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조선후기 민화 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조선후기 민화 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

Copied!
10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3년 2월 석사학위 논문

조선후기 민화 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

- 민화문자와 1960년대 이후 캘리그래피와의 관계 -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양 정 선

(2)

조선후기 민화 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

- 민화문자와 1960년대 이후 캘리그래피와의 관계 -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양 정 선

(3)

조선후기 민화 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

- 민화문자와 1960년대 이후 캘리그래피와의 관계 -

지 도 교 수 고 현

이 논문을 디자인학 석사학위신청 논문으로 제출함

2013년 2월 25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양 정 선

(4)

양정선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박 일 재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임 채 형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고 현 (인)

2012년 11월 일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5)

목 차

ABSTRACT

국문초록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2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제2장 문자 이론적 배경

7

제1절 고대 문자의 형성 8

1.동양의 calligraphy 9 2.서양의 calligraphy 12

제2절 문자의 부흥 15

1. 종이의 사용 15

2. 인쇄술의 발달 16

제3장 민화문자의 발생

18

제1절 민화 19

1. 민화의 개념 19

2. 민화의 발생 배경 21 3. 민화의 종류와 표현적 특성 22 1) 민화의 종류 22 2) 표현적 특성 23

제2절 민화문자의 목적 24

제3절 민화문자의 활용가치 28

제4장 캘리그래피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활용방안

제1절 캘리그래피 30

1. 캘리그래피의 개념 30

2. 캘리그래피의 특징 34

3. 조형적 표현에 따른 캘리그래피 36

4. 근대의 캘리그래피 39

제2절 현대 캘리그래피 기법의 특성과 조형원리 40

(6)

- ii -

제3절 국내 연대별 캘리그래피 활용 디자인 분석 45 제4절 국내 캘리그래피 활용 회사별 디자인 분석 62

제5절 현대 캘리그래피 방향 제시 69

제5장 소비자 선호도 조사 분석

제1절 조사분석의 의의와 방법 72

1. 가설 설정기준 72

제2절 연구 방법 73

제3절 연구 분석결과 75

제4절 연구의 한계 및 제안 78

제6장 결론

결론 80

참고문헌 영문초록 부록(설문지)

(7)

표 목차

[표 5-1]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 73

[표 5-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캘리그래피 인지 선호도 75

[표 5-3]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캘리그래피와 이미지 결합시 인지 선호도 76

그림 목차

[그림 1-1] 쐐기문자, 상형문자 9

[그림 1-2] 중세의 캘리그래피의 예(필경사의 글씨) 13

[그림 3-1] 초충도/책가도 22

[그림 3-2] 예절문자도(유교문자도) 24

[그림 3-3] 비백호자, 예자도 19세기 25

[그림 4-1] 훈민정음 언해본, 용비어천가 31

[그림 4-2] 1945년 서울거리 32

[그림 4-3] 근대의 캘리그래피 34

[그림 4-4] 필압, 필속을 활용한 작품 36

[그림 4-5] 50~60년대 보령약국앞 38

[그림 4-6] 캘리그래피의 활용예 40

[그림 4-7] 캘리그래피의 인터넷배너광고예 41

[그림 4-8] 캘리그래피 포장디자인 활용 예 44

[그림 4-9] 1950~6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1 45 [그림 4-10] 1950~6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2 46 [그림 4-11] 1950~6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3 47 [그림 4-12] 1950~6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4 48 [그림 4-13] 1970~8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1 49 [그림 4-14] 1970~8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2 50 [그림 4-15] 1970~8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3 51 [그림 4-16] 1970~8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4 52

[그림 4-17] 199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1 53

[그림 4-18] 199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2 54

[그림 4-19] 199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3 55

(8)

- iv -

[그림 4-20] 199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래피 분석-4 56

[그림 4-21] 2000년대 광고이미지 캘리그라피 분석 57

[그림 4-22] 포장디자인 캘리그라피 분석-1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입상작 기준) 58 [그림 4-23] 포장디자인 캘리그라피 분석-2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입상작 기준) 59 [그림 4-24] 포장디자인 캘리그라피 분석-3 (대한민국디자인전람회 입상작 기준) 60 [그림 4-25] 농심에서 판매하고 있는 제품들(출처 : 월간디자인 2011년 8월호 119p) 62 [그림 4-26] 농심의 새우깡, 안성탕면, 꿀꽈배기 연도별(출처 : 월간디자인 2011년 8월호) 63

[그림 4-27] 제일기획 2012(홈페이지 참조) 64

[그림 4-28] 이노션 작품들(쏘렌토,스포티지,옥수수수염차,신한은행) 65

[그림 4-29] 이노션(홈페이지 참조) 66

[그림 4-30] ns홈쇼핑 메인카테고리 67

[그림 4-31] CJmall 메인카테고리, 롯데i몰 메인카테고리 67

(9)

국문초록

우리가 사는 2000년대는 디자인의 시대이다. 패키지, CI BI, 간판, 미디어 등 디자인은 우리 생활 속 깊숙이 어디든지 자리 잡고 있다. 당연히 많은 것을 선택하는 기로에 놓 이게 된다.

소비자 중심의 현대사회는 경제성장과 정상 수준의 소비자 즉 프로슈머(Prosumer)가 넘쳐나고 품질 좋은 제품이 하루가 다르게 쏟아지고 있다. 소비자는 이제 상품의 선택 에 앞서 상품의 이미지를 구매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날로 이슈화 되고 있는 이미지마 케팅이 그 좋은 예이다.

따라서 좋은 디자인은 다양한 종류의 형상과 문자 이미지를 필요로 한다.

이 논문은 갈수록 디지털화되어 가는 디자인 속에서 자연스러운 개성이 최고의 가치 를 창조하는 완성요소로 보고 그것을 이끌어 내는 핵심으로 캘리그래피에 대해 집중 연구코자 한다. 조선시대 후기 민화문자가 널리 이용되었기에 그 당시 트렌드를 기초로 하여 지금의 캘리그래피가 그 맥락을 이어가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논문을 구성코저 하며 앞으로의 캘리그래피의 발전 방향에 대해 연구 해보고자 한다.

캘리그래피를 사전적 의미에서 보면 「서도, 서예」라고 되어있다. 즉 글자를 아름답 게 쓰는 기술 또는 넓게는 일반적으로 활자에 의하지 않은 서체(書體), 좁게는 서예를 의미한다는 뜻이다.

본 논문 「조선후기 민화문자와 캘리그래피에 대한 연구」는 서론에서는 연구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론에서는 동·서양의 캘리그래피 역사에 대해 알아보고 문자와 민화의 발전과정을 연구 및 운필법을 연구하였다. 따라 서 18세기 조선후기에 민화가 나타나게 된 배경과 종류, 특성을 알아보고 문자를 예 술로 끌어올린 독특한 소재나 기법 및 제작 목적, 종류 등을 연구하였다. 뿐만 아니 라 오늘날 캘리그래피의 현재 상황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즉 캘리그래피는 일회적 독창성, 심미적 조형성, 추상적 회화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구 및 제작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부분에서는 미래의 발전 방향에서 캘리그래피는 문자 고유의 정보전달 기능과 더 불어 감정적, 심미적 표현성 등을 기반으로 우리 글자의 아름다움과 개발 가능성, 모방 할 수 없는 독자적인 이미지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바탕으로 미래를 유추해 보았다.

(10)

- vi -

과거로부터 이어온 우리의 아름다운 캘리그래피의 현재와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본 논 문은 캘리그래피의 활용현황 및 사례분석을 통해 캘리그래피의 효과적인 사용에 기여 하고자 한다.

(11)

ABSTRACT

The study of Minhwamoonja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Calligraphy

Yang, Jung-seon

Advisor : Prof. Go, Hyun Major in Visual Design,

The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21st century we are living is called the age of design.

Because the design such as package, CI, BI, signboard and media is deeply placed in our everyday life sporadically, we are forced to come to the fork of the roads to choose one of those.

