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Copied!
6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50-70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3 하나대투증권빌딩 8층 전화 : (대표)3771-0001 (직통)3771-0057 팩스 : 785-0270~1

정책연구 2012-03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자동차・조선 산업을 중심으로-

이병기

기 업 성 장 의 협 력 기 업 낙 수 효 과 분 석

20 21

03 정책보고12-03 2012.7.19 10:49 AM 페이지1 mac1

(2)

정책연구 2012󰠏03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 자동차 · 조선 산업을 중심으로 ―

이 병 기

(3)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 자동차 · 조선 산업을 중심으로 -

1판1쇄 인쇄 / 2012년 7월 19일 1판1쇄 발행 / 2012년 7월 25일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발행인 최병일 편집인 최병일 등록번호 제318󰠏1982󰠏000003호 (150-705)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3

하나대투증권빌딩 8층

전화(대표) 3771󰠏0001 (직통) 3771󰠏0057 팩스 785󰠏0270~1 http://www.keri.org/

ⓒ 한국경제연구원, 2012 한국경제연구원에서 발간한 간행물은 전국 대형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구입문의) 02-3771󰠏0057

ISBN 978󰠏89󰠏8031󰠏629-8 값 7,000원

(4)

목 차 3

목 차

요 약 ‧ 5

1

서 론 ․ 11 1. 문제제기 ․ 11

2. 보고서의 내용 및 분석목적 ․ 13

2

협력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변동 요인 ․ 16 1. 중소기업 성장요인 분석 ․ 16

2. 중소기업의 투자 변동 요인 분석 ․ 19

3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 21

1.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성장과 하도급 관계 특징 ․ 21 2. 기초자료의 정비 ․ 27

3. 위탁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분석 ․ 29

4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실증분석 ․ 39 1. 추정모델 및 자료 ․ 39

2. 분석방법 ․ 42 3. 추정결과 ․ 43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53 1. 연구결과 요약 ․ 53 2. 시사점 및 정책과제 ․ 55

참고문헌 ․ 58

(5)

표 그 림 목 차

<표 1> 기간별 평균 매출액 영업이익률 ․ 13

<표 2> 자동차산업의 제조업 내 경제적 비중 변화 추이 ․ 21

<표 3> 자동차 부품산업의 매출액 변화 추이 ․ 22

<표 4> 부품업체수와 모기업 납품실적 ․ 23

<표 5> 조선산업의 제조업 내 경제적 비중 변화 추이 ․ 25

<표 6> 국내 조선산업의 수주실적 추이 ․ 26

<표 7> 각 산업의 분석대상 기업체수 ․ 28

<표 8>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이익률 변화 추이 ․ 30

<표 9>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성장률 변화 추이 ․ 35

<표 10>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부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 변화 추이 ․ 37

<표 11>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활동성 변화 추이 ․ 38

<표 12>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분석에 사용된 변수의 평균값 ․ 42

<표 13> 자동차산업 협력기업의 매출액 성장 추정결과 ․ 45

<표 14> 조선산업 협력기업의 매출성장 추정결과 ․ 46

<표 15> 자동차산업 협력기업의 투자함수 추정결과 ․ 50

<표 16> 조선산업 협력기업의 투자함수 추정결과 ․ 51

<그림 1> 제조업 부문의 대-중소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의 변화 추이 ․ 12

<그림 2> 자동차산업의 연도별 총자산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 32

<그림 3> 자동차산업의 연도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 32

<그림 4> 조선산업의 연도별 총자산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 33

<그림 5> 조선산업의 연도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 33

(6)

요 약 5

요 약

1. 연구결과

□ 본 연구는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기업의 성장·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나라 자 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

󰠏 위탁 대기업의 1차 협력기업 데이터에 대한 기초자료와 2000~2010년까지 한국 기업데이터(주)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위탁 대기업 성장이 협력기업의 투자·성 장에 미치는 낙수효과를 실증분석

□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이익률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자동차산업의 경우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총자본 영업이익률은 비슷한 수 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이 0.8% 정 도 차이를 나타내 이익률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자동차산업의 경우 협력기업의 성과는 위탁 대기업의 성과 개선에 따라 개선

󰠏 조선산업의 경우 총자본 영업이익률은 중소협력기업이 위탁 대기업에 비해 약 3.7%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협력 중소기업이 0.3%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남.

(7)

□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은 경제상황에 따라 큰 폭의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협 력기업의 이익률은 비교적 안정적인 패턴을 나타내고 있음.

󰠏 이것은 위탁 대기업과 하도급 협력기업 간의 위험공유(risk sharing)가 이미 현실 의 부품소재 거래관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여줌.

󰠏 자동차산업의 경우에 최근 업황이 좋아지면서 위탁 대기업뿐만 아니라 협력기 업의 이익률이 증가

□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에서 활동하고 있는 대기업의 성장은 당해 기업의 협력기 업의 매출성장 및 협력기업의 투자에 양의 영향을 주는 요인

󰠏 자동차산업이나 조선산업의 경우에 대기업이 성장하면서 매출이 늘어나고 이것 은 1차 하도급관계를 맺고 있는 협력기업의 부품 및 소재의 수요증가

󰠏 이 같은 결과는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위탁 대기업과 1차 협력기업 간에 낙 수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임.

2. 시사점 및 정책과제

□ 현재의 연구결과는 지금까지 위탁 대기업과 수탁 협력기업 간의 파급효과를 나 타내는 낙수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실증적인 근거 없이 이루어진 것 이라는 것을 보여줌.

□ 대기업 성장의 낙수효과가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현재의 기업 정책의 전환이 필요

󰠏 대기업 규제-중소기업 보호 위주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현행 대-중소기업 관련 제도가 제대로 이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 동반성장지수 산정이나 중소기업 적합업종제도와 같은 비대칭적인 기업제도가 지속 · 확대되는 것은 재고 필요

(8)

요 약 7

󰠏 현행 하도급법은 거래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법제화하 고 있기 때문에 하도급거래 관계의 본질인 계약, 즉 기업 간에 체결된 계약이 잘 이행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줄 필요

□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 간에 거래가 더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소기업의 성장 및 낙수효과를 크게 할 수 있는 방안

󰠏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 간에 거래관계의 크기를 확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향상

󰠏 중소기업의 기술능력 배양을 위해 대-중소기업 간 기술협력 및 공동연구개발 활 성화, 대기업의 중소기업 기술이전에 대한 인센티브 강화 등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

󰠏 독일과 일본 중소기업이 대기업과 대등한 관계에서 거래하며 좋은 성과를 내는 것은 그에 걸맞은 기술력을 갖추었기 때문임.

□ 중소기업의 영세성을 극복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정책추진이 필요

󰠏 부실 중소기업의 비중증가는 당해 산업 내에서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정상 중소 기업의 투자와 고용성장의 억제를 초래함.

