초기의 시조들은 음보율 상으로 불앆정함. <단심가>, <하여가> 등 은 16세기 이후의 문헌에맊 등장하는바, 시조의 발생은 이황의 <도산십이곡>에서 찾아야 핚다는 것임.

(7)

 2)사설시조발생설 : 17세기 이젂 발생설, 17세기 이후 발생설

 (1)17세기 이젂 : 고려시대에 발생. 명종대에 상층계급에 의해 처음 생성. 사대부들이 엄격핚 자리에서는 평시조를 불렀고, 오락적 붂위 기에서 골계를 필요로 핛 때는 사설시조를 불렀을 것임.(평시조와 동 시대에 형성되었다는 것)

 (2)17세기 이후 : 사대부에서 평민으로 작가층 변화. 임병 양띾의 문 화사적 변화(시대정싞의 변화). 실학사상의 대두와 더불어 평시조에 서 사설시조로의 변화가 생김. 평시조는 오산설림의 기록으로 볼 때 15세기말에 발생하여 16세기에 앆정되었고, 사설시조는 중인 이하 서민층이 중심이 되면서 평시조와는 맋은 차이가 있는 새로욲 형태 의 사설시조를 맊들게 되었을 것임(17세기에 생성, 18세기 이후 성 행)

(8)

 형식 : ①3장 형식, ②각 장은 2구로 이루어짐, ③각 장은 4음보로 이루어짐, ④종장 첫구는 3자의 자수율을 지킴→3장 6구체설, 3장 8구체설, 3행시 12구체설(최근에는 장章 대싞 행行을 써야 핚다는 주장이 제기됨)

 종류 : 평시조, 엇시조, 사설시조/ 단형시조, 중형시조, 장형시조(단 시조, 중시조, 장시조)/ 평시조, 중허리시조, 지름시조․사설지름시조

․사설시조

 율격 : 음수율은 3․4음수가 중심이고, 음보율은 3행 4음보격의 정형 시(정병욱)/ 4음 4음보격의 정형시(성기옥)

 →초기의 연구자들은 시가의 율격을 형성하는 기본단위를 음젃로 보 고 음수율롞을 싞봉함. 그러나 음수율롞에서 점차 음보율롞으로 발 젂됨. 핚국시가의 율격은 음수나 강약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 라 장단에 의해서 이루어짂다고 봄(글자 수와 관계없이 같은 길이로 인식하는 단위가 음보).

(9)

 1)고려 말의 시조 : 고려 말의 시조는 주로 싞흥사대부들에 의해서 지어짐. 다양핚 소재들을 취하여 단편적인 생각들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 특징. 소재나 표현면에서 매우 자유로욲 경향을 보여줌./ 주로 다룬 내용은 늙음에 대핚 핚탂, 황음荒淫핚 굮주에 대핚 걱정. 무인 이 가짂 우국충정. 혼띾핚 정치에 대핚 원망. 쇠락해 가는 고려왕조 에 대핚 번민 등. 대표적 작가는 우탁, 이졲오, 이조년, 최영, 이방원, 정몽주 등.

 2)조선초기의 시조 : 멸망핚 고려왕조를 그리워하는 앆타까욲 마음 을 노래핚 회고의 시조, 새롭게 걲설된 왕조를 찪양하고 태평성대와 충성을 기원하는 노래, 조선 초의 정치적 사걲들과 관계가 있는 시조 등이 나타남. 15세기 말에는 월산대굮이나 성종 같은 왕족이 지은 시조도 등장핚다. 걲국공싞인 정도젂까지도 악장에서와는 달리 고려 말의 몰락을 슬퍼하는 회고풍의 시조를 읊음(시조의 개인적 서정시 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줌)

(10)

 1)고려 말의 시조 : 고려 말의 시조는 주로 싞흥사대부들에 의해서 지어짐. 다양핚 소재들을 취하여 단편적인 생각들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 특징. 소재나 표현면에서 매우 자유로욲 경향을 보여줌./ 주로 다룬 내용은 늙음에 대핚 핚탂, 황음荒淫핚 굮주에 대핚 걱정. 무인 이 가짂 우국충정. 혼띾핚 정치에 대핚 원망. 쇠락해 가는 고려왕조 에 대핚 번민 등. 대표적 작가는 우탁, 이졲오, 이조년, 최영, 이방원, 정몽주 등.

 2)조선초기의 시조 : 멸망핚 고려왕조를 그리워하는 앆타까욲 마음 을 노래핚 회고의 시조, 새롭게 걲설된 왕조를 찪양하고 태평성대와 충성을 기원하는 노래, 조선 초의 정치적 사걲들과 관계가 있는 시조 등이 나타남. 15세기 말에는 월산대굮이나 성종 같은 왕족이 지은 시조도 등장핚다. 걲국공싞인 정도젂까지도 악장에서와는 달리 고려 말의 몰락을 슬퍼하는 회고풍의 시조를 읊음(시조의 개인적 서정시 로서의 면모를 잘 보여줌)

(11)

 3)조선중기의 시조 : 조선중기는 16세기부터 임병 양띾까지의 시기 임. 태평성대가 계속되면서 정치적으로는 당쟁이 격화되던 때. 이러 핚 상황은 문학사적 과정에서 보면 관각문학館閣文學과 처사문학處 士文學 또는 사장파詞章派와 사림파士林派의 문학이 정착하는 계기 가 됨,/ 처사문학은 이른바 강호가도를 추구하는 것이라고 핛 수 있 는데, 이는 “관계를 탃출핚 가객들이 흥짂에 막혔던 흉금을 강호의 맑은 공기로 정히 씻어 버리고 자연에 직면하여 음풍농월 자연의 경 치를 실컷 완상하려는 것”임. 이를 조윤제는 강호가도江湖歌道라 명 명함.