Prosumer; bright customer resulted from economic growth, is full to the brim and good quality of products come up to the market in the present age with customerism.

It comes to the era when customers purchase brand image other than goods itself.

‘Image marketing’ which gets becoming a subject of ordinary life must be the good example.

Accordingly, good design requires various types of phases and character images.

The paper investigates Calligraphy that regards the nature of design digitaliz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the perfection.

It has been so accustomed to use Minhwamoonj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s to be in trend.

The paper describes that Calligrphy would continue coherence of Minhwamoonja

(12)

- viii -

in the present age , and focus on the direction of its improvement.

The lexical meaning of Calligraphy is literally [Calligraphy, Penmanship].

「SEODO, SEOYAE」

Namely, it means technique to write letter in good-looking or widely, handwriting other than printing type or intolerantly, implication of penmanship.

Therefore, this study is examine Minhwamoonj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Calligraphy and consists of follows: Preface, present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study. The paper 「The study of Minhwamoonja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and Calligraphy」 was introduce the origin, objectives,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Also, Main subject, described history of a letter in the Orient and the Occident and studies growth of a letter and Minhwa and also investigates the use of the brush. And show the reason for the appearance of Minhwa in the later Chosun in 18th century, and goes through the sort and nature of Minhwa. and light up current status of Calligraphy by investigating various tool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based on a single usable originality, esthetic formativeness and abstract pictorialism.

In conclusion, analogized future of Calligraphy based on the process of making inimitable individual image, and verifies beauty and feasibility of improvement in Hangul expression on the basis of sentimental and esthetic manifestation as well as informative characters.

Based upon description in chapters, the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effective use of Calligraphy in accordance with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application.

(13)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배경

(14)

- 2 -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오늘날의 캘리그래피는 시각디자인 광고 전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신 문, 잡지, 카다록, 제품, 패키지, CI BI, 간판, 미디어 등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서 우리는 문자와 함께 숨 쉬고 있다. 문자의 크기, 형태, 색채로 다양하게 옷을 입고 문자 자체의 전달 기능을 충실히 전달할 뿐 아니라 이미지화 되기도 한다.

문자는 심미적 조형성을 갖고 또 한 번 더 도약하고 있는 것이 바로 캘리그래피인 것 이다. 따라서 그 캘리그래피는 어느날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다. 우리생활 깊숙이 늘 자리하고 있었지만 인지하지 못했을 뿐이다. 캘리그래피는 단순히 문자를 튀게 디자인 하는 것이 아니라 포함된 디자인과 함께 서로 보완, 융합, 합목적을 바탕으로 원화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단순히 읽고, 쓰고, 보고 등의 인지 과정을 벗어나 심미적 조형성을 가지면서 디자인의 극적 효과를 이끌어 내어 의도한 목적대로 디자인 되어야 한다.

캘리그래피의 어원을 살펴보면 서예라는 뜻이다. 캘리그램(주제에 어울리는 도형에 시 행을 맞춘 시)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은 아폴리네르1)였다. 그전에는 그리스-라틴 세계에서 ‘그림으로 나타낸 시’라는 명칭이 널리 쓰였다.

서예란 말은 아름다운 글씨를 뜻했다. 실제로 서예는 예술과 표현의 필요, 그림과 기 호의 표기 사이에 불확실하게 존재하는 어떤 것이었다. 어느 시대 어느 곳이든 글씨가 존재하는 곳에서는 아름다운 서체의 예술이 존재했다.2)

2003년에 스티븐 로젠버그3)는‘고양이에게 엄지손가락이 있었다면 세계는 그들이 지 배했을 것이다. 하지만 펜을 잡을 수 없으니 그림도 그리지 못하고 뭘 쓰지도 못했 다.’라고 설파한 바가 있다. 이처럼 정보를 기록할 능력이 없기에 이 종들은 매 세대

1) 기욤 아폴리네르(프랑스의 시인, 소설가, 1880~1918) 2)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162p

3) 스티븐 로젠버그(1990년대에 설립된 캐나다 그래픽디자이너 사회적 행동위원 회의 공동 창설자)

(15)

역사를 새로 시작할 수 밖에 없었다는 이야기였다.

인류가 지구를 지배할 수 있었던 것은 우리 종에게만 있는 특별한 능력, 즉 우리 고유 의 언어 능력과 기록 능력 덕분이다. 이러한 능력으로 인해 우리는 거리와 세대를 넘어 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우리는 우리 앞 세대들의 어깨 위에서 문명을 디자인하며 미래를 상상해왔다.

홍보 전문가와 디자이너들에게는 이런 재능에 따르는 막대한 책무가 있으며, 우리는 자랑스러운 것이 많은 사람들이다.

우리는 유전자보다는 아이디어를 증식시킬 때 더 큰 자취를 남길 수 있는 시대를 살 고 있다. 사람이 하는 너무나 많은 활동이 자신의 DNA를 번식시키려는 본능의 추동으 로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제는 대량 생산을 통해서든, 빈튼서프4)의 독창적인 발상 같은 정보 기술이 가져다준 새로운 세계를 통해서든 어떤 생각을 설계하고 그것 을 수많은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더 영향력 있는 유산을 남길 수 있다.5)

이러한 수많은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좋은 디자인을 위해 캘리그래피는 우연성과 일회성을 기반으로 한 차별화를 통해 획일적이고 도형화된 활자체에서 벗어나게 되었 다. 따라서 운동, 힘, 속도, 강함과 약함 등 풍부한 감정의 표현과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구현하기 때문에 TV광고뿐 아니라 디자인계 전반에 걸친 유행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즉 캘리그래피는 문자의 정보전달 기능과 더불어 감정적인 표현, 심미적 표현성 등을 기반으로 한글표현의 아름다움과 개발 가능성, 모방할 수 없는 독자적인 이미지를 형성 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지고 있다.6)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캘리그래피의 활용현황 및 사례분석 등의 배경을 통해 캘리그 래피의 보다 효과적 미래지향을 돕고자 아래와 같은 연구의 방향을 추론(推論), 제시코 자 한다.

첫째, 시각언어메시지의 확산과 현대화 과정에서 잃어버린 문화적 정체성을 찾아 보 고 캘리그래피를 활용한 각종 자료들에 대한 개념 정리와 앞으로 활용가치 등을 알아 보는데 목적을 둔다.

둘째, 과거의 캘리그래피를 조명하고 현대적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며 민화문자와 시 각디자인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적 캘리그래피 기법의 현대적 재구성을 위해 활용가

4) 빈튼 서프(인터넷과 TCP/IP 프로토콜의 탄생에 기여한 공로로 '인터넷의 아버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미국의 전산학자, 1943.6.24.~ )

5) 디자인 혁명, B.버먼, 시그마북스 p.54~57

6) 캘리그래피의 TV광고 활용현황 연구, 백재훈, 인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교수

(16)

- 4 - 치를 연구한다.

셋째, 갈수록 보편화되어지는 캘리그래피를 예술성, 상업성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방 법을 연구해 보고 현재 진행되어진 캘리그래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캘리그래 피에 대한 대중들의 심리를 분석, 결론의 참고자료로 활용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서론, 본론을 거쳐 결론 부분에서 상기의 세가지 방 향에 대해 나름의 소신과 결과 추론을 남기고자 한다.

(17)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광고 전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는 캘리그래피는 조선후기 민화문자로부 터 이어지고 있다. 우리의 감성을 반영하는 이 글꼴은 신문, 잡지, 카다록, 제품, 패키 지, CI BI, 간판, 미디어 등에 이르기까지 산업 전반에 걸쳐서 우리는 문자와 함께 숨 쉬고 있다.

