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7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5年 2月

敎育學碩士(漢文敎育)學位論文

전통 초학교재를 활용한 한문 문장구조 학습에 관한 연구

A St udyonLe ar ni ngSi no-Kor eanSent e nceSt r uct ur e sUs i ng Tr adi t i onalEl ement ar yText books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漢 文 敎 育 專 攻

鄭 濔 健

(3)

학습에 관한 연구

A St udyonLe ar ni ngSi no-Kor eanSent e nceSt r uct ur e sUs i ng Tr adi t i onalEl ement ar yText books

2015年 2月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漢 文 敎 育 專 攻

鄭 濔 健

(4)

전통 초학교재를 활용한 한문 문장구조 학습에 관한 연구

A St udyonLe ar ni ngSi no-Kor eanSent e nceSt r uct ur e sUs i ng Tr adi t i onalEl ement ar yText books

指 導 敎 授 韓 睿 嫄

이 論文을 敎育學碩士(漢文敎育)學位 請求論文으로 提出합니다.

2014年 10月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漢 文 敎 育 專 攻

鄭 濔 健

(5)

審 査 委 員 長 朝鮮大學校 敎 授 權 純 烈 印 審 査 委 員 朝鮮大學校 敎 授 鄭 吉 秀 印 審 査 委 員 朝鮮大學校 敎 授 韓 睿 嫄 印

2014年 12月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6)

目 次

ABSTRAC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Ⅰ.서 론

···1

1.연구 목적 ···1

2.선행 연구 검토 ···2

3.연구 방법 ···5

Ⅱ.한문 교과서의 문장구조 학습 현황

···8

1.중학교 한문교과서의 문장구조 학습 실태 ···9

2.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문장구조 학습 실태 ···12 3.한문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 방법 ···15

Ⅲ.『千字文』의 문장구조 학습 모델

···19 1.주어+서술어의 문장구조 ···21

2.서술어+목적어의 문장구조 ···27

3.서술어+보어의 문장구조 ···35

Ⅳ.『推句』의 문장구조 학습 모델

···41 1.주어+서술어+목적어의 문장구조 ···41

2.주어+서술어+보어의 문장구조 ···48

Ⅴ.결 론

···60

참 고 문 헌

···64

(7)

<표 1 > 천자문의 체제와 내용

···20

<표 2 > 『추구』의 문장구조 패턴

···57

(8)

ABSTRACT

A St udyonLe ar ni ngSi no-Kor eanSent e nceSt r uct ur e sUs i ng Tr adi t i onalEl ement ar yText books

Jeong,Mi-Geon

Adviser:Prof.Han,Yae-WonLitt.D.

MajorinSino-KoreanLiterature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ChosunUniversity

Thisstudy analysedSino-Koreansentencestructurefortraditionalelementary textbooks for organized learning of sentence structure.First,the status of learning sentence structure in Sino-Korean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wasinvestigated todiscoverproblemswith itand through thesentence structures in the『Thousand-Character Text』and『Chugu』, traditional elementarylearningtextbooks,alearningmodelwaspresented.

Asaresultofinvestigatingtheconditionsforsentencereadingcomprehension learning in Sino-Korean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the following facts were discovered:First,students did nothave organized knowledge on sentence structures which is fundamentalforsentence reading comprehension.

Second,educationalprograms where students can practice reading sentences were notsufficient.As an alternative,itwas suggested thatstudents require organized and repetitive learning through the use of more examples in traditionalelementary textbooks.Therefore,this study analysed the sentence structures in the 『Thousand-CharacterText』and『Chugu』which were most

(9)

First, the『Thousand-Character Text』and『Chugu』are composed of 250 words and phrases with one phrase offour syllables (or word roots).The structures are divided into three: a subject+a predicative, a predicative+an object,and a predicative+a complement.In using these texts students learned words and phrases with basic sentence structures through repetitive learning andtheirreadingskillswereenhanced.

Second,『Chugu』is a textbook where an antithesis chosen from a good quatrainisusedtonurtureemotionandwritingskillsinlearners.Ithasatype of five syllables and one phrase and presents basic sentence structures in diverse ways through which learners can learn sentence structure in an organizedandrepetitiveway.As『Chugu』isthefirsttextbookchildrenusedin learning ChinesepoetryintheJoseonperiod,itwillbehelpfulforlearnerswho arenotgood atlearning.Based on theresultsofthisstudy,itwassuggested that repetition of basic structures of short phrases followed by gradually learning longer sentences is effective to enhance Sino-Korean reading skills. Thatis,repetitivelearning ofbasicsentencestructuresisimportant.Traditional elementary textbooks are helpfulforextensive reading and repetitive learning.

For effective sentence reading comprehension,students have to understand sentence structure precisely.In conclusion,iftraditionalelementary textbooks are used for learning sentence structures,they will be very effective for enhancingsentencereadingskills.

(10)

Ⅰ.서 론

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한문 문장구조를 체계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전통 초학교재의 한문 문장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우선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문장구조를 학습현 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적시하고,그 대안으로 전통 초학교재인『千字文』과 『推 句』의 문장구조를 통하여 학습 모델을 제시하려고 한다.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서는 문장 독해 학습 실태를 조사한 결과,두 가지 사 실을 확인하였다.첫 번째는 문장 독해의 기본이 되고 있는 문장구조에 대한 학습 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두 번째는 문장 독해를 연습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매우 부족하다는 사실이다.이에 대안으로 전통 초학교재를 이 용한 더 많은 예시를 통해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문장의 구조를 알면 독해학습을 할 수 있어 학습자에게 바른 직역을 통하여 이면 에 있는 깊은 의미까지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 한문교육에서 가장 많이 초학교재로 사 용되었던 『천자문』과 추구 의 문장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千字文』과 『推 句』는 초학자들에게 입문서로 많이 읽혔던 책인데,『천자문』은 아직도 한문 식 자교재로 가장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는 교재이기도 하다.

전통 초학교재로 많이 사용 된 것으로는 『千字文』,『四字小學』, 推句 ,『童 蒙先習』,『明心寶鑑』등이 있다.이 중 『천자문』을 본 논문에서 선택한 이유는 동아시아 공용의 초학교재 중 식자교재이면서 다양한 지식의 세계를 보여주는 교 재이기 때문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1)『천자문』은 공부하면서 1)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0쪽.

(11)

그 다음『추구』를 선택한 이유는 조선시대의 아동들이 한시 학습을 하는 경우 가장 처음에 사용하는 교재인 만큼 문장구조 학습에 서툰 학습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고 보았기 때문이다. 추구 는 좋은 시구를 가르쳐 아이들의 정서를 함양하고 시에 대한 이해와 작시 능력을 키우도록 하기 위해 편찬,보급하였던 책이다.

한문의 독해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짧은 문장부터 시작하여 장문의 문장에 이르 기 까지 한문을 학습하는 학습자에게 다독과 반복 학습이 중요하다.전통 초학교재 는 무엇보다도 다독과 반복 학습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글감이 정절하게 이 루어진 것들이다.2)문장의 독해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문장 구조를 정확히 이해해야만 한다.이러한 이유로 문장구조 학습에 전통 초학교재를 활용한 다면 문장 독해 능력 향상에 기대 효과가 있다고 본다.

중·고등학교 한문교육에서 한자는 한자어와 관련하여,한자어는 한문과 관련하여 학습 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한자와 한자어의 학습이 단순히 한자와 한자어를 익히 는 데만 국한되지 않고 문장의 독해 활동에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어야 할 것이 다.3)그런 의미에 있어서 『천자문』,『추구』는 한문 문장구조 학습에 보다 친숙 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길잡이 노릇을 할 것이다.

2. 선행 연구 검토

본고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연구 내용에 따라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가 있다.첫 번째는 한문 문법에 관한 연구이고,두 번째는 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2)이수정,「중학교 한문 교과서 ‘단문’영역 연구」,2012,55쪽 참조.

