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6. 처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6. 처짐"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6. 처짐

6.1. 개설

■ Hook의 법칙이 성립하는 선형탄성 시스템에서의 처짐

■ 기하학적 방법 : 직접적분법, 모멘트 면적법, 공액보법

■ Energy 방법 : 가상일의 법, Castigliano 법 (캐스틸리아노)

6.2. 직접적분법

■ 처짐을 구하기 위해서 아래의 힘의 평형조건에 의한    의 미 분관계식을 처짐을 변수로 하는 관계식으로 나타낸다.



, 





 



 (6.1)

■ 평면유지의 가정(Bernoulli 가정): 변형 전 보의 중심축에 수직이고 평면인 단면 은, 변형 후에도 중심축에 수직이고 평면이다.

■ 휨 부재의 미분요소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중립축

  

·



·  

■ 처짐식  , 처짐각식 ′  

  (6.2)

■ 곡률   

 

  

″ ,  : 곡률반경

 :처짐, ′:처짐각 ′ ≪  → ′ ≈  ∴  

 ″ (6.3)

(2)

■ 중립축으로부터  만큼 떨어진 부분에서의 변형된 길이  와 변형율  

■ 모멘트와 곡률 관계

: 단면 2차 모멘트, ex) 직사각형 단면( × ):  



식 (6.1)과 (6.7)로부터 보의 미분방정식은

(6.8) (6.9) (6.10)

하중 가 주어지면 식(6.8, 6.9, 6.10)을 적분하여 처짐식  , 전단력식 , 모멘트식  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적분상수는 경계조건을 이용하여 결정

■ 정정보의 경우 단면모멘트 을 구할 수 있으므로, 식(6.8)을 이용

  



 

 

   

는 경계조건으로부터 구한다.

예) 단순보의 경우            

(3)

예) 캔틸레버 보의 처짐





미분 방정식:  ″  

경계 조건

1) 적분식의 계산

2) 경계조건

3) 처짐 및 처짐각식

예) 단순보의 처짐 (과제)

  미분방정식 :  ″  

경계조건:             

(4)

예제 6-1 아래 부정정 보의 모멘트식 및 처짐식을 구하시오.

  

미분방정식 :

경계조건:

a), b) c), d)

1) 적분식의 계산

  

(1)

″′  

  (2)

″  

  (3)

′  

 

  (4)

  

 

 

  (5)

2) 경계조건

a), b)로부터 식 (4), (5)에서

      ′     

c)로 부터 (     ) 식 (5)에서

(6) d)로 부터 ( ″  ) 식 (3)에서

(7)

를 식 (6)에 대입하면

3) 모멘트식 및 처짐식 식 (3)과 식 (5)로부터

검산:

    

 

 

 

          

(5)

예제 6-2 아래의 내부에 집중하중을 받는 켄틸레버보의 모멘트식, 처짐식 및 처짐각식을 구하시오. (과제)



미분방정식:

경계조건:

1) 적분식의 계산

(6)

2) 경계조건:

식 (1), (2), (3), (4) 로부터

 



 





,  





,  





3) 모멘트식 및 처짐식

(7)

▉ 온도하중

n 부재의 상부와 하부가 온도 변화에 의해 변형이 발생될 때, 온도하중을 평균온 도 변화와 구배온도 변화로 구분

n 평균온도 변화는 축변형 또는 축력을, 구배온도 변화는 휨변형 또는 휨모멘트를 발생시킨다.

n 정정 구조물에 작용하는 온도하중은 그로 인한 변형이 구속되지 않음으로 부재 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 +

  

 , (6.11)

n 평균온도변화: 부재의 전단면에 동일한 변형으로 인해 축방향 변위를 발생

(6.12)

: 온도팽창계수, 예) 강재, 콘크리트:   ×   

길이 인 부재의 온도변화 에 의한 길이 변화

(6.13)

