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쉬빙의 문자 작품에 내재된 기호적 특성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쉬빙의 문자 작품에 내재된 기호적 특성 연구"

Copied!
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1.08.10 심사기간_2021.09.01-14 게재확정일_2021.10.08 DOI https://doi.org/10.47294/KSBDA.22.5.37

쉬빙의 문자 작품에 내재된 기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Xu Bing’s Text-Based Work

조연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차영순(교신저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Cho, Yuhn Kyung_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Cha, Young Soon(Corresponding author)_Division of Art &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2. 문자와 기호에 관한 고찰 2.1. 문자와 기호

2.2. 기호 이론

3. 쉬빙의 작품에 대한 기호적 해석 3.1. 해체와 재구성의 의미작용 3.2. 단일 기호로서 표의문자 3.3. 의사소통의 기호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2)

쉬빙의 문자 작품에 내재된 기호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Xu Bing’s Text-Based Work

조연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차영순(교신저자), 이화여자대학교 조형예술학부 Cho, Yuhn Kyung_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

Cha, Young Soon(Corresponding author)_Division of Art & Design, Ewha Womans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쉬빙 문자 기호 소쉬르 의미작용

본 논문은 현대미술에서 문자의 기호 역할과 의미작용의 연구를 위해 쉬빙의 문자 작품 중에서 문자 를 소재로 사용한 작품을 주목하고, 작품에 내재한 특징을 기호에 대한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기호 학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의미작용 과정에 의해 문자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자와 기호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문자의 기원을 비롯한 문 자의 변화 과정과 기호의 개념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다음으로, 소쉬르와 퍼스의 이론을 살펴봄으로 써 기호학의 주요 내용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쉬빙의 작품 중 문자를 이용한 작품을 대상으로 삼아 기호학의 이론에 근거하여 문자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의 특징을 기호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호학 이론은 언어라는 기호를 다루고 있으므로 쉬빙의 작품을 언어로 해석하는데 유용한 개념을 제공하였다. 둘째, 문자는 체계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의미작용의 과정에서 기호의 무한한 확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상형문자인 한자는 본질적으로 기호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므로 단일 기호로 활용이 가능하고, 시각기 호의 표현에 효과적이었다. 넷째, 보편적 기호들로 구축한 문법 체계는 개인의 경험 차이에 의해 다양 한 의미작용이 생성되었다. 또한 기호학의 틀로 쉬빙의 작품이 드러내고 있는 기호화 과정을 통해 작 품 속의 문자가 갖고 있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었다. 기호학의 기호와 시각예술의 기호는 분명 다르지 만 이 두 기호의 간극을 좁히고, 기호학의 의미작용과정을 통해 시각기호를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것에 본 논문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ABSTRACT

Keywords Xu Bing text sign Saussure signification

In order to study the role of texts as signs and their signification in contemporary art, this study took notice of works that used texts as materials among Xu Bing's works and analyze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sig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ext works by the signification process based on the semiotic theo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changes in texts including the origin of texts and the concept of signs will be examined. Next, the main contents of semiotics will be grasped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aussure and Peirce.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signs appearing in text works will be approached and analyzed from a semiotic viewpoint based on the theory of semiotics with the works that used texts among Xu Bing's work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semiotic theories deal with the signs termed language, they provided a useful concept for interpreting Xu Bing's works in language.

Second, it could be identified that signs can be infinitely expanded in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through the dissolu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ext system. Third, since Chinese characters, which are hieroglyphics, essentiall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they could be used as single signs and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visual signs. Fourth, in the grammatical system constructed with universal symbols, various meanings were created due to differences in individuals experience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meanings of the texts in the works through the process of signification revealed by Xu Bing's works as a framework for semiotics. The signs in semiotics and those in visual art are clearly different, and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in that it narrowed the gap between these two different signs and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visual signs through the signification process of semiotics.

(3)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현대는 디지털 환경의 등장, 영향으로 인하여 언어의 시각화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인간은 사회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에 의해 인간관계를 창출한다. 의사소통 방법은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기호가 요구되는 새로운 현상이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말-언어, 문자-텍스트, 그림을 위시한 시각언어 등의 의사소통 방식, 의사소통 도구의 기호화 현상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그중 문자는 그 원초적 역할을 가장 견고히 지키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해석과 함께, 적어도 본 논문이 다루고 있는 쉬빙의 작품에서는 문화적, 예술적, 기호적 의미를 띠게 됨이 주목할 사항이다.

쉬빙은 문자의 해체를 통해 문자 기호에 관하여 다양한 실험을 하며 예술의 지평을 넓혀 온 작가이다. 쉬빙은 1997년과 2006년 두 번에 걸쳐 광주비엔날레 전시에 참여하며 국내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기존에 발표한 쉬빙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후반부터 시작했는데 2010년 대 이후 본격적인 논문의 주제로 다룬 여러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연대순으로 볼 때, 노동이라는 측면, 지역적 경계와 문화 정체성, 문화 정치적 의미, 타이포 그래피적 특성, 양면성을 통해 본 문자 연구, 포스트 식민주의적 비평, 한자와 설치예술 등을 주제로 하였다. 그에 대한 평가는, 그가 미국 이주 생활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흔히 중국의 전통 문화와 정치적 관점에 한정되곤 한다. 그러나 본 연구자는 문화 정치적으로 치우치지 않은 시각 에서 그의 작업을 해석하고자 하며, 우리나라에서 행해진, 기호학적 관점에서 쉬빙을 다룬 기존 의 연구들 대부분은 퍼스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바, 본 논문은 소쉬르의 기호학을 중심으 로 접근할 것이다.

기호학의 발전으로 인해 소쉬르의 주장에 한계점이 드러나기도 하지만 그의 이론이 기호학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소쉬르의 이론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한 시점이라 판단하였다. 또한 소쉬르가 주장한 언어 측면의 기호에 대한 개념은 문자 기호의 의사소통 역할과 의미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번 논문을 통해 쉬빙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를 기호학 이론을 바탕으로 언어적 특성을 고찰하 고, 문자 기호의 역할과 기능을 확인하는 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겠다.