3)신정흠,「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타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 실태 연 구」,『한자한문교육』제16집,2006,p207〜239.

(12)

첫째,한문 문법에 관한 연구이다.안재철(2013)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 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특히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방향과,통사론 교육론의 연구방향,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의 연구 방향등을 전개하였다.한국에 서 한문교육의 목적 중의 하나가 한문 독해 능력 신장에 있다고 볼 때,그 독해 능 력의 근간이 되는 것으로 한문 문법의 학습을 강조하였다.하지만 문법 학습을 위 한 구체적 교재는 제시하지 않고 있다.4)

허연구(2006)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한문과 학교문법의 전반적인 검 토를 하였다.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학교문법의 통일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그는 한문과 한교문법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하였고,7차 고 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포함된 문법의 제반 실태를 확인하고,문법용어의 혼동 실태 를 파악하였다.하지만 구체적 학습법은 제시하지 않고 있어 좀 더 이론을 교육현 장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5)

둘째,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이다.정동진(2012)은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에서 강조한 한문 독해력의 신장을 위해 교수·학습이 필수적이지만,실제 수업에서 외면당하고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출발하였다.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문법의 교수·

학습을 위한 한문 지식의 ‘어휘’영역에 주목하였다.한문과 ‘어휘’영역에 대한 전 반적인 이해와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어휘’영역 교수·학습 방법을 구안하고,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어휘’형역이 한문 독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 다.이를 위해 수업 참여 관찰,학습지,교사와 학생 면담 자료 등의 자료를 수집하 고 분석하였다.하지만 문장구조 학습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6)

박종서(2011)는 한문 독해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을,어떻게 가르쳐야 하 는가?라는 물음을 출발점으로 실제 한문 수업에서 단문에 관한 교사와 학생의 교 4)안재철,「한국 한문문법교육의 연구 방향」,『한자한문교육』제30집,2013,p411〜441.

5)허연구,「현행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난 ‘한문 문법’에 관한 제 실태 연구」,『한 자한문교육』제16집,2006,p.241〜278.

6)정동진,「한문과 ‘어휘’영역 수업 설계 방안 :단어의 짜임,품사의 종류와 특성,허사의 쓰임을 중심으로」,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12.

(13)

학습 과정의 양상이 다소 차이가 있긴 했지만 유사한 면이 있었다.그 과정은 ‘뚜 렷한 학습 목표 제시하기’,‘소리 내어 따라 읽기’,‘문장 속 한자·어휘·구절의 뜻풀 이’,‘문장의 형식 및 구조’,‘축자 해석’,‘문맥을 고려한 재해석’,‘친근한 일화를 통 해 이해 돕기’,‘정리하며 반복하여 읽기’와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교사가 비중을 두는 부분은 개인차가 있었고 같은 목표 소위,학생들이 재미있게 한문 수업을 즐 길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독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 전략 또한 저마다의 특색을 갖고 있었다.7)

하문규(2005)는 『천자문』을 초급 한자 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내용 분석을 토대 로 다양한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천자문』의 글자구성은 사언고시의 형식으로 일정한 운을 가지고 있어서 성독 학습을 할 때 리듬감을 얻을 수 있고 글자 수가 적어 학습의 부담이 적다는 장점을 활용하여,자원을 활용한 교육방법과 부수이해를 통한 한자교육방법,그리고 육서원리를 활용한 한자교육방법을 실시하 였다.8)

이희재(2007)는 한문교과를 통한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하여 몽학교재를 분석하 고 보다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몽학교재가 인성교육 측면에서 일반 한문교과서보다 훨씬 많은 함축적 내용을 담고 있어서 현 시점에서도 활용가 능한 점이 많다고 보고 한자용 지침서로 천자문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고 하 였다.『천자문』이 한자교수용 교재이지만 한편으로는 단문교육용 교재로도 사용 할 수 있다고 보았다.교재로 활용한 『천자문』은 겹치는 글자가 없이 일천자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하루에 두 줄씩 학습해도 4달이면 끝낼 수 있고,한 쪽씩 학습

7)박종서,「한문 단문 독해 교수·학습 양상과 전략 :중학생을 대상으로」,한국교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1.

8)하문규,「『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학습 방법 연구」,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2005.

(14)

하면 두 달이면 완성된다고 하였다.하지만 구체적인 학습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 다.9)

이상선(2011)은 한문독해력 향상과 한문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습동기를 높이기 위한 바람직한 수업방법을 제시하였다.한문 문법지식의 용어를 설명하고 풀이순서 를 제시한 다음 한자의 뜻을 보고 직접 독해하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였다.이러한 학습 방법을 통하여 한문독해력과 한문에 대한 흥미,그리고 학습동기를 향상시키 는 결과를 실증 분석 하였다.10)

위와 같은 학습법은 일반적 한문 독해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고 말할 수 있다.하지만 한문의 기초 이해가 부족한 중·고등학생들이 한문 독해를 시도 하게 끔 하기 위해서는 좀 더 체계적인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이에 본고에 서는 같은 글자 수의 단문을 통하여 다양한 문장 구조를 학습하는 한문 문장구조 학습법을 제시해서 학습자가 보다 수월하게 체계적으로 한문 독해력을 신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3. 연구 방법

전통의 서당식 한문학습은 한문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암송한다.그 과정에서 문 리(文理)를 깨친다고도 말한다.따라서 문법에 입각한 독해력 신장보다는 통 암기 에 의한 기억력에 의지하는 경향이 강하다.이렇게 통 암기에 의한 한문해독은 결 국 한문학습에 대한 성취동기를 상실하기 쉽다.요즈음에 와서는 문법에 대한 인식

9)이희재,「조선시대 몽학교재의 분석과 현대 교육적 활용 방안」,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7.

10)이상선,「한문과 수업에서 문법지식 교육과 축자풀이 교육의 교육효과 비교 분석」,고 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1.

(15)

도는 바뀌어야 한다.11)

본고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온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 실태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온 문장구조에 관한 실태를 조사해 보고 전통 초학교재를 통한 학습 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한문 교과서는 광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다락원 교과서를 이용하여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문장 구조에 대한 학습 실태를 조사 할 것이다.

먼저 Ⅱ장에서는 한문 교과서에서의 문장 구조 학습 현황을 분석할 것이다.중학 교 한문 교과서의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 실태를 살펴볼 것이다.그리고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 실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중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문장구조를 종류별로 다음처럼 예시한다.

첫 번째는 주어와 서술어가 결합된 주술구조를 예시하고,두 번째는 주어와 서술 어와 보어가 결합되어 있는 주술보구조,세 번째는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가 결합 된 주술목구조,네 번째는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그리고 보어가 결합된 주술목 보 구조를 예시할 것이다.

다음은 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예시문을 분석하여 본다.첫 번째는 주어와 서 술어와 목적어가 결합된 주술목구조,두 번째는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그리고 보어가 결합된 주술목보구조,세 번째로 주어와 서술어와 보어가 결합된 주술보구 조를 예시할 것이다.

또 한문 문장구조에 관한 한문 교과서의 학습방법 실태를 조사할 것이다.그리고

Ⅲ장에서는 『천자문』을 이용한 학습 모델을 제시하려고 한다.많은 초학교재들 중 천자문은 전통시대 때부터 지금까지 오랫동안 읽혀온 초학교재이다.『천자문』

은 4자로 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문장구조 학습을 할 때 부담스럽지 않은 글자 수 11)장기윤,「한문과 학교문법 용어 고찰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영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7쪽 참조.

(16)

이다.그리고 동아시아에서의 공용 초학교재였던 만큼 학습 연구의 가치가 크다고 본다.