예)   길이  벽체에 의 평균온도 변화 작용시

n 구배온도변화 () : “+”온도 변화를 받는 면은 인장, “-”온도 변화를 받는 면은 압축으로 인해 휨변형 발생

- 온도변화에 의한 곡률변화 ″는





·

 

 



 



(6.14)

- 하중에 의한 휨모멘트가 부재에 작용할 때 이를 함께 고려하면 (6.15)

(8)

예제 6-3 구배온도변화를 받는 캔틸레버보의 처짐

 

- 구배온도변화로 인하여 부재에 휨모멘트 가 발생한다고 가정

1) 미분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2) 경계조건

3) 처짐식

, 

 



(9)

예제 6-4 구배온도변화를 받는 부정정 보의 처짐

1) 미분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경계조건

3) 처짐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 부정정 구조물이 구배온도변화를 받을 경우 차가운 쪽에 인장을 받는 모멘트가 발생, 모멘트의 크기는 단면강성 가 클수록 크다. 부재높이 에 대하여 제곱

(10)

6.2.1. 모멘트 면적법

n 모멘트 면적법 제1 정리   ″  

 

로부터

 

 





 

§ 두 점      사이의 점 처짐각 에 대한 점 처짐각 의 상대회전각 



의 면적 ×  

또한,    

  이므로

§ 두 점      사이의 점 처짐각 에 대한 점 처짐각 의 상대회전각 



의 면적

n 모멘트 면적법 제2 정리

 











 







: 처짐곡선의 점에 대한 거리 

 : 

: 

(11)

n

의 계산

 → lim

  → lim

 



 ∆ 



∆  ∆



 : 점 에서 

면적의 중심까지 거리

 

   







처짐 곡선 상의 두 점  에 대하여, 한 점 에서 그은 접선과 다른 점와의 처짐 방향 거리

는 두 점 사이의 

선도의 면적에 점에서 그 면적의 중심까지 거리()의 곱에 음의

부호를 취한 값.

같은 방법으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

예) 단순보에서  ∆

 





예) 캔틸레버보에서  ∆



  ∆ 

n 단면적 및 중심거리

(13)

예제 6-5 C점에서의 처짐 및 처짐각을 구하시오.

  



·

 



 





 ( 

도)

  

(변형도)

1) 반력

 

 

 

     

2) 

도 작성, 변형도 예측

3)  계산

(14)

예제 6-6 C점에서의 처짐 및 처짐각을 구하시오.

()





 





( 

도)

(변형도)









 









 

1) 반력

  

2) 

도, 변형도 작성

3)  계산

(15)

예제 6-7 다음 보의 점에서의 처짐를 구하시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반력 산정

(2) 

(3) 

선도

(16)

(4) 변형도

 



    ∆′  

′  



   ∆′    



(5)   의 계산

(17)

6.3. 공액보법 (Mohr's analogy, 탄성하중법) 6.3.1 탄성하중 정리

 

  

    

공액보 실제보

■  와 ′ 그리고  과  의 경계조건이 같다면  이므로 ′     ,    이다.

■ 하중 에 의해 발생하는 모멘트 을 이용하여 가상보에 

를 하중으로 작용시킬 때,

가상보에 생기는 모멘트  는 주어진 실제보의 처짐 를 나타낸다. 이 때, 가상보를 공액보라 하며,  



를 탄성하중이라 한다.

■ 정리1

실제 보의 한 점에서 작용하는 처짐각   ′은 

를 하중으로 재하시킨 공액보의

해당점에서의 전단력      와 같다.

■ 정리2

실제 보의 한 점에서 작용하는 처짐 은 

를 탄성하중으로 재하시킨 공액보의

해당점에서의 모멘트  와 같다.

