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사 필기평가 요약집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국사 필기평가 요약집"

Copied!
7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대한민국 해군 간부선발 」

국사 필기평가 요약집 (Ⅴ)

( 2020 ~ 2021년 평가용)

이 참고자료는 간부선발 필기고사 응시자에게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출제 기본자료와 보조자료(p. 1∼3, 고등학교 검정교과서 등)중 출제와 연관성이 높은 핵심부분(일부분)만 요약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간부선발 필기고사 응시자는 이 참고자료와 더불어 출제 관련된 모든 기본자료 및 보조자료를 확인 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해 군 본 부

(2)

【 안 내 문 】

본 국사문제 요약집은 2020년 평가를 목적으로 제작한 내용으로

2020년 3월 1일 이후 간부선발 평가에 응시하는 수험생에게

적용되니 2020년 2월 28일 이전 간부선발 필기평가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기존 공지된 요약집(Ⅳ)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국사’ 과목 필기고사 출제 개요

q 적용대상 : 해군 간부과정 선발 필기고사 대상자 전원 q 출제 수준 및 의도

m 해군 간부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대한민국 근·현대사에 대한 기본소양 또는 실무능력·지식을 검정할 수 있는 수준

m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발전과정에서의 군의 역할, 북한의 대남도발, 북한체제의 허구성, 한 ․ 미동맹, 주변국 역사왜곡 등에 대한 개념 정립

q 출제 범위

m 조선 후기 개항기(1850 ~1860년대) ~ 2010년대 초반 m 주요 출제 세부항목

∙ 개항기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 ∙ 임시정부 수립과 광복군 창설의 의의 ∙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

∙ 6·25 전쟁의 원인과 책임 ∙ 대한민국의 발전과 군의 역할

∙ 6·25 전쟁 이후 북한의 대남도발 사례 ∙ 북한 정치체제의 허구성

∙ 한미동맹의 필요성 ∙ 중국의 동북공정

∙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배경과 대응

(4)

개요 - 1

q 출제 유형 : 4지 택 1형(20문항, 25분 평가) q 출제 자료

m 기본자료 : 검정『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8종 (2013. 8. 30. 검정)

* 출판사 : 미래엔, 비상교육, 지학사, 천재교육, 교학사, 금성출판사, 두산동아, 리베르스쿨

m 보조자료

∙ 국방부.『한미동맹과 주한미군』(서울 : 국방부, 2004)

(http://www.mnd.go.kr/cop/pblictn/selectPublicationUser.do?siteId=mnd&co mponentId=14&categoryId=20&publicationSeq=48&pageIndex=1&id=mnd _050601000000)

∙ 국방부.『정신교육 기본교재』 ( 서울 : 국방부, 2019) ∙ 국방부 홈페이지 국방정책소개 : 한·미 안보협력

(http://www.mnd.go.kr/mbshome/mbs/mnd/subview.jsp?id=mnd_0106 01010000&titleId=mnd_010601000000)

∙ 동북아역사재단홈페이지

(http://www.historyfoundation.or.kr/)

중<동북아 역사이슈>

∙ 변태섭.『한국사 통론』(서울 : 삼영사, 2005) ∙ 김인수 외.『북한 바로알기』 ( 서울 : 양서각, 2017) ∙ 외교부 독도 홈페이지(http://dokdo.mofa.go.kr/)

∙ 외교부 홈페이지 (이슈별 자료실/지역별 이슈/동북아/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 이기백.『한국사 신론』(서울 : 일조각, 1999)

∙ 통일교육원. 『2019 북한 이해』 ( 서울 : 통일교육원, 2019)

(http://www.uniedu.go.kr/uniedu/index.jsp)

∙ 통일교육원. 『2019 통일문제 이해』 ( 서울 : 통일교육원, 2019)

∙ 한영우.『다시찾는 우리역사』(서울 : 경세원, 2004)

(5)

개요 - 2

q 출제 일람표

주 제 내 용

Ⅰ. 개항기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

1. 개화정책과 열강의 이권 침탈 2. 일제의 국권침탈과 국권수호운동 3. 애국계몽운동

4. 항일의병운동

5. 국내·외 독립운동기지 건설

Ⅱ. 임시정부 수립과 광복군 창설의 의의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2. 국내 민족운동의 전개 3. 국외의 독립 무장 투쟁 전개

4.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대한 광복군의 활동

Ⅲ.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

1. 광복과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 2. 민주주의 정착과 발전 3. 경제발전과 세계 속의 한국

Ⅳ. 6·25전쟁의 원인과 책임

1. 6․25전쟁의 배경 2. 전개

3. 전쟁의 결과와 영향

Ⅴ. 대한민국 발전과정에서 군의 역할

1. 대한민국의 발전과 군의 역할 2. 평화유지활동

3. 다국적군 평화활동

Ⅵ. 6·25전쟁 이후 북한의 대남도발 사례

1. 북한의 대남행태 개관 2. 시기별 도발행태

3. 대남도발의 유형 및 특징

Ⅶ. 북한 정치체제의 허구성

1. 북한정치체제의 형성 2. 북한의 통치 이데올로기 3. 북한의 경제정책 4. 북한의 인권

5. 북한의 연방제 통일방안

Ⅷ. 한미동맹의 필요성 1. 한미동맹의 역사와 역할 2. 미국의 지원과 경제성장

Ⅸ. 중국의 동북공정

1. 동북공정이란?

2. 상고사를 둘러싼 역사분쟁 3. 고구려사를 둘러싼 역사분쟁 4. 발해사를 둘러싼 역사분쟁

Ⅹ. 일본의 역사 왜곡

1. 독도 영유권 분쟁의 역사적 배경 2. 일본의 독도 영유권 인식과 편입 시도 3. 현대의 독도 영유권과 동북아시아의 미래

(6)

I - 1

‘국사’ 과목 필기고사 요약집

Ⅰ. 개항기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

1. 개화정책과 열강의 이권 침탈 가. 흥선대원군의 정책

1)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치

가) 목표 : 세도정치 타파 및 왕권의 안정, 삼정(군정ㆍ전정ㆍ환곡)의 문란 시정 나) 내용 : 법전 편찬(대전회통·육전조례), 호포제 실시, 서원 철폐, 경복궁 중건 다) 의의 : 국가 기강의 확립과 민생 안정에 노력

라) 한계 : 전제 왕권 강화를 목표로 추진, 근대적 개혁에는 미흡 2) 통상 수교 거부와 양요

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 ·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의 통상 요구와 평양 군민의 격퇴

병인양요

· 병인박해를 구실로 한 프랑스 함대의 침공

· 외규장각 장서를 비롯한 문화재 약탈

· 문수산성과 정족산성(양헌수 활약)에서 프랑스군 격퇴

※ 외규장각 도서가 최근 반환됨 : 2011년 5월

1868년 오페르트

도굴 사건 · 독일 상인 오페르트의 남연군묘(대원군의 부친) 도굴 시도

1871년

신미양요

· 제너럴셔먼호 사건을 구실로 한 미국 함대의 침입

· 미군의 초지진과 덕진진 점령

· 광성보 전투에서 어재연의 분전, 미군 철수

척화비 건립

· 내용 : “서양 오랑캐가 침범했을 때, 싸우지 않음은 곧 화친 (화의, 화해)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곧 나라를 파는 것이다.”

· 건립 : 신미양요 직후 전국 각지에 건립, 서양의 침입에 대한 투쟁 의지와 민심 결속 강화

(7)

I - 2 나. 개항과 불평등조약 체제의 성립

1) 강화도 조약 체결과 개항 가) 강화도 조약(1876)의 배경

(1) 국내 : 흥선대원군의 하야와 고종의 친정(1873), 개화파(박규수)의 개항 주장 (2) 국외 : 운요호 사건과 일본의 문호개방 요구

나) 강화도 조약의 주요 내용

(1) 부산을 비롯한 3개의 항구를 개항 (2) 일본의 해안측량권 허가

(3) 개항장에서의 치외법권 인정

※ 최초의 근대적 · 불평등조약 2) 서양 열강과 조약 체결

가) 조 · 미 수호통상조약 체결(1882)

(1) 배경 : 일본 주재 청국외교관 황준헌의 조선책략과 대미수교의 분위기 형성 (2) 내용 : 치외법권, 최혜국 대우 인정, 불평등 조약

(3) 의의 : 서양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

나) 서구 여러 나라와의 조약 체결 : 영국, 독일, 러시아, 이탈리아, 프랑스

다. 개화 정책의 추진과 갈등

1) 개화사상의 형성과 초기 개화정책 가) 개화사상의 형성

(1) 19세기 중엽에 형성, 자주적인 문호 개방과 근대적 개혁 주장

(2) 실학의 북학파·일본의 메이지 유신·청의 양무운동 영향 → 통상개화론 발전 나) 개화정책

(1) 통리기무아문과 12사 설치

(2) 5군영 → 2영 통합 및 별기군(신식 군대) 창설 (3) 해외사절단 파견

명칭 파견

국가 주요 활동

수신사(修信使) 일본 · 개항 이후 일본에 파견한 외교사절

· 2차 수신사 김홍집(1880)은 조선책략을 가지고 옴 영선사(領選使) 청 · 무기제조법과 근대식 군사 훈련법 습득

신사유람단

(조사시찰단) 일본 · 일본의 정부기관, 산업시설, 군사시설 시찰 보빙사(報聘使) 미국 · 조·미 수호통상조약 체결 후 파견

(8)