󰠏 중소기업의 영세화와 그에 따른 격심한 경쟁이 중소기업 간 이익률의 격차를 가 져올 가능성이 크며 기업규모가 작을수록 2~3차 벤더로 갈수록 납품기업 간 치 열한 가격경쟁이 납품단가 인하를 유발

󰠏 중소기업의 낮은 납품단가 문제를 개선하고 납품기업 간의 가격경쟁을 완화하 려면 중소기업의 규모성장을 위한 적극적인 M&A 활성화 및 기술집약적 중견 기업 성장을 위한 정책추진 필요

□ 기업자율을 바탕으로 한 대-중소기업 간 및 중소기업-중소기업 간 성과공유제의 확산

󰠏 성과공유제를 도입하고 있는 기업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모두 매우 높은 만족

(9)

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 성과공유제가 민간 부문에서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임.

(10)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분석

-자동차·조선 산업을 중심으로 -

제1장 서 론

제2장 협력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변동 요인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제4장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실증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1)
(12)

제1장 서 론 11

제 1 장

서 론

1. 문제제기

우리나라 기업은 그동안 빠른 성장을 해왔다. 기업성장은 대기업이 성장을 주도하 고 대기업에 납품하는 협력기업의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면서 경제 전반의 성장을 이루는 것이었다. 이 같은 대기업-협력기업 간 동반성장 시스템에 대한 평가가 다양 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기업정책의 내용도 크게 변화하고 있다. 대기업 성장은 하도 급 관계에 있는 협력기업의 고용 또는 매출 성장이나 투자증대를 통해 여전히 경제 성장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기업의 성장이나 투자에 주는 영향이 미미하거나 최근 그 영향이 감소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대기업의 투자 증가와 성장에도 불구하고 그 파급효과가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하는 관점에서는 대기업의 경제기여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는 경 향이 있고, 이러한 평가는 최근 강경한 대기업정책을 추진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작 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최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와 그 원인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고, 그 처방에 있어서도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성과 격차 의 원인 제공자로 대기업을 지목하고, 대기업 개혁을 목표로 한 다양한 형태의 정책 대안이 정치권을 중심으로 쏟아지고 있다. 더구나 2010년 지방선거 이후부터 제기 된 동반성장 정책은 대-중소기업의 성과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고 이 같은 격차의

(13)

<그림 1> 제조업 부문의 대-중소기업 매출액 영업이익률의 변화 추이

(단위: %) 배후에는 대기업 성과는 크게 개선되었지만 그와 함께 하는 협력 중소기업의 성과 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는 배경을 깔고 있다.

이 같은 논의 과정에서 격차의 지표로 자주 거론된 지표 중의 하나가 바로 매출액 영업이익률이다. <표 1>을 보면 1990년 초부터 매 5년 단위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차이를 보면, 1991~1995년은 3.5%포인트, 1996~2000년은 2.7%포인트, 2001~2005년은 3.1%포인트, 2006~2010년은 1.8%포인트의 차이가 나 타나고 있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보면 최근 5년간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이윤율 격차가 가장 낮은 기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2010년 8월 공정사회론을 들고 나오면서 대기업을 규제하고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보호와 지원 을 확대하는 기업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하에서 위탁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 간에 이윤율 격차는 실제로 얼 마나 되며, 위탁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 중소기업의 성장이나 투자에 어떤 영향을 주 는가를 실제 대-중소기업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하는 것은 그 의미 가 크다고 할 것이다. 이 같은 분석결과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낙수효과 무용론을 실증적으로 검토해보는 의미가 있고 또 대기업 규제를 근간으로 하는 최근의 기업 정책의 근거가 실증적으로 뒷받침되는가를 살펴보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각 연호

(14)

제1장 서 론 13 기업규모 1991~1995 1996~2000 2001~2005 2006~2010

대기업(A) 8.2 7.8 7.7 6.8

중소기업(B) 4.7 5.2 4.6 4.9

A-B 3.5 2.7 3.1 1.8

<표 1> 기간별 평균 매출액 영업이익률

(단위: %)

자료: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 각 연호

2. 보고서의 내용 및 분석목적

최근 기업정책은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기업의 성장이나 투자 활성화를 통해 하도 급 기업으로 파급되어 나가는 경제적인 효과, 이른바 낙수효과(trickle-down effect)가 작동하지 않고 있다는 전제하에 다양한 형태의 규제정책이 추진되고 있다.1) 대-중소 기업 간 이 같은 낙수효과가 나타나고 있는가, 그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면 어느 수 준에서 발생하고 있는가 등과 같은 실제 정책에 사사점을 주는 분석이 필요하다. 지 금까지의 논의는 실증적인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와 같은 주장이 제기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부품생산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기초데이터 를 구할 수 없는 상태에서 실증적인 결과를 제공할 수 없었다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 이었다.2) 지금까지 하도급 관계 또는 대기업-협력기업 관계에 대한 일부 연구를 제 외하면3) 전체 대기업 표본과 전체 중소기업 표본을 가지고 분석한 연구가 이루어져 많은 한계를 갖고 있었다.

1) 김상조(2011) 참조. Hirschmann(1958)은 선도부문의 성장 과실이 후발부문에 유입되는 효과 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한 바 있다.

2) 다만, 최근 박승록 · 최두열(2011)은 일부 하도급 자료를 이용하여 낙수효과를 실증분석한 바 있다.

3) 배진한 · 강대석 · 오근엽(2008), 곽정수(2010), 이병기 · 신석훈 · 강선민(2010), 정남기 · 정재호 (2008) 등은 위탁 대기업과 수탁 중소기업 간의 성과를 비교 · 검토하고 있는 연구들이다. 그렇 지만 이들 연구들도 역시 낙수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 · 검토하지 않고 있다.

(15)

이 같은 관점에서 위탁 대기업과 수직적 거래관계에 있는 협력 중소기업을 중심 으로 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기업은 중소기업이고 최종조 립 완제품을 만드는 기업은 대기업이라는 구분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 대기업이 생산하는 최종제품과 무관하게 생산활동을 하는 중소기업의 비중이 훨씬 더 많이 존재하고 또 최근 들어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기업의 성장으로 모든 중소기업의 성장과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 라서 낙수효과를 논할 때 최종조립 완제품을 만드는 대기업과 그 대기업에 부품이 나 소재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협력기업의 관계를 우선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대부분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상품시장에서 경쟁적 관계에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자동차산업이나 조선산업과 같이 수직적 부품거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산업을 대 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제약을 감안하여 위탁 대기업과 그 대기업에 부품소재를 공급하는 1차 협력기업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 분석함으로써 본래적 의미의 수직 적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도급 거래관계의 경제적 성과를 실증분석하 고자 한다. 분석을 통해서 위탁 대기업과 하도급 관계에 있는 1차 협력기업 간의 성 과 격차가 존재하는가 여부를 우선 검토한다. 둘째로 부품소재의 수요자로서 위탁 대기업의 성장이 부품소재를 생산‧공급하는 하도급 관계에 있는 협력기업의 성장이 나 투자증대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최근 논의되고 있는 낙수효과가 나타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 같은 분석을 통해서 낙수효과가 발현되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고 검토결과를 통해서 실증에 기초한 정책제언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한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 는 대기업 관련 협력기업의 매출성장과 투자증대를 가져오는 요인들을 대기업과 1 차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고 이 같은 결과가 주는 정책 적인 시사점이 무엇인가를 제시한다. 특히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과 같이 조립 대기 업과 부품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협력기업 간의 거래관계가 매우 중요한 산업에 초 점을 맞추어 분석한다.4) 첫째로 이 연구는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에 대한 광범위

(16)

제1장 서 론 15

한 기업 재무자료를 바탕으로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차이가 나타나는 지를 검토한다. 둘째로 기존에 이루어진 전통적인 투자식이나 성장식에 대기업의 성 장을 고려하여 추정한다. 즉 대기업의 협력기업에 대한 부품수요 증가가 협력기업의 매출증가를 가져오는지 또 대기업의 성장이 협력기업의 투자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 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패널데이터 분석에 널리 이용되는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같은 분석결과가 대기업 정책 및 하도급정책에 주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4)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4: “수탁 · 위탁거래”란 제조, 공사, 가공, 수 리, 판매, 용역을 업(業)으로 하는 자가 물품, 부품, 반제품(半製品) 및 원료 등(이하 “물품 등”

이라 한다)의 제조, 공사, 가공, 수리, 용역 또는 기술개발(이하 “제조”라 한다)을 다른 중소기 업에 위탁하고, 제조를 위탁받은 중소기업이 전문적으로 물품 등을 제조하는 거래를 말한다.