가변화 되어가는 인쇄와 편집 시장에서 디자이너의 톡톡 튀는 아이디어와 재치가 필 요해지는 시기이기도 하다. 캘리그래피는 이러한 개성있는 작업을 위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논문의 연구방향은 무절제하게 사용되어지는 캘리그래피의 발전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본 논문의 구성 과 각 장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본 연구 제 1장 서론에서는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듯이 큰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캘 리그래피가 조선시대 후기에 분명 존재하였고 그것이 근간이 되어 요즈음의 캘리그래 피가 되지 않았나 하는 의구심에서 시작되었다. 연구방향은 기존에 이미 연구되어진 논 문 및 단행본, 인터넷 사이트 등을 참고 하려고 한다. 여기에 지역 시민의 설문을 통해 캘리그래피로 제작 되어진 작품이 어떻게 인식되어지는지 알아보고 캘리그래피가 주는 시각적 광고 효과를 이론과 실증적 실험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고대 문자인 은나라 그림문자, 크레타의 그림문자 등은 동·서양의 대표 적 그림문자이다. 또한 그림문자는 문자의 시작이면서 동시에 캘리그래피의 시작이기도 하다. 따라서 캘리그래피의 근간이 문자인 만큼 문자의 이론적 배경과 문헌연구를 통해 문자의 제반적 이론을 고찰한다.

문자의 표현은 종이에 쓰기 시작하면서 급격히 발전하기 시작했다. 종이 이전에는 의 사전달과 언어표기의 목적이었지만 미적 감상의 대상이 되면서 예서, 해서, 전서의 운 필법이 발전하게 되었다. 동양적인 운필법의 연구를 해봄으로써 좀 더 깊이 있는 모필 을 활용한 캘리그래피에 접근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민화문자의 개념, 발생배경, 민화문자의 종류와 표현적인 특성을 알아본 다. 민화 문자는 글씨를 쓴다는 개념에서 의미를 갖는 회화성을 포함하여 발전하면서 민화문자라는 새로운 형태로 발전한다. 민화문자를 단순히 글자에 그림을 가미한 물리 적 행위로 바라보지 않고 상상 가능한 시각 언어로서 바라본다면 우리 고유의 문화콘

(18)

- 6 -

텐츠로서 성장 발전시키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이에 캘리그래피도 다소 회화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추세인데 일정 부분 맥락을 같이하는데 큰 의미를 둔다.

제4장은 캘리그래피에 대한 일반적 고찰, 기법, 조형원리, 활용 예를 연구한다.

시각적 측면만 만족한다고 해서 완벽한 캘리그래피라고 할 수는 없다. 본문의 문장과 함께 계속 사용되고 있는 캘리그래피의 이면에는 무엇보다도 가독성이 중요하다. 적절 한 자간과 글자의 형태, 상하 좌우의 밸런스, 공간의 배치 등을 합리적으로 검토하여 읽는데 어려움이 없어야 한다. 또한 거기에 회화적인 요소가 플러스 되어야 한다. 이 장에서는 각종 캘리그래피 유명 웹사이트와, 단행본을 중심으로 근대, 현대의 캘리그래 피 활용 예를 알아본다.

제5장에서는 ‘가설1.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캘리그래피가 상품 구입과 선호도에 관 련이 있을 것이다.

가설2. 선호하는 캘리그래피 서법의 형태와 선호도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

가설3. 국내에서 제작되어지는 캘리그래피 활용 작업물들은 이미지를 포함할 경우 브 랜드 선호도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

가설4.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어필할 수 있는 대문글자에서 일반 서체와 캘리의 선 호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등 본인의 논문에 보다 정확한 진실에 접근할 수 있는 가설을 설정한 후 실험설문조사를 통해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표본실험 을 실시한다.

제6장 결론 및 향후 연구 과제는 캘리그래피가 가지는 의의를 다시 한 번 돌아보고 완벽하지는 못하지만 캘리그래피를 지향하는 디자이너로서 본인이 추구하고자 한 목적 과 방향에 최대한 충실하려고 한다. 이것은 본 논문이 범사회적 의식의 바탕위에서 공 공의 이익에 조금이나마 기여하는데 의의를 갖고자하는 장이다.

(19)

제2장

문자의 이론적 배경

제1절 고대 문자의 형성 제2절 문자의 부흥

(20)

- 8 -

제2장 문자의 이론적 배경

제1절 고대 문자의 형성

2만 5천 년 전 인류는 라스코 및 몇몇 동굴 벽에 그림을 남겼다. 그리고 1만 7천년 뒤, 인류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문자를 만들어 낸다. 최초의 문자는 농축산물의 수확 량을 기록한 것이다.

인류가 존재한 수만 년 동안 간단한 의사소통의 수단은 다양했다. 그러나 문자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문자사용 집단의 생각이나 감정을 재현할 수 있는 공식적인 기호나 상징체계가 있어야하고 그 집단이 사용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문자는 오랜 기간 수 많은 과정을 거쳐 완성되어 지고 지금도 문자는 만들어지고 소멸되어 지는 과정을 반 복하고 있다.

인류학자인 르네 에티앙블7)은 “인류가 지구상에 와서 살다 죽어 간 것이 100만년이 나 되었지만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6천년 밖에 되지 않았다”고 논증한 바 있다.

BC 5천년 경 아주 흥미로운 발전이 있었다. 원시 그림문자에서 즐겨 사용되던 곡선이 사라지고 직선으로만 이루어진 문자가 발달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당시 진흙 판에 그려 넣는 게 상당히 불편이 따랐고 끝부분을 삼각형으로 잘라 낸 첨필을 사용했다. 이것을 설형 문자라고 했다. 설형 문자인 메소포타미아 일대에 살고 있던 수메르 인들의 쐐기문 자가 널리 퍼져 나가고 있을 때 이집트와 아시아의 중국에서는 다른 문자가 발달하고 있었다. 설형문자8)가 딱딱하고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반면 상형문자는 아름답게 그려 진 그림으로 되어 있어 시각적으로 생동감 있고 매혹적이다.

7) 르네 에티앙블(1909~2002, 프랑스 평론가 겸 소설가) 파리대학교에서 법학과 동양어학교를 수료, 모교에서 현대비교문학 교수로 있으면서 문학시평을 집필, 대담한 발상에 의한 소설, 평론을 많이 발표하였다. -두산백과

8) 기원전 4,000-5,000년 전 수메르인(Sumerian)들에 의해 사용된 문자로 인류 최초의 문자로 전해진 다. 글자 획의 한 끝이 삼각형의 쐐기 모양으로 되어 있어 설형문자라고 이름 붙였다.

-네이버 용어사전

(21)

[그림 1-1] 쐐기문자, 상형문자

1. 동양의 Calligraphy

한자는 동아시아 문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역사를 자랑한다. 기원전 2천년 후반에 이 미 완성된 형태로 중국 북 중부에서 출현한 한자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형태의 문자가 되었을 뿐 아니라 인류의 문어적 의사표현의 근원적인 매체로 자리매김하였다.

어느 학자의 추정에 따르면, 서기 1700년대 중반까지 중국어로 출판된 책이 그 밖의 언 어로 출판된 책을 다 합친 것보다 많았다고 한다. 한자의 문자체계가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지금까지 3천년 넘게 한결 같은 사랑을 받았다.9)

문자의 시작은 어디서나 그림문자였다. 특히 중국의 경우 문자의 시작은 그림이었다.

그림문자를 단독으로 사용 혹은 조합하여 쓰는 방식이다. 그래서 초기 그림문자들은 어 느 곳 에서나 형태가 아주 유사하였다.