I - 3 2) 개화사상의 분화

구 분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중심

인물 김홍집, 김윤식, 어윤중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개혁 방향

민씨 정권과 원만한 관계 유지, 동도서기론에 입각한 점진적인 개혁 추구

※동도서기론: 유교전통(정신문화)을 유지하면서, 서양의 과학기술(물질문화)만수용

일본의 문명개화론의 영향을 받음 서양의 과학 기술 뿐만 아니라 서 양의 사상 수용 및 정치·사회의 급 진적 개혁 추구

모델 청의 양무운동 일본의 메이지유신

3) 위정척사 운동 가) 배경

(1) 외세의 침략적 접근, 일본에 의한 개항

(2) 정부의 개화 정책 추진, 천주교의 유포, 개화사상, 개화정책에 대한 반발 나) 개념 : 성리학[正學] 이외의 종교,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규정하여 배격 다) 전개

연 대 핵심 주장 주요 인물 주요 내용

1860년대 통상 반대 기정진, 이항로 척화주전론, 흥선대원군의 대외 정책 지지 1870년대 개항 반대 최익현, 유인석 왜양일체론, 개항불가론 등 주장

1880년대 개화 반대 이만손, 홍재학 상소 운동(영남만인소) 전개 1890년대 항일 의병 유인석, 기우만 일본의 침략에 저항

라) 의의

(1) 외세의 침략에 강력히 저항

(2) 봉건적 사회 질서 유지, 세계사의 흐름 거부 (3) 일부는 서양 문물과 전통 문화의 발전적 계승 주장 4) 임오군란(1882)

가) 배경

(1) 군제 개혁,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 민씨정권과 개화정책에 대한 반발 (2) 일본으로의 곡물 유출로 인한 가격 폭등, 서민 생활의 궁핍화 가중

나) 전개

(1) 구식 군대의 폭동과 도시 하층민 가담 : 민씨정권의 고관 살해, 궁궐 난입, 일본 공사관 습격

(2) 흥선대원군의 재집권 : 개화정책 중단, 군제 복구

(3) 청군의 개입과 민씨세력 재집권 : 청나라의 흥선대원군 납치

(9)

I - 4 다) 결과

(1) 청군의 조선 주둔과 고문 파견 : 내정과 외교 문제 간섭, 청의 조선 속방화 정책 강화 (2)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청 상인의 특권 보장

(3) 제물포 조약 : 일본에 배상금 지불, 일본 공사관의 경비병 주둔 허용 5) 갑신정변(1884)

가) 배경

(1) 국내:온건개화파가 개화정책 주도, 급진개화파의 반발

(2) 국외:청국 군대가 청국과 프랑스의 전쟁으로 인해서 조선에서 임시 철수 일본의 개화당 지원 약속

나) 전개

(1) 우정국 개국 축하연에서 거사 - 친청파와 민씨일파 제거 - 개화당 정부 수립 - 청군의 개입으로 3일 만에 실패

(2) 14개조 정강 발표 : 청과의 사대관계 단절, 인민 평등권 확립, 지조법(地租法) 개 혁, 모든 재정의 호조 관할, 내각 중심 정치 실시 등의 내용

※ 근대 국민국가 건설을 위한 최초의 정치적 개혁 운동 다) 결과

(1) 청과 일본의 대립 격화, 친청 보수세력의 장기 집권, 개화세력의 위축 (2) 한성조약(조선, 일본) : 일본에 배상금 지불, 공사관 신축 비용 부담 (3) 천진(톈진)조약(청,일):청․일 동시 철수, 이후 조선 출병 시 사전 통보

청․일전쟁 발생의 빌미가 됨

라. 동학농민운동과 청·일 전쟁 1) 동학농민운동

가) 배경

(1) 외세의 침략, 정부의 압제, 삼정의 문란, 곡물 유출로 인한 식량 부족 등 (2) 동학 : 교단 조직을 통해 농민․지식인들을 조직화, 정치 운동으로 승화

∙ 공주․삼례 집회 : 교조 신원 운동 전개, 종교 운동

∙ 보은 집회 : 농민 참가, 탐관 오리 배격, 농민 중심의 정치 운동으로 발전 나) 전개

(1) 고부 민란 : 조병갑의 횡포가 심해지자 전봉준 주도로 고부에서 민란 발생 (2) 1차 봉기 : 백산 집결, 황토현 전투, 전주 화약(농민군 승리)

∙ 전주화약 : 전라도 일대에 집강소 설치, 폐정 개혁 실천, 농민군과 타협 모색 (3) 2차 봉기 : 일본의 침략 본격화(일본의 내정간섭 강화), 동학 농민군의 재봉기

공주 우금치 전투 패배

※ 농민 주도의 근대적 개혁 운동 좌절

(10)

I - 5 다) 의의

(1) 반봉건․반외세 농민 운동, 갑오개혁에 영향, 의병전쟁의 활성화에 기여 (2) 구체적인 근대 국가 건설 방안 결여, 농민 이외의 지지 기반 확보에 실패 2) 청·일 전쟁

가) 배경

(1) 조선에서 청과 일본의 대립 격화 : 양국 상인의 대립

(2) 동학농민운동 당시 천진(톈진)조약(1885)에 의한 청·일 양국 군대 조선 파병 나) 전개

(1) 조선에서의 철병을 거부한 일본군이 청 함대 기습 (2) 일본의 제해권 장악, 산둥 반도의 청 해군 기지 공격 다) 결과

(1) 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 요동(랴오둥)반도, 대만(타이완) 할양 받음 (2)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삼국간섭으로 요동반도는 청에게 돌려줌 마. 서구 열강의 침탈과 사회 · 경제적 변화

1) 서구 열강의 침탈과 조선중립화론

가) 영국의 거문도 점령(거문도 사건) : 조선과 러시아의 비밀 협약 소문을 빌미로 영국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1885~1887) 나) 조선 중립화론 :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의 대립 심화로 독일인 부들러, 유길준 등이 제기 2) 개항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화

가) 일본 상인들의 무역 활동

(1)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조일수호조규 부록, 조일무역규칙 체결

∙ 불평등조약 체결, 치외법권, 거류지 설정, 개항, 일본 화폐 사용, 무관세 무역 설정 (2) 일본 상인들의 개항장 진출 : 약탈적 무역 활동

(3) 일본 상인 : 영국산 면제품과 조선 원자재의 중계 무역으로 이윤 나) 대외 무역의 변화

(1) 1882년 발발한 임오군란으로 인해,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청의 상인 대거 침투 (2) 청 상인이 가격 면에서 우위 차지하면서 상권을 장악한 결과 청일 상인 간 경쟁 심화 (3) 일본 상인은 곡물 수출에 주력, 입도선매, 고리대, 조선의 흉작으로 조일 무역 쇠퇴 (4) 조일 무역의 쇠퇴와 청 상인의 상권 장악 결과 청·일전쟁의 한 원인이 됨 다) 개항 후 경제 침탈에 대한 대응

(1) 방곡령 : 일본의 곡물 유출에 대응. 조일통상장정(1883)에 근거, 조선정부의 방곡령 실시. 그러나 실패하여 일본 상인에 배상금 지불

(2) 상회사 설립 : 1890년대 초부터 각종 상회사 설립, 회사 설립 운동, 운수업, 금융업, 철도 부설, 농·수산업 부문에 두드러짐

(11)

I - 6 2. 일제의 국권침탈과 국권수호 운동

가. 갑오 · 을미개혁

1) 배경 : 동학 농민군의 개혁 요구, 개화 세력의 개화 의지, 일본의 내정 개혁 강요 2) 개혁의 추진

1차 개혁(1차 갑오개혁) 2차 개혁(2차 갑오개혁) 3차 개혁(을미개혁)

∙군국기무처주도: 초정부적기구

∙정치:개국연호사용, 왕권약화 내각권한강화, 과거제폐지

∙사회:신분제철폐, 봉건적폐습 타파, 고문․연좌제폐지

∙경제:재정일원화, 도량형 통일, 조세금납화

∙박영효중심으로추진

∙홍범14조발표

∙청의간섭과왕실의정치개입배제

∙중앙․지방행정개편

∙사법권과행정권분리

∙군제개혁소홀

∙ 친일 내각 수립(1895)

∙ 단발령 실시

∙ 태양력 사용

∙ 종두법 시행

∙ 우편 사무 시작

∙ 소학교 설치

3) 의의

가) 봉건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려는 근대적 개혁, 농민층의 개혁 요구 일부 수용 나) 일본의 침략 의도 개입, 민중의 지지 획득 실패

나. 독립협회 활동

1) 배경 : 열강의 이권 침탈(아관파천), 근대 문물의 필요성, 민중 계몽에 대한 관심 2) 주도 세력 : 초기 서재필 등 개화 지식층 중심, 점차 각계각층의 인사 참여

(지식인·정부 관료·도시 시민층·학생·노동자·여성·천민) 3) 주요 활동

가) 민중 계몽, 독립문 건립, 강연회․토론회 개최, 신문․잡지 발간

나) 윤치호 · 남궁억 중심 : 관민공동회 개최(헌의 6조), 전제 황권 강화 주장 다) 서재필 중심 : 만민공동회 중심, 군주권 제한을 주장

4) 해산 : 독립협회가 공화정을 추진하려 한다는 보수파의 모함, 정부에서 황국협회와 군대 동원하여 강제 해산

5) 의의

가) 자주국권운동 : 근대적 민족주의 사상에 기초, 열강의 이권 침탈 반대 나) 자유민권운동 : 근대 국민국가 건설 목표, 국민 기본권, 참정권 보장 요구 다) 자강개혁운동 : 자주적 근대 개혁을 통한 국력 배양 목표, 의회 설립 요구