『천자문』에서 첫 번째는 주어+서술어 문장구조의 학습 모델을 제시하고,두 번 째로 서술어+목적어 구조의 학습 모델을 제시하고,세 번째로는 서술어+보어의 구 조의 학습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다음으로 Ⅳ장에서는 『추구』를 이용한 학습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천자문』

은 4자로 되어 있다.『천자문』에서 한 자가 더해진 5자의 『추구』는 조선시대 대표적 운문을 학습하는 기초 교재였다.마지막 장에서는 『추구』를 이용해 첫 번 째로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의 구조에 관한 학습 모델을 제시하고,두 번째로 주 어와 서술어와 보어의 문장 구조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 보어의 문장 구조 학습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

(17)

전통적으로 한문 공부는 그저 매일 반복해서 한문을 읽고 외워서,궁극적으로 문 리(文理)를 깨치는 식의 방법을 최선으로 생각을 했다.그래서 문법을 따지는 식의 공부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게 생각하였고,또 문법을 운운하면 문리를 깨치지 못한 자(者)가 문장 해석을 위해 발버둥을 치는 정도로 치부하는 실정이었다.요즈음에 와서는 문법에 대한 인식이 다소 나아지긴 했지만,그래도 현대인들이 부족한 시간 에 한문 공부를 하기 위해서 불가피하게 사용하는 수단쯤으로 여기는 것이 사실이 다.그러나 이런 생각과 태도는 바뀌어야 한다.

한문에 관용적인 표현과 관습적인 사용 등이 많기는 하지만,실제적으로 한문 교 과는 학교에서 수업하는 시수가 부족하고 학생들의 관심도 부족하다.중학교에서 문장구조를 배우더라도 한문 수업 시수에 맞추다보면 학생들은 한 단원에서 한번 짚고 넘어가기 식으로 학습한다.학교 교육은 주어진 시간에 정해진 학습량을 교육 시켜 일정한 학습 효과를 거두기 위해,계획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 활 동이기 때문에,단순히 문리만을 강조하는 학습 방법은 제도권의 교육 활동이 되기 어려우며,오히려 문법 교육을 통한 한문 교육이 제도권 교육으로서 적절한 학습 형태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한문의 기초 학습 단계에서는 문법 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의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다.초보 단계의 학생들에게 문법 교육은 어려운 한 문을 공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12)

12)장기윤,「한문과 학교문법 용어 고찰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를 중심으로」,영남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6,7쪽 참조.

(18)

1.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문장구조 학습 실태

중학교에서 말하는 문장이란 ‘간이한 문장’을 말한다.아무리 간단하고 쉽다하더 라도 문장이란 구조가 있기 마련이므로,문장을 처음 접하고 풀이하는 학생들에게 문장의 구조와 관련된 지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현재 중학교에서 문장의 구조에 대한 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나타 난 문장의 구조에 대한 학습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13)

14)

교과서에 예시문이 제시되면서 ‘주술 구조는 주어,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 조이다.주어,서술어의 순서로 풀이한다.주어는 문장의 주체가 되는 말이며,서술 어는 주어의 동작,상태,성질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주술 구조로 이루어진 문장은

〜은(는,이,가)〜하다(이다)로 풀이한다.'로 설명하고 있다.

위의 예시문에서 주어는 ‘生我者’이고 서술어는 ‘父母’가 된다.‘나를 낳아준 사람 은 부모이다.’로 풀이 할 수 있다.여기서 ‘父母'는 명사이지만 서술어 자리에 놓여 있기 때문에 서술어가 된 경우이다.따라서 한문의 문장 성분은 놓여지는 자리에 따라 품사가 바뀌게 된다.

13)신정흠,「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 나타난 한문문법에 관한 내용 실태 연 구」,『한자한문교육』제16집,2006,p224참조.

14)송재소 외 4명,『중학교 한문』,다락원,2013,60쪽.

(19)

교과서에서 위의 예시문이 제시되면서 ‘주술보 구조는 주어,서술어,보어의 관계 로 이루어진 구조이다.주어,보어,서술어의 순서로 풀이한다.보어는 서술어의 부 족한 뜻을 보충하여 문장의 의미를 완전하게 해 주는 말이다.주술보 구조로 이루 어진 문장은 〜은(는,이,가)〜이(가,에)〜하다(이다)로 풀이한다.'로 설명하고 있 다.

위의 문장에서 주어는 ‘三世之習’,서술어는 ‘至’,보어는 ‘于八十’이 된다.‘세 살의 습관이 여든에 이른다.’로 풀이 된다.‘于八十'에서 어조사‘于'가 보어가 되는 역할 을 하였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주술 구조와 주술보 구조를 다룬 부분을 보면 본문에서 제시한 문장 하나로만 들고 있다.또 한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는 예시문을 한 문장 에서 절반을 떼고 짧게 한 줄의 예시만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문장이 길더라도 그 문장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반복적인 설명이 필요하다.여러 예시를 통해 반복 학습을 할 수 있게 하여,문장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 을 길러야 할 것이다.

15)송재소 외 4명,『중학교 한문』,다락원,2013,70쪽.

(20)

 

16)

교과서의 예시문에서 ‘주술목 구조는 주어,서술어,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 조이다.주어,목적어,서술어의 순서로 풀이한다.목적어는 서술어의 대상이 되는 말이다.주술목구조로 이루어진 문장은 〜은(는,이,가)〜을(를)〜하다로 풀이한다.' 라고 설명하고 있다.그리고 ‘忠臣(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성을 다하는 신하)'이라 는 단어의 뜻을 설명한다.

위의 문장에서 주어는 ‘欲修其身者’,서술어는 ‘正’,목적어는 ‘其心’이다.‘그 몸을 수양하려는 사람은 먼저 그 마음을 바르게 하여야 한다.’로 풀이 할 수 있다.그리 고 주어는 ‘忠臣’,서술어는 ‘不事’,목적어는 ‘二君’이다.‘충신은 두 명의 군주를 섬 기지 않는다.’로 풀이 된다.첫째 문장에서 ‘先'은 ‘正'을 수식하여 ‘먼저 바르게 한 다.'로 풀이 되는 것이다.

16)송재소 외 4명,『중학교 한문』,다락원,2013,82쪽.

(21)

교과서의 예시문에서 ‘주술목보 구조는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의 관계로 이루 어진 구조이다.우리말과 달리 서술어가 목적어와 보어 앞에 놓인다.보어는 목적 어를 보충하여 서술어와 목적어의 관계를 명확하게 만들거나 서술어를 보충하는 말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위의 문장에서 주어는 ‘弟’,서술어는 ‘投’,목적어는 ‘金’,보어는 ‘於水’가 된다.

‘아우가 문득 금을 물에 던지다.’로 풀이 할 수 있다.‘忽’은 부사로 서술어 ‘投’를 꾸 며준다.이 문장에서도 어조사 ‘於’가 보어가 되는 역할을 하게 하였다.

위의 문장처럼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의 문장구조는 다른 문장구조도 마찬가 지지만 문장성분이 많은 만큼 한 번의 예시만으로는 이해하기가 어렵다.더 많은 예시를 통해서 반복적 학습이 되어야만 할 것이다.

2.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문장 구조 학습 실태

교육부의 고등학교 한문과의 목표에는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배양한다고 되어있다.문장구조 학습은 한문 독해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그러므로 그 원리를 통해 학생들이 한문을 스스로 독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실제 고등학 교 한문 교과서에서 문장구조 학습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17)송재소 외 4명,『중학교 한문』,다락원,2013,110쪽.

(22)

18)

위 예시에서 ‘萬德,取十之一’은 ‘만덕이 십분의 일을 취하다’로 풀이되기 때문에 주어+서술어+목적어의 구조를 갖고 있다.‘十之一’의 ‘之’는 분수를 나타낼 때 쓰는 표현이다.숫자(분자와 분모)사이에 ‘之’또는 ‘中’을 넣어서 표현할 수 있다.

19)

위의 예시에서 ‘浮黃者,聞之’는 ‘굶주린 사람들이 그것을 듣다.’로 풀이된다.따라 서 이 문장은 주어+서술어+목적어의 구조를 갖고 있다.‘之’는 대명사로 쓰였다.