한자가 오래된 것일수록 그림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현재 자세한 부연 설명을 듣지 않는 한 초기 한자의 형태는 연결이 되지 않는다. 중국의 서예는 한자를 쓸 때 정보 전 달만을 위한 목적은 아니었다. 예를 들면 한자를 쓸 때 반듯한 네모꼴을 유지해야 하고 필순을 지켜야 한다. 이처럼 서체의 외적인 형태를 중시해왔기 때문에 한자는 대단히 아름다운 요소를 갖고 되고, 그 결과 중국에서 서예는 중요한 한 장르가 되었다.10)

학교에서 한자가 사물의 모양을 본뜨는 것에서부터 발달했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9) 스티븐로저피셔지음, 문자의역사, 21세기북스 222P

10)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22)

- 10 -

‘木’이나 ‘日’과 같은 간단한 예를 들어 가르친다. ‘木’이라는 한자는 수목(樹 木)의 모양을, ‘日’이라는 글자는 태양의 형태를 본떴다고 하고, ‘牛’는 소의 머리 와 뿔을 나타낸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렇게 설명하는 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든다.

가지가 수평으로 자란 나무를 보면 ‘木’이라는 그림은 쉽게 떠오르지 않고 태양 또 한 ‘日’자 같은 사각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그림과 글자의 차이를 메우기 위해서 예서(隸書)나 전서(篆書), 혹은 그보다 더욱 오래된 문자를 비교한다. 한자는 매 우 추상화되어서 현재 알려져 있는 가장 오래된 서체조차 그림과는 거리가 먼 즉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서체조차도 대단히 추상화된 단계의 것임을 알 수 있 게 된다. 이렇게 변모해 온 글자 중 진화하지 않은 상형의 원시 상태를 보여주는 문자 도 있다.

그림문자인 부족표시 중 귀여운 동물이나 괴이한 인물, 그리고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몸체 등, 지금 우리의 눈으로 보면 이해가 안 되는 것들이 새겨져 있다. 그림인지 글자 인지 도통 알 수 없다. 뭐라 읽어야 할지 알 수 없고, 그림이라 해도 무엇인지 알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것들을 보고 오카모토타로11)씨가 자신의 저서 ‘서도전집 제1권 월보, 平어 사’에서 “기묘하면서도 늠름하고 대단히 즐거운 이미지, 대체 그림인지 글자인지 알 수 없고 또한 장식이라고도 말할 수 없는 이 기묘한 형태의 무한한 즐거움, 매력은 어 디에서 나오는 것일까?”라고 논증한 바 있다.

동물도상, 인간도상, 조합도상 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모두 일정한 무슨 의미가 있는 지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확실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런데 이러한 그림문자가 단독 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후대에 부족이나 씨족을 나타내는 ‘표시’라는 결론으 로 나오게 되었다. 중요한 것은 같은 문양이어도 사실에 대단히 가까운 그림에서부터 완전히 추상화된 그림, 나아가 글자에 가까운 그림까지 여러 단계가 발전되었다는 사실 이다.

추상화가 발전하여 문자가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바꾸어 말 하면 문자의 까마득한 선조에 해당하는 것은 상형이지만 상형문자라고 해도 좋을지 단 정할 수 없는 단계의 것, 즉 그림문자라는 명칭이 적당할 것 같은 예도 분명 존재한다 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이 당당하게 통용되던 시절, 한편에서는 갑골문이나 동기의 명 문 등과 같은 문자도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그것들은 이미 문자로서는 대단히 발달

11) 오카모트타로(1911~1996), 미술가,

(23)

한 것으로 변·방을 조합, 상당히 복잡한 것을 표기하는 단계까지 발전해 있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은나라 사람들은 가문의 문양만은 원시적인 상형을 완고하게 고수하고 있었다. 이상형이 갑골문자 등의 문자로까지 발달하는 데는 수백 년, 혹은 천 년 이상 의 시간이 걸린 것이다.

니시다 타쓰오12)박사는 자신의 저서 『살아있는 상형문자』에서 주제가 된 중국 윈난 성 모소족의 문자이다. “자형은 중국의 고대 상형문자와 약간 차이가 있지만 한자 발생 초기에 경험한 것과 같은 방식의 그림문자가 현재 그들 사이에서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 다. 미개민족의 경우 언제나 그렇듯 필기된 것은 모두 종교적인 것이다. 그들은 상형문 자를 구사하여 동음의 글자를 차용하기도 하고, 몇 개의 요소를 결합하여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기도 하면서 경전이나 전설을 기록하여 전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한자 역시 고대 중국으로부터 몇 천 년 동안 이러한 노력을 수없이 거듭한 끝에 몇 만이나 되는 문자가 생겼다는 것은 누구나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한자 발생 초기에 고대인이 겪은 어려움을 보여주는 흔적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니시다 박사가 소개해준 모소족의 상형문자는 그러한 의미에서 시사 하는 바가 대단히 크다.13)

앙리 미쇼14)는 1930~31년에 아시아를 여행하면서 표의문자인 한자를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한자의 놀라운 형상성에 압도되어 자신이 야만인이 아닌가 하는 느낌을 받았다 고 한다.

중국 한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장 놀라운 특색은 균형 잡힌 전체를 파악하는 능 력이나 직접적인 표현양식은 부족하지만 부분을 가지고 전체를 표현하는 것은 대단히 뛰어나다는 점이다. 수많은 한자 중에 첫눈에 그 뜻을 알 수 있는 것은 몇 자가 채 되 지 않는다. 같은 상형문자지만 이것은 이집트의 상형문자와 반대이다.

중국인들은 종합을 매우 좋아한다.

가령 코끼리를 나타내는 글자(象)는 오랜 동안 여덟 개의 다른 형태로 변모해 왔다.

처음에는 코끼리의 코를 그렸다. 몇 세기가 흐른 뒤에도 코끼리의 코를 그렸지만 이번 에는 인간처럼 직립한 모습을 그렸다. 한참 지나서는 눈과 머리는 그리지 않았다. 그보 다 훨씬 지나서는 몸뚱이는 아예 사라지고 어깨, 척추, 발만 남게 되었다. 그 뒤에 다시 머리는 살아났지만 발을 빼고는 아무것도 그리지 않았다. 또 한참 지나서는 모습이 확 바뀌어 뱀의 형상이 되었다. 끝내 그 글자는 누구나 제멋대로 말해도 상관없을 정도의

12) 니시다 타쓰오(1928~ ), 문자학자, 『살아있는 상형문자』 중공신서, 1966 13) 후지에다 아키라, 「문자의 문화사」, 박이정출판사, 2009

14) 앙리 미쇼(1899~1984), 벨기에 태생의 시인이자 화가

(24)

- 12 -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15)

중국인에게 서예는 글씨를 아름답게 쓰는 것이 항상 중요했다. 사실 중국 사회에서 위대한 서예가들이 최고의 화가나 시인보다 더 높은 명성을 누릴 때가 많을 정도로 지 난 여러 세기 동안 중국에서 서예는 음악, 미술, 시만큼 중요한 존재였다.

서양의 알파벳이 주로 기능적인 면에 치우친 반면, 중국의 한자는 본질상 기능적이면 서도 예술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16)

2. 서양의 Calligraphy

서양의 문자는 원시 알타미라 동굴 벽화 같은 그림문자에서 비롯되었다. 초보적인 단 계의 단순화된 도형이나 그림 등도 그들의 생각을 나타내는 표의문자로 발전되어 갔다.

고대문자의 발명 즉 메소포타미아, 이집트, 중국의 문자 등이 이러한 추상 형태의 결과 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그림문자에서 시작해 알파벳의 시초인 페니키아 문자이며 페니키아문자는 히브리 문자의 기원이 되었다.

설형문자가 딱딱하고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문자 체계인 반면 상형문자는 아름답게 그려진 그림으로 시적이고 매혹적이며 생동감이 있다. 수메르인과 고대 이집트인은 거 의 같은 지역에서 살았기 때문에 그들의 문화에는 공통점이 많았었다.

고대 이집트인의 문자 체계를 가리키는 상형문자는 실제로 신들의 글자였다. 가장 오래된 상형문자로 쓴 기록은 기원전 3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상형문자가 실제로 만들어진 것은 그보다 먼저였을 것이다. 그 후 파피루스의 발견으로 시각커뮤 니케이션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수메르인과 달리 이집트인은 훨씬 더 효율 적인 문자 체계를 만들어 냈다. 메소포타미아의 원시문자가 선형에서 점차 진보하여 정교한 문자체계로 발달했다면 상형문자는 처음부터 진정한 문자체계로 정착했다고 볼 수 있다.