(12)

I - 7 다. 대한제국과 광무개혁

1) 성립

가) 배경:고종의 경운궁 환궁, 독립 협회와 국제 여론의 요구 나) 대한제국 국제 제정(1899)

(1) 국호는 대한제국, 연호는 광무

(2) 전제 황권의 강화 추구, 군대통수권·입법권·사법권을 황제에 집중 2) 전개

가) 특징 :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정신, 점진적 개혁 추구

나) 내용 : 양전 사업, 지계 발급, 상공업 진흥책, 원수부 설치, 대한제국 무관학교 설치 및 운영, 지방 제도 개편, 근대적 교육 제도 마련, 근대 시설 도입 추진 등 3) 의의

가) 근대 주권 국가 지향, 국방․산업․교육 등의 분야에 성과

나) 복고주의(전제황권 강화), 민권 운동 탄압, 집권층의 보수적 성격과 열강의 간섭으로 성과 미흡

라. 일제의 국권 침탈 과정

1) 한·일 의정서(1904) : 러 · 일전쟁 중에 체결, 한반도의 군사 요지 사용권 획득 2) 제1차 한·일협약(1904) : 재정․외교 등에 고문 파견

3) 화폐정리사업(1905) : 재정고문 메가타가 대한제국의 화폐 발행권을 빼앗기 위해서 실시 구 백동화와 상평통보를 제일은행권으로 바꿔주는 정책, 실제 교환기간이 짧았으며 일부는 교환을 거부함. 국내 상공업자들 이 타격을 받음. 일본제일은행이 한국의 중앙은행

4) 제2차 한·일협약(을사늑약, 1905) :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 임명 5) 헤이그 특사사건(1907) : 국제사회의 무관심,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

6) 제3차 한·일협약(정미7조약, 한․일신협약, 1907) : 행정 각부에 일본인 차관 임명, 부수 각서에 군대 해산 명시 7) 기유각서(1909) : 사법권, 감옥 사무를 일본에 위탁, 사법권․경찰권 강탈 8) 한·일병합조약(1910, 국권 피탈) : 대한제국의 주권 강탈, 식민지로 전락

※ 간도협약(1909) : 백두산정계비의 해석을 둘러싼 청과 대한제국의 갈등, 대한제국은 간도를 함경도의 행정구역으로 편입(1902), 일제는 청과 간도협약 (1909)을 체결하여 만주의 철도부설권과 탄광 채굴권을 획득하고,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함

(13)

I - 8 마. 제국주의 열강의 반응

1)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 7) : 미국의 필리핀 지배와 일본의 조선 지배를 양국이 서로 인정함 2) 제2차 영·일동맹(1905. 8) : 영국의 인도 지배와 일본의 조선 지배를 양국이 서로 인정 3) 포츠머스 조약(1905. 9) : 러·일전쟁 이후 체결된 조약, 러시아는 일본의 조선 지배를 인정

3. 애국계몽운동

가. 성립 : 개화파 계열의 계몽 운동가, 교육과 산업을 통한 실력 양성 주장 나. 주요 단체

1) 보 안 회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2) 헌정연구회:을사늑약 체결 후 독립 협회를 계승하여 조직. 정치의식 고취 및 입헌 군주제 수립 주장, 일진회 규탄

3) 대한자강회:교육 진흥, 산업 개발 등 실력 양성에 의한 국권 회복 운동

헤이그 특사 파견에 따른 고종이 퇴위하자 이에 대한 격렬한 반대 운동을 전개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

4) 대 한 협 회 :교육 보급, 산업의 진흥, 민권 신장 추구

5) 신 민 회 : 민족 운동가들의 비밀 결사, 공화 정체의 국민 국가 수립, 실력 양성 운동 국외 독립군 기지 건설과 신흥 무관 학교 설립

다. 주요 활동

1) 교육 운동 : 국권 회복을 위한 구국 교육 운동, 서북 학회, 기호 흥학회 등 2) 언론 운동 : 국민 계몽과 애국심 고취, 황성 신문, 대한 매일 신보 등

3) 산업 운동 : 경제 단체 조직, 상권 보호, 근대 경제 의식 고취, 국채 보상 운동 라. 의의

1) 국권 회복과 근대 국민 국가 건설을 동시에 추구, 실력 양성 운동으로 계승 2) 일본의 방해와 탄압,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는 데에 어려움

4. 항일의병 운동

가. 항일의병 운동의 전개 1) 을미의병(1895)

가) 원인 : 을미사변과 친일 내각의 단발령 시행

나) 특징 : 유인석․이소응 등 유생들이 주도, 농민과 동학농민군의 잔여 세력 참여 다) 해산 : 아관파천 후 고종의 해산 권고 조칙으로 자진 해산

(14)

I - 9 2) 을사의병(1905)

가) 원인 : 을사늑약의 체결, 국권 회복을 전면에 제기

나) 특징 : 참여 계층의 확대(신돌석 등 평민 의병장 등장), 전술 변화, 반침략 운동 3) 정미의병(1907)

가) 원인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 해산, 해산 군인의 의병 가담, 전투력 향상 나) 특징 : 의병 전쟁의 양상, 서울 진공 작전 실패, 남한 대토벌 이후 만주, 연해주로

이동, 독립 운동 기지 마련 4) 의병 운동에 대한 평가

가) 의의 : 항일 무장 독립 투쟁의 기반 마련, 국권 상실 이후 독립군 가담 나) 한계 : 일본군에 비해 조직과 화력 열세, 유생 출신 의병장의 보수적 성격, 국제적 고립

나. 일제의 식민지 통치 1) 무단통치

가) 조선총독부의 무단 통치

(1) 헌병 경찰을 앞세운 일제의 폭력적 통치 방식, 관리와 교사들까지 칼을 휴대, 태형제도 부활

(2) 한국인의 정치 활동 금지, 언론·집회·출판·결사의 자유 등 기본권 제한 2) 토지조사사업

가) 목적 : 근대적 토지 소유 관계 확립, 기한부 신고주의, 소작인의 경작권 부정 나) 결과 : 조선 총독부의 조세 수입 증가, 합법적인 토지 약탈, 소작농의 지위 하락,

식민지 지주제 확립, 농민의 해외 이주

3) 기타 : 회사령, 삼림령, 어업령, 광업령 등 제정, 식민 지배 체제 확립 다. 문화통치와 민족분열정책

1) 문화통치

가) 배경 : 한국인의 강인한 독립의지를 표출한 3․1운동의 영향 나) 내용

(1) 유화적인 식민통치 방식을 제시한 기만책

(2) 헌병경찰제도를 보통경찰제도로 전환하면서 경찰 수 3배 증가

(3) 부분적인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허용했으나, 철저한 검열․감시 (4) 한국인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였으나, 초등교육과 기술교육에 치중 다) 목적 : 한국인의 이간․분열 유도, 친일파 양성, 독립운동의 역량 약화 기도 라) 결과 : 민족독립운동 내부의 분열과 혼선 발생

2) 산미증식계획

가) 배경 : 일본의 급격한 공업화로 도시 노동자 증가․농촌 인구 감소, 쌀 수요 증대 나) 내용 : 한국에 대규모 농업 투자, 쌀 생산 증대, 일본으로 유출

(15)

I - 10

다) 결과 : 한국인의 식량 사정 악화(만주에서 수입한 잡곡으로 충당) 3) 민족말살 정책과 병참기지화 정책

가) 민족말살 정책

(1) 배경 :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태평양 전쟁(1941) 등, 전시 동원체제 강화 (2) 내용 : 민족 운동 봉쇄를 위한 각종 악법 제정, 언론 탄압, 군과 경찰력 증강

∙ 황국신민화: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주장

∙ 신사 참배, 황궁 요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강요

∙ 우리말 사용 금지, 학술․언론 단체 해산, 창씨개명, 한국인을 침략 전쟁에 효율적으로 동원할 목적

나) 병참기지화 정책

(1) 목적 : 한국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 전쟁 물자 생산기지로 이용

(2) 한국의 공업화 : 일본 독점 자본의 진출, 북부 지방을 중심으로 군수 공업 중화학 공업 시설 확충

(3) 전시 수탈체제 강화 : 국가총동원법(1938), 전쟁 말기로 갈수록 심화

∙ 인적자원 수탈 : 지원병제, 징용, 징병, 학도병, 정신대, 일본군 위안부로 동원

∙ 물적자원 수탈 : 식량 공출과 배급제 실시, 전쟁물자 공출, 산미증식계획 재개 (중단) 가축증식계획, 금속물자 수탈

5. 국내․ 외 독립운동 기지건설

가. 3·1운동 이전의 민족운동 1) 국내 민족운동의 전개

가) 독립의군부(1912) : 의병전쟁 계열의 독립 단체로서 복벽주의를 표방, 비밀 결사 단체 나) 대한광복회(1915) : 계몽운동 계열의 독립 단체로서 복벽주의를 반대하고 공화주의를 주장군