(18)

■ 공액보는 실제 보에서의 처짐과 기울기를 나타내는 경계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예)

 















실제하중 탄성하중

 (실제보)

 (공액보)

■ 공액보의 경계조건

실제보

지점 변위조건

공액보

지점 변위조건

1

2

3

4

5 Case

실제보 공액보

지점 변위조건 지점 대응변환 반력조건

(19)

■ 공액보의 경계조건 - Case 4

■ 공액보의 경계조건 - Case 5

(실제보) (공액보)

 ≠  ≠ 

≠  ≠ 

 

≠  ≠ 

 





 







(BMD)

실제보

(BMD) 공액보

■ 공액보의 경계조건 적용예

실제보 공액보

1

2 Case

※ 공액보가 불안정한 시스템이어도 하중과 반력에 의해 평형조건이 만족됨

(실제보) (공액보)

M=0

V =V ≠0R L

v=0

θ =θ ≠0R L

  

 ≠ 

 

 ≠ 





(공액보) (실제보)

(BMD)

실제보

(BMD) 공액보

(20)

예) 변형도를 구하라. ( , )

(실제보)





 ′ (공액보)

   





 







  

 





 



(변형도)

(21)

예) 변형도를 구하라. ( , ) : 공액보가 불안정으로 나타나는 경우의 예





 

 







 



 ′





 







(BMD)

(실제보) (공액보)

■ 평형검토

변곡

(22)

예제 6-8 다음 보를 공액보법을 이용하여 각 점의 처짐과 처짐각을 구하시오.

(구간 , 구간)



 

 

   

1. 반력 산정 ■ 부재

■ 부재

    , ↑

   

■ 부재



 



 

 





2. 휨모멘트도

 

 



 



(23)

부재 

   ·

   ·

부재 

   ·

   ·

3. 공액보와 탄성하중 

⊖ ⊖

















· 



5. 공액보에서의 반력



 







 

 



 

 





· 



6.처짐과 처짐각

공액보에서 전단력과 모멘트는 각각 원래보에서 처짐각과 처짐을 나타낸다.

■ 지점

 ,     ,    ■ 지점



 

 

 





(24)

지점 지점 지점 지점 지점 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점

■ 지점



 

  



■ 지점

 

  

 

  

(25)

6.4. 일의 원리(principal of work)

n 외부일 : 구조물에 가해진 외력이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발생된 변위에 대하여 한 일 ()

n 내부일 : 외부일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구조물의 내부력이 한 일 () 또는 변형 전 구조물이 원래의 상태로 복구하려는 에너지

   ・     (6.4.1)

n 에너지 원리 : 평형상태에 있는 구조물의 외부일과 내부일의 합은 “0”이다.

  (6.4.2)

n 능동적 일(active work, , ) : 구조물에 가해진 힘이 변위를 발생시켜서 한 일

n 수동적 일(passive work, , ) : 구조물에 가해진 힘이 외부의 다른 원인 (힘, 지점이동, 온도변화 등)에 의해 변위가 발생함으로 수행된 일

n 능동적 일과 수동적 일의 예

아래의 보에 이 먼저 작용(Force System1, 역계1)한 후, 가 작용(Force System2, 역계2)하였을 때, 능동적 일은 과 , 와 에 의해 발생하고, 수동적 일은 과 에 의해 발생







 



원인



위치

(26)

6.4.1 능동적 외부일()

n 축력부재에서의 외부일

■ 축력을 받는 부재의 한점에 작용하는 힘 가 의 변위를 발생 시킬때 힘 미소변위 에 대하여 한 미소일의 양 

(6.4.3)

이며 전체 변위 에 대하여 한 일의 양

(6.4.4)

■ 힘 와 변위 가 선형관계를 나타낼 경우

(6.4.5)

:축강성

는 물리적 의미를 갖지 않는 보완적 외부일(Complementary Work)

(6.4.6)

■ 축분포하중 에 의한 외부일은



 

(6.4.7)

(27)

n 휨 부재에서의 외부일

■ 휨 부재의 한 점에 작용하는 집중하중 또는 분포하중 이 부재 축에 대 한 수직방향 변위  또는 를 발생시킬 때의 외부일은 부재 휨 강성 를 고 려하여 앞의 식 (6.4.4)와 (6.4.7)에 대한 동일한 유도과정을 통하여 아래와 같 이 표현된다.