BC 2천년 직후에는 아카드어가 메소포타미아의 중심 구어로 자리 잡았고 설형문자 체계가 잘 정비되자 아카드어와 수메르어뿐만 아니라 다른 구어도 기록할 수 있었다.

설형문자는 곧 강대한 아시리아 왕국의 문자가 되었고, 이어 BC 18세기에 이르러서는

15) 조르쥬 장, 문자의 역사 186~187p

16) 스티븐 로저 피셔, 「문자의 역사」, (주)북이십일 21세기북스, 2010

(25)

[그림 1-2] 중세의 캘리그래피 예

Livre de la Cité des dames. [de CHRISTINE DE PISAN ] 1r

ⓒ프랑스 국립도서관 데이터베이스 gallica.bnf.fr

바빌론 왕국의 문자체계로 정착되었다.

메소포타미아의 문자 체계는 여러 가지 언어를 표기할 수 있었으며 이 최초의 문자 체계는 수메르어나 아카드어 말고 다른 언어들도 기록할 수 있었다는 점 에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고대 페르시아어는 페르시아 왕국에 서 널리 사용되었는데 기록문자로는 메소포타미아 기호체계에서 파생된 설 형문자 알파벳이 사용되었다. 이처럼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발명된 설형문자 체계는 BC 3천년~1천 년 사이에 남에서 북으로 팔레스타인~

아르메니아까지 전파되었다.

알파벳의 시작인 알파벳은 원래 에트 루리아인, 이탈리아 반도의 제 민족이 직접 그리스 문자의 형태에서 차용된 문자로 지방적 알파벳의 하나였다. BC 3천년 경 로마인들에 의해 오늘날의 알파벳이 되는 라틴 알파벳이 널리 쓰이기 시작했 다. 결국 오늘날의 라틴계통 언어들의 자음 모음 체계는 모드 페니키아 문자 체계에서 시작된 것이다.17)

서양의 캘리그래피 시작은 기하학적이고도 독특한 글자의 조형성을 지닌 ‘아라비아 문화권’, 그리고 로만글자와 법률, 기독교 문화에 바탕을 둔 ‘서양 문화권’이 있다.

문화권마다 글을 쓰는 방식에 차이가 보인다. 예를들면 알파벳은 왼쪽에서 오른쪽, 아 랍어는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쓰기가 진행되고 발원지마다 점차 발전하게 하는 동기 의 차이, 그리고 그것에 담아내는 문화적, 종교적, 정치적 문맥이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볼테르18)는 "문자는 목소리의 그림이다." 라고 논증한 바 있다. 여기에는 문자의 본질적 인 의의와 범위에 대한 17세기 중반의 인간 중심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그로부터 250여 년이 지나 괄목할만한 전자혁명을 경험하고 있는 지금 어느새 문자는 우리 인간 17) 조르주 장, 문자의 역사

18) 볼테르(1694~1778), 1700년대 중반 프랑스 계몽주의 철학자

(26)

- 14 - 성을 초월해 버렸다.

글자라는 의미의 그리스어‘typos'에서 시작된 타이포그래피는 활판 인쇄 또는 인쇄 술, 인쇄 체제, 인쇄 상태나 서체의 선택, 배열 등을 가리키며 볼록판 활자로 인쇄가 이 루어지던 시대의 인쇄술 전체를 의미한다. 그리고 디자인된 활자를 가지고 디자인 하는 것을 가리킨다. 산업혁명 이전에는 활자에 의한 인쇄밖에 없었기 때문에 활판 인쇄술을 가리키는 말로 쓰여 왔으며 18세기 이후 근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글자를 기능적인 측면 과 미적인 측면까지 고려한 디자인의 개념으로 이해하기 시작하여 널리 사용하게 되었 다. 오늘날 타이포그래피는 활판 인쇄술을 넘어 글자 및 활자에 관한 서체, 디자인, 조 판, 가독성을 포함하며 그것에서 발생하는 조형적인 구성을 모두 말한다.19)

19) 박용균,김경기, 「디지털 환경에서 캘리그래피의 디자인 표현 양식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 학연구 Vol.8 No.4

(27)

제2절 문자의 부흥

1. 종이의 사용

서책이 종이가 생겨 두루마리 형태를 한 후 7, 8백년이나 되는 긴 시간 동안 그 형태 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서체 면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면서 해서로 불리는 서 체가 출현했다. 더 정확하게는 나무재료인 목간에 글을 쓰기 위해 예서가 있었던 것에 비해, 부드러운 종이에 쓰기 위해 해서가 생겼다고 할 수 있다. 수나라 무렵에서야 지 금 해서라고 불리 우는 서체가 완성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종이가 생긴 시기에는 종래 의 나무재료인 목간용 사슴털 붓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부드러운 신 재료 위에 쓰는 데는 예전의 붓이 불편하게 되었다.

갑자기 해서가 생긴 것이 아니라 앞서 말한 것처럼 종이가 사용되면서 예에서 해로 서서히 변화하게 된 것이다. 6세기말 수나라 장안의 표준서체가 해서 화됨으로서 중국 전역에 해서가 보급되었다.20)

약 4천 년 전 익명의 수메르 사람이 “입과 손이 서로 어울리는 사람, 그가 바로 진 정한 서기이다.”라고 점토에 새겨 넣었다고 한다.21) 문자는 sound 없는 그림으로부터 서서히 ‘진화’하지 않았다. 문자는 애초부터 인간의 말을 그림이나 도식의 표현으로 출발했고, 지금까지 그렇게 남아 발전 되고 있다.

특별하거나 특정한 어느 개인이 문자를 ‘발명’하지도 않았다. 문자는 계산막대나 부전 같은 초보적인 수단을 개선한 결과 이집트부터 인더스 강 유역까지의 방대한 지 역에서 처음으로 등장한 듯하다. 상인과 관공리는 수를 헤아리고 크기를 재고 무게를 달아야 할 상품을 그림으로 묘사함으로써 나무막대나 부전의 한계를 극복했다. 비록 초 기의 모든 상형문자가 간단한 그림으로 이뤄져 있었지만, 그중에서 가장 초보적인 것도 언어로부터 직접 취한 음가를 나타냈다.

문어의 가장 기본적인 원형에서는 대체로 여러 가지 과도기적 변형과 조합을 수반하 는 세 가지 종류의 문자가 인정된다.22)

20) 후지에다 아키라, 「문자의 문화사」, 박이정출판사, 2009, 154p

21) M. W. Green, 'The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Guneiform Writing System', Visible Language, xv/4(1981), pp.345-72.

22) Archibald A. Hill, 'The Typology of Writing Systems', in Papers in Linguistics in Honor of Leon Dostert, ed. W.M.Austin(The Hague, 1967), pp92-9.

(28)

- 16 -

문자는 사회 발전 자체를 가능하게 하지는 못했지만, 사회를 유지, 변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우리사회는 문자 없이 존재할 수 없다. 현 대의 디지털화된 사회에서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은 언어 자체를 갖고 있는 것에 버금 갈 정도로 중요하다. 불과 5천년이 넘는 세월 동안 조금씩 다듬어진 결과 이제 문자는 그것이 전달하는 언어만큼 인간에게 꼭 필요한 존재가 되었다.

