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Design of Ottchil Molded Furniture with Chinese Qing Dynasty Ceramic Vase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Design of Ottchil Molded Furniture with Chinese Qing Dynasty Ceramic Vase"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 논문은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중국도자 역사

에서 가장 발달한 청나라시대의 화병도자 기형을 조사.

분석하여 그 시대 화병도자기의 기본형을 찾고 옻칠가구 디자인의 조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 청나라시대 화병도자를 조사 분석하여 도자의 기본 형태와 특징을 살펴보고, 그 형태를 부분 분할하여 디자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적용한 옻칠 조형가구디자인

추완려

1

, 김정호

2*

1공주대학교 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박사과정, 2공주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교수

A Design of Ottchil Molded Furniture with Chinese Qing Dynasty Ceramic Vase

WANLI-ZOU

1

, Chung Ho Kim

2*

1Graduate School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Doctor Pro.

2Department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요 약 청나라 화병의 형태를 활용한 옻칠 조형 가구 디자인 개발 논문은 중국 도자 역사상 가장 탁월하게 발달하였던 청나라시대 화병도자 기형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그 시대 화병도자기의 기본형을 찾고 화병에서 나타난 화병 자체의 형태를 응용하여 칠기작품 디자인의 조형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청나라시대의 화병에 나타난 조형요소 중 형태 에 주안점을 두고, 그 형태의 종류를 분석하고, 사용된 재료의 조사와 각종 문헌을 통하여 중국 청나라시대 병도자기의 형태를 고찰한다. 중국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실험에 의해 나온 자료를 기본으로 하여 옻칠 제작법 중에서 협저탈태 칠기로 적용하여 앉는 가구를 디자인 한다. 이번 옻칠 조형가구 제작과 연구를 통하여 만들어진 결과물이 옻칠과 가구디 자인의 결합에 새로운 학문적인 체계 구축과 오늘날 옻칠가구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새로운 조형사고와 신 조형기 술을 발전시키는데 미약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옻칠, 가구, 화병, 도자, 조형

Abstract The research paper for lacquer design furniture design development utilizing the shape of the clean vase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vase ceramic deformities of the most prominent Qing's era in Chinese ceramic history, and shows it in a vase to find the basic form of the vase ceramic of that era Applied the shape of the vase itself, and tried to provide a plastic basis for the design of lacquer works.

Focusing on the shape of the shaping element shown in the Qing Dynasty vase, we analyze the type of the type, and examine the shape of the bottle china in China Qing perio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materials used and various document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 the design of furniture to sit by applying Chinese clean vase ceramic malformation to Hyopjotalte(Ottchil) lacquer ware in the lacquer making method.

Key Words : Ottchil, furniture, vase, ceramics, molding

*Corresponding Author : Chung Ho Kim(chkim2@kongju.ac.kr)

Received March 31, 2019 Revised April 30, 2019

Accepted May 20, 2019 Published May 28, 2019

(2)

인을 전개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연구 논문에 서는 청나라의 장식도자기의 조형적 요소를 바탕으로 옻 칠작품에 형태적 요소를 적용하고, 중국 청나라의 도자기형 을 내포한 옻칠가구 작품을 디자인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조형 요소 중에서 형태가 차지하는 비율은 매우 크다.

또한 형태는 사물의 외형을 이루는 요소 중 가장 큰 비중 을 둔다. 형태는 어떻게 구성 되느냐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화를 가지며, 이것은 사용자가 받아들이는 반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옻칠 조형작품의 제작에서 형태는 여러 가지 요소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아름다운 형태는 조형작품의 기본 요소로서 매우 복잡한 형태일지라도 사 물의 유사성과 차이성을 구별하면 그 해석이 가능하다.

형태를 이루는 요소 중 점, 선, 면은 기본 요소로서 그 요 소의 변화와 조합에 의하여 다양한 결과가 나타나고, 인 간은 시각적 감각을 통하여 이것에 대한 것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각각의 반응은 나탄 낸다.

옻칠 조형가구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형태는 매우 중 요한 요소로 대두된다. 조형적 요소를 지닌 작품은 그 조 형요소를 어떻게 담고 있느냐에 따라 초점이 맞춰지므로 형태가 구체적인 시각적 표현으로 나타나야지만 조형작 품으로 표현될 수 있다.

1.2 연구방법 및 범위

본 논문에서 연구 작품의 관점으로 제시한 “중국 청나 라시대 화병 도자”는 중국의 “평안(平安)” 이라고 한다.