(6.4.8)

 



■ 같은 방법으로 모멘트 하중 이  의 회전각을 발생시킬때 이 미소회전각 

에 대하여 한 미소 일의 양 와 전체 일의 양

(6.4.9)

■ 모멘트 과 회전각 가 선형관계를 나타낼 경우

(6.4.10)

(28)

6.4.2 능동적 내부일()

§ 내부일은 변형에너지(strain energy)라 하며 변형을 회복시키려는 탄성에너지

§  ・의 물성을 갖는 부재의 미소체적  ・・ 에서 발생한 내부일 

 

 ・・   ・ 

  

・  (6.4.11)

§ 부재 전체에 발생한 내부일

 

  (6.4.12)

n 축력에 의한 내부일

■ 축력, 축응력, 변형율 관계

    

     ・ (6.4.13)





 ·

■ 축력에 의한 내부일

부재 전체에 발생한 내부일

(6.4.14) 예) 개의 부재로 구성된 트러스 구조 :  

 부재수

(29)

n 휨모멘트에 의한 내부일

■ 휨모멘트, 휨응력, 변형율 관계 및 단면특성

    



・      ・  

(6.4.15)

■ 휨모멘트에 의한 내부일



 

 

 ・   

・

 

・  





 

    단면휨강성 (6.4.16)

n 전단력에 의한 내부일

■ 전단력, 전단응력, 변형율 관계 및 단면특성

(6.4.17)











 

m ax

 





 

 



(30)

■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단면1차모멘트

(6.4.18)

■ 부재의 한 단면 (      )에서 내부일 

(6.4.19)

■ 평균전단응력   

을 이용한 한 부재 단면에서의 근사계산에 의한 내

부일  

(6.4.20)

■ 단면형상계수 에 의한 근사계산의 보정

(31)

■ 직사각형 단면에서의 

 

 ・・



 



 

 



 

   (6.4.22) cf) 원형단면에서의  

■ 전단력에 의한 내부일

(6.4.23)

n 비틀림력(Torque)에 의한 내부일





■ 비틀림력, 비틀림 응력, 비틀림 변형율 관계 및 단면 특성

  

・

      

    



 

・

 비틀림상수 (6.4.24)

■ 비틀림력에 의한 내부일

・   

・ ・ ・ 

 





 

    단면비틀림강성 (6.4.25)

(32)

n 부재의 능동적 내부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26) 단면강성

단면력2

(33)

6.4.3 수동적 외부일()과 수동적 내부일()

축력부재 및 휨부재에서의 수동적 외부일 및 수동적 내부일은 능동적 외부일 및 능동적 내부일과 동일하나 외부힘()과 변위(  ) 그리고 내부력()과 변형율(  )은 각각 상호 물리적 관계를 갖지 않으므로 일의 계산과정에서 “ 

 ”이 나타나지 않 는다.

n 축력부재에서의 수동적 외부일

■ 축력 가 작용하여 평형상태에 있는 축력부재에 외부의 다른 원인으로 변위  가 발생하였을 때 축력 가 변위  에 대하여 한 수동적 외부일

   (6.4.27)

n 휨부재에서의 수동적 외부일

■ 집중하중 , 분포하중  또는 휨모멘트 이 작용하여 평형상태에 있는 휨부재에 외부의 다른 원인으로 변위  ,    또는  가 발생하였을 때 ,

, 이 변위    또는  에 대하여 한 수동적 외부일

 

   (6.4.28)

 

n 부재의 수동적 내부일()

■ 부재의 미소체적  ・・ 에서 하중에 의한 응력 와 다른 원인에 의 한 변위  에 의한 변형률  에 의해 발생한 수동적 내부일 

 

 ・・   



  (6.4.29)