기원전 8천년 경부터 메소포타미아에 등장한 점포 물표(clay token)는 표음문자 (phonetic writing)의 선구자 일지 모른다.23)

수메르인과 활발히 교역한 이집트인과 인더스 강 유역의 하라파인은 아주 이른 시기 부터 인간의 말을 재현하기 위해 식별 가능한 그림 상징을 사용하는 그림문자 (pictogram)를 사용했다. 이후 이집트인은 이집트어를 더 효과적으로 재현하기 위해 그 림을 형태소와 순수한 음성기호로 간소화했다. 그렇게 해서 마침내 쓸모 있는 표어문자 체계가 탄생했고, 구어의 문법적 문장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문자인 것이다.24)

2. 인쇄술의 발달

12, 13세기 대학들이 설립되면서 책을 찾는 부유한 학생과 부유한 이들이 필경사들의 고객으로 등장했다. 권위 있는 교재를 베껴야 해 일거리가 많아졌고 필경사들은 일거리 가 많아졌다.

15세기 초엽 목판에 새겨진 원고가 종이 위에 인쇄되었고, 그런 다음 성인이나 성서 속의 장면을 묘사한 그림과 조합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목판 위에 종이를 놓고 손으로 문질러서 인쇄를 하는 아주 원시적인 방식이었다. 마인츠에 사는 요한 구텐베르크가 1440년 처음으로 기계화된 인쇄기를 발명했다. 그리고 쿠텐베르크의 친구인 페터 쇠퍼 는 납과 안티몬의 합금을 이용해 크기가 서로 다른 글자를 주조하는 방법을 발견했다.

기계인쇄술은 현대인이 볼 때에는 엄청난 혁명이었지만 당시에는 단지 필경의 연장으 로 인식되었다.

인쇄업자의 목적은 필경사와 겨루어 그들이 내놓는 호화로운 책자와 똑같은 것을 만

23) Denise Schmandt-Besserat, How Writing Came About(Austin, TX, 1997) 24) 언어의 역사 / 스티븐 로저 피셔 지음/박수철.유수아 옮김

(29)

들자는 것이었다. 종이 보급 이후의 역사는 문자의 역사 보다는 타이포그래피, 인쇄, 그 리고 출판의 역사라 할 수 있다.

구텐베르크의 인쇄술이 성공을 거두자 손으로 쓰는 일은 과거의 유물이 되어 버릴 것 같았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았다. 인쇄술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손으로 직접 원고를 써야 하는 글쓰기의 세계는 전보다 더 확대되었고, 깃펜은 생각을 문자로 기록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도구가 되었다.

그런데 인쇄술 발전과정에서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 두어야 할 중요한 내용이 삭제되 어 있다. 조르주도 “세계 최초로 금속활자를 만들어 인쇄한 사람은 고려인이다. 서구 인은 이 사실을 역사에 기록해 두지 않았다. 서구인이 알고 있는 금속활자 발명은 구텐 베르크일 뿐이다.”라고 주장한 바 있다.

서양의 쿠텐베르그 보다 무려 2백년 이상 앞 선 우리나라 고려 목종때 최윤에 의해 1234년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인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이 편찬되었다. 이것은 청소 년 교육을 위한 당시의 교과서로 고대로부터 전해오는 우리의 전통예절이 담긴 내용으 로 50권이 인쇄되었으나 조선조 말 대원군 시절 신미양요 사건 때 프랑스 군대가 탈취 해 지금 프랑스 루불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시급히 바로 잡아야 할 역사적 사실이다.

디지털화된 생활의 편리함 속에서 우리는 많은 문명의 혜택을 누리고 있지만 우리는 여전히 손 글씨를 사랑하고 아끼고 있기에 꾸준한 발전을 해오고 있다. 유럽의 필경사 들이 과거 오랫동안 빛나는 업적이 있음에도 당시 악덕 고리대금업자들이 필경사들을 고용해 필경사들의 지위는 너무나 퇴락하고 19세기말이 되면 술주정꾼으로 치부되어가 는 과정을 보듯 그러한 실수를 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전통의 것을 지키고 그것을 바탕으로 쉼 없는 발전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한다.25)

25) 조르주 장, 문자의역사

(30)

제3장

민화문자의 발생

제1절 민화 제2절 민화문자의 목적 제3절 민화문자의 활용가치

(31)

제3장 민화문자의 발생

제1절 민화

1. 민화의 개념

민화는 우리만 있는 것이 아니고 유럽, 미국, 일본, 중국에도 존재한다. 미국은 1920년 부터 민화 연구가 시작되었고 많은 현대미술관이 이 작품을 소장하고 록펄러 같은 대 부호도 수집광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농민화, 민화 등이 있었고 초 상화, 풍경화, 정물화, 그래픽 등으로 표현되었다.

미국의 민화에 대한 정의는 「일반 민중에 의한, 민중을 위한 그림」이라 규정 짓고 미국에 이민한 사람 중에 정식으로 그림공부를 못한 지방의 떠돌이 화가가 동네 사람 들에게 그려준 모든 그림도 이에 포함된다라고 하고 있다.

일본인 미술평론가 야나기 무네요시26)는 민화의 분류를 「문자민화, 길상민화, 화제민 화, 정물민화, 도교민화」등 다섯 가지로 분류했다.

전통회화가 화가 개인의 사상과 인생관을 창조적 기법으로 표현한 개인의 예술이라 한다면 민화는 한 시대를 살아가는 일반대중의 집단사고가 몇몇 형(形)과 짜임새로 표 현된 공예적 회화라 할 수 있다.

민화는 생활공간을 꾸미고 주술 종교적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그려진 생활실용화이 다. 대부분의 민화는 그 작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으며 소모적인 회화로서 익명성과 소 모성을 갖고 있다. 이 그림들은 조선조 후기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양란을 겪은 후 17C 이후 서서히 늘어났다. 부농이 늘어남에 따라 상층계급만 독점하던 문화생활을 새롭게 등장한 수요계층이 생겨남으로서 민화발전 성장의 기초가 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민 화는 그 표현기법에 있어서 정통회화와는 완연히 다른 대중적 취향을 보여주고 있다.

26) 야나기 무네요시(1889.3.21 ~ 1961.5.3.) 일본의 민예연구가·미술평론가. 일제강점기 광화문 철거 가 논의되었을 때 적극 반대하는 등 한국의 민속예술에 대한 깊은 관심을 나타내었다. 1924년 조 선미술관을 설립했고, 이조도자기전람회와 이조 미술전람회를 열기도 했다.

(32)

- 20 -

양반만 독점했던 내용들이 일반 평민에게까지 수용돼 전통회화의 저변화 현상이 나타 났다.

이와 같은 성격을 갖고 있는 민화에 대해서 그 동안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었지 만 민화의 향유층을 배려하면서 민화의 예술적 성격과 위상을 본격적으로 조망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민화는 흔히 아는 것처럼 하층 민중들에게만 수용된 것이 아니라 상 층에게도 활발하게 수용되었으며, 오히려 상층에서 시작된 수요가 18∼19 세기의 사회 경제적 변화 속에서 민간에 확산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민화 전승집단의 범계층성은 다량의 생산과 소비라는 유통의 문제, 그리고 보는 이를 철저히 의식한 표현기법의 문제와 맞물리면서 민화를 상층회화와 분명하게 구별되는 회화로서 자리 매김 한다.27)

야나기 무네요시는 ‘민화’라는 용어를 처음 쓴 사람이다. 1929년 3월, 일본 교토에 서 열린 민예품전람회에서 ‘민속적 회화’라는 의미로 ‘민화’라는 명칭을 처음 사 용했다. 1937년 2월, 일본의 월간<공예>지에 기고한 ‘공예적 회화’라는 글에서 ‘민 중 속에서 태어나고 민중에 의해 그려지고 민중에 의해 유통되는 그림을 민화라고 하 자’고 주장했다.28) 야나기 무네요시의 말처럼 대부분의 민화는 누가 그린 것인지 알 수 없는 무명의 그림이다. 도화원의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았으나 그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은 민중이 가지고 있던 문화적 힘이라 할 수 있다. 민화를 보면 우리의 정 서와 문화의 기본이 담겨져 순수한 예술성과 한국적인 소박함을 느끼게 된다.

