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문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 문학"

Copied!
5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역사적 배경

(1) 중국문학과 서양문학의 차이

- 중국 : 詩經에서 시작(BC11C~12C)

- 서양 : 호메로스의 <일리아스(Ilias)>, <오디세아(Odysseia)

이집트나 헤브라이, 인도 같은 나라들에는 시경보다 앞선 문학작품들이 존재했다.

(2) 문자나 문장의 형태, 문학이념이나 문장의식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유지됨 20세기로 들어와 서양문학의 영향 아래 중국의 현대문학이 이룩되기 이전

까지 수 천년의 역사를 두고 언어현상이 존재했음.

1. 중국문학 발전의 배경

중국 문학

(2)

2) 지리적 배경

(1) 중국의 북방 : 黃河유역을 중심으로 以北지방

기후가 한냉하고 매서우며 초목이 잘 자라지 못함 - 사람들의 물자가 부족

- 사람들은 거칠고 불리한 자연환경 속에 생활을 위하여 투쟁하며 살아감.

- 사람들은 現實的이고 理智的 鬪爭的이고 散文的인 성격을 띰 - 문학은 자연히 寫實的인 경향을 띰

(2) 중국의 남방 : 長江유역을 중심으로 以南지방 - 기후가 온화, 초목이 무성

- 사람들의 생활에 필요한 물자 생산이 풍부

- 사람들은 空想的이고 感情的이고 平和的이고 詩的인 性格을 띰 - 문학은 낭만적인 경향을 띔

- 대표문학 : 楚辭 1. 중국문학 발전의 배경

중국 문학

(3)

(3) 문학에 있어서 남북의 차이

- 시경과 초사 이후로도 중국문학사를 통하여 중국문학발전과 그 성격형성의 배경을 이룸.

- 남북의 차이는 문학뿐만이 아니라 음악 미술 서예 등 중국예술과 문화 전반에 걸쳐 드러남.

- 음악에 있어서는 南曲과 北曲

- 사상도 유가사상은 북방의 기질을 대표하고 있고, 도가사상은 남방의 기질을 대표.

1. 중국문학 발전의 배경

중국 문학

(4)

3) 사상적인 배경 (1) 儒家思想

- 공자가 유교를 창시한 후 漢代로부터 近世에 이르는 2,000년 동안의 중국사회의 윤리를 지탱해오는 역할

- 중국전통문학의 중심을 이루어온 시와 산문은 功用性과 實用性의 인정을 바탕으로 발전

(2) 道家思想

- 漢代에 이르러 陰陽五行說과 神仙思想 등과 결합되면서 도교로 변신.

- 민중 신앙과 엇섞이면서 중국인의 일상생활 바닥 깊숙히 파고 듬.

- 세상이 어지러울 때면 사람들은 현실생활 속의 뜻을 잃고 세속에 초연한 도가사상 쪽으로 기울어짐.

(3) 사상면에서 유가와 도가가 서로 반대되는 입장에서 서로 보완작용을 함.

- 유가는 현실적인면에서 도가는 초현실적인 면에서 중국문학의 발전을 지탱해 줌.

1. 중국문학 발전의 배경

중국 문학

(5)

1) 고대 : 선진시대 ~ 청대 중기까지

2) 근대 : 1840년 아편전쟁 ~ 1919년 ‘5 ㆍ 4운동’ 직전까지 3) 현대 : 1919년 ‘5ㆍ4 문학혁명’ ~ 중화인민공화국 수립까지 - 1919년 5.4운동(정치적 구분)

- 1917년 新文化運動(문학사적 구분) 4) 당대 :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부터 3. 시기 구분

중국 문학

(6)

1) 시경이란?