또한,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2조 ①: ① 이 법에서 “하도급거래”란 원사업자가 수급사업자에게 제조위탁(가공위탁을 포함한다. 이하 같다) · 수리위탁 · 건설위탁 또는 용역위 탁을 하거나 원사업자가 다른 사업자로부터 제조위탁·수리위탁·건설위탁 또는 용역위탁을 받 은 것을 수급사업자에게 다시 위탁한 경우, 그 위탁(이하 “제조 등의 위탁”이라 한다)을 받은 수급사업자가 위탁받은 것(이하 “목적물 등”이라 한다)을 제조 · 수리 · 시공하거나 용역수행하 여 원사업자에게 납품 · 인도 또는 제공(이하 “납품 등”이라 한다)하고 그 대가(이하 “하도급대 금”이라 한다)를 받는 행위를 말한다.

(17)

제 2 장

협력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변동 요인

1. 중소기업 성장요인 분석

(1) 기업 간 관계(inter-firm relationship)와 중소기업 성장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어서 다른 기업과의 관계(inter-firm relationship)가 매우 중요 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기업과의 수직적인 기업 간 관계가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 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별기업은 이들의 구매자와 공급자와 수직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수직관계는 기업의 실행이 가능한 사업기회를 확대하거나 기업의 능 력을 개선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구매자와의 협약은 보장된 주문물량의 확보, 시장활동에 필요한 중요정보, 어떤 경우에는 자본투자의 필요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새로운 시장에 진입하는 데 따르는 위험과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 다. 때로는 대기업은 중소기업이 국제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돕기도 한다. 사업기회 확대를 통한 성장촉진, 학습과 혁신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중소기업의 능력향상을 가 져오기도 한다. 중소기업 제품구매자는 품질, 기술문제 등을 돕기도 한다.5)

Wynarczyk and Watson(2005)은 1993~1999년 기간 중 211개의 영국 하도급업체 의 표본을 이용하여 그 성과를 분석하였다. 하도급업체에 있어서 다른 공급체인멤버

5) Wynarczyk and Watson(2005), Nichter and Goldmark(2009) 참조.

(18)

제2장 협력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변동 요인 17

와 상호이익이 되는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이 기업의 생존과 성장(survival and growth) 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더구나 이들의 분석에서는 세 가지 가설을 검토하고 있다. 첫째는 기업의 성장이 기업의 초기 기업규모, 기업나이, 소유권, 공급망의 특징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둘째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통제한 후 파트너십에 기초한 기업 간 관계가 관련 기업의 성과 차이를 나타나는가를 평가하였다. 셋째로 기업 간 파트너십 관계와 관련된 성과가 일정기간에 걸쳐서 유지 · 증가 · 감소하였 는가를 조사하였다.

Nichter and Goldmark(2009)는 중소기업의 성장요인 분석을 통해 중소기업의 성 장에 있어서 기업 간 협력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Park, Shin and Kim(2010) 은 기업성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기업규모, 기업나이 그리고 하도급 관계 및 산업 클러스터링과 같은 산업네트워킹(industrial networking)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1994~2003년간의 제조업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 하도급 관계는 기업성장에 양의 영향을 준다는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

(2) 중소기업 성장과 시장수요의 증가

기업의 성장요인을 분석한 다수의 연구는 주로 기업규모(firm size), 기업나이(firm age) 등을 주요한 변수로 고려하고 있다.6) 다만 최근 중소기업의 성장을 고려한 연 구에서 기업 간 관계, 당해 기업에 대한 제품수요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Barkham, Gudgin, Hart and Hanvey(1996)는 수요의 제약이 중소기업의 성장에 있어서 큰 제약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Harabi(2002)는 ‘당해 기업 에 대한 높은 제품수요’(strong demand for the firm’s products)가 기업성장을 촉진하는 주요 요소라고 지적하였다. 시장수요는 기업성장에 양의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6) Evans(1987)

(19)

(3) 중소기업 성장을 설명하는 기타 요인

중소기업에 중점을 둔 연구에서 기업규모(firm size)와 기업성장 사이에 음의 관계가 발견된다. 일본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Yasuda(2005), 스페인 제조업을 대상으로 한 Calvo(2006), 독일 제조업에 대한 실증분석을 한 연구인 Almus and Nerlinger(1999) 의 연구는 모두 이 같은 관계를 보여준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기업나이(firm age)와 기업성장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다수 있다. 기업나이와 기업성장 간의 분석은 그동안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부분인데, Dunne et al.(1989)는 미국기업을 분석하여 성장률과 성장률 분산이 기업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감소한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기업성장과 기업 재무구조 간의 관계에 대서도 주목하고 있다. Heshmati(2001)는 스웨덴의 미시 중소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부채비율이 매출액 증가율과 양의 관계에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고, Becchetti and Trovato(2002)는 이탈리아 제조업 자 료를 이용하여 기업나이와 기업나이 이외에 외부자금조달을 나타내는 변수를 포함 하여 분석하였고, Elston(2002)은 독일 Neuer Markt 자료를 이용하여 현금흐름이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바 있다.7)

Audretsch and Elston(2000)은 독일의 신생 기술적 기업의 성장요인을 분석하면 서 기업규모, 기업나이 현금흐름을 설명변수로 하는 기업성장식을 추정하였다. 기업 규모 변수는 음의 추정계수, 기업나이는 양의 추정계수, 현금흐름 변수는 양의 추정 계수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김선화 · 서정대(2009)는 중소기업의 성장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기업나이, 기업규모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그렇지만, 본 연구와 같이 중소기업 과 관련을 맺고 있는 대기업의 수요성장을 직접 고려하여 분석하지는 않았다.

7) Honjo and Harada(2006), Coad(2007) 참조.

(20)

제2장 협력 중소기업 성장 및 투자 변동 요인 19

2. 중소기업의 투자 변동 요인 분석 (1) 중소기업의 투자와 매출증가

기업의 투자 변동을 가져오는 요인 분석에서 Rosenberg(2004)는 매출액 증가율뿐 만 아니라 기업의 위험, 부채비율, 현금흐름 비율, 기업규모, 토빈q 등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이들의 분석에서는 당해 기업의 제품에 대한 수요를 나타내는 변수로 포함된 매출액 증가율은 투자식뿐 아니라 고용성장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한 변수로 나타났다.