따라서 꽃을 담는 기능적 요소가 있다. 청나라시대의 화 병의 조형적 요소에서 형태에 초점을 두고, 청시대의 화 병 도자기 형태를 고찰하고 분석한다.

첫째, 재료조사와 각종 문헌을 통하여 중국 청나라시 대 병도자기의 형태를 고찰하고, 분석하여 도자기의 형태 와 특징 그리고 그 유형을 파악한다.

둘째, 모색된 중국 청나라시대 병도자기 기본형을 분할 의 원리로 실험하여 디자인 제작연구에 기초자료를 얻는다.

셋째,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중국 청 시대의화병도자 기형을 옻칠 제작법인 협저탈태 칠기를 적용하여 앉는 가구를 디자인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사회적 배경요소

중국 청나라시대는 사회적 부패와 명나라의 막강한 세

력을 이기지 못하고 1644년 만주족에게 멸망당하고, 다 시 만주족에 의해서 나라가 세워졌다. 만주족에 의해 19 세기 초까지 다스려졌던 중국은 고유한 문화를 이어 나 가면서 개성이 강한 독특한 문화를 창출하기에 이르렀다.

Table. 1 에서 와 같이 청나라시대 황제는 12명이 있었다.

Qing taizu

Qingtai zong

Shun zhi

Kang xi

Yong zheng

Qian long

Jia qing

Dao guang

Xian feng

Tong zhi

Guang xu

Zhi tong

Table 1. King of Qing Dynasty[1]

중국 청시대에서 도자기가 가장 발달한 시대는 4대 강 희(康熙), 5대 옹정(雍正), 6대 건륭(乾隆)시기인데 이 시 대에서 나타나는 도자기의 형태와 특징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2]. 강희시기의 도자기는 대부분 몸체가 두꺼우 며, 무겁고, 수수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옹정시기의 도자 기는 강희시기와는 달리 깔끔하고, 가벼우며, 외각 선은 부드러우나 정밀하다. 도자기의 주재료는 매우 심혈을 기 울여 선택하였고, 벽체는 가볍고 얇아 빛이 투과할 정도 의 잔잔한 청색으로 반투명 효과를 나타낸다. 건륭시기의 도자기는 매우 정교하게 제작되었다. 그러나 복잡하고 조 잡하다는 평을 받는다. 그 시기 이후부터는 도자 외형이 둔탁하고 경직된 듯 한 느낌을 준다. 중국 청시대 말기 도자기는 두께가 두껍고 외형도 거칠며 유약의 상태도 거칠고 얼룩을 이루고 있다. 함풍(咸丰)시기부터는 경덕 진(景德镇) 관요(官窑) 조차도 훼손당하였고, 청시대의 마 지막인 선통(宣统)시기에는 사회적, 경제적 불안으로 결 국 폐업에 이르게 된다.

(3)

Period Representative

ceramics Basic string Contents

Kanghee period

The shape is clear and the body is

relatively thick and heavy.

Oongjong period

The body is carefully chosen and the walls are thin and light.

Qianlong period

It is made in detail and elaborate, but it is

too complicated and coarse.

Table 2. Characteristic of 3 period ceramics

2.2 화병도자의 조형요소

청나라시대 가장 탁월하게 발달한 세 시기의 화병도자 기 형태를 조사하고 유형별로 분류해 본 결과 Table2에 서 보는 바와 같이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Table 2와 같이 분류된 병도자기의 형태는 공통점과 형태의 특징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유형별 기본이 되 는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중국 청시대의 병도자 형태의 기본형을 보면 술이나 물과 같은 액체류를 담기에 적합하도록 병목이 좁게 제 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매병, 마늘병, 버들잎병(柳叶 瓶), 천구병, 보월병(宝月瓶), 육방병, 관음병, 종식병, 봉 수병, 전심병, 화구병. 등의 형태 형식을 갖추고 있다.

․ 매병 : 매화나무 유형의 병도자기로 목이 짧고 입구 가 작다. 또한 어깨가 벌어졌다 다시 줄어드는 형태를 보 인다. -병의 입구에 매화를 장식하기에 알맞기에 매병이 라 불리우며, 매병은 전체의 형태와 입구의 모습으로 그 연대를 가늠할 수 있다.

․ 마늘병 : 진한시기의 도자기 모양을 모방한 조형이 다. 입구가 마늘머리 모양으로 생겨 얻은 이름이다. 마늘 머리병은 송대부터 굽기 시작하였고 명, 청시기에 유행하 였다. 목이 길며 복부가 납작하고 둥굴며 고리형식으로 된 다리이다. 명, 청시기 병의 복부는 많이 변화하였고 마 늘 머리모양도 크기가 달랐다.