1.2. 연구의 방법

쉬빙의 문자 작품을 기호적 측면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기 위한 연구의 범위와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범위는 1980년대 말부터 2000년도 중반까지 쉬빙의 문자 작품을 대상으 로 한다. <천서(天書 Book from the Sky)>, <네모 글자 입문서(An introduction to Square Word Calligraphy)>, <풍경문자(Landscript)> 시리즈 그리고 <지서(地書 Book from the Ground)> 프로젝트를 위주로 한 문자 작품을 범위로 한다. 경우에 따라 필요한 작품을 추가로 제시할 것이다. 작품의 제작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인터넷 홈페이지와 관련 서적을 기본으로 하고, 이외에 쉬빙에 관한 논문을 참고하도록 한다.

연구의 방법은 언어를 대상으로 한 기호학의 의미작용에 초점을 맞추어 쉬빙의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먼저, 문자와 기호의 관계 정립을 위해 문자의 기원과 문자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다음 으로, 기호의 전통적인 중심이론인 소쉬르와 퍼스가 주장한 기호학의 기본 개념을 정리하겠다.

마지막으로, 앞서 살펴본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에 중점을 두고 기호적 관점에서 쉬빙의 문자 작품을 분석할 것이다. 소쉬르의 기호학은 언어학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에 문자 기호를 의사 소통의 도구로 이해하고, 의미작용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명료한 개념을 제공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쉬빙의 작품에 나타난 시각기호를 기호적 관점으로 분석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

2. 문자와 기호에 관한 고찰 2.1. 문자와 기호

인류가 존재하는 동안 선, 기호, 그림 등 여러 가지 간단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있었다. 인간은 약 2만 2천 년 전 라스코를 비롯한 여러 동굴의 벽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약 1만 7천 년 후 역사상 가장 뛰어난 업적으로 여겨지는 문자를 만들어냈다. 지금까지 밝혀진 사실에 의하 면, 인간이 사용한 최초의 문자는 우루크 대신전 단지에서 출토된 농축산물 수확량의 기록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전 4천 년 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진흙 판은 곡식의 포대와 가축의 수를 새긴 것이다. 메소포타미아는 남쪽 지역인 수메르와 북쪽 지역인 아카드로 나뉘는데 남쪽 의 수메르인들은 큰 도시 문명을 이루면서 저수지와 농기구를 만들고 상거래를 위해 은화를 사용했다. 이들은 설형문자도 만들었는데 이때를 인류 역사에서 문자사용의 시작으로 본다 (Jean, 1987/2008).

문자의 시작을 동굴벽화가 아닌 수메르인의 진흙 판으로 판단하는 이유는 이것이 의사소통의

‘기호’로 기록된, 잔존하는 최고의 사례이기 때문이다(Dürschid, 2007). 당시 농축산물 수확량 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기호 목록의 발굴이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이다.

문자는 그림의 형태에서 벗어나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기호화 과정을 거쳐 점차 변했다. 또한 진흙 판에 곡선을 새기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이유에서 비롯한 문자의 직선 선호 현상은 문자 체계의 발달을 가속했다. 숫자를 기록하는 수단으로 시작했던 문자는 후대로 넘어오면서 역사 적인 사건이나 계약을 기록하기 위한 도구로 쓰였고, 의사소통의 수단으로 지금까지 이어오고 있다.

문자는 소리를 기록하는 도구로서 일정한 규칙을 지닌 기호이다. 인간은 기호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타인과 주고받는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문자의 사전적 정의는 “인간의 의사소통 을 위한 시각적인 기호”(국립국어원 [NIKL], 1999, p.2288)이다. 기호는 어떠한 뜻을 나타내 기 위하여 쓰이는 부호, 문자, 표지 등의 통칭이다. 오늘날 기호는 인간이 만들어낸 모든 사회문 화적 생산물을 의미한다. 기호는 어떤 대상이 특정한 의미와 결합하면서 인식되는데 인간의 모든 행위와 생산물 또한 인식되고 해석되기 때문에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즉, 기호는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모든 것이며 일상 속에서 마주하는 모든 것은 기호가 될 수 있다. 기호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광범위하게 자리 잡고 있다. 주변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도로교통 표지판이나 화장실 안내표시 또는 어떤 신적인 존재와 같이 현실에 사물로 존재하지 않지만 이미 알고 있는 관념도 기호가 될 수 있다(Joen, D., 2005).

문자는 청각의 요소를 시각의 대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문자는 시각적인 측면에서 강조되기 때문에 견고하고 통일성 있는 형태를 지닌다. 문자는 발화된 단어를 시각화한 표현이고, 일반적 으로 명료하고 지속적이다. 결과적으로 문자는 시각적으로 객관화하는 형태를 지닌 기호의 기 능을 내포한다.

2.2. 기호 이론

언어기호의 개념에서 출발한 기호학은 1960년대 들어 의미작용을 연구하는 분야로 정착했다 가 오늘날의 기호학(semiotics)은 의사소통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장되고 있다. 현대 기호학 은 인간 사회의 모든 현상을 기호로 보고, 그것에 대한 의미작용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 기호들은 언어를 문법적 요소 간의 관계를 통해 파악해야 하는 기호체계이며 사회, 문화적 코드에 의해 설명된다.

기호학은 두 가지의 큰 흐름이 있는데 하나는 의미작용을 중요시하는 소쉬르의 이론이고 다른 하나는 기호화 과정을 중요시하는 퍼스의 이론이다. 스위스 언어학자인 페르디낭드 드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 1857-1913)는 언어를 기호학이라는 학문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 제시하였다. 그는 기호학을 “사회생활 내에서 기호의 삶을 연구하는 과학 (Saussure, 1916, p.33)”으로 정의하였는데 소쉬르의 중심이론은 ‘기표와 기의’, ‘랑그와 파롤’

등의 이분법적 해석을 통해 나타난다.