1970년대 이르러서야 민화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대표적 사례를 보면 이우환은 조선 미술의 특징을 ‘생활에의 미술’이라 하여 개성이 강한 감상용의 순수미술로써 받아들여진 것이 아니라 생활 속에서 가꾸어진 실용성이 강한 무명의 생 활예술로 민화를 평가하고 있다.29) 또한 김철순은 민화는 ‘민중적인 민속적이며, 온 국민의 일상생활을 지배했던 그림, 즉 국민전체가 참여하고 즐긴 설화’라고 주장한 바 있다.30)

민화를 정의함에 있어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매우 어렵고 개인의 견해차가 있을 수 있 으나 담겨진 내용은 거의 같다. 우리 조상들의 일상생활과 함께 발달한 한국적인 정서 가 잘 느껴지는 우리의 순수한 감정이 진정한 가치로 표현된 그림이다.31)

27) 金周姬, 「조선후기 민화의 대중지향성 연구」, 안동대학교 대학원 28) 윤열수, 「민화이야기」, 디자인하우스, 1995, p.13.

29) 이우환, 「조선의 민화」, 열화당, 1990, p.9.

30) 김철순, 「한국민화논고」, 경미문화사, 1990, p.71.

31) 윤상숙, 「문자도 조형성 연구」, 한남대학교, 2009

(33)

한국 민화의 큰 틀은 첫째, 무명성, 실용성, 공예성, 상징성이 있어 둘째, 생활화, 기록 화, 종교화, 명화라는 특징이 있어 현대 용어의 ‘캘리그래피’와 한 방향인 실용성으 로 연결 지을 수 있다.

2. 민화의 발생 배경

자유는 예술에서 가장 소중한 덕목이다. 우리 미술 가운데 자유로움이 한껏 발산된 것이 바로 민화다. 민화에는 어떤 형식에도 구애되지 않고 어떤 규범에도 얽매이지 않 는 자유로움이 맘껏 펼쳐져 있다. 민화와 자유의 만남, 그것은 우리 미술에 있어서 더 할 나위없는 행운이다.

울주의 청동기 시대 암벽화, 고구려 벽화, 삼국시대 무덤의 그림이나 부장품에서의 우 리 민족의 민화적 형식과 요소는 얼마든지 증명되고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 4신(神), 짐승의 구도와 형상, 해, 달, 구름, 사슴, 거북이, 백제의 산 수문전에 부조된 산, 물, 그림, 바위 나무들은 민화에서 그려지는 소재들을 담고 있다.

사신도의 그림은 시대변화와 함께 변화된 과정을 거쳐 호작도의 익살스럽고 해학적인 호랑이 모습, 88올림픽의 호랑이 마스코트에까지 이르고 있다.

민화가 서민사회까지 널리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후기에 모내기법을 널리 퍼지면 서 부농이 생겨남에 따라 경제적 여유를 갖춘 서민들에 의해 유행했다. 민화는 투박해 보이면서도 해학적인 이미지의 그림이다. 실학을 배경으로 서민문학과 함께 판소리가 등장하던 조선후기는 상류층에서만 독점하던 문화생활을 일반 서민들도 그들의 생활주 변을 장식하기 위해 관심을 갖던 시기로 그림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되었다. 조선후기의 다양한 사회변동은 서민들의 신분이 급상승하면서 자신들의 감정이나 가치관을 솔직하 게 표현하게 된데 연유한다. 수요자는 다양하여 입춘 같은 절기가 되면 그에 맞는 그림 이나 글씨를 대문이나 집안 곳곳에 장식했다. 단순한 장식에서부터 귀신을 쫒고 복을 기원하는 것, 교훈적인 것, 산수화적인 성격을 띤 그림들이 주로 그려져 이 시기 민화 의 보급에 앞장서기도 했으나 수요의 증가는 작품의 질적 저하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전통회화가 자연주의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이라면 민화의 내용은 추상적이며 상징적인 서민들의 정서가 들어 있는 실용적 생활미술로 내용적으로도 다양하다. 사람이 살아가 는 모습이 담겼다 할 수 있다. 서민들의 간절한 마음을 진실로 표현하고자 하는 갈망으

(34)

- 22 -

[그림 3-1] 초충도/책가도 로부터 태어난 자연발생적 미술을 민화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민화가 포함한 소박한 아름다움이 현재 우리가 원하는 시각디자인적 요소에 부합하며 현대에까지 활용되어지는 배경이기도 하다.32)

3. 민화의 종류와 특성

1) 민화의 종류

다양한 유형으로 이루어진 민화는 생활양식과 오랜 역사가 밀착되어 형성되었다. 익 살스럽고 소박한 형태, 아름다운 색채, 파격적인 구도의 특징은 한국적인 미를 강렬하 게 드러낸다.

민화는 장식장소와 용도에 따라 종류를 달리 한다. 민화의 내용별 주제를 대략 일곱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한다. 첫째, 꽃과 새가 어우러져 아름다음 조화를 이루는 화조도 (모란꽃, 매화, 난초, 연꽃, 석류, 학, 꿩, 오리, 봉황, 나비, 벌 등), 둘째, 호작도는 호랑 이와 까치를 함께 그린 그림으로 호랑이가 주가 되어 그려져 있으며 까치가 등장하기 도 한다. 셋째, 십장생도는 상상의 선계를 형상화한 것으로서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

32) 정병모 지음, 「무명화가들의 반란 민화」, 출판사 다홀미디어

(35)

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열 가지의 장생물을 소재로 한 그림이다. 넷째, 문자도는 충 효 혹운 삼강오륜의 교훈적 의미거나 길상적인 뜻을 지닌 글자를 통하여 바라는 소망 을 이루고자 하는 의도에서 그렸다. 민화 문자도는 효, 제, 충, 신, 예, 의, 염, 치의 유교 적 윤리관을 압축시킨 여덟 글자를 회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병풍으로 그린 그림이다.

글자의 획 속에 그려진 문양은 길상적인 뜻이 담긴 길상문이다. 다섯째, 산수화는 산과 계곡등 자연의 경치를 그린 그림으로 장식용 민화다. 채색을 많이 하여 필법이 대단히 자유롭다. 여섯째, 책거리는 책을 중심으로 문방사우나 이와 관련된 물건들을 구경한다 는 뜻이다. 주로 선비들의 사랑방이나 서재에 장식되었던 이 책거리 그림은 학덕을 쌓 기 위해 애쓰는 문인들의 소망을 담고 있으며, 글 읽기를 즐기고 학문의 길을 추구했던 당시 조선시대 선비들의 일상적인 생활상을 고스란히 유추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일 곱 번째, 풍속도는 농사를 짓고 베를 짜는 모습, 사냥하는 장면, 일상생활, 사람이 태어 나서 죽을 때까지의 평생을 그린 그림이다.

2) 표현적 특성

민화의 조형미 연구는 민화 종류의 표현방법을 통해 한국인의 미의식과 생활정서를 바탕으로 한 민화의 구체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사대부가에서 유행하였던 장식적인 그림은 민화에 과감히 반영되어 고정된 형식이 새로운 형식으로 전이되었다.

고사(故事)가 담긴 그림은 민간 설화나 민간 신앙과 관련된 내용과 그림을 하나로 일치 시켰다. 왜곡과 과장된 자유로운 그림형식은 일반 서민들의 정서를 과감히 표현해냈다.

민화는 종류가 다양하지만 같은 그림은 단 한 점도 없다. 이것은 그만큼 풍부한 창조 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민화의 자유분방한 특징은 조선 후기 예술 정신이다. 민중 적 예술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단순미, 소박미, 해학미, 파격미, 천진미 등과 함께 전체 적인 특징을 이루고 있다. 산수화처럼 모든 것을 그림 속에 표현하지 않은 단순미, 이 루고자하는 소원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소박미, 호작도 속 호랑이의 천진하고 해학적인 모습을 표현한 특징은 우리 조상들의 주술적인 신앙이 반영된다.