18)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76쪽.

19)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76쪽.

(23)

위의 예시는 ‘琴師金聖器,學琴於王世基’는 ‘금사 김성기가 왕세기에게 거문고를 배웠다.’로 풀이되기 때문에 주어+서술어+목적어+보어의 구조를 갖고 있다.주어는

‘琴師金聖器’,서술어는 ‘學’,목적어는 ‘琴’,보어는 ‘於王世基’이다.여기서 어조사

‘於’는 ‘〜에게’로 풀이할 수 있다.

21)

위의 예시에서 ‘聖器驚墮於地.’는 ‘성기가 놀라 땅에 떨어졌다.’로 풀이되기 때문에 주어+서술어+보어의 문장구조를 갖고 있다.여기서 어조사 ‘於’는 ‘〜에’로 풀이할 수 있다.

중학교 한문교과서와 같이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서도 예시를 본문의 예시 하나 만 들고 있다.예시도 적고,큰 학습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한문

20)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82쪽.

21)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82쪽.

(24)

교과서의 실태를 살펴본 결과 본문을 소개하고 한 문장의 예시만 들 뿐 기본적인 설명과 일차적인 풀이만을 제시하고 있다.

3. 한문 문장구조에 관한 학습방법 실태

문장구조는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말한다.전통 시 대 아이들의 학습법은 계속 읽고,쓰고,외우기를 반복하는 것뿐이었다.문장을 통 째로 외우기만 하다 보니 한문이 어렵다고 느낄 수밖에 없다.한문 문장구조를 학 습할 때 주로 많이 활용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많지는 않다.교수·학습방법은 한문 과목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한자,한자어,한문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 도록 하되,학습자가 학습 부담을 지나치게 느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영역이 통 합될 수 있도록 한다.그 중 한문의 교수학습으로는 비교학습법과 토의학습법이 해 당된다.22)

교수 학습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장구조 학습에서 많이 이용할 수 있 는 교수 학습 방법은 비교학습법과 토의학습법이다.학습자와 함께 할 수 있는 그 림이나 흥미로운 이야기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학습자에게 스스로 학습을 유도해 내거나 재미있게 학습을 한다면 학습자들은 한문 문장구조의 학습에 흥미를 더할 것이다.하지만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한문 문장구조의 학습을 살펴보면 문장 구조의 학습에는 큰 비중이 실려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의 내용을 보자면 학습목표와 함께 본문을 제시하고,출전을 함께 소개한다.그리고 본문다지기에서는 분문의 단어와 문장들을 풀이하고 설명하 고 있다.문장구조에 대한 설명은 한 줄 정도로만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다.한 단

22)그 이외의 한자 한문 교수 학습방법은 부수 중심 지도법,조어 분석법,언어 활용법,색 출법,역할 놀이 학습법 등이 있다.

(25)

을 높이고 있다.하지만 대부분이 한자나 어휘 위주로 되어 있어 문장 구조의 학습 에는 흥미와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해 보인다.

중학교 한문 교과서에서는 문장구조의 본문의 짤막한 예시와 간략한 설명을 하 고 문장구조 학습은 거의 다루지 않고 있다.단원이 끝나고 문제를 풀어보는 단원 평가에서도 언급이 되지 않다가 대단원이 끝나고서야 주술목 문장구조를 다루는 하나의 문제를 볼 수 있었다.한문의 문장구조에 대한 학습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 다.다음은 중학교 한문교과서에서 다뤄진 문장구조 학습에 대한 부분 중 평가 부 분을 발췌한 것이다.

23)

문장구조의 학습평가의 부분을 보면 대단원이 끝나고 나서야 문장구조에 대한 학습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학습평가는 소단원이 끝나고 3문제 내지 4문제 정도 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데,문장구조에 대한 평가는 소단원의 학습목표에는 제 시되어있지만 평가에는 실리지 않은 단원이 대부분이다.소단원이 끝날 때 문장구 조에 대한 학습을 상기시키기 위해서 학습목표에 제시된 단원에서는 평가가 이루

23)송재소 외 4명,『중학교 한문』,다락원,2014,87쪽.

(26)

어져야 한다.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학습도 중학교 한문 교과서와 비슷하다.본문에 들어가 기에 앞서 학습목표를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넘어가면 짚어보다 에서 본문 의 문장을 설명하고 있다.중학교 한문 교과서보다는 문장 구조에 대한 설명이 길 지만,문장구조에 대한 본문 내용 외의 다른 예시나 다른 학습 방법은 사용이 부족 하다.‘넓혀보다’에서는 중학교 한문 교과서와 거의 비슷하게 부수,어휘,단어의 위 주로 설명하고 있다.문장 구조에 대한 내용은 부족하지만 본문의 내용에 대한 고 사나 유래를 들어 설명하는 부분은 흥미롭게 학습할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문장구조의 학습을 볼 때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도 중학교 교과서와 마찬가지이다.학습목표에 제시가 되었지만 단원이 끝나고 단원평가에서는 다루지 않는다.전체의 큰 단원이 끝나고서야 문장구조의 언급이 이루어지고 있다.단원 평가에도 학습목표에 제시한대로 문장구조를 알고,풀이까지 할 수 있는 문제가 있 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다음은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에서 다뤄진 문장구조 학습에 대한 부분 중 평가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24)

25)

24)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79쪽.

25)송재소 외 4명,『고등학교 한문Ⅰ』,다락원,2014,85쪽.

(27)

구조의 학습 방법에는 흥미를 끌만한 내용이 본문 외에는 들어있지 않다.부수,한 자 어휘,고사 성어,격언,속담 등에는 여러 예시와 여러 가지 고사 등 여러 비유 를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는 반면에,문장구조를 학습하는 부분에서는 짤막한 설명 만이 전부이다.

(28)

Ⅲ.『千字文』의 문장구조 학습 모델

우리나라 전통사회에서 아동 교육의 중심을 이루었던 기관은 서당이며,서당에 서 가장 기초교재로 사용되었던 것은 『千字文』26)이다.『천자문』은 한문의 입문 서로서 4언 고시,250구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글자가 하나도 겹치지 않는다는 특징 을 가지고 있다.『천자문』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천자문의 대중성은 두말할 것이 없다.지방의 서당에서부터 왕실까지 학문을 배우기 위해서는 한번쯤 꼭 읽었던 책 이다.자연 현상부터 인륜도덕에 이르는 넓은 범위의 글귀들을 수록한 책이 『천자 문』이다.『천자문』에 사용된 典故와 故事가 독자로 하여금 흥미를 이끌어 줄 수 있었을 것이다.그리고 『천자문』의 사자성구 구성형태는 이 후 나타난 몽학교재 의 모범이 되면서 오늘날까지 대표적인 문자 교육 한자교재로 자리 잡고 있다.27)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에 전래된 이래 가장 일반적 학습기관인 서당의 전통 한자교재로 자리매김하여 왔고,현재에도 각종 한자교육 및 서예교육 장소에 서 즐겨 사용하는 교재 중 하나이다.따라서 『천자문』의 내용구조를 분석하면 한 자 문화권에서 초학자들이 어떤 틀에서 교육을 받고 지식을 형성하였는지를 알 수 있다.

『천자문』은 우선 인간에 대한 이해에 앞서,天地玄黃을 비롯한 자연에 대한 이 해를 우선시한다.자연의 질서가 존재하고,그 질서 안에 인간생활을 영위하기 위 한 질서 즉 윤리가 있음을 순차적으로 제시한다.천자문은 換韻에 문맥의 내용을 구분하고 있다.따라서 천자문의 내용은 환운하는 곳에 따라 8단락으로 구별하여 인지의 틀을 살펴볼 수 있다.28)

26)『천자문』의 풀이는 신정근의 『세상을 삼킨 천자문』을 참고하였다.