- 中國韻文之祖

- 북방 문학을 대표하는 평민문학 - 人事에 관한 내용

- 305편으로 풍아송(風雅頌)으로 구성 2) 특징

- 집단창작

- 내용은 사실적이며 순박함

- 형식은 4언이 위주인 딘시(短詩) - 단구첩자(短句疊字), 중첩, 반복 2. 시경(詩經)

중국 문학

(7)

(1) 풍(風)

- 주남(周南) 소남(召南)을 비롯한 열 다섯나라 민요 - 풍의 뜻은 민간가요로 본 뜻이 言外에 있는 体 - 풍은 160편

(2) 아(雅)

- 조정에서 연회나 의식에 노래 불리워지던 歌辭 - 대아(大我)와 소아(小我)로 구분됨

- 아는 그 뜻을 直言하는 体 - 아는 105편

(3) 송(頌)

- 조상들이나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노래 부르던 가요의 가사 - 송은 주송(周頌), 노송(魯頌), 상송(商頌)으로 나눔

- 송은 40편 2. 시경(詩經)

중국 문학

(8)

1) 초사란?

- 남방 문학을 대표하는 귀족문학 - 대표적인 작가: 굴원(屈原)

- 대표작품 : <이소(離騷)〉,<구가(九歌)>, <천문(天問)>, <어부사(漁父辭)>

- 漢代에 들어와서는 賦로 발전 2) 특징

- 특정한 개인의 이름으로 창작된 것 - 내용은 낭만적인 색채가 짙음

- 형식은 6언이 위주인 장시(長詩)

- 혜(兮)’자와 같은 초나라 방언이 많이 사용됨 3. 초사(楚辭)

중국 문학

(9)

1) 자연시파(自然詩派)

- 대표시인 : 왕유(王維), 맹호연(孟浩然) - 전원시인 도연명과 산수시인 사령운의 영향 - 오언시 중심

- 전원의 한적한 생활과 산수의 아름다운 풍경을 노래

2) 낭만주의(浪漫主義) - 대표시인 : 이백(李白)

- 아름 다운 산수시인의 정취, 웅대한 악부시의 풍격도 모두 흡수 - 5언 7언의 시들을 모두 잘 씀

5. 唐代 - 詩

중국 문학

(10)

3) 변새파(邊塞派)

- 대표시인 : 왕지환(王之渙), 왕창령(王昌齡) - 국경 주변의 풍경과 처절한 전쟁 및 인간문제 - 7언시 중심

4) 사실시파(寫實詩派)

- 안록산의 난 이후 도탄에 빠진 사회상을 시에 반영 - 대표시인 : 두보(杜甫)

5. 唐代 - 詩

중국 문학

(11)

5) 이백과 두보(*제시된 이백과 두보시 꼭 감상하세요..) (1) 이백

- 시선(詩仙)

- 열정적이며 호방하고 상상력이 뛰어남 - 지금 전해지는 시 : 990여수

- 대표 시 : 장진주(將進酒), 촉도난(蜀道難), 정야사(靜夜思)

靜夜思 정야사

床前看月光 (상전간월광) 침상위 달빛을 보니

疑是地上霜 (의시지상상) 땅위에 서리가 내린 듯 하다.

擧頭望山月 (거두망산월) 고개 들어 산에 걸린 달을 보고 低頭思故鄕 (저두사고향) 고개 숙여 고향 생각에 잠긴다 5. 唐代 - 詩

중국 문학

(12)

춘망(春望)

國破山河在(국파산하재)

나라는 깨어져도 산하는 남아 잇고 城春草木深(성춘초목심)

성에는 봄이라고 초목이 짙어지네.

感時花濺淚(감시화천루)

시절을 느끼매 꽃에도 눈물 뿌리고 恨別鳥驚心(한별조경심)

이별이 한스러워 새를 봐도 놀라네 烽火連三月(봉화연삼월)

봉화연기 석달이나 이어지고 家書抵萬金(가서저만금)

집안 소식은 만금의 가치가 있네.

白頭搔更短(백두소갱단)

흰머리 긁으니 더욱 짧아져 渾欲不勝簪(고고정북비)

이젠 비녀조차 이기지 못하네 - 제재 : 전란(戰亂)의 상심(傷心)

- 주제 : 전란(戰亂)의 비애(悲哀) (2) 두보

- 시성(詩聖)

- 사실적이며 섬세함

- 지금 전해지는 시 : 1,400여수 - 대표 시 : 춘망(春望),

병거행(兵車行), 삼리(三吏), 삼별(三別) 등 5. 唐代 - 詩

중국 문학

(13)

중국 문학

6. 宋代 - 詞

1) 사란?