(5)

소쉬르는 기호를 기표와 기의의 결합으로 보고, 이 두 요소의 의미작용(signification)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뤄진다고 설명하였다. ‘기표’, 즉 시니피앙(signifiant/signifier)은 청각영상을 의 미하고 ‘기의’, 즉 시니피에(signifié/signified)는 개념에 해당한다.

‘랑그(langue)’는 언어의 규칙에 해당하는 문법 체계이다. 이 규칙은 언어인 ‘파롤(parole)’의 바탕이 된다. 랑그는 공통적이고 사회적이며, 파롤은 개인적이라 할 수 있다. 소쉬르의 기호는 일정한 순서나 연결 방식에 의해 순차적으로 제시되는데 이것이 기호의 ‘선형성(linearity)’이 다(Choi, Y., 2000). 또한 소쉬르는 동일한 개념을 여러 언어로 표현한다는 사실을 통해 기표와 기의가 자의적인 관계임을 설명하였다. 그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기의로서의 황소를 기표로 표현함에 있어 각 문화권, 언어권에 따라 상이해진다. 프랑스어를 쓰는 지방에서는 ‘boeuf [b-ö-f]’를, 독일어권에서는 ‘ochse [o-k-s-e]’를 기표로 표현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언어 의 자의성은 개인의 선택에 의해서 바꿀 수 없고, 한 언어 집단 내에서 성립된다(Saussure, 1916/2012).

소쉬르는 이러한 기호의 ‘자의성(arbitrariness)’을 언어의 가장 중요한 원리로 강조하였다. 자 의성은 기호의 무한한 생산을 허용한다. 언어뿐만 아니라 비언어 분야에서도 가능하다. 실제로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기호가 만들어지고 있고 또한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찰스 샌더스 퍼스(Chales Sanders Peirce, 1839-1914)는 기호를 기표와 기의의 기호화 과정으로 설명하고, 시각, 청각 또는 촉각적인 표상체가 해석 작용에 의해 대상 과 연결되는 삼원론적 상호작용의 관계로 보았다.

퍼스는 기호 유형의 범주를 존재론적으로 분류하여 ‘표상체(representamen)’, ‘대상(object)’,

‘해석체(interpretant)’로 나누고, 이것을 다시 각각 일차성, 이차성, 삼차성으로 구분했다. 퍼 스는 기호의 대상을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분하였는데 이 분류 방법 은 기호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상 (icon)은 기표와 기의의 유사성에 기초하고, 모 방에서 비롯되므로 실재하는 대상이 없어도 성 립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지표(index)는 기 표와 기의 간의 관계성에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어야 하며, 지시 대상이 존재해야 한다. 상징(symbol)은 유사성과 상관없이 관습에 의해 만들어진 기호이며, 학습을 받아 이해할 수 있다.

이 세 가지를 기호의 유형으로 구분하는데 기호는 개인의 경험에 따라 같은 기호라도 다른 유형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완벽하게 구분하기 어렵다. 이 중에서 도상은 가장 덜 진화된 원초적 상태의 기호이며 지표와 상징으로 진화한다. 기호는 맥락에 따라 도상이 될 수도 있고 지표나 상징이 될 수도 있다. 고급 자동차가 한때 부자를 의미하는 부의 지표였지만 오랜 시간 동안 사회적으로 통용되면서 부의 관습적 기호로 변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Kim, S., 2018).

기호는 대상을 사라지게 하는 동시에 해석체를 떠오르게 한다. 해석체는 퍼스의 기호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이다. 예를 들어 하트는 심장이라는 대상을 표상하는 표상체이고, 이것은 사랑 을 의미로 해석되는 해석체이다. 하트의 표상체가 사랑을 의미하는 해석체가 되고 나면 심장은 필요 없는 대상이 된다. 즉, 기호는 대상을 표상하다가 그것을 밀어내고 해석체를 유발한다.

해석 작용은 기호화 과정에 의해 다시 표상체가 되고, 이러한 관계는 새로운 해석 작용에 의해 무한히 계속될 수 있다(Kang, M., 2011).

소쉬르와 퍼스는 기호를 기표와 기의의 결합으로 본다는 점에서 동일한 의견을 제시한다. 다만, 퍼스의 경우 ‘기호화 과정’이 일어나면 기호가 된다고 보았고, 기호라는 것은 대상을 포함한 삼원론적 상호작용으로써 기능함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소쉬르와 의견 차이를 보인다(Joen, D., 1955, pp.26-27).

범주 표상체 대상 해석체

일차성 속성기호 도상 추정기호

이차성 감각기호 지표 지시기호

삼차성 규칙기호 상징 논증기호

<Table 1> Classification of Sign (Jeon, D. Y.(2005).

Semiotics, Yonsei University Publishing, 46)

(6)

3. 쉬빙의 작품에 대한 기호적 해석 3.1. 해체와 재구성의 의미작용

쉬빙은 1955년 중국 충칭(重慶)에서 태어나 북경 대학교수였던 아버지와 도서관 사서였던 어 머니의 영향으로 책과 가깝게 지낼 수 있는 환경에서 자랐다. 어릴 때 아버지로부터 배운 서예 와 문화 혁명기를 거치며 겪은 문자에 대한 경험은 그의 작업에 있어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1966~76년 동안의 문화대혁명과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1990년 미국으로 이주한 그는 문자를 이용한 작품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고, 베니스 비엔날레, 후쿠오카 아시아 트리엔날레, 시드니 비엔날레 등 주요 전시에 참여했다. 쉬빙은 2008년 중국으로 돌아와 6년간 중앙미술학원 부원장을 역임했다. 쉬빙이 동시대에 주목받는 이유는 그의 삶과 예술이 중국 현대사와 궤적을 함께 하면서 전통 한자를 현대적인 조형미로 풀어냈기 때문이다(Cho, S., 2017).