27)하문규,「『천자문』을 활용한 한자교육 학습 방법 연구」,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2005.재인용.

28)한예원,「‘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실천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29)

단락구분 주요내용

1단 락 (50句)

1句의 天地玄黃에서 18句의 鱗潛羽 翔까지

자연현상으로서 天地,宇宙, 天體의 太陽,月,星座,四季를 개괄하고,天 과 地에서 生育하는 여러 현상과 물 질 나열

19句의 龍師火帝에서 36句의 賴及滿 方까지

태평정치를 희망하는 의도를 태고의 제왕과 성인들의 이상정치 모습을 통하여 서술

37句의 蓋此身髮에서 50句의 詩讚羔 羊\까지

사람의 道德으로 五常,孝道,日常의 예절 등을 나열

2단 락 (30구)

51句의 景行維賢에서 68句의 如松之 盛까지

성인과 현인의 덕행과 수양 방법을 열거,특히 忠節을 강조함

69句의 川流不息에서 80句의 去而益 詠까지

학문과 수양,功績에 관련된 故事에 서 成語를 축출하여 對句형식으로 열거함

3단 락 (22구)

81句의 樂殊貴賤에서 102句의 好爵 自縻까지

신분에 맞는 禮節,가족과 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덕목과 실천행동을 나 열

4단 락 (60구)

103句의 都邑華夏에서 122句의 漆書 壁經까지

도읍지와 궁전의 웅장함,관인과 궁 궐 소장 문물의 성대함을 열거 123句의 府羅將相에서 142句의 多士

寔寧까지

큰 길에 즐비한 장군과 대신들의 저 택과 생활상,뛰어난 人才의 功績을 찬미

143句의 晉楚更覇에서 162句의 巖岫 杳冥까지

춘추전국시대의 전쟁과 文治, 그에 따른 名將과 명재상의 활약,시황제 의 치적 열거

『한자한문교육』제28집,2012.

29)한예원,「‘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실천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한자한문교육』제28집,2012.

(30)

5단 락 (20구)

163句의 治本於農에서 182句의 解組 誰逼까지

국가산업으로서의 농업과 정치,역사 속 인물들의 處身을 열거

6단 락 (14구)

183句의 索居閒處에서 196句의 凌摩 絳霄까지

隱人의 閑居함과 莊子類의 만물의 자유로움을 소개.

7단 락 (32구)

197句의 耽讀翫市에서 228句의 捕獲 叛亡까지

독서,식사,장유질서,여성의 일,음 주 등 가정속 日常生活 모습 개괄, 祭祀모습과 書簡용어 등을 나열 8단 락

(22구)

229句의 布射遼丸에서 250句의 焉哉 乎也까지

다양한 技藝家의 故事,세월의 흐름, 조정에 활약하는 元老의 치적,종결 의 어조사로 대단원을 맺음

1단락은 전체 분량의 5/1에 해당하면서 『천자문』의 총론이라고 할 수 있다.총 론은 세 파트로 나누어지고,이하 2단락부터 8단락까지는 총론을 부문별로 세분화 하여 부연설명하고 있다.1단락은 우선 세계관을 형성하는 천지인의 삼재를 통하여 자연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도모하였고,이어서 이상적 인간의 모습으로 성인(선 왕)과 그 문화를 제시하고,인간사회의 질서체제로서 도덕과 예절을 제시하였다.30)

『천자문』의 전체적인 내용은 위의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초학자들의 문장구 조 학습과 더불어 사회와 자연에 대한 이해와 나아가 인성교육과 도덕교육을 겸하 여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 주어+서술어의 문장 구조

문장구조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장 성분을 알아야 한다.본고에서는 문장 성분을 다음처럼 정리하기로 한다.

30)한예원,「‘한자문화’의 지식형성과 실천 :전통의 이해와 계승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한자한문교육』제28집,2012.

(31)

② 서술어 :주어의 행동이나 상태를 나타내거나(형용)판단한다.서술어에 쓰이 는 품사는 동사이다.

③ 목적어 :주어의 행동이나 판단의 대상을 나타내며,수여동사 뒤에 오는 성분 이다.

④ 보어 :보어는 주어를 보충하거나 서술어를 보충 또는 한정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하는 보족의 구실을 한다.

⑤ 부사어 :동사 또는 구,절을 수식하는 성분이다.

⑥ 관형어 :명사 또는 구,절을 수식하는 성분이다.31)

본 논문에서는 위의 개념 규정을 바탕으로 『천자문』의 문장구조를 살펴보려고 한다.우선 『천자문』의 250句중에서 주어와 서술어의 문장구조를 살펴보자.

『천자문』에는 주술구조 중에서도 4자 중 ‘주어+서술어,주어+서술어’의 구조가 2번 반복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학습자에게 주어와 서술어를 확실히 인지시키기 위하여 반복하여 제시된 듯 보인다.이와 같은 구조가 『천자문』에서 찾아보면 다 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주어+서술어,주어+서술어

寒 + 來 , 署 +往 추위가 오면 더위가 간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31)송병렬,「바람직한 문장구조 및 성분론」,『한자한문교육』제17호,2001,132쪽.

(32)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寒’과 ‘署’가 되고,서술어는 ‘來’와 ‘往’이 된다.이 문장은

‘추위가 찾아오면 더위가 물러간다.’로 풀이할 수 있다.이것은 사계절의 과정을 말 한다.여름이 지나면 겨울이 오는 이치를 말하는 것이기도 하다.

추위라는 것은 겨울이다.겨울이 간 후에는 더위가 온다.그렇게 하여 날이 가고 달이 가면 한 해이다.옛사람들은 ‘세(歲)’를 12개월로 나타내고 과학적으로는 태양 이 지구를 한 번 회전 하는 것을 뜻했다.32)

海 + 鹹 , 河 + 淡 바닷물은 짜고 냇물은 심심하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는 주어가 ‘海’와 ‘河’가 되고,서술어는 ‘鹹’와 ‘淡이 된다.이 문장은

‘바닷물은 짜고 냇물(강물)은 심심하다.’로 풀이할 수 있다.

鱗 + 潛 , 羽 + 翔

비늘 있는 것은 물속에 잠기고 날개달린 것은 하늘에서 날아다닌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는 주어가 ‘鱗’와 ‘羽’가 되고,서술어는 ‘潛’와 ‘翔’이 된다.이 문장은

‘비늘 있는 것은 물속에 잠기고 날개달린 것은 하늘에서 날아다닌다.’로 풀이할 수 있다.주어인 ‘鱗’은 비늘이 있는 동물을 말한다.즉 물속에서 사는 어류를 말하는 것이다.‘羽’은 날개가 있는 새,조류를 말한다.예기(禮記)에서는 동물의 천성에 대 해 아래와 같이 말하고 있다.

예기(禮記)에 이르기를 “비늘이 있는 동물이 360가지인데 그 중에 용(龍)이 으뜸 이 되고,깃이 달린 동물도 360가지인데 그 중에 봉(鳳)이 으뜸이다.”라고 하였으

32)강영수,『고사성어로 배우는 천자문』,좋은글,2001,28쪽 참조.

(33)

上 + 和 , 下 + 睦

윗사람이 온화하면 아랫사람이 화기애애해진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上’과 ‘下’가 되고,서술어는 ‘和’와 ‘睦’이 된다.이 문장은

‘윗사람이 온화하면 아랫사람이 화목해진다.’로 풀이 된다.주어인 ‘上’과 ‘下’는 손윗 사람과 손아랫사람을 말한다.윗사람이 온화하면 아랫사람은 당연히 잘 따른다는 말이다.부모와 자식,스승과 제자,선배와 후배의 사이에서도 학습자들이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문장이다.

夫 + 唱 , 婦 + 隨 남편이 말하면 아내가 따른다

주어 서술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夫’과 ‘婦’가 되고,서술어는 ‘唱’와 ‘隨’이 된다.이 문장은

‘남편이 말하면 아내가 따른다.’로 풀이할 수 있다.이 문장은 가정에서 부부간의 화합을 이르는 말이다.이 문장의 더 쉬운 이해를 위해 고사를 제시한다.