․ 버들잎병(柳叶瓶) : 청대 강희관요의 독특한 모양중

하나이다. 입이 많고 목이 가늘며 복부는 가늘고 길다. 몸 체는 굴절이 많고 우아하다. 처져있는 버드나무가지 같고 또 늘씬한 미인과 같아 “미인 어깨”라 불린다.

․ 천구병은 서아시아의 문화영향을 받은 도자기다. 입 이 많고 목이 곧으며 동그란 복부이고 평평한 바닥이다.

청대 강희 초기에는 모방품이 성행하여 천구병은 명나라 초기의 도자기를 모방하였고 옹정, 건륭시기에서 유행하 였으며 본조 연관을 기재하였다.

․ 보월병(宝月瓶)은 포월병(抱月瓶)이라고도 하며, 보 월병은 홍무제시기로 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당 시 서아시아에서 유행하던 기형의 모습이 엿보인다.

․ 육방병은 육릉병 이라고도 하며, 명 중,말기에 유행 하는 병 모양중 하나이고 병체가 육릉주 모양으로 되어 얻은 이름이다.

․ 관음병(覌音甁) 또는 ‘관음존’이라고 한다. 청대강희 에서 건융시기에 유행했다. 강희 초기의 경덕진요는 아주 많은 병을 제조하였다. 입이 작고 복부가 큰 것은 모두 병이라 불린다. 관음병의 특징은 목이 짧으며 어깨가 풍 만하고 아래로는 점점 줄어든다. 몸체는 길고 라인은 매 끈하고 수려하다.

․ 종식병(琮式甁)은 신석기시대 옥종모양을 모방하였 다. 최초의 도자기로 된 종식병은 남송관요와 용천요에서 발견되었다. 명대의 석완요를 포함한 모든 요는 월백유약 을 많이 사용하였고 청나라 초기 이후 도자기 몸에 그려 진 선 장식은 팔괘무늬이고, 변화를 거듭하여 후기에서는

‘팔괘병’ 이라고 하였다.

․ 봉수병(鳳首甁)은 청나라시대 화병도자 중에 하나인 병모양으로, 봉황의 눈은 뜨고 있고, 주둥이는 진주를 물 고 있다. 머리 위는 연꽃모양의 꽃이 관을 하고 있으며 길 고 가는 목은 현문을 많이 장식하였고 풍만한 어깨와 가 르다란 복부와 평평한 바닥 또는 가자(架子) 고리형 이다.

․ 전심병(轉心甁)은 청나라 초기 건륭 시기에 유행하였 고 도자기 모양은 대, 소로 구분한다. 병체는 내병, 외병, 좌대를 구분하여 만든 것이다. 내병의 몸체는 통모양이 고 회화로 장식하고 있다. 보통 외병은 투각이고 모양은 등롱(灯笼)과 비슷하고 내외병과 조합 후 병좌에 놓으면 좌에 있는 축이 안으로 들어가 손으로 돌리면 내병도 따 라 돈다. 병체의 그림은 주마등과 같이 외병의 투각으로 볼 수 있다. 청나라 말기 민국시기 또는 청건율시기의 제 품을 모방하였다.

․ 화구병(華口甁)은 입구가 활짝 핀 꽃 처럼 생겨서 얻

(4)

Title Types of pottery

Meiping pottery

Garlic pottery

Willow leaves pottery

Tianq iuping pottery

Holding moon pottery

Hexagonal pottery

〔3〕

Kannon pottery

〔4〕

Cóng shì pottery

Phoenix head pottery

Turn heart pottery

Flower mouth pottery

Table 3. Analysis of vase type in Qing Dynasty 어진 이름이다. 송, 금시기에 유행하였고 당대에는 이 미 출시하는 제품이 있었다. 명의 화구병은 병의 입구 는 연꽃잎 모양이고 목이 가늘고 둥근형 복부와 고리 형 다리이며, 입구 쪽에 인면형 손잡이가 있고 어깨와 연결되어 있다. 송대 경덕진, 자주, 요주 등의 요는 모 두 이 병을 제조하였다. 송대 고리형 다리는 비교적 짧고 금대 다리 높이는 거의 병목과 같았다.

3. 옻칠 조형가구 사례

3.1 옻칠 특성

칠(漆)은 한국말로 <옻>이라 하고, <漆>자로 표기한다.