대식 조직을 갖춘 비밀 결사 단체 나. 3. 1 운동

1) 배경

가) 국제정세의 변화 :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소련의 ‘소수 민족 해방운동’ 지지 선언 나) 신한청년당의 활동 : 독립청원서를 작성하여 파리 강화 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 다) 무오(대한)독립선언서(1919, 음력 1918) : 중광단 중심 독립선언, 무장 투쟁의

혈전을 통한 완전한 독립을 주장

(16)

I - 11

라) 2·8 독립선언서(1919) :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 중심으로 독립선언서 발표 2) 전개

가) 독립 선언 : 대외적으로 독립 청원, 대내적으로 비폭력 원칙을 표방 나) 민족대표 33인 : 천도교계 15명, 기독교계 16명, 불교계 2명으로 구성

다) 일제의 탄압 : 제암리 학살 사건 등 일제는 군대와 헌병 경찰을 동원하여 유혈 진압 라) 해외로 확산 : 만주와 연해주 지역 동포들의 만세 시위,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독립 선언식 거행, 일본 유학생들의 만세 시위 전개 3) 의의

가) 일제 식민통치 방식의 변화 : 기존의 억압적이기만 했던 일제의 통치방식이 유화책을 제시하는 방향으로 바뀌는 전기 마련

나) 민주공화정 운동의 확산 : 기존의 복벽주의를 타파하고 모든 국민이 주인이 되는 공화정체 주장

다) 민족 독립운동의 조직화, 체계화 필요성 대두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 라) 세계 반제국주의 운동과 약소민족 해방 운동에 영향 : 중국의 5·4운동, 인도의 반영운동 마) 자주 독립을 추구한 거족적인 민족 운동 : 민족의 독립 의지 고취

다. 국외 민족 운동의 전개

1) 독립전쟁론의 대두 : 실력양성론과 의병전쟁론 결합,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운동 2) 만주 지역의 독립운동기지

가) 삼원보 : 자치 기관인 경학사와 부민단 조직,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하여 독립군 사관 양성 나) 북간도 : 용정에 서전서숙, 명동학교 등 설립, 대종교 계통의 항일 단체인 중광단 결성 3)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기지 : 신한촌 중심, 밀산부(한흥동) 중심, 권업회 조직

대한광복군정부 조직, 대한국민의회로 발전

4) 미주 지역의 독립운동기지 : 안창호, 이승만 등이 대한인국민회 조직 후 외교 활동, 박용만 등이 대조선국민군단 조직 후 독립군 양성 시도

<참고문헌>

이기백.『한국사 신론』(서울 : 일조각, 1999) 한영우.『다시찾는 우리역사』(서울 : 경세원, 2004) 변태섭.『한국사 통론』(서울 : 삼영사, 2005)

(17)

Ⅱ - 1

Ⅱ. 임시정부 수립과 광복군 창설의 의의

1.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과 활동 가. 배경과 주요 활동

1) 배경 : 3․1 운동을 통해 효율적인 독립 운동 단체의 필요성 대두

2) 과정 : 연해주의 대한국민의회, 상하이의 임시정부, 국내 한성정부의 통합

→ 상하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

3) 성격 : 최초의 민주공화제 정부, 대한민국 임시헌장 선포, 외교 활동에 중심, 무장투쟁 노선 병행(1920년 독립전쟁 원년 선포, 임시육군무관학교 운영) 4) 주요 활동 : 연통부·교통국 조직, 독립 자금 모금(독립공채 발행), 외교 활동 전개,

군사 활동, 문화 활동(한·일관계 사료집 및 독립신문 간행)

나. 임시정부의 위기와 재편

1) 정부 기능 약화 : 일제의 탄압으로 국내와의 연락망 붕괴, 자금난 · 인력난 직면 2) 내분의 심화 : 외교독립론․ 독립전쟁론 등 이념과 노선의 차이로 독립 노선에 대한 갈등 심화 3) 임시정부의 재편

가) 국민대표회의(1923) : 창조파와 개조파로 분열, 최종적인 합의를 찾지 못한 채 결렬 되면서 임시정부의 위상 크게 약화

나) 지도체제 개편 : 대통령 중심제(1919)에서 내각 중심 국무령제(1925)로 개편, 이후 국무 위원 중심의 집단 지도 체제(1927)로 개편

다) 충칭정부(1940) : 중․일 전쟁 이후 장제스의 국민당 정부를 따라 충칭으로 이동

2. 국내 민족 운동의 전개 가. 실력 양성 운동

1) 배경 : 즉각 독립에 대한 회의(선 실력 양성, 후 독립 주장), 문화 정치에 대한 기대, 사회 진화론의 영향

2) 물산 장려 운동

가) 배경 : 일본 자본의 한국 진출 확대로 민족 자본의 위기 심화, 민족 자립 경제 추구 나) 과정 : 평양에서 조만식 주도로 조선물산장려회 발기(1920) → 전국으로 확산 다) 내용 : 국산품 애용, 근검저축, 생활 개선, 금주 ․ 단연 운동 등

라) 한계 : 민족기업의 생산력 부족, 일제의 방해 및 자본가들의 이기적인 이윤 추구 사회주의 계열과 민중들이 자본가들을 위한 것이라고 비난, 민중의 외면

(18)

Ⅱ - 2 3) 민립대학 설립 운동

가) 배경 : 교육열 증대에도 한국 내 고등 교육 기관 부재, 총독부의 사립학교 설립 불허 나) 과정 : 조선민립대학기성회 조직(1923), 모금 운동 전개

다) 한계 : 일제의 방해, 지방 부호 참여 저조, 총독부 주도로 경성제국대학 설립 (1924)하여 교육열에 대한 열망 무마시킴

4) 문맹 퇴치 운동

가) 내용 : 1920년 후반 언론기관 중심 농촌 계몽 운동 일환으로 진행 나) 문자 보급 운동 : 조선일보가 주도, 한글 교재 보급, 전국 순회강연 개최 다) 브나로드 운동 : 동아일보가 주도, 학생 중심 농촌 계몽 운동 전개 라) 조선어학회 : 전국에서 한글 강습소 개최

나. 민족 유일당 운동과 신간회의 결성

1) 배경 : 일부 민족주의 계열에서 일제와 타협적인 경향(자치론) 증대

6·10 만세 운동을 계기로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연합 필요성 증대 중국의 제1차 국· 공 합작 등으로 인한 민족 유일당 운동 활성화

2) 과정 :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과 사회주의자 일부 조선민흥회 결성(1926)

→ 정우회 선언(1926) → 신간회 결성(1927)

3) 내용 : 민중 계몽활동, 각종 사회 운동 지도,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지원 등

4) 한계 : 일제의 탄압, 집행부 내부 노선 갈등 및 좌우 합작 운동에 대한 소극적 자세 등으로 해체됨

5) 의의 : 최대 규모의 반일 사회 운동 단체로서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연합을 통한 국내 민족 운동 세력 역량 결집

다. 민족 문화 수호 운동 1) 한글의 연구와 보급

가) 조선어연구회(1921) : 한글 보급 운동과 대중화 노력, ‘가갸날’ 제정, 잡지 ‘한글’ 발간 나) 조선어학회(1931) : 조선어 연구회를 개편하여 결성,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조선어 표준어’ 제정, ‘우리말 큰사전 편찬’을 시도하였으나 일제의 방해로 실패, 조선어학회 사건(1942)으로 강제 해산 2) 한국사 연구의 발전

가) 일제의 식민주의 사학에 대항하여 민족사 및 민족정신 수호 목적 나) 내용

(1) 민족주의 사학 :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과 정신 사관 강조 (박은식, 신채호 등)

(19)

Ⅱ - 3

(2) 사회경제 사학 : 한국사의 보편적 발전성 강조 (백남운 등)

(3) 실증주의 사학 : 철저한 문헌 고증을 통한 역사의 객관적 서술 강조, 진단 학회 중심 (이병도, 손진태 등)

라. 사회적 민족 운동

1) 여성운동 :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여성 운동계에서도 근우회 결성(1927) 여성의 의식 및 지위 향상, 단결 도모

2) 소년운동 : 방정환 중심으로 활동, 어린이날 제정, 어린이 잡지 “어린이” 창간 조선 소년 연합회 설립(1927)

3) 형평운동 : 백정들에 의해 조직된 신분 해방 운동, 경남 진주에 조선형평사 조직(1923)

→ 전국으로 확대

4) 농민· 노동운동 : 농민과 노동자의 권익요구, 암태도 소작쟁의(1923), 원산 총파업(1929)

마. 청년 · 학생 항일 운동 1) 6·10 만세 운동(1926)

가) 배경 : 일제의 수탈 정책과 식민지 교육에 대한 반발, 순종의 죽음을 계기로 민족 감정이 고조

나) 전개 : 학생층 및 사회주의 계열의 준비, 사전에 일제에 의해 발각 다) 의의

(1)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계열의 연대 가능성 제시, 민족 유일당 운동과 신간회 설립에 영향 (2) 학생 운동의 고양에 큰 영향을 미침, 학생이 국내 독립 운동 세력의 중심적 위치로 부상 2)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가) 배경 : 민족 차별, 식민지 교육에 대한 불만

나) 전개 : 한일 학생 간의 충돌, 신간회의 지원으로 전국적 항일 운동으로 발전 다) 의의 : 3·1 운동 이후 최대 규모의 민족 운동

3. 국외의 독립 무장 투쟁 전개 가. 의열 투쟁의 전개

1) 의열단의 활동

가) 배경 : 3·1 운동 이후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무장투쟁 단체의 필요성 대두 나) 조직 : 1919년 만주 지린성(길림성)에서 김원봉 주도