- 詩가 근체시로 발전하면서 노래와 무관한 시를 짓자 민간에서 새로 유행한 시체

- 구절(句節)이 일정하지 않아 장단구(長短句)라고 함.

- 사는 악곡에 따라 노래를 지으며 그 題名은 언제나 악곡명을 씀

- 사패(詞牌) : 다양한 종류의 곡조(예 : 서강월(西江月), 여몽령(如夢令), 만강홍(滿江紅), 염노교(念奴嬌)

2) 사풍의 변화

- 만사(慢詞) : 장선(張先), 유영(柳永) - 호방파(豪放派) :소식(蘇軾)

- 악부사파(樂府詞派) : 이청조(李淸照) 주방언(周邦彦)

(14)

중국 문학

7. 元代 - 雜劇

1) 잡극이란?

- 원대(元代)는 중국희곡사상 황금시대

- 전통문학, 음악, 무도, 잡기(雜技) 등 각종 요소를 포괄하는 종합예술.

- 창(唱: 노래), 과(科: 동작), 백(白: 대사)으로 구성 2) 잡극의 내용

- 이민족 통치에 대한 백성들의 울분과 동경 - 아름다운 생활을 추구

- 문인계층의 좌절과 지향 - 전통윤리도덕의 선양 3) 대표작가

- 관한경(關漢卿) : <두아원(竇娥寃)>

- 왕실보(王實甫) : <서상기(西廂記)>

- 백박(白樸) : <오동우(梧桐雨)>

- 마치원(馬致遠) : <한궁추(漢宮秋)>

(15)

중국 문학

8. 明淸代 - 小說

- 소설의 출발 : 신화, 우언고사

- 초기 소설의 의미는 짤막짤막하고 자질구레한 이야기를 의미.

- 육조시대는 지괴소설(志怪小說), 당대소설은 전기소설(傳奇小說) - 중국 4대 기서(奇書) : 삼국지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

- * 사대기서에 대해서 살펴보세요..

(16)

1. 백희(百戱)

① 漢代에 유행했던 갖가지 曲藝.

② 雜技와 東海黃公, 파투무(巴渝舞), 공막무(公莫舞) - 歌舞에서 중국 희곡의 취형(雛形)이 이루어졌음.

① 가무희 즉 간단한 고사로서 연출하는 것.

② 남북조시대에 이르러 구체적이고 完整한 가무희가 보임.

③ 북방 : 〈발두(鉢頭)〉〈답요낭(踏搖娘)〉

남방 : 〈사자무(獅子舞)〉

희곡의 발생

(17)

3. 설창예술(說唱藝術)

1) 강창(講唱)

① 강창이란 운문(韻文)과 산문(散文)을 엇섞은 서사시.

② 최초의 강창은 당대(唐代)의 변문(變文) 2) 제궁조(諸宮調)

① 원잡극 생산의 기초를 이루었던 것 중의 하나

② 고사의 構成이나 曲白의 運用이 원 잡극과 아주 비슷.

희곡의 발생

(18)

3) 골계희(滑稽戱)

① 배우나 어릿광대인 優에서 발전

② 西周의 주유(侏儒)와 척시(戚施)라는 우(優)

③ 국왕과 귀족의 노리갯감으로 코믹한 언동으로 웃음을 자아냄 4) 참군희(參軍戱 )

① 탐관오리를 풍자하여 처벌하게 하는데 목적.

② 참군희의 주요 두 배우 한 명은 「참군(參軍)」: 성격이 우둔 한 명은 「창골(蒼鶻)」: 성격이 영특.

③ 참군이라는 각색은 후에 정각(淨角), 창골은 후에 축각(丑角)

희곡의 발생

3. 설창예술(說唱藝術)

(19)

희곡의 완성

1. 송잡극(宋雜劇)/금원본(金院本)

- 남송(南宋)에 가무(歌舞)의 연출과 강창고사(講唱故事)의 영향을 받아 더욱 발전.