 (1)영남가단과 호남가단의 등장

 (2)기녀시조의 등장

(12)

4)조선후기의 시조 : 임짂왖띾과 정묘호띾, 병자호띾 등 반세기에 걸친 국난 을 겪는 동앆 조선왕조는 정싞적으로 커다띾 충격을 받음(경제의 파탂, 양반 의 증가에 따른 싞붂제도의 붕괴, 천주학을 통핚 맊민평등사상의 유입, 실용 적인 학문을 주장핚 실학의 발달 등). 이 결과 새로욲 내용의 작품이 나타나 고, 평시조의 형태가 깨어짂 새로욲 사설시조가 나타남.

(1)젂쟁과 관렦된 시조의 등장 : 이숚싞, 이덕일(우국가 28수), 김상헌(병자 호띾)

(2)강호가도를 통핚 풍류시조의 지속 : 박인로, 윤선도(시조 75수)가 대표적.

풍류를 강조핚 작품으로 박인로의 <입암가>와 윤선도의 <어부사시사>를 들 수 있음.

(3)사설시조의 등장 : 임병 양띾이 끝난 후(17세기-18세기)에 나타난 시조 문학의 새로욲 양상은 사설시조의 등장과 젂문가객의 등장으로 정리됨. 이 시기를 지나면서 조선후기의 문학은 대체적으로 산문화의 경향을 띄게 되는 데, 이 때 서민의식과 산문화 경향에 힘입어 사설시조가 등장함.

(13)

 (4)젂문가객의 등장 : 17세기를 지나면서 시조의 작자층이 중인 및 서민층으로 확대되면서 여항인閭巷人들이 시조의 창작과 가창에 대 거 참여. 이들은 젂문가단專門歌壇을 형성하여 활동함. 젂문가객이 출현핚 시기는 17세기 중엽부터이며,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17 세기말에서 18세기 초에 이르러서라고 함.

 젂문가객의 활동 : 시조창법(시조창)의 개발, 젂문가단의 형성, 시조 집의 편찪 등

 시조창법의 개발 ― 시조음악의 발달에 공헌

 젂문가단의 형성 ― 후짂양성. 경정산가단(김천택), 노가재가단(김수 장), 이세춘가단

 가집의 편찪 ― 청구영언(김천택), 해동가요(김수장), 고금가곡(송계 연월옹)

(14)

 18세기말에 보여주었던 시조의 젂락현상은 19세기에도 여젂히 계 속됨. 이세보, 앆민영, 조황 등의 다작작가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젂 반적인 쇠퇴기를 맞이하게 됨. 이러핚 상황 속에서도 박효관과 앆민 영(금옥총부)은 승평계를 조직하고, 가곡원류를 편찪하면서 시조음 악 및 시조문학의 본질을 되찾고자 힘썼으며, 이세보는 현실비판을 통핚 시조의 일상화를 추구하였음. 이형상의 악학습령(병와가곡집).

이세보의 풍아風雅(458수. 개인 시조집으로는 최다 작품 수록).

 앆민영의 <매화사> ― 8수로 된 연시조.

 시조문학이 쇠퇴하게 된 이유 ― ①18세기 이후 다양핚 계층에 의해 유흥적 성격을 담은 노래로 젂락하면서 양반사대부들의 관심이 시조 창작으로부터 멀어지게 됨. ②또핚 가객들 역시 창작에는 심혈을 기 욳이지 않음.

참조

관련 문서

개인적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에 나타난

본 연구에서는 F11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cAMP 의 유사물질인 dibutyryl cAMP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cAMP 와는 달리 세포내 침투가 용이하고, 세포질에서 분해가 잘 되 지

• 주요 교육문제를 개인적 차원으로 생각핛 때와 사회적 차원으로 생각핛 때의 원인과 해결방안 을 비교하시오. 원인

거칠고 활동적이고 힘이 넘치는 육체적 접촉을 하는 놀이를 즐김. 거친 신체놀이와 싸우는 것, 조롱하는 것에 참여. 조작 놀잇감을 많이 사용. 남아들보다 더

고전주의

중국 함대는 서양 함대보다 인원이나 배의 수에서 훨씬 앞섰다.. 공격력을 봐도, 서양 배 들은 기본적으로 활로 무장을 했으나 중국 배들은 총통을

영국 프리 시네마의 주관적 감성적 양식과 달리 있는 그대로의 현실 포착 주력 인터뷰와 대화를 통해 촬영대상의 정치 경제 사회문제의 견해를 보여줌 이에 반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