(20)

Ⅱ - 4

다) 활동 : 일제 요인 암살 및 식민지배 기구 파괴(김익상, 김상옥, 나석주 등)

라) 성격 변화 : 조직적 투쟁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개별적인 의열 활동의 한계를 인식 (1) 황푸(황포)군관학교에 입학 : 체계적·조직적 군사 훈련, 군사 간부 양성

(2) 조선민족혁명당 설립(1935) : 당 조직을 결성하여 보다 대중적인 투쟁 시도 2) 한인 애국단의 결성(1931)

가) 배경 : 임시정부의 위기를 타개하고자 항일 무력 단체 결성 요구 나) 활동

(1) 이봉창 의거(1932. 1) : 도쿄 일왕 폭살 기도 사건, 상하이 사변의 계기가 됨 (2) 윤봉길 의거(1932. 4) : 상하이 홍커우 공원 폭탄 투척 사건, 중국 국민당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원해 주는 계기가 됨

나. 1920년대 만주와 연해주 독립군 부대의 활약

1) 배경 : 3 · 1 운동 이후 무장 독립 전쟁의 조직적 전개 필요성 대두 2) 독립군 부대의 조직

서간도 · 서로군정서 : 신흥무관학교 출신 중심

· 대한독립단 : 의병장 출신 중심

북간도 · 북로군정서 : 대종교 계통, 김좌진 중심

· 대한독립군 : 의병장 출신의 홍범도 중심 3) 독립군의 승전 : 봉오동 전투(1920. 6), 청산리 대첩(1920. 10) 4) 독립군의 시련

가) 간도 참변(1920) : 일본군 간도로 진입, 독립군의 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 독립군을 지원하는 한인 촌락사회 초토화

나) 자유시 참변(1921) : 독립군 부대의 재정비 및 지휘 체계 통일 목적으로 대한 독립 군단 결성 → 러시아 혁명군 적군의 지원에 대한 기대로 자유시(스보보드니) 로 이동 → 독립군 내부 지휘권을 둘러싼 갈등과 적군에 의한 무장 해제 요구 과정에서 독립군 희생

다) 미쓰야 협정(1925) : 일제와 만주 군벌 간에 맺은 협정, 만주 독립군 토벌에 상호 협조 약속 5)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

가) 3부의 결성 : 만주 지역 독립군 세력 진영의 진영 재정비 (1) 참의부 : 압록강 연안의 임시정부 직할 단체

(2) 정의부 : 하얼빈 이남 지린(길림)과 펑톈(봉천) 중심으로 한 남만주 일대 (3) 신민부 : 북만주 일대, 소련 영토에서 되돌아 온 독립군 중심

나) 3부의 성격 : 만주 한인 사회를 통치하는 자치 조직으로서 민정 기관과 군정 기관을 갖춤

(21)

Ⅱ - 5

다) 3부의 통합 운동 : 민족 유일당 운동의 흐름에 따라 활발한 통합 운동 전개 (1) 남만주 : 국민부로 재편, 조선 혁명당 결성, 군사조직으로 조선혁명군 결성 (2) 북만주 : 혁신의회로 재편, 한국 독립당 결성, 군사조직으로 한국독립군 결성

다. 1930년대 무장 독립 전쟁 1) 한 · 중 연합 작전의 전개

가) 배경 : 일제의 만주 침략과 만주국 수립으로 중국 내 반일 감정 고조

나) 한국독립군의 활동(지청천) : 중국 호로군과 연합하여 일본에 대항, 쌍성보 전투, 대전자령 전투 승리

다) 조선혁명군의 활동(양세봉) :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일본에 대항, 영릉가 전투, 흥경성 전투 승리

라) 한 ·중 연합 작전의 위축

(1) 일본군의 북만주 초토화 작전, 중국군의 사기 저하

(2)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사이의 항일전에 대한 의견 대립 발생 (3) 한국독립군은 임시정부의 요청에 따라 중국 본토로 이동

(4) 조선혁명군은 양세봉이 일제에 의해 살해됨에 따라 세력이 급속히 위축(1934)

2) 동북인민혁명군(1933) : 중국 공산당이 동북인민혁명군을 조직하자 한국인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하여 항일 유격전 전개 → 동북 항일연군으로 개편(1936)

3) 중국 관내에서의 조선 의용대의 활약

가) 민족혁명당(1935) : 민족 독립 운동의 단일 정당을 목표로 의열단, 한국 독립당, 조선혁명당 등 중국 본토의 항일 독립운동 세력 통합하여 결성

나) 조선의용대(1938)

(1) 민족혁명당을 계승한 조선 민족 혁명당이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 통해 창설 (2) 정보 수집 및 후방 교란 등 중국군 작전을 보조하는 부대로 중국 여러 지역에서

항일 투쟁 전개

(3) 1940년 이후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는 조선의용군으로 흡수, 일부는 한국 광복군으로 편성됨

(22)

Ⅱ - 6 4.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의 활동

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조직 강화 1) 한국독립당의 결성(1940)

가) 민족주의 계열의 3개 정당(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이 연합하여 결성 나) 김구가 중심이 된 단체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집권 정당의 성격을 띰 2) 충칭에 정착 후 주석제로 정치 지도 체계 변경(1940) → 주석 ․ 부주석 중심제(1944) 3) 조소앙의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발표(1941)

나. 한국광복군의 활동

1) 한국광복군의 창설(1940) : 중국 충칭에서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창설 창설 초기 한국청년전지공작대 통합

이후 김원봉 지휘 조선의용대 통합(1942) 2) 한국광복군의 활동

가) 일제에 의한 태평양 전쟁 발발(1941.12) 후 대일 선전 포고

나) 인도·미얀마 전선에 인면전구공작대 파견, 영국군과 연합 작전 전개(1943) 다) 미국 전략사무국/전략정보처(OSS)와 협약, 국내 진입 작전 준비(일제 패망으로 무산)

<참고문헌>

이기백.『한국사 신론』(서울 : 일조각, 1999) 한영우.『다시찾는 우리역사』(서울 : 경세원, 2004) 변태섭.『한국사 통론』(서울 : 삼영사, 2005)

(23)

Ⅲ - 1

Ⅲ. 대한민국의 역사적 정통성

1.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가. 광복과 분단

1) 광복(1945. 8. 15)

가) 내적 요인 : 지속적인 독립운동의 결과

나) 외적 요인 : 연합군의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일본의 항복

회 담 참가국 주 요 내 용

카이로회담(1943.11) 미국, 영국, 중국 “적당한 시기에 한국을 자유 독립국가로 해방”

얄타회담(1945.2) 미국, 영국, 소련 소련의 대일전 참전

포츠담선언(1945.7) 미국, 영국, 중국 카이로 회담(한국의 독립) 재확인 2) 38선 분할과 다양한 정치활동

가) 38선 분할 : 미국과 소련의 진주, 38도선 분할과 주둔

나) 다양한 정치세력 활동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조선 건국 동맹을 중심으로 조직, 좌우 합작, 조선 인민 공화국 선포), 한국 민주당(송진우·김성수 중심, 미군정과 긴밀한 관계 유지),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이승만이 조직), 한국 독립당(김구 중심) 등

3) 미군정의 실시(1945. 9)

※ 38도선 이북지역 : 소련군 진주, 소련군과 함께 들어온 김일성 등 공산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공산주의 정권수립 추진

4)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1945. 12)

가) 목적 : 미국, 영국, 소련 3국 외무장관의 한반도 문제 논의

나) 내용 : 임시 민주정부 수립, 미소 공동위원회 설치, 최고 5년간 신탁통치 실시 다) 좌우의 반응과 대립

구 분 주요 인물 모스크바 3상 회의에 대한 반응 우익 김구, 이승만 신탁통치 반대, 반탁 운동 전개

좌익 박헌영 반탁 → 찬탁

5) 국내·외의 독립문제 논의

가)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1946. 3) : 협의 대상 범위를 놓고 대립 (1) 미국 : 모든 단체 포함 주장

(2) 소련 : 모스크바 3상 외상 회의에 반대하는 정당이나 단체 제외 주장 나) 이승만의 정읍 발언 (1946. 6) : 남한의 단독정부 수립 필요성 언급

※ 발언 배경 : 북한은 이미 실질적인 단독정부 수립을 준비하였음 (1946.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다) 좌우 합작 7원칙 발표(1946. 10) : 좌우 연대 추진 노력 라)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1947. 5∼7)

(24)

Ⅲ - 2 나. 통일 정부 수립 노력과 대한민국 정부 수힙

1) 한국 문제의 유엔 이관

가) 유엔총회(1947. 11) : 인구비례에 따른 총선거 실시, 통일 정부 수립 결의 나) 유엔 소총회(1948. 2)

(1) 북한의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입북 거부

(2) 선거 가능 지역에서만 총선거 결의(남한지역 총선거 결의) 2) 총선거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가) 5 · 10 총선거(1948)

(1) 국회의원 선출 : 임기 2년, 198/200명(제주도 일부 지역 투표 무산) (2) 제헌국회 구성과 헌법 공포(1948. 7. 17) : 삼권 분립의 대통령 중심제 (3) 제헌국회에서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선출 : 간선제

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15)

※ 대한민국은 1948년 12월 유엔총회에서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수립된 유일한 합법 정부로 승인받음으로써 대외적 정통성 확보