Chow and Fung(2000)은 1989~1992년 기간 중 중국상해 지역에서 제조활동을 하 는 기업의 투자결정 요인을 기업규모별로 분석하였다. 이들은 매출액 증가율을 중소 기업의 투자결정 요인으로 포함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이들은 매출액가속도 투자모 형을 추정하여 금기의 매출액 증가율이 기업투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추정계 수를 갖는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박승록 · 최두열(2011)은 1995~2009년 기간의 비금융 상장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기업데이터를 이용하여 대기업의 투자가 중소기업의 투자에 어 떤 영향을 주는가를 분석하였다. 기업집단 내 계열 주력기업의 투자는 계열기업인 해당 기업집단 내 계열대기업과 계열중소기업의 당기투자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다 음 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적하효과를 찾지 못하였다고 결론 내리고 있다. 대기업 투자의 중소기업 투자에 대한 낙수효과가 미미하게 나타 나는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로 추론 가능하다. 첫째, 대기업 투자 증가로 인한 생산 증대 효과가 중소기업의 생산증가를 유발할 정도로 큰 투자일 경우에만 적하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기업 투자가 매우 크지 않은 한 중소기 업 투자증대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다. 대기업들의 신규 대규모 투자와 같은 것 이 일어나지 않는 한 적하효과는 크게 나타나기 힘들다. 주지하듯이 최근 기업투자 에서는 국내에서 새로운 분야의 대규모 투자나 증설투자가 일어나는 사례가 줄어들 고 있다. 둘째, 만약 대기업의 투자증가와 이로 인한 생산증가로 중소기업의 생산물

(21)

량이 증가하더라도 중소기업은 단기적으로는 가동률 상승을 통해 대응할 것이다. 따 라서 대기업의 투자증가로 인한 중소기업 투자의 적하효과는 미미하게 나타날 수밖 에 없다. 셋째, 대기업의 생산증가로 인해 유발될 중소기업 물량증가는 1개 중소기 업에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 중소기업에 분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기 업 투자가 관련되는 중소기업의 투자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경제로 보았을 때에는 적하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나기가 힘들 것이다.

(2) 중소기업 투자를 설명하는 기타 요인

Kadapakkam et al.(1998)는 OECD 6개국에 대해 현금흐름 비율, 토빈q, 매출/고 정투자 비율을 설명변수로 하는 기업규모별 투자식을 추정하였다.8) 추정결과 현금 흐름의 민감성은 대기업이 가장 크고 중소기업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금흐름이 낮은 경우 투자가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외부자금을 조달하 기 위한 금융시장의 발달이 중소기업 투자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정책적인 함의를 제시해 주고 있다.

8)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영국, 일본 등

(22)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21

항목 사업체수 종사자수 급여액 출하액 부가가치

2000 4.23 8.63 10.78 10.02 9.89

2001 4.69 8.79 10.97 11.51 11.82

2002 4.80 9.37 10.97 12.02 11.88

2003 4.77 9.51 12.27 11.95 12.17

2004 4.91 10.32 13.17 11.89 10.74

2005 5.16 10.57 13.77 12.49 11.19

2006 5.39 10.77 13.76 12.76 11.93

2007 5.29 10.70 14.04 12.40 11.68

2008 5.20 10.57 13.11 10.58 10.25

2009 5.21 10.19 12.70 10.09 9.41

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 각 연도

<표 2> 자동차산업의 제조업 내 경제적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제 3 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1.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성장과 하도급 관계 특징 (1) 자동차산업의 성장 및 구조변화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은 그동안 빠른 성장을 보여 온 대표적인 조립산업이다. <표 2>

(23)

구 분 OEM A/S 수출 합계

2000 199,214 12,949 16,860 229,023

2001 205,331 13,346 20,349 239,026

2002 237,622 15,445 20,890 273,957

2003 260,602 18,242 41,544 320,388

2004 292,361 20,465 52,812 365,638

2005 326,834 22,878 67,610 417,322

2006 360,004 23,400 76,704 460,108

2007 386,409 23,185 92,306 501,900

2008 368,486 22,109 105,271 495,866

2009 342,236 20,533 82,689 445,458

2010 440,794 26,448 121,285 588,527

평균비중(%) 80 5 15 100.00

2000~2010

증가율(%) 8.7 7.9 25.0 10.4

자료: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자동차산업편람󰡕, 각 연도.

<표 3> 자동차 부품산업의 매출액 변화 추이

(단위: 억 원, %) 는 자동차산업이 제조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준다. 사업체수 비중은 2000년 4.2%에서 2009년 5.21%로 약 1%포인트 증가하였다. 부가가치 비중은 2000 년 9.9%에서 2009년 9.4%로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동차산업은 전체 제조업에서 사업체수, 종사자수 비중 측면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지만, 출하액이 나 부가가치 비중 측면에서는 정체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자동차 완성품 산업의 성장과 함께 자동차 부품산업의 성장도 빠르게 이 루어져 왔고 또 한편으로 자동차 부품산업의 구조도 빠르게 변화하였다. <표 3>은 우리나라 자동차 부품산업의 시장규모가 나타나 있다. 2000년에 약 22조9천억 원 규모였지만 2010년도에는 58조8천억 원이 넘는 규모로 성장하였다. 이 중 국내 완 성차 업체의 OEM용 비중은 약 80%, 수출은 15.0%로 나타났고 A/S용 부품시장 규 모는 약 5%로 나타났다. 2000~2010년간의 각 부문별 매출액 증가율은 수출용이

(24)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23

구 분 업체수 현대 기아 GM

대우 쌍용 르노

삼성

대우 버스

타타

대우 합계

납품 업체

2003 355 395 273 243 125 140 184 1715

2004 373 396 281 240 152 174 188 1804

2005 377 391 307 237 146 178 192 1828

2006 366 372 304 220 133 186 196 1777

2007 364 373 322 213 152 189 192 1805

2008 355 359 307 222 141 187 204 1775

2009 357 354 331 214 163 197 208 1824

2010 353 348 323 235 174 196 206 1835

증가율 2003~

2010 -1.1 -2.2 2.3 -0.1 5.4 3.8 1.0 1.3

납품액

2003 127899 76325 30987 14665 6780 2263 1683 260602 2004 138236 89694 40831 13697 5694 2259 1950 292361 2005 150036 98408 47890 15645 9961 2899 1995 326834 2006 155853 108761 64178 13755 11461 3227 2769 360004 2007 172321 97076 84497 13683 12420 3840 2572 386407 2008 172436 89667 74392 10234 14315 3586 3856 368486 2009 169791 96006 49967 4005 15375 2491 4601 342236 2010 194129 134386 72445 10249 21515 2807 5263 440794 증가율 2003~

2010 5.3 9.1 23.6 8.2 20.7 5.4 16.3 8.5 주: 2003년 이전의 경우, 자동차산업의 재편으로 자료 불연속 발생

자료: 한국자동차공업협동조합, 󰡔자동차산업편람󰡕, 각 연도.