<漆>자는 본래의 <桼>자가 변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桼>은 옻나무 본체를 말하고 <桼>자의 형상은. 허시(许 慎)의 설문(设文)에서 <상형칠여수적이하야(象形漆如水滴 而下也)>라 하여 옻나무가 물방울이 아래로 흘어내리는 형상이러 표현하였다. <桼>자는 칠수명(漆水名)이며 옻칠 나무에서 흐르는 칠의 즙을 일컫는 것으로 <桼>자와는 달리 구별된다. <목즙명칠인기일칠(木汁名칠因其日칠)>의 설문 내용에서도 설명했듯이 즙(汁)을 칠(漆)이라 하며 그 것이 변화되어 <칠>자가 되었다[5].

Fig. 1. Citrus lacquer tree

칠(漆)은 일본어로 <우루시(うるし)>, 중국어로 <찌이 (chi-l)>라 불리며, 영어 표현으로는 <Lacquer>이다. 영 어 표현 중에 <Japan>이 <옻칠 하다>, <옻, 칠, 칠기>의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므로 서양의 많은 나라에서는 일본 이 칠의 종주국으로 오해를 하고 있다. 이는 일본이 17세 기에 유럽에 알려진 칠기를 18세기에 구미 지역으로 대 량 수출하면서부터였다. 동시기에 <China>란 용어가 중 국의 도자기를 일컫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6].

(5)

Fig. 2. Extraction

옻이란 옻나무(Rhus vernicifera), 즉 칠수(漆树)에서 채취되는 액을 말한다. 옻나무에 속하는 나무는 옻나무, 개옻나무, 검양 옻나무, 덩굴옻나무, 붉나무(오배자나무), 산검양옻나무 등 6종이 있다. 이중 옻나무는 수액이 도료 로 사용될 수 있는 나무만을 말한다.

Fig. 3. Ottchil

칠액(漆液)이 굳어지는 것을 일반적으로 “건조(干燥) 한다” 고 표현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배화중합(配化重合) 에 의하여 공기 중의 산소(酸素) 와 반응하여 경화(硬化) 하는 것으로 그림물감이나 도료(涂料)가 마르는 것과는 근 본적으로 다르다. 칠 액의 경화는 고온 다습한 곳 (20-25%

의 온도, 70-80%의 습도가 가장 적당함)에서 빨리 경화된 다. 칠(漆)은 아주 뛰어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일단 건고 (干固)되면 접착력이 강하고 방수성이나 내수성이 높고, 약품에도 침투되지 않아 이것을 따라가는 도료는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없다. 특히 칠을 다한 면은 특유의 광 택을 발하고 심미(深味) 와 온미(温味)의 아름다움을 지니 고 있다.

3.2 옻칠을 활용한 조형가구 사례

목재나 가구에 옻칠을 한 경우에는 방습, 방충, 방열, 방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옻칠은 천연의 나무에서 얻어지는 재료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이유로 사람들 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옻칠은 재료의 종류에 따라 칠을 올리는 방법을 달리 한다.

Kinds shape Explanation

Table

Title: 'ㄹ' Materials: wood, lacquer,

bamboo, wood Artist: Kang Hee-jung

It is a lacquered table made of lacquer lacquerware by applying the

formative beauty of 'ㄹ' among the consonants of Hangul. Based on the fact that the shape of the table

can be made only by rotating 90° of 'ㄹ' during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7]

Title: Corner table Materials: lacquer, marquetry, egg shell Artist: Seo Beom-seok

Because it is the furniture used with the sofa in the living room,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ome restrictions on the height and the width. If the height

is too high or too low,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s, so the height of 40 to 45 cm is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sofa[8].

Title: Merge_Sidetable &

stool Materials: Steel, TraditionalKoreanlacquer,

Finesand Author: Kim Ok

The works were designed with temples and temples around the temples[9].

Table 4. Examples of lacquer furniture(table)

4.디자인 제안

4.1 디자인 진행과정

디자인 제작된 작품의 주제는 청나라 화병도자 기형을 적용한 옻칠 조형가구이고, 용도는 앉는 기능에 충실하면 서 아트적인 성격을 띤 옻칠가구이며, 조형적 요소를 중 시하여 제작한다. 소재로 선택한 화병도자는 중국에서 ‘평 안’하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하기에 앉는 느낌에서 도 평안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화병도자를 선택하였다,

(6)

연구 개발될 작품의 디자인은 예술과 생활을 융합하는 관계성을 제시하는 의미로 조형예술의 일부분을 나타내 고 있다. 이는 물체가 갖는 의미를 시각적 조형대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실용적 형태를 지니며, 자유분방한 조 형으로서 기능적 형식에 구애 받지 않는 오브제로 표현 된 것이다. 청시대 도자 형태를 적용한 옻칠조형가구는 실용성과 조형성을 함께 지니는 조형작품으로 그 기능을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상 개념으로 협저태 제작법과 제작기술을 적용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만들었다. 옻칠 가구의 제작과정 기술은 다음과 같다.