다. 친일파 청산과 농지개혁 1) 친일파 청산

가) 반민족 행위 처벌법 제정(1948. 9), 특별 소급법 적용(공소시효 2년) 나) 활동 : 반민족행위자 명부 작성, 친일파 체포 시작

다) 이승만 담화문(반공우선), 국회 프락치 사건, 반민특위 습격사건 라) 반민법 공소시효 단축 및 반민특위 해체(1949. 8), 친일파 청산 실패 2) 농지개혁법(1949)

가) 농지개혁법 제정(1949. 6) : 6·25전쟁으로 중단, 57년 완수 나) 지주의 농지 유상매입, 소작농에게 유상분배

다) 경자 유전의 원칙 실현, 지배 계급으로서 지주제 소멸, 공산화 방지 3) 귀속재산 처리법(1949)

가) 신한 공사 : 귀속재산 접수, 처리 미비 나) 이승만 정부 수립 후 귀속재산 처리법 제정 다) 1950년대 독점 자본 형성

(25)

Ⅲ - 3 2. 민주주의 정착과 발전 : 헌법 개헌

가. 헌법제정(1948. 7. 17 공포)

1) 대통령 중심제, 임기 4년 중임제, 간선제(국회에서 선출) 2) 부통령·국무총리를 두었으며 단원제 국회

나. 제1차 개정(1952. 7. 7, 발췌 개헌) 1) 대통령 중심제, 임기 4년 중임제, 직선제 다. 제2차 개정(1954. 11. 29, 사사오입 개헌)

1) 초대 대통령의 중임 제한 철폐, 부통령의 대통령 승계, 직선제 라. 제3차 개정(1960. 6. 15, 내각 책임제 개헌)

1) 내각 책임제, 양원제, 사법권의 민주화, 경찰 중립화, 지방차지의 민주화 마. 제4차 개정(1960. 11. 29, 부정선거 처벌 개헌)

1) 부정축재자 처벌 등 소급법 근거 마련

2) 상기 형사사건 처리를 위한 특별재판서와 특별 검찰부 설치 바. 제5차 개정(1962. 12. 26, 제3공화국 헌법)

1) 대통령 중심제, 임기 4년 중임제, 직선제, 단원제 사. 제6차 개정(1969. 10. 21, 3선 개헌)

1) 대통령의 3선 연임 허용, 직선제

2) 국회의원의 국무위원 겸직 허용, 대통령 탄핵소추 요건 강화 아. 제7차 개정(1972. 12. 27, 유신 헌법)

1) 대통령 중심제, 대통령의 권한 강화, 임기 6년 중임제한 철폐

2) 간선제(통일주체국민회의 신설), 국회권한 조정, 헌법개정절차 일원화 자. 제8차 개정(1980. 10. 27, 제5공화국 헌법)

1) 대통령 중심제, 연좌제 금지, 임기 7년 단임제

2) 간선제(대통령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 구속적부심 부활, 헌법개정절차 일원화 아. 제9차 개정(1987. 10. 29, 제6공화국 헌법 – 현행 헌법)

1) 대통령 중심제, 임기 5년 단임제, 직선제

2) 비상 조치권 및 국회해산권 폐지로 대통령 권한 조정

(26)

Ⅲ - 4 3. 경제 발전과 세계 속의 한국

가. 경제 발전과 국가 위상 제고 1) 광복 직후의 경제 혼란

가) 일제 강점기 주요 산업과 기술을 일제가 독점 나) 광복 직후

(1) 남북한 경제 불균형

∙ 남한 : 농업과 경공업 중심

∙ 북한 : 전력과 중화학 공업 중심 (2) 경제 혼란

∙ 미군정 : 미곡 자유 거래 허용으로 곡가 폭등 → 미곡 수집령

∙ 부족한 재정 보충을 위한 화폐 남발 : 통화량 급증 → 인플레이션

∙ 북한의 전력 공급 중단

∙ 해외 동포 귀환과 북한 동포의 월남으로 인구 증가 → 실업자증대, 식량부족 2) 이승만 정부의 경제정책과 전후복구

가) 농지개혁법 : 공포(1949. 6), 시행(1950. 3)

(1) 목적 : 농민 안정, 일제하 일본인 및 지주의 토지 재분배 (2) 방식 : 유상매입, 유상분배

나) 전후복구의 노력과 미국의 경제원조 (1) 전후 국가재정 악화와 물가 폭등

(2) 미국의 잉여 농산물 제공과 삼백 산업(소비재 산업) 발달 : 제분, 면방직, 제당 3) 산업화와 경제성장

가) 박정희 정부의 경제정책

(1) 196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2) 외국자본 유치 : 한일 국교 정상화, 베트남 전쟁

(3) 수출 중심의 경제 정책 수립 : 급격한 경제 성장, 경제의 대외의존도 심화 (4) 1970년대 중공업 육성 : 고도성장과 석유파동(1차 1973, 2차 1979)

나) 1980년대 중후반 경제호황과 시장개방 (1) 3저 호황 :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

(2) 우루과이 라운드(1994)와 세계무역기구(WTO, 1995) 가입

※ 김영삼 정부의 금융 실명제 실시

다) 외환위기(1997)와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신청 (1) 기업 구조조정과 실업 문제 발생

(2) 김대중 정부의 경제 위기 극복

(27)

Ⅲ - 5 나. 세계 속의 한국

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1996)과 세계 10위권 경제규모

2) 국제사회의 역할 증대 : PKO(평화 유지 활동, Peace Keeping Operation) 등

※ 대한민국 국군은 유엔의 일원으로 분쟁지역(레바논 등)에서 평화유지군 활동에 적극 참여함

<참고문헌>

이기백.『한국사 신론』(서울 : 일조각, 1999) 한영우.『다시찾는 우리역사』(서울 : 경세원, 2004) 변태섭.『한국사 통론』(서울 : 삼영사, 2005)

(28)

Ⅳ - 1

Ⅳ. 6·25전쟁의 원인과 책임

1. 6·25전쟁의 배경

가. 광복 이후 한반도 내부의 불안정 1) 38도선의 설정과 미‧소의 진주 2) 좌·우의 대립과 남북 분단

3)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나. 북한의 전쟁 준비

1) 위장 평화 공세와 대남 적화 전략

가) 표면적으로 평화통일 주장, 통일 정부 수립 제안 등

나) 유격대 남파 등 사회 혼란 유도, 정부 수립 직후부터 38도선에서 군사적 충돌 유도 등

* 38도선 상에서 무력충돌은 1949년에 가장 빈번하게 발생, 6·25전쟁 발발 이전까지 지속 2) 소련에서 다량의 현대식 최신 무기(항공기, 전차 등) 도입

3) 중국 내전에서 활약한 조선 의용군 수만 명 편입

* 소련과 중국의 북한군 지원

1948. 2 인민군 창설, 소련이 탱크와 비행기 등 무기 원조 1949. 소련 및 중국과 군사 협정 체결

1949. 3 김일성, 박헌영 모스크바 방문, 스탈린과 회담

1949. 7 ~ 1950. 4 중국 내전에 참전하였던 의용군이 귀국하여 북한 인민군에 편입 1950. 3 ~ 4 김일성, 소련을 비밀리에 방문하여 스탈린과 회담

스탈린, 북한의 전쟁에 동의

1950. 5 마오쩌둥, 미국 참전 시 중국군 파병 언급

* 스탈린과 김일성의 대화 기록(1950. 3. 30~4. 25.)

‧ 김일성: … 마오쩌둥 동지는 중국 혁명만 완성되면 우리를 돕고, 필요한 경우 병력도 지원하겠다는 말을 여러 차례 했습니다.

‧ 스탈린: 완벽한 전쟁 준비가 필수입니다. … 이동 전투 수단을 기계화해야 합니다. 이와 관련된 귀하의 요청을 모두 들어주겠습니다.

- 출처: 소련 공산당 중앙 위원회 국제국-

※ 6·25전쟁 개전 직전 북한은 지상군 20여 만 명 보유(남한 군사력의 약 2배에 해당) 소련과 중국의 지원으로 남한보다 우세한 장비 및 무기체계 보유

다. 국제정세 변화

1) 소련의 핵무기 개발 성공(1949), 중국 대륙의 공산화(1949. 10) 2) 애치슨 선언(1950. 1) : 미국의 태평양 방어선에서 한반도 제외

(29)

Ⅳ - 2

“일본의 패배와 무장 해제에 의해 미국은 미국과 전 태평양 지역의 안전 보장을 위해 필요한 기간 동안 일본의 군사적 방위를 담당하게 되었다. .... 이 방위선은 알류산 열도로부터 일본의 오키나와를 거쳐 필리핀을 통과한다. 이 방위선 밖의 국가가 제3국의 침략을 받는다면, 침략을 받은 국가는 그 국가 자체의 방위력과 국제 연합 헌장의 발동으로 침략에 대항해야 한다.”

* 주한 미군 철수(1949. 6)와 더불어 한국에 대한 군사적 무관심 반영

2. 전개

가. 북한군의 전면적 기습 남침(1950. 6. 25)과 서울 함락(1950. 6. 28), 낙동강 방어선 구축(1950. 8 ~ 9) - 유엔군 참전(1950. 6. 27), 미 지상군 참전(1950. 7. 1), 국군 작전 지휘권 이양(1950. 7. 14)

* 6․25전쟁은 북한이 대한민국을 공산화 통일시키려는 의도에서 침략한 전쟁임.