쉬빙은 1977년 북경미술학교 판화과에 진학하면서 목판화를 제작했다. 그는 주로 마을 농민들 의 모습이나 농촌의 풍경을 그렸는데 초기 작업에 농민들의 향촌 생활이 등장하는 것은 부모님 과 떨어져 농촌에서 지냈던 경험 때문이다. 1968년부터 지식인들의 재교육의 일환으로 도시 청년들은 일정 기간 농촌으로 강제 이주해야만 했다. 쉬빙 또한 이 정책에 의해 3년간 농촌에서 생활해야 했다. 그동안 그는 틈틈이 판화를 제작했고, 도시로 돌아간 후에도 판화 작업을 이어 갔다.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제작한 150여 개의 판화 작품들은 좋은 평가를 받았으며, 농촌의 풍경을 비롯하여 산수화에 대한 관심은 <풍경문자(Landscripts)> 시리즈의 밑거름이 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쉬빙은 관심의 대상을 판화 자체로 옮기면서 해체 추상의 형식이 나타났 고, 1986년부터는 <석세감(析世鑒)>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1988년 북경에서 처음 선보였고, 1989년 <중국 현대미술전(차이나/아방-가르드)> 전시에서 다시 설치되었다.

1990년 이후 이 작품은 <천서>로 명칭이 변경되어 미국, 일본, 홍콩에서 전시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아 쉬빙의 대표작이 되었다(Cho, S., 2017).

<Figure 1> Xu, Bing, Book from the Sky (http://

www.xubing.com), Installation View at Crossings/

Traversées, National Gallery of Canada, Ottawa, 1998

<Figure 2> Xu Bing, Detail of Book from the Sky (http://www.xubing.com), 1987-1991

4년 동안 제작된 <천서>는 4,000개의 목각활자로 찍어낸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흥미로운 점은 문자를 다루는 그의 방식이다. 그가 선택한 작품의 주제는 ‘읽을 수 없는 문자’이다. <천 서><Figure 1>에 나타난 문자들은 글자의 형태가 해체된 채 거대한 군락을 이룬다. 이 작품은 천장에서 내려뜨린 것과 벽에 걸린 세로 형식의 구조물, 그리고 바닥에 펼쳐진 각 세 권의 책을 통해 물결치는 거대한 장엄함을 드러낸다.

기호는 대상을 설명하지 않고 의미를 열어두는 전략을 수행하기도 한다. <천서><Figure 2>

의 문자 기호는 실제로는 중국어를 아는 사람조차 읽어내지 못한다. 쉬빙은 언어 프레임에 변화 를 주어 기대감이 생기도록 기표의 의미를 비워두고, 기호로써 문자 쓰기의 공식을 파괴하여 문자를 온전한 시각적인 이미지로 만들었다. 한자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필획의 구조를 설명 한 영자팔법(英字八法)1)과 부수의 위치를 규정하는 편방(偏旁)2) 규칙이다. 이 규칙을 적용하

1) 한자 해서(楷書)를 쓸 때 기본이 되는 여덟 가지 필획을 ‘영(永)’자를 통해 설명한 것으로 글자의 조형적 특성을 기준으로 모든 글자 에 공통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고찰한 방법이다(한글글꼴개발원 [KFDI], 2000, p.193).

2) 한자의 왼쪽 획을 편, 오른쪽 획을 방이라 하며, 한자의 기본적인 분류 방법인 부수를 의미한다([KFDI], 2001, p.499).

(7)

여 철저히 계산된 방법으로 제작된 이 작품은 정교한 배열에 의해 문자의 진실 여부에 관한 의심의 여지조차 허락하지 않는다.

처음 이 작품을 마주한 관람객들은 이 문자 기호가 읽을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관람객들은 이 문자들의 의미가 없음을 알게 되고, 무의미한 문자와 마주하는 상황에서 대부분은 모호함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람객은 일반적 인 상식의 안정감을 위협하는 무의미의 문자로 인한 언어적 폐허, 언어체계 또는 랑그의 부정과 붕괴를 경험하게 된다(Ames, 2011). 한자를 읽지 못하는 다른 문화권의 관람자들도 전시 정보 에 의해 이것이 모두 의미 없는 글자였음을 깨닫게 된다. 언어의 제약과 상관없이 공통으로 모든 관람객은 언어적 붕괴를 경험하는 지점에서 문자 기호의 흔적을 인지하고, 문화의 제약을 덜 받는 방식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20세기에 들어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본격적으로 중국어의 표음화 시도와 간체자 를 사용하는 정책을 통해 한자의 개혁을 시작했다. 중국은 지역적으로 상이한 발음의 언어를 통일된 문자로 사용하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문자가 지닌 강압적인 단면이다. 쉬빙은 문자가 형성되는 과정에 의미를 두었다. 결과물보다 제작 과정 자체가 의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 서 문자의 고정성에 대한 부정을 표현한 <천서>는 작품 제작 당시의 시대 상황에서 작가가 예술가로서 할 수 있는 전통과 국가권력에 대한 소리 없는 저항의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세미 오시스 연구센터 [SRC], 2018).

쉬빙은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부터 문자를 기호로 사용하여 문자의 사용범위를 확대했다. 쉬빙 은 기호학과 포스트모더니즘 이론들을 접하면서 다양한 문화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이후에는 다다이즘에서 작업의 영감을 받았다고 알려져 있다. 다다이즘은 근본적으로 ‘허’ 또는 ‘무 (néant)’, ‘부정(négation 否定)’을 주장한다. 그러므로 다다이즘은 무의미함에 대한 의미이다.

이러한 영향에 따라 쉬빙의 작품에 나타난 문자의 의미 박탈은 예견된 것으로 판단된다.