남편이 올바른 것을 행하면 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간다.후한의 양홍은 올바 른 도리를 추구하느라 누구에게도 벼슬 살지 않았다.맹씨 딸을 맞이해서 아내로 삼았는데,1년이 지나도 아내랑 말 한마디 나누지 않았다.어느 때인가 아내가 그 이유를 물으니 홍이 말했다.“하는 몸가짐을 보니 화려한 옷을 입고 얼굴에 붉게

33)박정규,『천자문의 이해』,보고사,2003,19쪽 참조.

(34)

분칠을 했구려.그게 어찌 홍의 아내가 할 짓인가요?”

아내가 대답했다.“제가 선생님의 예를 살펴보고 이처럼 했던 것입니다.이것이 선생님의 바람과 어울리지 않는다면 제가 앞으로 눈에 띄지 않는 차림새를 하지 요.”드디어 입던 옷을 벗고 허름한 옷을 입고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나왔다.홍이 말했다.“참으로 나의 아내답구려!”(『후한서』 권82「양홍전」)그래서 “남편이 올바른 도리를 행하면 아내가 반드시 그것을 따른다.”고 말하는 것이다.

이 두 사람은 ‘거안제미(擧案齊眉)’라는 고사성어의 주인공이다.맹광이 밥상을 내오면서 양홍의 얼굴을 쳐다보지 못한 채 밥상을 들어서 눈썹 높이와 같이 했다 는 것이다.맹광은 전통 시대에 남편을 잘 받들던 인물로 유명했으며,이 이야기는

『열녀전』에도 나온다.34)

주어(〇〇)+서술어(〇〇)

天地 + 玄黃

하늘의 색과 대지의 색은 검붉고 누렇다.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는 『천자문』에 가장 처음 나오는 구절이다.여기에서 주어는 ‘天地’가 되고,서술어는 ‘玄黃’이 된다.앞서 살펴본 주어+서술어의 기본 구조처럼 ‘주어+서 술어’가 두 번 반복되는 경우에도 ‘하늘의 색은 검붉고,대지의 색은 누렇다’로 풀 이할 수 있다.‘天地’가 주어이기 때문에 ‘天地’를 한꺼번에 주어로 놓고,‘玄黃’도 두 글자를 한꺼번에 서술어로 둔 후 ‘하늘과 땅은 검붉고 누렇다.’로 풀이 할 수도 있 다.‘天地玄黃’의 문장에서 하늘의 색을 검붉다고 표현한 것에 대한 이해는 만물의

34)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58쪽.

(35)

러리라고 짐작하는 탓에 붉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하는 걸까?아니면 검붉다는 것 은 하늘의 실제 빛깔이 아니라 하늘을 만물의 근원으로 여긴다는 것을 나타내는 걸까?이것에 대한 일화를 넣어 보겠다.

하늘 빛깔과 관련해서 조선 후기 박지원이 우리에게 재미있는 일화를 들려준다.

그가 마을 어린아이들에게 천자문을 가르쳤지만 아이들은 읽기를 싫어했다.이를 나무라자 아이들이 말했다고 한다.“하늘은 푸르고 푸른데 하늘 천자는 왜 푸르지 않다고 합니까?”이 때문에 싫어합니다.(『燕巖集』 권5 『映帶亭賸墨』「答蒼厓 之三」).35)

宇宙 + 洪荒

공간과 시간은 광대하고 아득하다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宇宙’가 되고,서술어는 ‘洪荒’이 된다.‘공간과 시간은 광 대하고 아득하다.’로 풀이 된다.‘宇’는 위,아래와 동서남북 네 방향의 공간을 가리 킨다.‘宙’는 현재,과거,미래의 시간을 나타낸다.36)‘洪’과 ‘荒’은 아득하고 넓은 모 양을 표현한 것이다.

35)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31쪽.

36)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26쪽,참조.

(36)

日月 + 盈昃

해와 달은 차기도하고 기울기도 한다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는 ‘日’과 ‘月’이 주어가 되고,‘盈’과 ‘昃’이 서술어가 되고 있다.‘해와 달은 차기도 하고 기울기도 한다.’로 풀이할 수 있다.

辰 宿 + 列 張

별자리들이 활시위를 팽팽하게 당기듯 늘어서 있네 주어 주어 서술어 서술어

위의 예시는 ‘辰宿’이 주어가 되고,‘列張’이 서술어가 되고 있다.별을 뜻하는 ‘辰’

과 머문다는 뜻의 ‘宿’를 별자리라고 보고,하나의 명사가 되었다.‘列張’은 활시위를 잡아당기는 모양을 가리키는 말이다.이 예시문에서는 주어가 두 자가 한 단어로 풀이되고,서술어도 두 자가 하나의 단어가 되어 풀이된 형식이다.

2. 서술어+목적어의 문장 구조

『천자문』은 4자 1구의 구성이기 때문에 주어가 생략된 경우가 많다.대신 한문 문장에서 생략이 어려운 서술어 및 목적어로 문장 구성을 하고 있는 예시가 많이 보인다.이 절에서는 서술어와 목적어로 이루어진 문장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37)

攝 + 職 , 從 + 政 맡아서 직무를 실행 한다 정치를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攝’과 ‘從’이 되고,목적어는 ‘職’과 ‘政’이 된다.‘직무를 맡아서 정치를 실행한다.’로 풀이 된다.여기서 ‘攝’은 책임을 지다,직무를 떠맡다 는 뜻으로 쓰인다.

背 + 芒 , 面 + 洛

등지고 망산을 마주하고 있다 낙수를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芒’과 ‘洛’이 되고,목적어는 ‘背’와 ‘面’이 된다.주어가 생략되어 있는 술목구조이다.생략된 주어는 중국의 낙양이라는 도시이다.낙양은 망산(산 이름)을 등지고,낙수(강 이름)를 마주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이 다.이 문장은 ‘망산을 등지고 낙수를 마주하고 있다.’로 풀이할 수 있다.

渭 + 浮 , 據 + 涇

있고 위수 가에 의지하고 있다 경수를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據’가 되고,목적어는 ‘涇’이 된다.이 문장 또한 주어가 생략되어 있다.생략된 주어는 중국의 장안성을 말한다.‘浮渭據涇’은 장안성의 주

(38)

변이 강으로 둘러 흐리고 있어 강을 의지해 있는 듯 해 표현한 말이다.이 문장은

‘위수 가에 있고 경수를 의지하고 있다.’로 풀이할 수 있다.

肆 + 筵 , 設 + 席 늘어놓고 대자리를 깐다 방석을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肆’와 ‘設’이 되고,목적어는 ‘筵’과 ‘席’이 된다.이 문장 은 ‘대자리를 늘어놓고 방석을 깐다.’로 풀이 할 수 있다.‘肆’은 여기서 배치하는 것 을 말한다.

鼓 + 瑟 , 吹 + 笙 뜯고 비파를 분다 생황을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鼓’와 ‘吹’가 되고,목적어는 ‘瑟’과 ‘笙’이 된다.‘瑟’은 25 현으로 된 커다란 현악기를 말한다.37)이 문장은 ‘비파를 뜯고 생황을 분다.’로 풀 이 할 수 있다.

策 + 功 , 茂 + 實 적고 공훈을 기리고 그 내실을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策’과 ‘茂’가 되고,목적어는 ‘功’과 ‘實’이 된다.‘공훈을 적고 그 내실을 기린다.’로 풀이할 수 있다.이 문장에서 ‘策’은 적어 둔다는 뜻이

37)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89쪽 참조.