※ 6‧25전쟁에 참여한 유엔 회원국 현황

병력 지원국 (16개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캐나다, 뉴질랜드, 터키,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콜롬비아, 벨기에, 에티오피아, 프랑스, 그리스, 필리핀, 남아프리카공화국, 태국

의료 지원국

(5개국) 인도, 이탈리아, 덴마크, 스웨덴, 노르웨이 - 물자 및 재정 지원국 43개국, 지원의사 표명국 3개국 등

나. 인천상륙작전(1950. 9. 15)과 서울 수복(1950. 9. 28), 이후 북진 전개 - 평양 탈환(1950. 10. 19)과 압록강 진격(1950. 11. 25)

다. 중국군 참전(1950. 10. 19)과 1· 4 후퇴 : 중국군의 서울 점령

* 1953년 발표된 대중 가요 - 강사랑 작사, 박사춘 작곡, 「굳세어라 금순아」

눈보라가 휘날리는 바람 찬 흥남부두에 / 목을 놓아 불러봤다 찾아를 봤다 금순아 어디로 가고 길을 잃고 헤매었더냐 / 피눈물을 흘리면서 일사(1. 4) 이후 나 홀로 왔다 라. 재반격과 전선 교착(1951 ~ 1953)

1) 정전 회담 개최(1951. 7. 10, 개성)

가) 군사분계선 설정, 포로 송환 문제 등의 사안을 둘러싸고 2년간 지속

: 군사분계선은 현 접촉선 인정, 포로 송환은 개인의 자유 의사 존중 등 합의 나) 회담 기간 중 유리한 지역을 차지하기 위한 격전(백마고지 전투 등)에서 다수의 인명 피해 발생 마. 이승만의 휴전 반대운동과 반공포로 석방(1953. 6. 18)

바. 정전 협정 조인(1953. 7. 27, 판문점) : 유엔군, 중국군, 북한군 대표만 서명

* 정전 협정서 내용 (일부)

(30)

Ⅳ - 3

쌍방의 사령관들은 그들의 통제 아래에 있는 모든 군사력이 일체 적대 행위를 완 전히 정지하도록 명령한다. … 본 정전 협정의 효력을 발생하는 당시의 쌍방에서 수용하고 있는 모든 전쟁 포로의 석방과 송환은 본 정전 협정 조인 전에 쌍방이 합의한 바에 따라 집행한다.

3. 전쟁의 결과와 영향

가.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사상자와 이산가족, 전쟁고아 발생

* 전쟁으로 인한 인명 피해 (출처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구 분 한국군 유엔군 북한군 중국인민

지원군 사망 13만여 명 3만여 명 52만여 명 11만여 명 부상 45만여 명 11만여 명 22만여 명 22만여 명

실종 2만여 명 6천여 명 9만여 명 3만여 명

계 60만여 명 14만 6천여 명 83만여 명 36만여 명 나. 도로, 주택, 철도, 항만 등 사회 간접시설의 대부분 파괴

* 한반도의 약 80%가 전장이 되는 엄청난 피해 발생 다. 분단의 고착 : 적대 감정 심화, 남북 무력 대결 상태 지속

*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의 냉전 격화 : 미․소의 핵무기 경쟁으로 발전

* 일본은 6‧25전쟁 특수로 인해 장차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계기 마련 라. 한미 군사동맹의 강화

* 한미 상호 방위 조약(1953. 10) : 한국과 미국의 군사 동맹 강화의 계기 (p. Ⅷ-2 참조)

☞ 연합방위체제의 법적 근간이며, 주한미군 지휘협정과 정부 간 또는 당국자 간 각 종 안보 및 군사관련 후속 협정의 기초 제공

마. 가족 제도와 촌락 공동체 의식 약화, 서구 문화의 무분별한 유입

(31)

Ⅴ - 1

Ⅴ. 대한민국의 발전과정에서 군의 역할

1. 대한민국의 발전과 군의 역할 가. 국군의 명맥, 건군

1) 국군의 명맥과 전통

가) 구한말 항일 의병운동 → 일제 강점기 독립군 → 광복군

→ 조선 경비대(1946. 1) → 대한민국 국군(1948. 8)

* 미 군정청이 설립한 ‘군사영어학교’와 ‘조선 경비대’가 모체가 되어 ‘국군’으로 확대 개편됨 나) 대한민국 정부 수립(1948. 8) 직후 국군으로 출범,

북한은 정부 수립(1948. 9)에 앞서 정규군(인민군, 1948. 2)이 먼저 창설됨

* 소련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은 북한군이 규모, 장비 면에서 국군보다 우세

다) 대한민국 국군은 한말 의병, 독립군, 광복군의 정신 및 역사적 전통 계승

* 국방부 훈령 제1호 (초대 국방부장관 이범석)

"우리 육․해군 각급 장병은 대한민국 국방군으로 편성되는 영예를 획득하게 되었다."

2) 국군 조직의 법적 근거

가) 국군조직법(법률 제9호, 1948. 11. 30) 나) 국방부직제(대통령령 제37호, 1948. 12. 17)

3) 정부 수립 직후 무장 게릴라 소탕 작전 : 남한 내에서 활동하던 좌익 세력 진압 노력 - 지리산지구 전투사령부(1949. 3), 태백산지구 전투사령부(1949. 9)

* 후방 지역 안정화 작전 수행 때문에 38도선에는 8개 사단 중 4개 사단만 배치

나. 국가 발전 과정에서 군의 역할 1) 1950년대

가) 한․미 상호방위조약과 군사력 강화 나) 전후 복구와 미국의 원조

2) 1960년대

가) 베트남 파병(1964, 1965~1973)

(1) 명분 : 6·25전쟁을 도와 준 우방국에 보답 및 자유 민주주의 수호

* 미국의 요청을 대한민국 정부가 수용하여 추진, 일부 정치인과 지식인의 파병 반대 (2) 비전투병(이동 외과 병원, 태권도 교관단 등)은 1964년부터 파견,

전투병 파병은 1965년부터 본격화, 1973년에 철수 완료

* 브라운 각서(1966. 3)에 의해 미국이 국군 현대화 및 산업화에 필요한 기술, 차관 제공

(32)

Ⅴ - 2

‣ 군사 원조

제1조. 한국에 있는 국군의 장비 현대화 계획을 위하여 수년 동안 상당량의 장비를 제공한다.

제3조. 베트남 공화국에 파견되는 추가 병력을 완전 대치하는 보충 병력을 무장하고 훈련하며, 소요 재정을 부담한다.

‣ 경제 원조

제4조. 수출 진흥의 전 부문에 있어서 대한민국에 대한 기술 원조를 강화한다.

제5조. 1965년 5월에 대한민국에 대하여 이미 약속한 바 있는 1억 5천억 달러 AID 차관에 추가하여 ... (중략) ...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하여 AID 차관을 제공한다.

(3) 성과 : 국군의 전력 증강과 경제 개발을 위한 차관 확보, 파병 군인들의 송금, 군수품 수출, 건설업체의 베트남 진출로 외화 획득,

미국과 정치⋅군사적 동맹관계 강화 나) 향토 예비군 창설(1968)

3) 1970년대

가) 국군 현대화 사업 추진 : 율곡 사업(1974 ~ ) 등 나) 새마을 운동(1972)에 적극 참여

2. 평화유지활동

가. 평화유지활동의 개념

1) 유엔 평화유지활동은 국가 간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1948년 시작 가) 1948년 팔레스타인 정전 감시단 설치

2) 분쟁지역에서 정전감시, 평화 조성 및 재건, 치안활동, 난민 및 이재민 구호 활동 나. 한국의 UN 평화유지활동 사례

1) 소말리아 상록수부대 (1993. 7 ~ 1994. 3) : 최초의 UN 평화유지활동 파병 가) 내전으로 황폐화된 도로(80km) 보수, 관개수로(18km) 개통, 사랑의 학교와

기술학교를 운영

나) 국제사회로부터 한국군의 참여를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계기

※ 상록수부대 : 소말리아 땅을 푸른 옥토로 바꾸겠다는 의미 2) 서부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 (1994. 8 ~ 2006. 5)

가) 현지 유엔요원에 대한 의료지원, 지역주민에 대한 방역 및 전염병 예방활동 수행

(33)

Ⅴ - 3

나) 국내에서 1만여 km 떨어진 서부사하라 국군의료부대까지의 보급과 지원 실시 (1) 우리 군의 군수지원체계를 발전시키는데 기여

3) 앙골라 공병부대 (1995. 10 ~ 1996. 12)

가) 내전으로 파괴된 교량을 건설하고 비행장을 복구하는 등 평화지원 임무 수행 나) 1996년 우리나라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진출하는데 기여 4) 동티모르 상록수부대 (1999. 10 ~ 2003. 10) : 최초의 보병부대 UN 평화유지활동 파병

가) 우리 군 최초의 보병부대 파견

나) 지역 재건과 치안 회복을 지원하여 동티모르 평화정착에 기여 5) 레바논 동명부대 (2007. 7 ~ 현재)

가) 동티모르에 이은 두 번째 보병부대 파견, 정전 감시가 주 임무

나) 지역주민 진료 및 방역 활동, 도로 포장, 학교 및 관공서 시설물 개선 활동 실시 다) 동명부대 전 장병은 UN 평화유지군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영예인 유엔메달 수여