쉬빙은 한자가 가진 소리와 의미를 제거하였다. 이 거대한 기표는 한자 체계의 탈피를 통해 소리로 ‘읽을 수 없는’ 문자에서 오로지 시각적으로만 ‘읽을 수 있는’, 더 정확히는 시각적으로 만 감지 가능한, 텅 빈 기호로 전환되었다. 쉬빙의 한자는 형태뿐만 아니라 문법을 해체시킴으 로써 그로부터 완벽히 해방되었고, 기표와 기의의 무연관성을 담지하고 있는 전대미문의 창작 물로 등장한 것이다.

쉬빙은 이후 영어와 한자를 통용하는 새로운 언어의 통합 문자를 만들어 내는 데 열중하여

<네모 글자 입문서(An introduction to Square Word Calligraphy)><Figure 3>를 개발해낸 다. 일종의 서예 교과서인데 이것은 로마자 알파벳을 한자의 획처럼 사용함으로써 유사하게 적용한 것이다. 이 문자 시스템은 26개의 알파벳이 각각 특정한 형태의 한자로 지정되어 있다.

쉬빙은 갤러리나 박물관에서 이 시스템을 관람객에게 교육하듯 제시한다. <서예교실>

<Figure 4>에서 약간의 교육을 받으면 누구나 영문 한자를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서예의 기본 획과 알파벳의 극적인 융합은 문화에 매여 있던 한자를 탈(脫)코드화함으로써 이전과 다른 방식으로 문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igure 3> Xu Bing, Square Word Calligraphy (http://www.xubing.com), 1994

<Figure 4> Xu Bing, Square Word Calligraphy Classroom (http://www.xubing.com), Mixed-media

(8)

쉬빙은 이 새로운 시스템을 통하여 기존의 관습적 도구가 아닌 새로운 의미 전달의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기존의 기의가 완전히 새로운, 수많은 방식의 기표로 변화될 열린 가능성으로 가득 하게 된 것이다.

쉬빙은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이 작품이 본질적으로 영어 글쓰기와 중국어 글쓰기의 융합임 을 밝혔다. <사람을 위한 예술(Art for the People)><Figure 5>은 전형적인 한자의 자세를 취하고 있으나 하나하나의 구성은 알파벳이며, 문법적으로 영어의 체계를 따르고 있다.

<천서>에서 읽을 수 없는 문자를 경험했던 관람객들은 이번에 진짜 문자임을 인지한다.

관람객은 동서양의 변이(變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진 새로운 문자를 해석해내는 순간, 예 상치 못한 반전을 경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람객은 두 언어에 대한 고정관념에 도전을 받고, 작가가 만든 언어적 유희 속에서 혼란, 창조를 통한 새로운 이해, 그에 따른 해소를 동시에 체험하고 느낀다. 이 영문 한자, 그리고 그 텍스트는 두 언어의 완벽한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한자의 구성 방법과 유사 한 모양으로 배치되었으며, 표음 문자적인 알파벳 요소, 그리고 의미소로서의 영문 단어를 구성 하고 있는 한 단위 문자, 즉 의(擬)- 기의 문자는 단일의 발성 요소, 또는 그도 아닌 복합적 발성 요소를 구성하고 있기도 하다.

이 글자들의 특징은 음소 단위나 의미 단위가 한 글자 안에 응축되어 펼쳐지길 기다리고 있다는 것이다. 즉, 모여진 문자들은 ‘Art for People’이라는, 정확한 영어식 문법체계-랑그를 따르는 내러티브한 내용을 이야기하는 텍스트를 이루고 있다. 펼쳐져야 할 소리와 의미는 한 글자 안에 응축시켜, 일견, 표면상 랑그와 파롤은 사라진 듯하나 기실은 그것들은 외형 너머에 존재하고 있어 언어학이 거론하는 심층구조(deep structure)를 연상하게 한다.

3.2. 단일 기호로서 표의문자

모더니즘이 시작되면서 서양미술에서는 문자와 이미지의 영역을 분리하기 시작했다. 반면에 동양에서는 문자를 그림 체계 안에서 결합하여 문자가 가진 서체의 예술적 입지를 보였다. 문자 와 그림의 두 영역은 모두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문자를 그림으로 환원하여 다양한 감성적 표현이 가능하다(Morley, 2019). 쉬빙은 스스로 서예를 기반으로 하지 않았다 고 밝힌 바 있지만, 서예의 특성은 그의 작품에서 부각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네팔 히말라야의 풍경을 한자로 스케치한 <히말라야 풍경문자(Landscripts from the Himalayan Journal)><Figure 6>는 쉬빙이 처음으로 상형문자(象形文字)를 표현 방법으로 도입한 작품이다. 풍경의 대상이 의미하는 한자를 한 글자씩 연속적으로 써 내려가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이 문자들은 대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동시에 시각적으로 유사한 형태로 기호화되 어 있다.

쉬빙은 ‘石’ 자를 좌우로 길게 쓰거나 작게 쓰 는 방법으로 바위의 크고 작음을 다양하게 표 현했다(Jeong, M., 2013). 이는 한자가 그림 에서 기원한 상형문자(象形文字)라는 개념과 일치한다. 중국인에게 한자는 문자와 발화한 단어가 같은 자격을 지닌 개념이기 때문에 한 자는 태생적으로 기호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관습적 도구인 한자를 사용하였지 만,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읽어 내는 것이 가능 하도록 표현의 대상을 문자로 대체시켰기 때 문에 예술형식의 관점에서 볼 때 가치가 있다

<Figure 5> Xu Bing, Square Word Calligraphy: Art for the People (http://www.xubing.com), 1994

<Figure 6> Xu Bing, Landscripts from the Himalayan Journal (http://www.xubing.com), Ink on Paper, Kiasma Museum of Contemporary Art, Finland, 1999

(9)

고 할 수 있다. 이때 문자는 한자가 지닌 단일 기호의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자는 특정 사물 형태에서 출발한 상형문자이기 때문에 의미하는 바를 대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木’은 나무의 상형적 표시이며 의미 또한 나무를 뜻한다. 이것은 소리와 상관없는 비표음 문자로서 대상의 개념과 연관성 있는 표의문자의 특징을 나타낸 사례이다.