첫째, Fig. 4 에서처럼 청나라시대 화병 기본형을 선 정하여 앉을 수 있는 적절한 상태의 부분을 분할하였다.

Fig. 4. The basic form of Qing Dynasty vase

둘째, Fig.4의 화병의 기본형 중 8번째인 화구병은 평 안하다는 의미를 지녔으므로, 다른 화병과 달리 앉는 모 양으로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디자인 요소로 선정하였다.

Fig. 5. Selected Flower Bottleneck

셋째, 옻칠 가구의 백골은 아이소핑크로 제작하였다.

넷째, Fig.6. 기본형 위에 삼베를 12회 입히고, 토분과 칠은 섞은 토회칠을 4회 입혀 도장하였다. 건조 후 #220 사포를 사용하여 골고루 면을 잡고, 마지막으로 연녹색의 옻칠로 4회 덧칠하고 광약을 사용하여 광택을 냈다.

본 작품에서 추구하는 제작 형태는 청나라시대 도자의 기본형을 도입한 곡선으로 오브제 형식의 조형 가구이다.

이러한 본 작품 성격에 적합한 중국 청대 화병도자기 형태 유형의 기본형 정의를 내리고 이것을 기본형으로 선정한다.

4.2 디자인 도면

Fig. 7. Drawing

옻칠 디자인작품의 제작을 위한 형태를 얻기 위하여 청시대 화병의 기본형을 분할시키는 방법으로 전개한다.

형태는 조형 요소 중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제품 의 외형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좋은 형태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좋은 조형 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

Fig. 6. Making shape

(7)

형작품은 어떤 의미 있는 형태를 생산하느냐에 초점이 맞춰지므로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 지녔다 하더라도 그것 이 구체적인 형태로 표현되지 못하면 조형작품이라고 말 할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바라본 옻칠조형가구제작의 주요 사항은 청시대 화병의 형태에 기본을 두고, 아름다 운 도자기 유물의 가치가 지닌 의미 있는 내용을 포함한 작품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아트퍼니처를 제작한다.

4.3 디자인 결과물

본 작품 Fig. 8.의 형태는 중국 청나라시대 화병도자 기에서 입구가 활짝 핀 꽃처럼 생긴 모양인 화구병의 중 간부분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표현하였으며, 윗부분에서 볼 때에는 절단된 화구병의 원형을 좌우에서 힘을 가하 여 눌린 형태인 타원형으로 디자인 되었다. 이는 앉기 위 한 형태와 공간의 배치를 고려한 것이다.

Fig. 8. Prototype Model

5. 결론

본 연구는 중국 청나라시대 화병 도자기의 형태를 분 석하여 기본형을 추출하고, 선정된 기본형을 분할하여 얻 은 결과를 바탕으로 옻칠 조형가구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요 약하였다.

첫째, 중국 청시대의 화병 도자기가 가장 우수하게 나 타난 시기는 강희시기, 옹정시기, 건륭시기이며, 이 시기 에 나타난 화병 도자기의 특징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둘째, 중국 청나라시대 화병 도자기 형태를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본 옻칠 연구 작품 디자인 제작에서 추구하는 제 작 형태는 곡선으로 오브제형식의 화병 형태이다. 이를 위하여 청나라시대 화병 도자기의 형태 중 선정된 기본 형을 분할의 방법으로 전개하여 옻칠 조형가구 디자인제 작에 필요한 결과를 얻었다.

넷째, 가구 디자인 제작은 조형 표현이 용이한 협저탈 태 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제작 방법은 삼베를 호칠로 여 러 차례 덧발라 태를 만든 다음 그 위에 옻칠을 올리고 장식하는 방법이다.