<Peace Wave>

동명부대의 민사작전 명칭으로 노후화된 학교의 건물 개⋅보수, 도로 신설 및 개선, 전민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지원 활동 등 다양한 민사작전 활동을 수행

6) 아이티 단비부대 (2010. 2 ~ 2012.12.24)

가) 지진 잔해 제거, 도로복구, 심정개발 등 임무 수행

나) 콜레라가 창궐한 이후에는 응급환자 진료, 난민촌 방역활동 등 수행 7) 필리핀 아라우부대 (2013. 12 ~ 2014.12.23)

가) 유엔 평화유지군이나 다국적군이 아닌 재해당사국의 요청에 의해 파병된 최초의 파병부대

나) 최초로 육·해·공·해병대가 모두 포함된 파병부대

다) 타클로반 일대에서 피해지역 정리, 공공시설 복구, 의료 지원 및 방역활동 등 임무 수행

3. 다국적군 평화활동

가. 다국적군 평화활동의 개념

1) 유엔 안보리 결의 또는 국제사회의 지지와 결의에 근거하여 지역안보기구 또는 특정 국가 주도로 다국적군을 구성하여 분쟁해결, 평화정착, 재건 지원 등의 활동 수행 2) 유엔 평화유지활동과 더불어 분쟁지역의 안정화와 재건에 중요한 역할 담당

(34)

Ⅴ- 4

구 분 UN 평화유지활동 다국적군 평화활동

주 체 UN 직접 주도 지역안보기구 또는 특정 국가

지휘통제 UN 사무총장이 임명한

평화유지군 사령관 다국적군 사령관

소요경비 UN에서 경비 보전 참여국가 부담

나. 한국군의 다국적군 평화활동 사례

1) 아프가니스탄 파병 : 최초의 다국적군 평화활동 재건지원팀 및 방호부대(오쉬노 부대) 파견 가) 2001년 9 · 11테러 이후 유엔 회원국으로서 다국적군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

(1) ‘항구적 자유작전’으로 알려진 아프가니스탄 ‘테러와의 전쟁’에 동참

(2) 해·공군 수송지원단 해성·청마부대, 국군의료지원단 동의부대, 건설공병지원단 다산부대 파병

나) 2010년 지방재건팀 방호를 위해 오쉬노 부대 파견 다) 2014년 6월 재건지원팀과 함께 전원 철수

2) 이라크 파병 : 최초의 다국적군 평화활동 민사지원부대 파병(자이툰 사단)

가) 2003년 미 · 영 연합군의 ‘이라크 자유작전’ 을 지원하기 위해 공병·의료지원단 서희 · 제마부대 파견

(1) 다국적군 지원과 인도적 차원의 전후복구 지원, 현지주민에 대한 의료지원 (2) 2004년 4월 추가 파병된 자이툰 부대에 통합되어 임무 수행

나) 2004년 이라크 평화지원단인 자이툰 사단을 파견 (1) 자이툰 사단은 한국군 최초로 파병된 민사지원부대

(2) 자이툰 병원 운영, 학교 및 도로 개통 등 주민 숙원사업을 지원

※ 자이툰은 ‘올리브’를 뜻하며, 평화를 상징

3) 소말리아 해역 파병 : 최초의 다국적군 평화활동을 위한 함정 파견(청해부대) 가) 1990년대 소말리아의 오랜 내전으로 정치·경제 상황 악화로 해적활동이 급증 나) 2008년 유엔은 우리에게 해적 퇴치 활동에 적극적인 동참 요청

다) 2009년 소말리아 해역의 해상안보 확보와 우리 선박과 국민 보호하기 위해 창군 이래 최초로 함정(청해부대)을 파견하기로 결정

(1) 2011년 1월에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삼호주얼리호와 우리 선원을 구출하기 위하여 ‘아덴만 여명작전’을 실시하여 우리 국민 전원을 구출

<참고문헌>

국방부. 『국방백서 2012』(서울 : 국방부, 2012)

(http://www.mnd.go.kr/cop/pblictn/selectPublicationUser.do?siteId=mnd&componentId=14

&categoryId=15&publicationSeq=37&pageIndex=1&id=mnd_050601000000)

(35)

Ⅵ - 1

Ⅵ. 6‧25 전쟁 이후 북한의 대남도발 사례

1. 북한의 대남행태 개관

가. 전쟁 이후 북한은 의도적으로 한국과의 군사적 긴장관계 조성 목적 1) 대내적으로 김일성 일가의 독재체제 정당성 확보

2) 한국을 정치․사회적으로 불안하게 하여 한국 정부의 정통성 약화

3) 주한미군을 조기에 철수하도록 하여 한반도의 공산화를 시도할 수 있는 기회 조성

나. 대남공작

1) 목적 : 한국 내 혁명에 유리한 여건 조성

2) 내용 : 무장간첩 남파 → 한국 사회 혼란 조성 / 한국 내 ‘혁명기지’ 구축

다. 화전양면 전술 활용

1) 겉으로는 화해와 평화의 의도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전쟁과 무력으로 목적 성취 2) 평화적인 협상 상황에서도 불리한 상황을 타계하기 위해 테러, 도발을 자행

2. 시기별 도발행태 가. 1950년대

1) 배경 : 평화공세에 의한 선전전에 중점을 두고 각종 협상을 제안

가) 북한측이 제안한 평화협상에는 외국군 철수 요구, 회의 소집 요구, 평화통일에 관한 선언, 군축 제의, 4개항 통일방안 제의 등이 있음

나) 남로당계를 숙청함과 동시에 대남공작기구와 게릴라 부대를 해체하는 변혁을 단행 2) 내용

가) 주로 북로당계 간첩요원 남파 (개별적인 밀봉교육 형식)

나) 1950년대 후반에 학교, 군대, 정부기관 등에 소규모 간첩단을 은밀히 침투시켜 대남공작의 근거지 확보

다) 민간항공기 납치사건 (1958년) 발생

부산을 출발, 서울로 향하던 대한항공기가 6명의 무장괴한에 의해 납치된 사건

3) 특징 : 1950년대의 전반적인 평화공세에도 불구하고 항공기 납치와 같은 도발 사례를 통해 볼 때 북한의 대남정책은 기본적으로 화전양면성을 나타냄

(36)

Ⅵ - 2 나. 1960년대

1) 배경

가) 한국 내의 정치적 혼란

나) 전면전을 제외한 다양한 수단을 동원하여 대남적화공세를 강화 다) 중·소 분쟁 지속 → 4대 군사노선 추구 및 강경한 대남공작 전개 준비

라) 1961년 조선노동당 제4차대회에서 강경노선의 통일전략을 채택하고, 대남공작기구를 통합․승격시킴

2) 목표 : 남한에서의 혁명기지 구축 (게릴라 침투와 군사도발 병행) 3) 내용

가) 북한의 주요 지상도발 유형

(1) 군사분계선 근방에 위치한 한국군 습격 (2) 무장간첩 남파

(3) 해안선을 연하여 무장간첩단 남파 나) 정면 군사도발

(1) 1968년 미국의 전자정찰함 푸에블로 (Pueblo)호가 북한 해·공군에 의해 납치 다) 게릴라식의 직접침투

(1) 청와대 기습사건 (1.21사태)

∙ 전개 : 1968년 1월 21일 북한군 무장공비 31명이 휴전선을 넘어 청와대 를 습격하려다가 경찰 검문에 걸림. 북한 무장공비는 기관단총을 난사하고 4대의 시내버스에 수류탄을 던져 승객들을 살상. 7명의 군경과 민간인이 북한 무장공비에 의해 살해. 군경 수색대는 31명 의 공비중 1명을 생포하였고, 도주한 1명을 제외한 29명 사살.

∙ 목적 : 대통령관저 폭파와 요인 암살, 주한 미대사관 폭파와 대사관원 살해, 육군본부 폭파와 고급지휘관 살해, 서울교도소 폭파, 서빙고 간첩수용소 폭파 후 북한간첩 대동월북 등

∙ 결과 : 국방력 강화와 250만명의 향토예비군 창설. 방위산업공장의 설립 추진. 군내 공비전담 특수부대 편성. 휴전선 철책 구축

참조

관련 문서

 사회적 욕구해결을 위해 공급자에 대한 보조금 지원이 아닌 이용자에 대한 바우처 지원을 통해서 재정 지원을 하는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실시.  복지에

정철호 (2014) 는 “ 북한 유사시 중국 군사개입 대응 한국의 안보전략 이라는 저서에 ” 서 북한 급변사태 등으로 인한 한반도 유사시 중국은 대량난민의 중국으로

- 건축물 구조의 계획과 하중에 대한 역학적 계산을 실시 하고 구조도면을 작성함.. • 적재하중은

북한은 내부 적으로 동원할 수 있는 재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대부분의 재원을 확보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셋째, 농업개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중등 교과서를 비교 분석 하였으며 북한 교과서에 제시 된 과학 용어를 조사한 후 남한의 예비 과학교사들이 가진 북한 화학

따라서 북한의 핵전략은 미국 확장억제와 북한 핵전략의 균 형 정도에 의하여 결정될 것이고, 북한은 미국의 확장억제를 어떻게 약화 또는 무력 화시킬 것인가에

통일 과정에서 핵무기 제거를 위한 협력에 한・미동맹은 물론 중국의 긍정적 역할이 요구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통일 이후에도 과거 핵 능력을 보유했던 북한

Moreover, the paper analyzes the policy changes caus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ongress in the process of making foreign policy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