풍경 문자들은 자연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을 넘어, 공간을 실제로 구성하기 시작한다. <풍경 읽기(Reading Landscape)><Figure 7>에서 단일 기호는 통일감과 변화의 조형 원리로 표현 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상형문자

는 형태와 색을 부여받고 사진 밖으로 나와 전시 공간에서 전개된다. 실제 공간에 진입한 풍경 요 소들은 ‘石’, ‘木’ 자 등의 한자로 대체되었는데 글 자의 크기가 크고 작게 변화함으로써 다양한 모 습으로 표현되며 기호의 물질성을 동시에 나타내 고 있다.

소쉬르와 달리 후대의 기호학자들은 기표의 물질 성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그들은 기호의 물질 적 형태가 기호의 차이를 유발하기 때문에 기호 를 사용하는 사람이 받아들일 수 있는 의미 있는 대상은 모두 중요하다고 여겼다. 또한 모든 기호

는 소리, 색상, 움직임 등 구체적인 물질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기호의 물리적 속성은 중요 하게 다뤄져야 한다고 보았다(Kim. S., 2018). 이처럼 기호의 물질화를 통한 표현은 대상과 기호의 관계를 시각적 조형성으로 새롭게 제시할 수 있다.

기표와 기의가 일치하는 단일 기호로서의 사례는 다른 작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달을 잡는 원숭이(Monkey Graps for the Moon)><Figure 8>는 중국 속담인 ‘원숭이가 달을 움켜쥐다.’

에서 비롯되었다. 달을 잡으려는 원숭이 무리에 대한 옛 설화인데, 웅덩이에 비친 달을 잡으려 고 내려와 달을 잡으려고 하자 달이 물결 속으로 사라졌다는 옛 설화 이야기다.

이 작품은 표의문자의 형태적 특징을 다양한 언어에 적용한 것이다.

작품의 구조는 문자를 세로로 배치하는 전통적인 서예의 배열 형식 과 유사하다. 쉬빙은 일본어, 한국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등 영어를 포함한 여러 나라의 문자와 원숭이 이미지의 결합으로 표 현하였다. 이 구조물은 전시장의 천장에서 아래까지 꼬리에 꼬리를 연결하듯이 원숭이가 매달린 형태로 되어있는데 이것은 마치 서예의 흘림체를 연상하게 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원숭이를 한글로 기록- 표현한 것도 정자체이기보다 흘림체에 가깝다.

이 작품은 동일한 개념을 여러 나라의 언어로 표현한 것을 언어적 측면의 기호와 연결하여 접근한다면 언어의 자의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개념과 음성은 아무런 관계가 없지만 소속 집단의 사회 관계성 에 의해 의미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은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표현 되었지만 결국 하나의 개념을 표현한 것이므로 언어의 자의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이미지 와 문자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의미를 재생산해냄과 동시에 미술작품을 보는 대상에 머무르지 않고 읽기의 대상으로까지 변화를 시도한다.

무엇이 문자를 가능하게 하느냐는 질문은 기호학자들의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이다. 문자 기호 는 모든 기호 중 하위 범주를 구성하기 때문에 기호에 대한 일반이론은 문자 기호에도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Harris, 1995/2013, p.3). 문자는 인식되고 해석되는 의미에서 기호이고, 기호 는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문자 기호는 사회적 관습에 의해 정의되고 문화 코드로 이해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Figure 7> Xu Bing, Reading Landscape

(http://www.xubing.com), Mixed media installation, USA, 2001

<Figure 8> Xu Bing, Monkey Graps for the Moon (http://www.xubing. com), Lacquer on baltic birch wood, 2001

(10)

3.3. 의사소통의 기호

2003년부터 쉬빙은 문자를 구성하는 요소와 구조 외에 의사소통 방식에도 관심을 두고 국가를 초월한 국제적 상징 기호들로 <지서><Figure 9>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쉬빙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전 세계를 다니며 공공 영역

에 사용된 2,500여 개의 각종 기호를 수집했 으며, 언어의 제약 없이 누구나 읽을 수 있는 책을 만들고자 했다. 이 책은 창작한 이미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아이콘, 로고, 안내표지, 픽토그램, 그래픽 심벌 등 언어를 초월해서 감 각만으로 이해 가능한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 다. 쉬빙은 이 기호들로 사전 교육 없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로벌 시각 매체를 구현 하였다(Cho, S., 2017).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전형적인 도시의 사무직 노동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 책의 특징은 시각 언어의 보편적인 기호들을 표현의 도구로 채택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가가 의도한 내용으로 완벽하게 해석하기는 어렵겠지만 대략의 내용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가능하다.

세미오시스 학술총서의 <쉬빙의 한자와 설치예술>에서는 이러한 아이콘들을 <천서> 즉, 상 층부의 권력과 통제 속에 있는 고정된 문자와 반대 지점에서 상응하는 땅의 문자로 대비시킨다.

인간은 하늘과 땅의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늘과 땅은 인간이 주체가 되어 해석할 때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된다는 것이다. 땅의 문자는 하늘의 문자와 같이 창조되지 않는다고 설명한다 ([SRC], 2018). 결과적으로 각 기호의 요소들은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문장으로 이루어 진 커다란 글이 되었을 때는 새로운 기호가 된다. 공공의 영역에서 사용하는 아이콘은 상형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각 아이콘이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이것들의 나열로 인해 문장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새로운 문법이 필요하다.