(39)

勒 + 碑 , 刻 + 銘 아로새긴다 석비를 깎아서 명문을

서술어 목적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에서 서술어는 ‘勒’과 ‘刻’이 되고,목적어는 ‘碑’와 ‘銘’이 된다.이 문 장은 ‘석비를 깎아서 명문을 아로새긴다.’로 풀이 할 수 있는데,‘銘’을 수식하는 서 술어의 ‘勒’이 제일 앞에 위치해 있어 풀이에 유의해야 한다.

서술어(〇〇)+목적어(〇〇)

圖寫 + 禽獸 그려 넣다 새와 짐승을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에서는 서술어가 ‘圖寫’가 되고,목적어는 ‘禽獸’가 된다.제왕의 궁전 과 누대에는 모두 진귀한 새와 불가사의한 짐승을 그려 미관(美觀)으로 삼는다.38) 이 문장은 목적어인 ‘禽獸’를 먼저 풀이하여 ‘새와 짐승을 그려 넣다.’로 풀이할 수 있다.

畵綵 + 仙靈

생생한 색채로 묘사했다 신선을

서술어 목적어

38)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86쪽 참조.

(40)

위의 예시문은 서술어가 ‘畵綵’가 되고,목적어는 ‘仙靈’이 된다.선명한 색채로 신 선과 신령한 인물을 그려서 아름다운 광경을 자아냈다는 것을 말한다.이 문장도 위의 문장과 같이 목적어를 먼저 풀이하고 서술어를 풀이한다.따라서 ‘신선을 생 생한 색채로 묘사했다.’로 풀이할 수 있다.

부사어+서술어+목적어

始 + 制 + 文字 처음으로 만들었다 문자를

부사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制’가 되고,목적어는 ‘文字’가 된다.‘始’는 ‘비로소’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는데,여기서는 부사어로 처음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乃 + 服 + 衣裳

비로소 지어 입게 했다 저고리와 치마를

부사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服’이 되고,목적어는 ‘衣裳’가 된다.‘乃’는 ‘비로소’라는 부사어로 쓰였다.비로소 저고리와 치마를 지어 입게 했다.로 풀이 할 수 있다.

入 + 奉 + 母儀

집안에서 받는다 모친의 가르침을

부사어 서술어 목적어

(41)

본보기,가르침을 말한다.위의 문장과 대구가 되는 문장인데,남자는 열 살이 되면 밖으로 나가 바깥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는다고 하였다.하지만 여자는 열 살이 되 면 문밖으로 나가지 않고 어머니가 여자로서 지켜야할 예의를 가르친다.이것을 사 람을 잘 모시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39)‘夫唱婦隨’와도 연관 지어 생각해 볼 수 있 는 문장이다.

주어+서술어+목적어

河 + 遵 + 約法 소하는 지키고 약법 정신을

주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은 서술어+목적어의 구조에서 주어가 생략되고 서술어+목적어 구조 의 경우가 많이 보였지만,이 문장은 주어,서술어,목적어의 문장성분이 모두 갖춰 있는 형태를 보인다.주어는 ‘河’,서술어는 ‘遵’이 되고,목적어는 ‘約法’이다.‘소하 는 약법 정신을 지켰다.’로 풀이 할 수 있다.

韓 + 弊 + 煩刑

한비는 실패했다 번잡한 형벌을 시행해서 주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에서는 주어는 ‘韓’,서술어는 ‘弊’이 되고,목적어는 ‘煩刑’이다.‘한비

39)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60쪽 참조.

(42)

는 번잡한 형벌을 시행해서 실패했다.’로 풀이할 수 있다.

주어+서술어 /서술어+목적어

閏 + 餘 / 成 + 歲 윤달이 남아 이룬다 해를

주어 서술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에서는 ‘주어+서술어+목적어’의 구조가 나타나고 있다.주어가 생략된

‘서술어+목적어’의 문장구조가 많이 나타나긴 하지만 주어가 생략되지 않고 ‘주어+

서술어+목적어’구조가 모두 보이는 문장도 있다.‘주어+서술어’,‘서술어+목적어’의 문장구조에 대해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나면,‘주어+서술어+목적어’의 문장구조를 쉽 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雲 + 騰 / 致 + 雨 구름이 올라가서 내리게 한다 비를

주어 서술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은 주어가 ‘雲’,서술어가 ‘騰’과 ‘致’가 되고,목적어는 ‘雨’이다.이 문 장은 ‘구름이 올라가서 비를 내리게 한다.’로 풀이 할 수 있는데 이것은 기상현상을 말하고 있다.

露 + 結 / 爲 + 霜 이슬이 맺혀서 된다 서리가

주어 서술어 서술어 주어

(43)

술어가 되고,된다가 먼저 해석되는 ‘爲霜’은 주어와 서술어가 우리나라 말의 어순 과 다르게 도치되어 있는 형식이다.

守 + 眞 / 志 + 滿 지키면 도를 의지가 가득해 진다

서술어 목적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문에서는 서술어가 문장의 처음에 위치하고 그 다음 목적어가 위치한 형식이다.‘참,참되다’라는 뜻을 가진 ‘眞’은 ‘道’로 볼 수 있다.하늘의 진은 저절로 그리하여 티 없이 순수한 도리이다.도를 지키는 사람은 뜻이 굳건하고 진정으로 한결같다.이 문장은 ‘도를 지키면 의지가 가득해 진다.’로 풀이 할 수 있다.

逐 + 物 + 意 + 移 쫓아가면 외물을 뜻이 변해간다

서술어 목적어 주어 서술어

위의 예시문은 주어,서술어,목적어의 문장성분이 문장의 뜻을 완벽하게 해주고 있다.주어를 생략하고 풀이해보면 ‘외물을 쫓아가면 변해간다.’로 풀이가 되는데, 이 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나타낼 수 없다.주어의 역할이 중요한 문장이다.따라서 이 문장은 ‘외물을 쫓아가면 뜻이 변해간다.’로 풀이할 수 있다.주어,서술어,목적 어가 나타나는 문장으로,문장의 뜻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문장이 된다.

(44)

3. 서술어+보어의 문장 구조

보어는 주어를 보충하거나 서술어를 보충 또는 한정하여 부족한 뜻을 완전하게 하는 보족의 구실을 한다.40)『천자문』에서는 서술어를 보충해서 의미를 완전하게 해주는 보어의 역할이 많다.이 절에서는 서술어와 보어의 문장구조에 대해 살펴보 고자 한다.

주어+서술어+보어

金 + 生 + 麗水 금은 난다 여수에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生’이 되고,보어는 ‘麗水’가 된다.여기서 ‘麗水’는 전라 남도 여수가 아닌 중국에 있는 강 이름을 말한다.이 문장은 주어+서술어+보어의 구조의 형태이다.이 형식에서 보어는 두 글자로 된 명사로 이루어져 있다.

여수라는 지명은 중국에 세 곳이 있다.첫째는 『한비자』의 칠술(七術)에 나온 다.「형남지지,여수지중,생금(荊南之地,麗水之中,生金)」이라 한 것은 절강성에 있는 이 하천에서 금이 생산됨을 가리킨다.둘째는 감숙성의 장랑하(莊浪河)로 옛 지명은 역수(逆水)다.셋째는 운남성의 금사강(金沙江)이다.『구당서』의 「가탐전 (賈耽傳)」에 이르기를 「고려남고영수지금(故麗男貢麗水之金)」이라 한 것도 이 지방에서 금이 생산됐음을 뜻한다.금은 재화로서의 가치가 여느 것보다 크다.그

40)송병렬,「바람직한 문장구조 및 성분론」,『한자한문교육』제17호,2001,132쪽.

(45)

玉 + 出 + 崑岡 옥은 나온다 곤륜산에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玉’,서술어는 ‘出’이 되고,보어는 ‘崑岡’이 된다.여기서

‘崑岡’은 중국의 지명이다.중국의 서쪽에 있다고 알려져 있는 전설상의 영산(靈山) 이다.42)아름다운 옥이 생산됐던 곳이라고 한다.이 문장은 ‘옥은 곤륜산에서 나온 다.’로 풀이할 수 있다.