■ 축력에 의한 수동적 내부일

 

・ 

 



 (6.4.30)

(34)

■ 휨모멘트에 의한 수동적 내부일

 

・   

  (6.4.31)

■ 부재의 수동적 내부일

 

  

 

  

 

  

 

 

 

  (6.4.32)

n 능동적 일과 수동적 일

■ 아래의 보에 이 먼저 작용(Force System1, 역계1)한 후, 가 작용(Force System2, 역계2)하였을 때, 능동적 일은 과 , 와 에 의해 발생하고, 수동적 일은 과 에 의해 발생







 

 

원인 위치



, 에 의한 외부일은

    

 

 (6.4.33)

   



  



단면강성 단면력・ 단면력

에 의한 일

능동 수동 능동

에 의한 일

(35)

6.5. 가상일의 원리(principal of virtual work)

n 하중이 작용하여 변위가 발생하고 평형상태에 있는 구조물에 미소한 가상의 변위

 를 발생시키면, 작용하고 있는 하중이 가상의 변위에 대하여 한 가상의 외부일 (수동적 외부일)  와 하중에 의해 구조물의 내부에 발생한 내부력이 이 가 상변위에 의해 발생한 내부 변형에 대하여 한 가상의 내부일(수동적 내부일)

 의 합은“0”이다.

    (6.5.1)

n 축하중을 받는 봉의 예

축하중 에 의해 변위 가 발생한 평형상태에서 가상의 변위  가 발생하면 가상 의 외부일 

・  (6.5.2)

   

 

이때 봉에 발생하는 가상의 내부일은 이미 작용하고 있는 축하중 에 의한 단면 응력 와 가상의 변위  에 의한 가상의 변형률  에 대하여

 

・  

・  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위의 결과는 봉의 임의의 단면에서 평형조건이 만족됨을 보이므로 가상일의 원리 가 유효함을 나타낸다.

(36)

6.6. 가상힘에 의한 일의 원리(principal of complementary virtual work)

n 구조물에 가상의 힘 를 작용시킨 후 실제의 하중 를 작용시켜 변위가 발생하

고 구조물이 평형상태에 도달할 때, 가상의 힘  가 실제하중에 의해 발생한 변위

에 대하여 한 가상의 외부일(수동적 외부일)  와 가상의 힘 에 의해 발생한 내부력  가 실제하중에 의해 부재에 발생한 변형 에 대하여 한 가상의 내부일

의 합은 “”이다. 이때, 가상힘은 실제 구조물에 나타날 수 없는 이론적인 힘 이다.

   

n 축하중을 받는 봉의 예

  ・

 

  

   

 

 

     으로부터

· 





 

 

   ≠

  

    ·  

 · 

위의 결과는 봉의 임의의 단면에서 만족되므로, 가상힘의 원리는 유효함을 나타 낸다.

참조

관련 문서

분별 증류 (Fractional distillation) : 끊는점 구간의 차이를 이용한 성분 분리 : 원유를 파이프 증류기에서 400도까지 가열 à 분별 증류탑으로 이송.. à 원유 증기가

 authors와 books를 authors의 surname 값과 books의 name 값이 같은 자료를 한 행으로 하여 합친다... 사용예를

1) AISP(Account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고객 계좌 정보를 취합해 보여주는 사업자 → 마이데이터 2) PISP(Payment Initiation Service Provider): 고객

http://blog.naver.com/op2330

같은 분류군에 있어서도 연구자에 따라 중시하는 형질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으 며, 한 분류군을 분류하는데 사용된 형질이 다른 분류군을 분류하는 데는 전혀

채점 기준 민영이가 추론한 방법을 잘 파악하여 자신의 경험을 떠올렸다는 내용으로 썼으면 정답으로 합니다... 5 첫 번째 문단에 글쓴이의

[r]

• 인적자본의 수익율은 물적자본과 달리 계산하기 어려움 -임금으로 유추 가능... Copyright ©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