아이콘들은 문자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언어의 규칙에 해당하는 문법 체계는 랑그이고 이 규칙은 파롤의 바탕이 된다. 사람들은 말을 할 때 문법 규칙을 굳이 떠올리지는 않지만, 파롤은 항상 랑그와 연관되어 있다. 파롤은 실제 발화되어 사용되는, 혹은 사용 중인 언어이기 때문에 개인적이고 개별적이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개별적 단위의 결합체인 파 롤은 문법적으로 무수히 많은 계열체로 대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 아이콘은 자체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고 문법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갖는다. 랑그는 언어의 규칙이기 때문에 공통적이고 사회적이다. 쉬빙이 선택한 각 기호는 파롤이고, 이 기호들을 나열한 시스템은 랑그를 이룬다.

천서는 함축된 기호를 사용했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는 분명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아이콘을 사용하여 문자의 역할을 하도록 시도한 것은 언어의 제약 없이 보편적 기호언어로서 의미전달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가치와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쉬빙은 문자 데이터베이스와 관련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영어 알파벳과 중국 한자로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결과물을 공 간에 끌어들였다. 보편적이었던 기호들은 일 정한 의미를 부여받고 작업 환경의 공간에서 문자로서 의사소통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2명의 관람자들이 <지서><Figure 10>의 사용자가 되어 스크린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채 각자 앞에 놓인 컴퓨터에 메시지를 입력하 며 대화를 이어나갈 수 있다. 사용자는 언어의 속도와 억양처럼 기호를 빠르거나 느리게 조 절하여 입력할 수 있다. 관람자들 사이에서 오 가는 대화의 내용은 조형 요소들의 결합과 일

<Figure 9> L: Xu Bing, Book from the Ground Design (http://www.xubing.com), 2003

R: Xu Bing, Book from the Ground: From Point to Point (http://www.xubing.com), 2005

<Figure 10> Xu Bing, Automatic Update (http://

www.xubing.com), The Museum of Modern Art (MoMA), New York, 2007

(11)

정한 배열의 문법 체계에 의해 화면에 입력한 차례대로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언어의 선형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화면에 나타나는 문장은 하나의 커다 란 기호가 될 수 있다. 기표는 언어의 체계를 따르기 때문에 시간의 흐름 안에서 순차적으로 전개되면서 일정한 연결 방식에 의해 제시된다. 이 순차적 연결방식은 일정한 문법 체계와 같은 규칙에 해당한다. 연결된 기호는 ‘결합체’이며 각 기호의 자리는 다른 기호로 대체 가능한데 그 가능성의 계열은 ‘계열체’로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은 의미를 나누는 과정이다. 이 프로젝트에서 기호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의사소통 의 도구로 사용되면서 언어 시스템을 따르고 있다.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일방적으로 흘려보내 는 과정이 아니고 공유되고 있기 때문에 상호 관계 속에서 의사소통이 형성되고 있다(Kim.

S., 2018). 결과적으로 쉬빙은 문자와 기호의 매칭 시스템을 통해 국제 언어로 소통 가능한 커뮤니티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아이콘들이 보편적 기호에서 의사소통의 기호로 역할이 가능하 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지서>는 팝업 책으로도 개발되었다. 바쁘지만 위트 있는 블랙 씨를 주인공으로 한 24시간 동안의 이야기는 낮과 밤 시리즈로 구분하여 출간되었다. 기호 이미지들은 페이지마다 팝업 형태로 솟아올라 시각적 재미를 전한다. 종이에 인쇄되어 있던 고정 형태의 기호가 팝업 (pop-up)이라는 효과적인 시각 이동 경로를

통해 보는 이의 호기심을 더욱 자아내고 있다.

나열식이었던 기존의 배열방식을 넘어 입체적 인 구조와 결합한 표현된 형식은 문자의 기호 화에 있어 획기적인 진화의 시도이다. 이는 문 자 기호의 발전 방향에 대한 제시와 무한한 가 능성의 한 단면이다<Figure 11>.

쉬빙이 수집한 이미지들은 일종의 국제 언어 의 역할을 하면서 이미지가 문자를 대신하는 의사소통의 도구로 기호화되었다. 이미지 형 태의 기호는 곧바로 인지 가능하며, 즉각적인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일상생활 속에서 만날

수 있는 여러 기호들의 규칙은 사회적 약속이다. 신호등, 이정표, 전철 노선표 등 생활 속 여러 사례를 통해 기호화된 이미지는 읽기의 대상이 된다. 이것은 작가와 관람자의 관계를 언어체계 로 이어 보려는 시도에서 비롯된다(Kim, S., 2008).

예술의 소통에서 작가가 처음 의도했던 바를 완벽히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다. 인간은 개인마다 경험의 차이가 있고 받아들이는 정도가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고정 되지 않고, 새로운 의미작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술에서 의미 전달의 정확성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최근 들어 현대미술에서 관람객이 기호의 의미를 스스로 이해하는 것이 어느 때보 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창작활동이 의미 있는 생산이 되기 위해서는 관람자의 경험과 감정을 기호의 의미작용에 끌어들여 능동적인 태도로 감상하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4. 결론 및 제언

이상으로 문자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을 해오고 있는 쉬빙의 작품을 기호에 대한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우리는 기호의 세상에서 살고 있으며 일상에서 마주하는 환경에는 수많은 기호가 존재 함을 확인하였다. 현대 사회는 디지털 매체의 발달로 인해 끊임없는 소통이 이루어지고 다양한 기호가 요구되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디지털 정보화 시대 가운데 의사소통의 방법에 있어 문자 의 기호 역할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미술의 새로운 경향 중 하나는 시각언어를 기호로써 표현하는 것이다. 기호학의 기호와 미술에서 다루는 기호는 엄연히 구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 기호의 의미작용 과정에서 기호학 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기호학이 가지고 있는 의미작용을 통해 시각기호를

<Figure 11> Xu Bing, Book from the Ground: Pop-up Book-Day (http://www.xubing.com), 24.5 x 35.3cm, 2015

(12)

해석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쉬빙은 문자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예술의 지평을 넓혀왔다. 그러나 활발한 작품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그의 작품은 문화와 정치적인 관점에서 해석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실제로 중국의 문화적 배경이 그의 작품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할 수 없다. 쉬빙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는 것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며, 그의 작품에 대한 시각 또한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쉬빙의 작품을 문화적 요소나 미술사적 요소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언어를 위주로 한 기호적 접근을 통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으며,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미술에서 관람자 중심의 감상법이 더욱 중요해지는 가운데, 기호적 관점으로 쉬빙의 작품에 접근하는 것은 명확한 언어로 작품을 해석하는데 유용한 방법이었다.