<표 4> 부품업체수와 모기업 납품실적

(단위: 억 원, 사, %) 25%로 가장 빠른 매출 성장률을 나타냈고, OEM 시장의 성장률은 8.7%로 나타났 다. 수출용 부품시장의 규모는 보수용 부품시장의 규모보다 클 뿐만 아니라 증가 속 도 또한 매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부품업체의 국내시장 진출과 국내부품업체 의 기술수준 향상이 세계 자동차 메이저들의 글로벌 부품조달 경향에 힘입어 한국 자동차부품의 수출증가 속도를 빠르게 한 것으로 보인다.

(25)

최근 자동차 부품조달시장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과 모듈화의 진 전 등의 거래환경 및 기술환경이 변화하면서 자동차부품의 글로벌 부품조달을 가능 하게 하고 있으며, 기존의 자동차 부품의 조달방식과 유통방식이 내부로부터도 근본 적인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다. 최근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부품의 모듈화 현상은 자동차 부품산업의 재편을 가속화하고 있다. 모듈화가 추진되면 현재 의 1차 부품업체 중 탈락한 부품업체는 대형부품업체의 외주를 받는 2차 이하의 부 품업체로 재편되기 때문에 부품 공급구조는 급속히 중층화되고 있다. 모듈화는 부품 산업의 구조자체를 재편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

위의 표는 각 사별 부품업체수 측면에서 볼 때 GM대우, 르노삼성, 대우 버스가 증가한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완성차 기업들의 협력기업 수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납품액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2) 조선산업의 성장 및 구조변화

조선산업은 다른 산업과 구별되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조선산업 은 종합조립 산업으로서 전 산업에 걸쳐 그 전후방 효과가 매우 크다. 선박건조에 소모되는 매우 다양한 소재부품들이 기계, 금속, 철강, 화학, 전기, 전자 등 제조업 전반에 걸쳐 있다. 즉 해운, 수산, 국방, 레저산업과 관련된 전방산업과 기계, 철강, 전기, 전자, 화학 등 후방산업 등과 깊은 관계에 있다. 둘째, 노동집약적이며, 기술집 약적이고 자본집약적 산업이다. 즉 건조공정이 복잡하고, 초대형구조물 제작 등으로 자동화가 어려운 특징이 있고, 이 때문에 적정한 기능 및 기술 인력의 확보가 필수 적이다. 아울러 건조에 있어서는 선주취향 등을 반영하여야 하므로 고도의 종합적인 기술이 필요하다. 셋째, 주문생산체제의 특성이다. 선박의 종류 및 항로, 적재화물 용도별로 다르며, 선주의 건조사양이 매우 다양하여 대량생산이 어렵다.9) 마지막으 로 조선산업은 자동차, 가전 등과 달리 주문 생산하는 다품종 소량생산 거래구조 제 품으로, 투입 부품 및 기자재도 다품종 소량생산하는 구조이다. 1차 협력업체가 수

9) 위평량(2010) 참조.

(26)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25

항목 사업체수 종사자수 출하액 부가가치

2000 1.14 3.32 3.02 3.38

2001 1.27 3.75 3.47 3.72

2002 1.25 3.68 3.50 3.61

2003 1.20 3.66 3.51 3.47

2004 1.19 3.74 3.44 3.20

2005 1.18 3.74 3.74 3.22

2006 1.44 4.18 4.32 3.99

2007 1.66 4.74 5.01 5.02

2008 1.89 5.29 5.94 5.93

2009 1.92 5.36 6.64 6.19

자료: 통계청, 󰡔광업제조업통계󰡕, 각 연도

<표 5> 조선산업의 제조업 내 경제적 비중 변화 추이

(단위: %) 직계열을 형성하는 대량생산 제품과 달리 특정 기자재를 생산하는 1, 2차 협력업체 는 다수의 수요 업체에 납품하는 형태의 거래관계가 특징적이다. 조선산업은 소재, 기자재 및 선체블록 단계에 납품업체들이 관련되며, 조선업체는 건조계획 수립, 기 본 및 상세 설계, 탑재, 도크의장 및 진수의 단계를 수행한다. 조선업체마다 차이는 있으나 계약~설계까지 조선업체에서, 나머지는 외주 업체에서 수행하는 경우도 증 가하고 있다. 각 조선소의 협력업체는 특정부문을 제외하면 대부분 전문 기자재업체 로 다수 조선소와 거래하고 있다. 특히 조선소의 1차 협력업체는 기자재별 규모의 경제 미달 등의 특성 때문에 기자재 종류별 1개, 혹은 소수의 업체로 구성되어 있 다.10)

세계 조선업은 2000년대 들어 사상 최고의 호황을 누린 바 있다. 조선산업은 국내 5대 주력 산업의 하나로서 2009년 기준 출하액 기준으로 제조업 내 비중은 6.6%를 차지하였다. <표 5>는 조선산업이 제조업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준다. 사업

10) 장석인 외(2010) 참조.

(27)

구 분 수주실적(CGT) 건조실적 수주잔량

2001 640.8 644.7 1621.5

2002 759.1 682.4 1707.4

2003 1674.9 726.5 2640.9

2004 1630.7 887.8 3396.2

2005 1196.5 1021.8 3564.0

2006 1627.0 954.7 4525.6

2007 2364.4 1029.4 5115.2

2008 1402.2 1246.6 5438.4

2009 146.8 1227.1 4352.1

2010 815.6 1269.9 3455.7

자료: 한국조선협회, 󰡔조선자료집󰡕, 각 연도.

<표 6> 국내 조선산업의 수주실적 추이

(단위: CGT 천 톤) 체수 비중은 2000년 1.1%에서 2009년 1.9%로 약 0.8%포인트 증가하였다. 부가가치 비중은 2000년 3.4%에서 2009년 6.2%로 2.8%포인트 증가하였고, 종사자수 면에서 는 3.3%에서 5.4%로 약 2%포인트 증가하였다. 조선산업이 전체 제조업에서 차지하 는 비중은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조선업은 설계, 생산, 관리 등 전반적으로 보아 경쟁국에 비해 경쟁력 우위 를 보이고 있고, 이러한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신규수주, 건조량, 수주잔량 등의 실적 측면에서 크게 증가하였지만 최근들어 그 성장세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표 6>은 국 내 조선산업의 수주실적을 보여준다. 2007년 역대 최대 수주실적으로 기록한 이후 최근 글로벌 경기위축 영향으로 수주규모가 급감하였다. 그러나 건조실적은 그동안 의 수주실적 증가와 함께 국내 조선 건조 설비강화 등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표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국내 조선산업은 수주실적이 급감하고 있고 2009년도 중소형 조선사의 구조조정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2009년부터 이후 취해진 조선산업의 구조조정은 부실상태에 빠진 국내 중소형 조선사들의 경쟁력 강

(28)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27

화, 선주와 조선사들에 대한 금융지원, 협력 중소기업에 대한 네트워크대출의 규모 확대 등을 하는 것이었다. 2009년 조선산업은 중소 조선사를 중심으로 심각한 부실 상태에 빠지고 이를 조정하기 위한 긴급한 조치들이 취하여졌다. 이에 따라 조선산 업은 중소 · 중견 조선사를 중심으로 급격하게 기업성과가 악화되었다.