① 脚色名(각색명)

- 말니(末泥) : 우두머리로 희두(戱頭)라고도 함

- 인희(引戱) : 공연을 준비하는 사람으로 장단(裝旦)을 겸함.

- 부정(副淨) : 참군 -부말(副末) : 창골

-장고(裝孤) : 벼슬아치로 분장 -파색(把色) : 음악을 담당

(20)

희곡의 완성

1. 송잡극(宋雜劇)/금원본(金院本)

② 雜劇의 구성은 세부분 사단으로 구성되었음.

- 염단 일단(豔段一段)

- 정잡극 이단(正雜劇二段) - 잡분일단(雜扮一段)

③ 금원본(金院本)

- 금대(金代)에 잡극을 원본(院本)이라 함.

(21)

희곡의 완성

2. 희문(戱文)

① 희문이란 북송 말엽~ 元末 明初에 이르기까지 주로 중국의 남방에서 유행 하던 劇 양식

② 남희의 의의

- 小戱에서 大戱로의 전변이라는 점

- 중국 고전 희곡의 틀을 완성하였다는 점

③ 송원 양대의 첨예하고 복잡한 사회 갈등을 반영 혼인 문제를 반영한 것이 가장 많음

사회의 암흑을 폭로한 재판극

(22)

희곡의 완성

3. 元雜劇의 체제

1) 1本 1楔子 4折

① 같은 궁조에 속하는 곡패(曲牌)에 빈백과 과(科)가 보태어진 것

② 잡극은 통상 1本1설자(楔子)4折로 구성

③ 1설자 4절은 대체적으로 발단-전개-위기-대단원의 극 구조

④ 설자(楔子)는 쐐기 즉 말뚝이라는 뜻.

예외) 왕실보의 〈서상기(西廂記)〉 5본 21절 기군상의 〈조씨고아(趙氏孤兒)〉 5절

(23)

희곡의 완성

3. 元雜劇의 체제

2) 唱(노래), 白(대화), 科(동작)

① 창(唱)은 노래로 음악의 가창과 결합하여 주로 극의 분위기와 극중인물의 감정을 표현.

- 노래는 정말(正末)이나 정단(正旦)만이 부름.

② 백은 빈백(賓白)이라고도 함,

-정장백(定場白), 대구백(對口白), 독백(獨白), 대백(帶白), 배백(背白) 이 있음.

③ 과(科) 는 과범(科范) 혹은 과범(科泛)이라도 함.

-극중인물의 동작이나 표정을 나타내며, 때로는 무대 효과를 표시하기도함

(24)

희곡의 완성

3. 元雜劇의 각색(脚色)

① 말(末), 단(旦), 정(淨), 축(丑)은 원잡극의 4대 각색.

② 노래는 정말(正末)이나 정단(正旦)만이 할 수 있음.

- 나머지 각색들은 부차적인 역할을 함.

- 정말이 노래하는 극본을 말본(末本) , 정단이 노래하는 극본을 단본(旦本)

③ 조연 각색: 외말(外末), 충말(冲末), 외단(外旦)

- 반면각색 : 남자는 정(淨)이나 부정(副淨), 여자는 차단(搽旦)이라고 부름.

④ 우스갯짓을 맡는 각색인 축(丑)은 원래 잡극에 없었지만, 훗날 남희 영향으 로 생겨남.

(25)

희곡의 발전

2. 몽고시대(蒙古時代)

1) 관한경일파

① 관한경 일파의 작가들은 작품을 실지 상연할 연극의 대본으로 창작

② 서민들의 현실생활과 그들의 감정을 작품에 잘 반영

③ 문장 : 당시 사회 여러 계층 사람들의 생동하는 구어로 이루어짐

④ 속어나 방언도 거침없이 사용

⑤ 작품소재 : 당시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와 사건들

⑥ 대표작가와 작품

- 관한경(關漢卿)의 〈두아원(竇娥寃

- 기군상(紀君祥)의 〈조씨고아(趙氏孤兒)〉

(26)

희곡의 발전

2. 몽고시대(蒙古時代)

2) 왕실보(王實甫)일파

① 비교적 고전문학에 대한 소양이 풍부한 사람

② 문장의 수사에 많은 주의를 기울임.

