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급성 담낭염으로 인한 패혈증을 동반한 담도 과오종 환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급성 담낭염으로 인한 패혈증을 동반한 담도 과오종 환자"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151

■ S-177 ■

급성 담낭염으로 인한 패혈증을 동반한 담도 과오종 환자 1예

동아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1, 해부병리학교실2

*유승희1, 노명환1, 한지선1, 우수미1, 박소영1, 서정민1, 정진숙2

담도 과오종은 간내 담도 확장을 특징으로 하는 보기 드문 간내 양성 종양으로 대부분은 증상이 없어서 간 생검이나 부검에 의하여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저자들은 총담관 말단부 협착 및 총담관 슬러지, 우측 다발성 신낭종을 동반한 담도 과오종 환자에서 급성 담낭 염으로 인한 패혈증 및 급성 신부전을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62세 여자가 3일간의 우상복부 동통 및 발열이 있어 응급실을 내원하 였다. 당시 촬영한 복부 초음파와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간 양엽에 무수한 소낭성 음양과 저밀도 병변이 관찰되었고, 담낭의 팽만 및 총담관의 확장 소견을 보였다. 환자의 활력 징후가 불안정하여 우선 경피적 담도 배액술과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급성 신부전에 의한 핍뇨 있어 혈액 투석을 시작하였다. T관 담관 조영술상 총담관 말단부의 협착과 총담관 슬러지가 보여 역행적 내시경 담관 췌장 조영술 및 유두부 절개술을 시행한 후 슬러지를 제거하였다. 그 이후 활력 징후가 안정되며 통증도 호전되어 경피적 담도 배액관을 제거하였으며, 초음파 유도하 세침흡입 생검을 실시하여 다양한 크기의 다발성 낭성으로 확장된 담도가 간문맥 주위로의 불규칙한 배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담도 과오종은 대부분 특별한 합병증을 가지지 않는 양성 종양이지만 본 증례와 같이 총담관 말단부 협착 및 총담관 슬러지을 동반하여 이에 따른 담관염 및 담남염의 진행에 의한 패혈증의 위험성을 가진 경우도 있어서 주기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며, 담도암으로 진행의 위험이 있으므로 장기적인 추적 관찰을 요한다.

■ S-178 ■

양성 담관 협착에서 스텐트 삽관 치료의 임상 특성 및 결과

부산대학교병원

*남형석, 최문기, 최보광, 최보경, 황인혜, 신경화, 이희선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양성 간외 담관 협착증으로 내시경적 스텐트 삽관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효과 및 경과에 대해 살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9월부터 2008년 1월까지 ERCP를 통해 간내 협착을 제외한 양성 담관 협착증에 대해 내시경적 스텐트 삽관을 시행한 후 일정기간 추적 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15명(남자 12명, 여자 3명- 전체 평균 50.53세)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 다. 결과: 대상 환자는 전체 15명으로 남자 12명, 여자 3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49.3세였다. 협착의 원인으로 7명이 췌장염으로 인한 협착이었 으며 8명이 담낭 절제술 및 담도공장문합술 등 술 후에 발생한 협착이었다. 최초 스텐트 삽입 시 췌장염이 원인인 군에서 담관 협착 길이는 1.5~3.1 cm (2.57±0.55 cm)로 모든 환자에게 1개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경과 관찰 중 스텐트 교체가 필요하였던 경우는 0~5회(1.71±1.58 회)로 조사되었으며 최종 삽입된 스텐트의 수는 1~4개(1.57±1.05개)였다.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총 7명의 환자 중 2명에서 스텐트 제거가 가 능하였으며 이 들의 patency 유지 기간은 9.5±1.50개월로 관찰되었다. 총 스텐트 유치 기간은 2~36.5개월로 평균 19.21±10.50개월로 나타났 다. 이에 반해 술 후 협착이 원인인 군에는 협착 길이는 0.6~3 cm (1.17±0.65 cm)로 최초 삽입된 스텐트의 수는 1개(2예), 2개(3예), 3개(3예) 로 조사되었다(2.13±0.70개). 경과 관찰 중 스텐트 교체가 필요하였던 경우는 0~1회로 총 8명의 환자 중 3명에서 한 차례의 스텐트 교체가 필요하였고 이 후 모든 환자에서 스텐트를 제거할 수 있었다. 총 스텐트 유치 기간은 1~9개월로 평균 4.19±2.37개월로 조사되었으며 스텐트 제거 후 patency 유지 기간은 9.75±4.33개월로 나타났다. 결론: 담도 협착의 원인으로 술 후 협착의 경우 내시경적 치료를 적극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치료 경과 또한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술의 적응이 되지 않는 만성췌장염과 관련된 협착의 경우에도 일부 내시경적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도 여러 원인에 의한 양성 담관 협착의 치료로 스텐트 삽입의 효과 및 장기적인 예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조

관련 문서

대장에 발생한 자궁내막증식증은 대부분 장막 이나 근육층에 침범하며 점막하층이나 점막층에 침범하는 경우는 드물어서 주기에따른 활동성출혈등의 증세가 없는 경우가

소장 위석은 주로 위 위석이 연동 운동으로 인해 소장으로 내려가서 이차적으로 발생하고, 임상적으로 소장 폐쇄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석에 의한

최근 국내에서 성인의 현성 급성 A형 간염이 증가하고 합병증 의 발생이 빈번한데, 고열과 근육통을 호소한 젊은 여자 환자에서 급성 A형 간염과 hemophagocytic sydrome이 동반된

특히 상근위 공장 증후군에 의해 발생한 급성 췌장염은 드문 질환으로 상근위 공장 증후군 자체의 증상 및 급성 췌장염 등 다른 급성 복증과 증상이 유사하고 방사선학적으로

대부분의 환 자들은 만성 췌장염에 의한 급성 복통 등을 주소로 병원을 찾게 되나 저자 등이 경험한 1예는 다발성 췌관 결석에 의한 하부 담도 폐쇄로 인한 담도 확장에 의한

결론: 저자들은 급성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공장 이소성 췌장을 발견하여 수술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저알부민혈증과 부종 이

경동맥화학색전술 후 발생한 유증상의 담즙종을 경피적 배액술 및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을 통한 담즙 우회를 시도하여 치료한 경험이 있어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64세의 남자환자

저자들은 쯔쯔가무시병으로 진단된 51세 남자 환자에서 상복부 불편감으로 시행한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위 점막 미란을 동반한 상부 위장관 침범 1예를 경험하였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