2. 기초자료의 정비

본 연구에서는 조립 대기업과 부품생산 중소기업 간에 수직적 거래관계가 발생하 는 대표적인 산업을 선정하여 기업수준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조립산 업인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을 대상으로 협력기업의 매출성장과 투자증가를 가져오 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2000~2010년의 분석기간을 설정하였는데, 이렇게 분석기간을 선정한 이유는 중소기업 관련 데이터베이스인 한국기업데이터(주)의 데 이터베이스가 2000년 이후부터 비교적 광범위한 중소기업 재무데이터를 포함하고 있고, 또 외환위기 이후의 기간을 선정함으로써 구조적인 변화에 의해 연구결과가 영향을 받지 않는 기간을 선정하여 기업 간 부품거래 구조의 특징들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우선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의 구분이다. 자동차산업은 한국표준산업분류상 C30 산업을 의미하고 조선산업은 C311을 의미한다. 자동차산업과 조선산업 중 대기업의 협력기업을 중심으로 성장과 투자를 가져오는 요인을 분석하는 대상기업을 선정하 였다. 여기서 위탁 대기업은 완성차업체를 생산하는 자동차 및 조선산업 내에서 생 산활동을 하는 상시종업원 1,000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대기업이다. 이렇게 대기 업을 선정한 이유는 중견기업까지 포함하는 경우 부품거래 관계가 매우 복잡하여 하도급 관계를 명확하게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실적으로 우리의 분 석에서 협력기업체 명단을 구할 수 있는 기업은 주요한 대기업에 한정되어 있다. 또 한 하도급 기업 가운데에서 제조업만을 하도급 기업으로 하고 비제조업은 하도급 기업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려하고 있는 하도급 기업은 조립대기업이 생산 하는 최종제품에 들어가는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29)

연 도

위탁 대기업 자동차산업 조선산업

전체 자동차 조선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2001 10 4 6 529 432 646 628

2002 11 5 6 558 455 753 733

2003 11 5 6 585 474 822 805

2004 11 5 6 591 474 940 917

2005 11 5 6 608 489 1156 1136

2006 11 5 6 612 487 1216 1192

2007 11 5 6 540 421 1215 1189

2008 11 5 6 575 458 1297 1267

2009 11 5 6 577 459 1362 1335

2010 11 5 6 500 387 1305 1274

주: 전체협력기업 - 위탁 대기업의 1차협력기업 전체

협력 중소기업 - 전체협력기업 중 종업원 규모 300인 미만의 협력기업

<표 7> 각 산업의 분석대상 기업체수

자동차산업의 1차 협력기업은 시간이 지남에도 불구하고 매우 안정적인 수를 나타 내고 있으나 최근 조선산업은 활황에 힘입어 기존의 하도급에 더하여 새로운 하도 급 기업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는 몇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로 협력업체에 대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는 전경련 중소기업협력센터와 자동차산업의 부품제조 업체의 모임인 한국자동차공업협회의 협력기업 데이터베이스이다. 일부 대기업의 협력업체 명단은 대기업으로부터 직접 구하였다. 둘째로는 이 같은 1차 하도급 중소기업의 재 무자료를 구하기 위해 한국기업데이터(주)의 재무자료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사 용하였다. 이 같은 연결은 사업자번호가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지만 이 같은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기업의 경우 기업의 주소, 대표이사의 이름 등을 이용하여 한국기업 데이터(주)의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였다. 한국기업데이터(주)의 기업재무데이터베이 스는 부분적으로 재무자료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지만 기업재무에 대한 가

(30)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29

장 광범위한 기초자료를 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위 탁대기업, 전체협력기업 및 협력중소기업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표적 수·위 탁 거래구조를 가진 대표적인 조선산업과 자동차산업에 대한 최종완성품 제조대기업 을 ‘위탁 대기업’으로 정의하였다. 이들 대기업 중 협력기업체에 대한 구체적인 기업 명단을 구할 수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둘째로 협력기업 중 상호출자제한 기업에 속하는 기업은 협력기업에서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상호출자제 한 기업집단 소속회사는 하도급법에서 협력 중소기업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셋째로 이렇게 선정된 협력기업 가운데 기업규모와 관계없이 위탁 대기업과 부품소재를 거 래하는 1차 하도급 기업 전체를 ‘전체협력기업’이라 칭하였다. 또한 전체협력기업 중 고용규모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을 ‘협력중소기업’이라 하였다. 이하의 분석에서는 협력기업을 전체협력기업과 300인 미만의 협력중소기업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 였다.

3. 위탁 대기업과 협력 중소기업의 경영성과 분석11)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를 검토해 보기 위해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수 익성 · 성장성 · 안정성 · 활동성을 검토하였다. 이 분석에서 비율변수는 단순평균이 아니라 가중평균 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예컨대 가중평균은 현금보유비율(현금/

총자산)을 총자산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평균한 것이므로 결국 현금보유액의 총합을 총자산의 총합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11) 이 절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수익성 · 성장성 · 안정성 · 활동성 변수이다. 수익성은 ‘매출액 영 업이익률=영업이익/매출액’, ‘총자본 영업이익률=영업이익/자산총계’이다. 성장성 지표는 매출 액 증가율과 총자산 증가율을 사용하였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증가율은 연속해 있는 두 개 연도에 존재하는 기업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매출액과 총자산은 GDP defaltor로 나눈 불변가격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세 번째로 안정성은 ‘부채비율=부채총계/자 산총계, 자기자본비율=자기자본/자본총계’로 계산하였다. 넷째로 활동성은 총자산 회전율과 고정자본 회전율을 이용하였다. ‘총자산 회전율=매출액/총자산, 매출액/유형고정자산’으로 계 산하였다. 한국은행의 󰡔기업경영분석󰡕에서는 회전율 계산 시 매출액 대신에 분자를 부가가치 를 사용하고 있으나 최근 기업회계기준의 변경으로 기업재무자료를 이용하여 부가가치를 계 산할 수 없어 이를 대신하여 매출액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31)

산업 변수 기간 위탁 대기업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자동차산업

총자산 영업 이익률

2001~2005 6.01 6.32 5.74

2006~2010 4.93 4.77 4.54

2001~2010 5.37 5.38 5.00

매출액 영업 이익률

2001~2005 5.08 4.72 4.26

2006~2010 4.41 3.72 3.58

2001~2010 4.69 4.12 3.84

조선산업

총자산 영업 이익률

2001~2005 2.59 7.36 7.90

2006~2010 6.05 9.23 9.15

2001~2010 5.12 8.69 8.79

매출액 영업 이익률

2001~2005 3.17 5.87 6.17

2006~2010 8.68 7.91 7.80

2001~2010 7.03 7.30 7.30

<표 8>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이익률 변화 추이

(단위: %) (1) 수익성

수익성 지표로는 매출액 영업이익률과 총자산 영업이익률을 검토하였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기업의 주된 사업과 관련된 생산이나 영업활동의 결과를 파악하기 위 한 수익성 지표로 기업의 생산 및 영업활동과 직접 관련이 없는 차입금이자나 금융 투자손익과 같은 영업외활동 결과를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 율이다. 매출액 영업이익률 이외에도 총자산과 대비한 총자산 영업이익률을 분석한 다. 먼저 우리나라 위탁 대기업, 전체협력기업, 협력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 은 각 기업의 매출액 합계를 구한 다음 각 기업의 영업이익 합계를 구하여 영업이 익합계/매출액 합계를 계산한 것이다.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총자산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영업이익률의 기간별 변화 추 이를 보여주는 것이 <표 8>이다. 자동차산업의 경우 총자산 영업이익률은 2001~2010년 기간 중 위탁 대기업과 전체협력기업 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고 있다. 300명 미만의 협력 중소기업과 위탁 대기업 간에도 총자산 영업이익률의 차