문자와 미술은 주로 시각에 의존하는 공통분모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기호 이론은 쉬빙의 작품 에 나타난 문자의 형태를 객관화하여 시각기호로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논리적이고 구체적인 개념들을 제공하는데 적합하였다.

둘째, 문자 체계의 해체적 관점은 동서양 문자의 변이적인 결합을 이끌어냈다. 쉬빙의 영문 한자는 전통 구성 방식에 근간을 두고 있으나 외형에 있어서는 알파벳의 문법 체계를 적용한 창작의 결과물이다. 이와 같은 문자의 해체와 재구성을 이용한 작품의 구성 방법은 알파벳의 문법을 이해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의미작용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기호로서 무한 확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표의문자인 한자는 태생적으로 기호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대상의 개념과 표현을 동시 에 나타내는데 효과적이었다. 쉬빙이 창조한 단일 기호로서의 문자를 대상과 교차하여 표현하 는 방법은 문자와 기호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통적인 제약에서 벗어나 기호로 변환된 사례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기호 자체가 실제의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대상과 기호의 시각적 관계를 새롭게 제시할 수 있었다.

넷째, 쉬빙의 작품에서는 공공장소에서 수집된 보편적 기호들이 상호관계성을 지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적이고 상대성을 지녔으며, 우연성을 배제하지 않는 의사소통의 도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쉬빙이 새롭게 구축한 문법 체계는 개인의 경험 차이에 의한 다양한 의미작용을 가능 하게 하였다. 또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의미 확대 생산의 전개 과정을 통해 기호학의 틀로 쉬빙의 작품에 나타나는 기호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쉬빙의 문자 작품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 기호에 대한 관점의 접근을 통해 문자의 가치와 역할을 살펴본 것에 의미를 두겠다. 기호학의 기호와 시각예술의 기호는 동일하 지 않지만 기호학의 의미작용을 통해 시각기호를 해석하려는 노력으로 인하여 두 기호의 간극 을 좁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문자가 소재의 한계에 머물렀던 수준 을 넘어 작품의 목적이자 동시에 대상으로서 현대미술 표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자는 기호 이론으로 현대미술을 분석하는 연구를 이어나가는데 이번 연구를 초석으로 삼을 것이다.

References

Ames, R. T. (2011).

Xu Bing and contemporary chinese ar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Cho, S. R. (2017). Postcolonial criticism in the art of Xu Bing.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18

(4), 365.

Choi, Y. H. (2000).

Language and Time(언어와 시간)

. Pagijong Press.

Dürschid, C. (2007).

Einfuehrung in die Schriftlinguistik. 3 ueberarb. und ergaenzte Aufl.

(Kim, J.

S. Trans.) BookEuro Publishi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13)

Harris, R. (2013).

Signs of writing

(Kim, N. S. Trans.). Yonsei University Publishing.

Jean, G. (2008).

L’écriture mémoire des hommes

(Lee, J. I. Trans.). Sigongsa.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Jeon, D. Y. (2005).

Semiotics.

Yonsei University Publishing.

Jeong, M. H. (2013). The Typographic Traits and Meaning of Xu Bing’s ‘Text Art’.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

14

(5), 459-471.

Kang, M. J. (2011).

Peirce's semiotics and art history(퍼스의 기호학과 미술사)

. Ehak Publishing.

Kim, S. G. (2018).

Principle of semiotic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ress.

Kim, S. H. (2008).

Communication in art creation art criticism.

Da Vinci Gift.

King Sejong the Great Memorial Society. (2001). Radical (편방).

Korean classic dictionary(한국고전용어사전), 5

, 499.

Korean Font Development Institute. (2000). Eight laws of Yong Zi (영자팔법). In

Korean font dictionary

193

Morley, S. (2019).

Seven keys to modern art

(Kim, S. J. Trans.). Ahn Grahpics Ltd.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1999). Text (문자). In

Standard korean dictionary

.2288.

Saussure, P. (2012).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Kim, H. K. Trans.). Zmanzbooks Publising.

(Original work published 1916, 1972).

Semiosis Research Center. (2018).

Between language and pictures(말과 그림사이): Xu Bing's chinese character and installation art(쉬빙의 한자와 설치예술).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nowledge Press. 10, 349-388.

Xu, B. (2021, February 7).

Artist homepage.

http://www.xubing.com/

참조

관련 문서

근육 수축을 위한 아데노신 삼인산 생산과 관련된 3가지 에너지 시스템을 설명할 수 있다.. 운동 동안의 순환계와 호흡계의 역할을

– 컴퓨터에 기반한 교수 학습 환경은 수학적 대상과 관계의 형식적 표현을 다룰 수 있다는 점과 학습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함으 컴퓨터에 기반한 교수 학습

이 연구는 웹스크레이핑 방법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떤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디까지 분석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웹스크레

단일 카메라와 단일 랜드마크를 이용한 비전 실내 측위를 위해, 관련 연구 [30] 에서 는 호모그래피 [31] 기반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로봇에 설치된 카메라와 QR

또한 Marsh(2001) 는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e-Learning 도구들과 전통적인 교실수업을 연합한 것이 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and light up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by investigating various tool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based on a single usable originality, esthetic

행동측정의 여러 방법과 특징을

또한 색채를 활용하여 보기 쉬운 표시를 하거나 문자를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