劍 + 號 + 巨闕 칼은 알아 준다 거궐이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劍’,서술어는 ‘號’가 되고,보어는 ‘巨闕’이 된다.여기서

‘巨闕’은 검의 이름을 말한다.이 문장은 ‘칼은 거궐이 알아준다.’라고 풀이할 수 있 다.

珠 + 稱 + 夜光 구슬은 높이 친다 야광에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珠’,서술어는 ‘稱’이 되고,보어는 ‘夜光’이 된다.보어 ‘夜

41)강영수,『고사성어로 배우는 천자문』,좋은글,2001,40쪽 참조.

42)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41쪽 참조.

(46)

光’은 진주의 이름이다.춘추(春秋)시대에 수(隨)나라 임금이 용의 아들을 살려주 자 용(龍)은 지름이 한 치가 넘는 진주를 주어 그 은혜에 보답하니,진주가 밤에도 대낮과 같이 환하였다.이것을 초왕(楚王)에게 바치자 초왕은 크게 기뻐하여 몇 대 (代)가 지나도록 수나라에 무력침공을 가하지 않았다43)고 한다.

주어+서술어+보어(〇〇)

禍 + 因 + 惡積

재앙은 말미암아 생겨난다 악업이 쌓인 것으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因’이 되고,보어는 ‘惡’이 된다.‘재앙은 악업이 쌓인 것 으로 말미암아 생겨난다.’로 풀이 할 수 있다.악한 행동을 하면 재앙이 생긴다는 말이다.이 예시문은 주어+서술어+보어(〇〇)의 형태를 갖고 있는데,보어가 한 글 자로 된 문장도 많지만,이 형식에서는 보어가 두 자로 되어 있다.이 두 자의 보 어는 서술어를 보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福 + 緣 + 善慶 행복은 생겨난다 선행과 경사에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緣’이 되고,보어는 ‘善慶’이 된다.여기에서 ‘緣’은 원인 을 나타내는 ‘……으로 말미암다.’라는 뜻으로 쓰였다.따라서 ‘행복은 선행과 경사 에 의해 생겨난다.’로 풀이 할 수 있다.

43)박정규,『천자문의 이해』,보고사,2003,17쪽 참조.

(47)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殊’이 되고,보어는 ‘貴賤’이 된다.이 문장은 ‘음악은 귀 천에 따라서 형식이 다르다.’로 풀이 할 수 있는데 음악에 귀천이 있다는 이해를

『예기』「王制」편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천자가 제후[공작·후작]에게 음악을 하사할 때,使者가 祝(음악을 시작하는 신호 를 울리는 악기)을 잡고 치며 지휘한다.백작·자작·남작에게 음악을 하사할 때,사 자가 鼗(땡땡이.음악을 마치는 신호로 치는 것)를 잡고 흔들며 지휘한다.”신분의 귀천에 따라 차등이 있도록 하는 것이다.『예기』「王制」44)

禮 + 別 + 尊卑 예는 구별이 있다 존비에 따라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서술어는 ‘別’이 되고,보어는 ‘尊卑’이 된다.이 문장은 ‘예는 존비 에 따라서 구별이 있다.’로 풀이 된다.예에 존비를 구별한 것은 음악의 제도를 마 련한 것처럼 귀천을 구별하여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넘어서지 못하게 하는데 있을 것이다.존비를 구별한 예(禮)의 내용은 다음의 선왕의 오례 제정을 통해 알아 볼 수 있다.

선왕(先王)이 오례(五禮:吉禮,凶禮,軍禮,賓禮,嘉禮)를 제정하여 조정(朝廷)에 는 군신(君臣)간의 의식이 있고,가정(家庭)에는 부자(父子)간의 차례가 있으며,부 부(夫婦),장유(長幼),붕우(朋友)의 등속에도 모두 존비(尊卑)의 구별이 있게 하였 다.45)

44)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55쪽 참조.

(48)

樂은 음악이고,禮는 예절이다.예악은 한 쌍으로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다.『예 기』「樂記」에서 말했다.“악은 천지의 조화이고 예는 천지의 질서이다.조화로우 면 모든 사물이 자라고 커가게 되고,질서가 있으므로 모든 사물이 구별된다.악은 하늘로 말미암아 생겨나고 예는 땅을 본받아서 만들어진다.”46)『예기』에서는 禮 와 樂을 하나로 보고 조화로움을 강조하였다.음악이라는 것은 하늘의 넓음을 나타 내고,땅은 시작과 마침을 나타내고,사계절의 순환과 풍우를 나타낸다고 하였다.

조화와 질서가 있으므로써 모든 사물과 사람이 구별되고,평안하다고 본 것이다.

右 + 通 + 廣內 오른쪽은 통한다 광내로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에서 주어는 ‘右’가 되고,서술어는 ‘通’,보어는 ‘廣內’가 된다.보어인

‘廣內’는 한나라 궁정 도서관의 이름이다.이 문장은 ‘오른쪽은 광내로 통한다.’로 풀 이 할 수 있다.

左 + 達 + 承明 왼쪽은 이른다 승명전에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문에서 주어는 ‘左’가 되고 서술어는 ‘達’,보어는 ‘承明’이 된다.‘承明’은 한나라 때의 궁궐의 이름을 말한다.‘왼쪽은 승명전에 이른다.’로 풀이할 수 있다.

45)박정규,『천자문의 이해』,보고사,2003,51쪽 참조.

46)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55쪽 참조.

(49)

주어 서술어 보어

위의 예시문에서 주어는 ‘府’가 되고 서술어는 ‘達’,보어는 ‘承明’이 된다.‘承明’은 한나라 때의 궁궐의 이름을 말한다.서술어인 ‘羅’는 벌리다,늘어서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위 문장은 ‘관부에는 장수와 재상이 줄지어 있다.’로 풀이할 수 있다.

보어+서술어+목적어

外 + 受 + 傅訓 밖에서 받는다 스승의 가르침을

보어 서술어 목적어

위의 예시문은 주어와 서술어와 목적어의 문장구조를 보인다.‘밖에서는 스승 의 가르침을 받는다.’로 풀이할 수 있다.

『예기』의 「내칙」에서 말했다.“열 살에 밖으로 가서 바깥 스승에게 나아간 다.”47)

이렇듯 교과서 내에서 분석한 문장의 구조를 교과서 그대로 학습하는 것보단 전 통적 교육방식 4字의 단문을 통해 학습하면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뿐 만 아니라 전 통적 고사나 유래 등도 함께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한문을 배우는 초학자들에게 는 효과적인 학습이 된다.

47)신정근,『세상을 삼킨 천자문』,심산,1996,159쪽 참조.

참조

관련 문서

토끼를 무서워하는 아이에게 멀리서 토끼를 보면서 좋아하는 우유 와 쿠키를 먹게 하는 것,

인공지능의 내용을 중심으로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센서들에 대해 알아보고 센서와 인식에 관한 내용, 인공지능 윤리에 관한 내용을 학습 하고

정신지체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일반아동의 인 식과 태도가 좋지 않다고 보고하고 있다.일반아동은 지적장애아동이 사회적 기술 과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체육과 지도 영역 중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리듬 및 표현운동 중 전통 춤사위 교수-학습 활동을 구안ㆍ적용하고 다양한 춤사위 표현 운동의

다교과 융합형 STEAM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화학을 중심으로 물리학, 생 명과학 , 한문, 한국사, 체육, 미술을 융합시키는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본교

학습

그러나 터키 교과서에 서술된 것처럼 오스만제국 내 아르메니 아인의 상황을 단순하게 묘사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오스만제 국 시기, 도시에 거주했던 아르메니아인들은

영어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스토리 재구성 역할놀이 활동과 자기 주도적 역할놀이 를 활용한 교수·학습 수업방식으로 듣기 능력과 말하기 능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