(32)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31

이는 0.37%에 불과하다. 또한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보더라도 거의 같은 추세가 유 지되고 있다. 위탁 대기업과 전체협력기업 또는 협력 중소기업 간에는 약 0.6~0.8%

포인트의 차이를 나타내어 매출액 영업이익률 상에서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고 있 다. 또한 자동차산업의 이익률 변화 추이를 보여주는 <그림 1>과 <그림 2>를 살펴 보면 몇 가지 특징적인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는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 변화 폭보다도 전체협력기업의 이익률 및 협력 중소기업의 이익률의 변동폭이 훨씬 적다 는 것이다. 둘째로는 2009년 이후 자동차산업의 호황이 지속되면서 위탁기업의 이 익률 상승과 함께 전체협력기업 및 협력 중소기업의 이익률이 함께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8>은 자동차산업과 함께 조선산업에 있어서 총자산 영업이익률과 매출액 영 업이익률의 기간별 변화 추이를 보여준다. 조선산업의 경우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보 다도 전체협력기업 및 협력 중소기업의 이윤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2001~2010년 기간에 총자산 영업이익률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전체협력기업의 이익률이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보다도 3.57%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300인 미만의 협력 중소기업의 이익률은 전체협력기업의 이익률보다도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전체기간 중 매출액 영업이익률을 보면 총자산 영업이 익률보다는 작지만 전체협력기업 및 협력 중소기업의 이익률이 위탁 대기업의 총자 산 영업이익률보다 약 0.3%포인트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산업의 경우 에도 자동차산업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이 큰 변동폭을 나타낸 데 비해 협력기업의 이익률은 상당히 안정적인 변화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다만 조 선산업의 경우에는 최근 조선호황을 반영하여 2005년 이후 협력기업의 이익률이 빠 르게 상승하다가 2009년 이후 급속히 이익률이 저하하는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이 같은 협력기업 이익률의 변화 패턴은 총자산 영업이익률이든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든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미 자동차산업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선 산업의 경우에도 이익률의 안정적인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이 같은 사실 은 조선산업의 이익률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 3>와 <그림 4>를 통해 알 수 있다.

(33)

<그림 3> 자동차산업의 연도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단위: %)

<그림 2> 자동차산업의 연도별 총자산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단위: %)

(34)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33

<그림 5> 조선산업의 연도별 매출액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단위: %)

<그림 4> 조선산업의 연도별 총자산 영업이익률 변화 추이

(단위: %)

(35)

지금까지 이익률 변동분석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이익률은 산업에 따라 다소 차이가 나고 있다.

자동차산업의 경우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총자본 영업이익률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0.8% 정도 협력 중소기업이 낮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조선산업의 경우에 총자본 영업이익률은 협력 중소기업이 위탁 대기업 에 비해 약 3.7%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0.3%포인 트 협력 중소기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위탁 대기업의 이익률은 경제상황에 따라 큰 폭의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지 만 협력기업의 이익률은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그리 크지 않고 비교적 안정적인 이 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전체협력기업의 이익률이나 300명 미만의 협력 중소기업의 이익률의 경우에도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협력기업의 매출 액 영업이익률이 크게 변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양상을 띠는 현상은 위탁 대기업과 하도급 협력기업 간의 위험공유(risk sharing)가 이미 현실의 부품소재 거래관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조선산업의 경우에도 매출액 영업이익률 지표에도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기업은 크게 변동성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하도 급 중소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안정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12)

셋째, 협력기업의 성과는 위탁 대기업의 성과 개선에 따라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예컨대 자동차산업의 경우에 최근 업황이 좋아지면서 위탁 대기업뿐만 아니라 협력기업의 이익률이 증가하고 있다. 다만, 조선산업의 경우 최근 매출액 영업이익

12) 수 · 위탁 거래구조는 저임금 납품조달이나 경기 완충장치이기보다는 위험을 공유하는 생산시 스템이다. 이중구조론 가설에서는 수 · 위탁 거래를 단지 경기 완충장치로 해석하고 있다. 위 탁 대기업인 조립업체는 수요독점자로서의 시장지배력을 바탕으로 수탁 중소기업을 저임금 의 조달원으로 이용하거나 경기변동을 완충하는 역할로 이용하며, 위탁 대기업의 사업위험을 수탁 중소기업에 전가한다고 간주한다. 반면에 거래기업 간에 위험회피도에 차이가 있는 경 우 위험선호도가 높은 기업이 위험의 많은 부분을 분담하고 거래관계를 지속해 나가는 것이 효율적이다. 따라서 위탁기업이 수 · 위탁 거래관계를 단지 저임금이나 경기완충장치로만 이 용한다면, 위탁 대기업은 기본적으로 안정적인 발주를 할 수 없으며 수탁 중소기업의 입장에 서도 장기적으로 위탁 대기업과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이 다. 따라서 경기 완충장치역할로만 국한하는 이중구조론의 해석은 위탁 대기업과 수탁 중소 기업의 거래관계를 경제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Tabeta(1999) 참조.

(36)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35

산업 변수 기간 위탁

대기업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자동차산업

매출액 증가율

2001~2005 9.79 10.53 11.59

2006~2010 8.35 7.98 9.78

2001~2010 8.93 8.99 10.49

총자산 증가율

2001~2005 6.92 7.45 11.83

2006~2010 9.09 9.79 11.14

2001~2010 8.24 8.86 11.40

조선산업

매출액 증가율

2001~2005 16.29 11.30 11.70

2006~2010 4.58 8.84 8.24

2001~2010 8.60 9.67 9.43

총자산 증가율

2001~2005 9.81 7.64 8.18

2006~2010 6.72 11.28 11.27 2001~2010 7.73 10.04 10.21

<표 9>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성장률 변화 추이

(단위: %) 률이 다소 격차가 나타나고 있는데, 금융위기 이후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이루어진 부문으로서 중소기업 전반의 수익성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1차 하도급 기업의 수익성이 최근 들어 크게 하락하고 있는 것은 동일 산업 내의 전반적인 경기하락과 2009년 이후 추진된 조선산업에 대한 구조조정 상 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판단된다.13)

(2) 성장성

성장성은 매출액 증가율과 총자산 증가율로 측정하였다. 매출액 증가율은 금기 매 출액을 전기 매출액에서 뺀 값을 전기 매출액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마찬가지로 이 같은 방법으로 총자산 증가율을 구하였다. 이때 연속되는 두 해에 동시에 존재하는

13) 2009년경 조선산업의 불황과 구조조정 대해서는 전은경 · 이상은 · 김봉주(2009) 및 전용수 (2009) 참조.