민화는 대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자유롭다. 그래서 한 시점을 동시에 표현하기도 하고, 도상들을 반복적으로 그리거나 강렬한 색상대비로 표현한 자유로운 형식의 그림이다.

서민들 안에 깃들여진 생활정서와 해학적인 정서가 결합되어 그 시대의 회화로 발전되 었다.

(36)

- 24 -

[그림 3-2] 예절문자도(유교문자도)

효,제,충,신,예,의,염,치 이외에도 수,복,강영 등의 글자와 짧은 문장을 그림문자로 그려 병풍이나 족자화했다.

출처 : 네이버 미술검색

제2절 민화문자의 목적

‘효제충신 예의염치’는 유교를 국가 기강으로 삼았던 조선시대에 갑자기 등장한 것 이 아니고 우리 조상들은 삼국시대부터 이 여덟 글자를 교육의 골격으로 삼았고 신언 서판의 중심으로 키워갔던 것이다. 조선시대 양반과 상민의 신분제도가 엄격하게 지켜 진 저변에는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의 내용을 그림을 통해 교화시켰다.

삼강이란 일종의 윤리규범으로 임금과 신하 즉 군위신강(君爲臣綱), 부자지간 즉 부위 자강(父爲子綱), 부부지간 즉 부위부강(夫爲婦綱) 등의 관계르, 왕과 아비와 남편이 위이 고 먼저라는 교육을 강제했던 것이다. 또 오륜이란 군신유의(君臣有義)를 통해 임금과 신하 사이의 의리를, 부자유친(父子有親)을 통해 아버지와 자식 사이의 친애를, 부부유별

(37)

[그림 3-3] 비백호자

조선조후기 성명미상의 비백호자

예자도 19세기

종이에 채색, 77×39cm, 도쿄 일본민예관

(夫婦有別)을 통해 부부 사이의 예의 분별을, 장유유서(長幼有序)를 통해 선후배 사이의 서열을, 붕우유신(朋友有信)을 통해 친구사이의 신뢰를 가르쳤다. 즉 삼강오륜이라는 기 초교화 위에 ‘효제충신 예의염치’를 인간관계와 인격수양의 기본 덕목으로 삼았던 것 이다. 이 여덟 글자는 주로 병풍 한 폭에 한 글자씩 넣어 여덟 폭 병풍으로 되어 있는 것이 주종을 이루며 여기에 그림을 함께 넣어 아름다운 예절문자도를 만들었던 것이다.

효(孝)를 통해 부모를 공경케 하고 제(悌)를 통해 형제간에 우애와 화목을 가르쳤고 충 (忠)을 통해 나라에 충성케 하고 신(信)을 통해 사람 사이의 믿음을 존중토록 했다.예(禮)를 통해 예절을 지키도록 했고 의(義)를 통해 인간관계에 의리를 소중하게 여기며 염(廉)을 통 해 청렴과 검소함을 치(恥)를 통해 부끄러운 생각이나 행동을 스스로 깨닫도록 했다. 이것을 고대로부터 내려온 전설이나 고사를 그림으로 풀어서 아름다운 글자를 만들었던 것이다.

중 국 에 는 민 화 문 자 의 하나인 혁필 이 있다. 혁 필을 비백서 ( 飛 白 書 ) 라 한다. 가죽에 안료를 묻혀 서 그리는 방식은 근대 에 와서 이 루어진 일이 고, 그전에는 대나무나 버 드나무를 붓 처럼 부드럽 게 다듬어 그림을 그렸 다. 현재 활 동 작 가 들 은

(38)

- 26 -

천 조각이 가죽보다 잘 그려지기에 가죽보다는 중절모의 천 조각을 더 선호한다. 붓 이 외의 재료를 갖고 그림을 그리는 전통이 화단의 한편에서 줄곧 이어져 내려온 것이다.

혁필화는 처음에 문자도처럼 먹과 더불어 사용되거나 먼저 그림의 내용을 그린 후 나 중에 글씨모양의 빈 공간에 먹을 입히는 필법으로 그려오다가 차츰 수성칼라 잉크로 발전 변모해 온 것이다.

혁필의 형태에는 글씨 중심의 그림과 장식 중심의 글씨 두 가지로 분류된다. 서예를 배웠거나 글씨에 자신 있는 사람은 대나무, 꽃, 나비, 학, 집과 같은 그림이 먼저였다.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기록은 확실치 않으나 1600년 조선조 중기 이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소비자가 원하는 성명, 당호, 고사성어, 가훈, 경전 등에 주로 작업되어 왔 다. 디자인이나 일러스트 분야에 있는 사람들이 필히 기억해 둘 사실은 일제강점기에 이 필법이 일본에 전해져 하나모지라는 단어로 유행되어 꽃그림이나 꽃글자로 발전해 가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북경 등 뒷골목이나 천안문 근처에서 우리와 유사한 혁필화가 간헐적으로 그려지고 있음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우리도 충분히 민화문자의 하나인 혁 필화를 개량 발전하여 캘리그래피에 접목한다면 상당한 성공가능성이 있다.

문자도는 오랜 세월동안 우리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한자가 갖 고 있는 주술적 힘 때문이다. 문자가 의미하는 대로 소망이 이루어지고 문자가 바로 그 대상 자체라는 믿음, 그것이 주술이다.

문자도는 한자에 대한 주술적인 믿음에서 출발했다. 복(福)자를 그린 문자도는 행복을 가져다 주고, 수(壽)자를 그린 문자도는 오래 살게 하며, 녹(祿)자를 그린 문자도는 출 세길을 연다는 믿음이다. 또한 효(孝)자를 그린 문자도는 효심을 불러 일으키고, 충(忠) 자를 그린 문자도는 충성심을 높이게 한다. 오늘날 가훈과 급훈을 각기 가정과 학교에 걸어두는 것도 같은 맥락의 풍습이다.

조선은 유교국가다. 어느 시대보다 철저한 유교국가다. 조선에서는 건국 초기부터 유교 이념을 백성의 생활 깊숙한 곳까지 실현하려고 여러 가지 정책을 펼쳤다. 그럼에도 불구 하고 실제로 그 결실을 맺기 시작한 시기는 3백여 년이 지난 뒤였다. 민화도 유교의 영 향에서는 예외가 아니었다. ‘유교문자도’라고 부를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의 문자도가 탄생한 것이다. 문자도란 원래 행복, 출세, 장수를 내용으로 하는 복록수(福祿壽)의 길상 문자도(吉祥文字圖)가 주류를 이룬다. 문자도가 시작된 중국을 비롯하여 한자문화권인 일본, 베트남, 부탄, 티벳에서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그런데 유독 조선에서만 부모에게 효도, 형제간의 우애, 나라에 충성, 사람간의 신뢰, 사회생활에서 지켜야 할 예 절, 사람과의 관계에서 지켜야 할 의리, 청렴한 생활, 부끄러워 할 줄 아는 마음 등 유교

참조

관련 문서

Basic aspects of AUTOSAR architecture and methodology Safety mechanisms supported by AUTOSAR.. Technical safety concepts supported by AUTOSAR Relationship to ISO

Most submerged lamp system have a fundamental fouling problem and due to the absorption of UV light by fouling materials on the quartz sleeve, germicidal power of UV

and Richmond, A., “Productivity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spirulina platensis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algal density and rate of mixing in a

As a result, in order to form a cooperation system for the regulation of shipment and production by structuring a network centering on Zakmokban

Eroticism make-up will be the best solution to appeal to the buyer and expression of make-up that is based on pure emotions and sexual tangle is developed by the needs of

As the basis of the study, concept behind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was formed, and based on theoretical fundamentals of current internet use, ICT

Based on the research described above, a work expressing the formative beauty of lines, which is the most basic in calligraphy, was produced by u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current status, effects and satisfaction of personal assistant service for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