이번에 디자인 개발된 옻칠조형가구제작의 연구를 통 하여 파생된 결과물은 옻칠을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새로 운 학문적인 체계의 구축과 옻칠세계에서 요구되고 있는 조형적 사고와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일조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https://baike.baidu.com/item/%E6%B8%85%E6%9C%9 D%E5%90%9B%E4%B8%BB/624153?fr=aladdin [2] https://baike.baidu.com/item/%E6%B8%85%E6%9C%9

D%E5%90%9B%E4%B8%BB/624153?fr=aladdin [3] http://www.997788.com/a181_10165294/

[4] http://www.997788.com/s181_32888775/

[5] Y. J. Kim. (2015).

A study on the props design for using Lacquer 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Maste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Technology, seoul

[6] H. C. Chung. (1998). A Study on Importation and Application of Ott in Korea.

The Study of Modeling Design, 1.

[7] H. J. Kang. (2012).

A Study on the Modern Design of Lacquered Furniture 50.

Maste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8] S. K. Jeon. (2003).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of Mutual Intersectional forms in Three-Dimensional Basic Modeling.

Society for Art Education of Korea, 21.

[9] O. Kim. (2017).

A Study on Stacked Furniture Design by using Lacquer Expression Techinques on Steel.

Maste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10] B. S. Seo. (2001).

A Study on Funiture Design by using Lacquer Expression Techinques on Steel.

Maste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29.

[11] G. I. Kim & J. Y. Park. (2016). Cultural Differences

impact on the ERP System Implementation Korea

Citation Inde

x.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2),

1-9

(8)

[12] C. Tandy. (1973). Hand Book of Urban Landscape.

The Architectural Press. Watson-Guptill Pub.

Watson [13] Failla, D

.

(1994). Japan Lacquer Art in the Chiossone

Museum:

Manual for analysis and descriptive cataloging. Knowledge organization, 21(1).

[14] F. Birren. (1961).

Color form and Space,

New York.

Rein hold Publishing Co.

[15] https://blog.naver.com/artmining/221318624166

추 완 려(Zou, Wan Li) [정회원]

․ 2008년 7월 : 중국 강사범대학교미술 학과(문학사)

․ 2012년 2월 : 배재대학교 칠예과 (문 학석사)

․ 2012년 3월 : 중국 강서사범대 학교 미술학과(교수)

․ 2016년 2 ~ 현재 : 공주대학교 조형디 자인학과(박사과정)

․ 관심분야 : 옻칠, 가구디자인

․ E-Mail : zouwanli@live.cn

김 정 호(Kim, Chung Ho) [정회원]

․ 1989년2월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목 공예학과 (미술학학사)

․ 1991년8월 : 홍익대학교대학원 가구 디자인 (미술학 석사)

․ 2013년2월 : 충남대학교대학원 임산 공학과(목재공학 박사)

․ 1998년 3월 ~ 현재 : 국립 공주대학교 예술대학

․ 관심분야 : 가구디자인, 목공예, 목제품디자인

․ E-Mail : chkim2@kongju.ac.kr

수치

Table  2.  Characteristic  of  3  period  ceramics
Table  3.  Analysis  of  vase  type  in  Qing  Dynasty 어진 이름이다. 송, 금시기에 유행하였고 당대에는 이 미 출시하는 제품이 있었다
Table  4.  Examples  of  lacquer  furniture(table)
Fig.  5.  Selected  Flower  Bottleneck
+2

참조

관련 문서

지원하고자 해외 한식당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활용 물품 개발 사업을 결정하고, 그 시범 사업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인테리어·테이블·포장 용품 등을

정부는 2.12 대책으로 대변할 수 있는 다양한 미분양주택 해소대책을 시행하였 다 이러한 미분양해소대책은.. 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미분양주택 해소는

중단기적으로는 기존 중공업부문의 침체가 일정부분 지속되는 가운데 경공업 을 중심으로 생산활동이 정상화되어갈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경우 광공업부문 의 비율은

창조계층 전반적으로는 서울, 대전, 경기에서 이들의 직장이 집적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 계통의 거주자 대비 근로자 비중 역시 작기, 기자, 출판전문가와 마찬

본 연구에서 국토정책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의 기본 방향은 첫째, 국토공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모형 체계, 둘째, 국토정책의 다양한

이로 인해 ‘부분적으로 정비해야할 문제점을 안고 있는 기존시가지내 주택지 (이하 일반문제주거지역으로 함)’에 관해서도 점차 정비할 필요성을 인식하여 왔..

[r]

□ 따라서 한국은 이미 세계 IT산업의 강자로 부상한 대만 IT기업의 강·약점 분석을 통해 국내 주력산업의 잠식을 최소화하고, 대만과의 격차를 더 벌릴 수 있는 방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