(37)

기업의 매출액과 총자산을 이용하여 매출액 증가율을 산출함으로써 불균형 패널자 료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증가율 계산 시의 편의를 가능한 한 배제하였다.

<표 9>를 보면 2001~2010년 기간에 자동차산업의 경우 전체협력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약 8.99%, 협력 중소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10.5%를 나타내었고 위탁 대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8.9%를 나타내었다. 한편 조선산업의 경우에는 전체협력기 업의 매출액 증가율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위탁 대기업은 8.6%, 협력 중소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9.4%로 나타났다.

매출액 기준이든 총자산 기준이든 간에 대체적으로 협력 중소기업의 성장률이 위 탁 대기업의 성장률보다 다소 빠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안정성

안정성은 재무경제학에서 부채비율과 자기자본비율로 측정하고 있다. 자기자본비 율은 총자본 중 자기자본이 차지하는 비율로 측정된다.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경우 경기침체기에 적응능력이 떨어져 도산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안정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부채비율은 총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 눈 비율로서 타인자본에 대한 의존도를 나타낸다. 부채비율이 낮을수록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능력이 커서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표 10>을 살펴보면 자동차산업의 경우 2001~2010년 기간 중 전체협력기업의 부채비율은 57.8%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자본비율은 42.2%로 나타났 다. 반면에 위탁 대기업의 같은 기간 중 부채비율은 49.7%, 자기자본비율은 50.3%

였다. 이 같은 안정성 자료에 기초하여 볼 때에 위탁 대기업에 비해 협력기업의 재 무적인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조선산업의 경우에는 자동차산업의 경우와는 다르다. 위탁 대기업의 부채비 율이 높고 협력 중소기업의 부채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2001~2010년 기간 중 전체협력기업의 부채비율은 57.6%이며, 자기자본비율은 42.4%였다. 반면에 위탁 대기업의 같은 기간 중 부채비율은 72.1%, 자기자본비율은

(38)

제3장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재무성과 분석 37

산업 변수 기간 위탁

대기업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자동차산업

부채비율

2001~2005 52.08 60.24 64.61 2006~2010 48.14 56.29 60.60 2001~2010 49.73 57.84 62.13

자기자본비율

2001~2005 47.92 39.76 35.39 2006~2010 51.86 43.71 39.40 2001~2010 50.27 42.16 37.86

조선산업

부채비율

2001~2005 70.06 58.84 59.83 2006~2010 72.83 57.15 57.33 2001~2010 72.08 57.63 58.05

자기자본비율

2001~2005 29.94 41.16 40.17 2006~2010 27.17 42.85 42.67 2001~2010 27.92 42.37 41.95

<표 10>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부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 변화 추이

(단위: %) 27.9%로 나타났다. 조선산업의 경우 자동차산업의 경우와는 달리 위탁 대기업의 재 무적 안정성이 협력기업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4) 활동성

활동성은 총자산 회전율과 유형고정자산 회전율로 측정하였다. 총자산 회전율은 기업에 투하된 총자본의 운용효율성을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매출액을 총자 산으로 나눈 것이다. 즉 총자산이 1년에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측정하는 활동성 지 표이다. 총자산 회전율과 유형고정자산 회전율은 총자산이나 유형고정자산이 얼마 나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를 나타낸다. 특히 유형고정자산 회전율은 기업이 투 자한 설비 등 유형고정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중요 한 지표이다.

(39)

산업 변수 기간 위탁 대기업

전체 협력기업

중소 협력기업

자동차산업

유형자산 회전율

2001~2005 2.8264 3.1200 3.0269 2006~2010 3.1131 3.4527 3.0320 2001~2010 2.9865 3.3105 3.0300 총자산

회전율

2001~2005 1.1837 1.3395 1.3493 2006~2010 1.1185 1.2833 1.2702 2001~2010 1.1448 1.3054 1.3004

조선산업

유형자산 회전율

2001~2005 2.0696 3.2919 3.2557 2006~2010 3.0087 3.1496 2.9957 2001~2010 2.6474 3.1909 3.0703 총자산

회전율

2001~2005 0.8152 1.2524 1.2798 2006~2010 0.6962 1.1660 1.1731 2001~2010 0.7282 1.1906 1.2036

<표 11> 위탁 대기업과 협력기업의 활동성 변화 추이

(단위: %)

<표 11>을 보면 2001~2010년 기간 중 유형고정자산 회전율은 위탁 대기업보다 전체협력기업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 대기업과 전체협력기업의 유형고 정자산 회전율은 약 3.3으로 나타나고 있다. 조선산업의 경우 협력 중소기업의 유형 고정자산 회전율은 3.2로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위탁 대기업의 유형고정자산 회전 율은 약 2.6으로 나타나 위탁 대기업의 유형고정자산 회전율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 타나고 있다. 총자산 회전율의 경우에도 비슷한 추세가 유지되고 있다.

(40)

제4장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실증분석 39

제 4 장

대기업 성장의 협력기업 낙수효과 실증분석

1. 추정모델 및 자료

대기업의 성장은 몇 가지 경로를 통해 협력기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소기업이 생산하는 부품에 대한 대기업의 수요증가는 중소기업에 두 가지 영향을 줄 수 있다.

첫째로 대기업의 성장은 협력기업의 관점에서 보면 협력기업 제품에 대한 수요의 증가이다. 이 경우 대기업 부품수요를 나타내는 변수인 대기업 성장변수는 양의 추 정계수를 나타내게 될 것이다. 둘째로 대기업의 부품수요에 대해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은 우선 생산시설의 가동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협력 중소기업의 고용이나 투자는 즉시 증가하지 않을 것이다. 다만, 대기업의 수요가 계속적으로 증 가하는 경우 중소기업은 가동률 증대로 대기업의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을 구사하다 가 일정 정도 시점이나 구매물량을 넘어서는 경우 중소기업은 생산시설의 투자확대 를 통해 증대하는 수요에 대응하는 적극적인 전략을 취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중 소기업의 투자는 일정정도 시차를 두고 투자를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다만 최근 자 동차의 주요 부품 등은 완성차업체가 개발하고 있는 신제품의 사양에 맞추어 부품 을 즉시 공급해야 하는 특성 때문에 관련 협력기업도 빠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는 위탁 대기업과 하도급 관계를 맺고 있는 협력기업을 찾아내어 이 같은 협

참조

관련 문서

예를 들어 링크모델은 위와 같은 모델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추가로 다음과 같은 링크속성을 더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권력거리 수치가 낮은 독일의 기업이미지 광고에서는 위와 같은 광고방식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분하다.. 왜냐하면 권력거리가

[r]

위와 같은 면화 재배면적 감소의 원인은 파종시기 옥 수수나 밀과 같은 대체작물 대비 면화 재배의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라 고 할 수 있으며,

이처럼 시장가격지지 계산에 따라 많은 편차를 보이는데 일반 적으로 농업에 대한 보조 수준을 언급할 때에는 정부의 재정지출을 기준으로 판단 하는 것이 널리 쓰이는 기준이라

북한은 내부 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재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대부분의 재원을 확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셋째, 농업개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실험으로 수집된 5가지의 인적수행도 데이터를 통계 분석 기법(즉, 분산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 대하여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신청이 정상적으로 완료될 경우, 위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