③ 작품의 소재는 상류사회 남녀들의 애정이나 궁중 생활

④ 민중의 숨결을 느끼기는 어려움.

⑤ 대표작가와 작품

-왕실보(王實甫)의 〈서상기(西廂記)〉

-백박(白樸)의 〈梧桐雨(오동우)〉

-마치원(馬致遠)의 〈漢宮秋(한궁추

(27)

희곡의 발전

3. 양진어(梁辰魚)의 〈완사기(浣紗記)〉

① 양진어(梁辰魚)는 곤곡에 맞추어 극본을 최초로 쓴 사람.

② 곤곡의 음악에 맞춰 쓴 최초의 작품은 〈완사기(浣紗記)〉

③ 완사기는 54척(齣)으로 이루어졌고, 춘추말기 월나라 서시와 범려를 주인공 으로 하여, 오(吳)와 월(越)의 흥망을 얘기한 것.

④ 곤곡을 이용해 지었기 때문에 음율이 아름답고 곡사도 우아함.

⑤ 완사기는 최초로 곤곡을 사용하여 창작된 극본으로 곤곡이 다른 음률을 압 도하고 널리 유행하게 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

(28)

희곡의 발전

4. 전기의 구성

① 전기는 착(齣)이라고 하는데, 착수에 제한이 없음.

② 전기는 한 착에 일정한 궁조가 없으며, 또한 운을 바꿀 수 있음.

③ 전기는 등장하는 모든 사람이 노래를 하고 독창(獨唱), 대창(對唱), 합창(合 唱) 등을 할 수 있음.

④ 전기는 연극 첫머리에 가문(家門), 또는 개장(開場), 개종(開宗)이라고 부르 는 한 절이 있어서 전편의 대의를 설명하고 있음.

⑤ 전기에는 문언문은 물론 변려체로 된 문장까지도 간혹 사용하고 있음.

(29)

희곡의 발전

4. 淸 雅部 (아부)

① 송대(宋代)의 희문(戱文)과 명대(明代)의 전기(傳奇)를 이어 받아 발전한 희 곡.

②대표적인 작가와 작품

-홍승(洪昇): 〈장생전(長生殿)〉

-공상임(孔尙任): 〈도화선(桃花扇)〉.

(30)

희곡의 발전

4. 淸 花部 (화부)

① 난탄(亂彈)이라고도 함.

② 각 지방의 토조(土調)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희곡

③ 각지방희 : 초극(楚劇), 월극(粤劇), 천극(川劇), 경극(京劇)

④ 화부희는 후에 북경에서 경극을 형성하면서 아부희를 누르고 희곡의 중심 이 됨.

(31)

경극의 소개

2. 경극의 역사(유래)

① 휘조(徽調)+ 곤강(昆腔) + 진강(秦腔)

- 극내용, 음악곡조, 표현방법 등에서 부분적으로 수정하여 발전

② 통칭 피황극(皮黃劇)이라 부름.

- 피황 : 西皮 + 二黃의 두 가지 가락을 지칭 - “평극(平劇)” “국극(國劇)” 이라고도 함.

③ 경극의 구성

- 唱(노래), 做(동작), 念(낭송), 打(무술)가 어우러진 종합예술

(32)

경극의 소개

3. 허의성(虛擬性)

① 표현면 : 춤과 노래가 동시에 진행되며, 허의성(虛疑性) 동작을 많이 사용

② 경극은 허구적 방법으로 무대의 시간과 공간 문제를 교묘하게 처리

③ 경극에는 일련의 격식과 규범이 있다.

(33)

경극의 소개

4. 음악

① 악기 : 문장(文場)과 무장(武場)

- 문장(文場) : 관현악기 반주 - 호금(胡琴), 이호(二胡), 월금(月琴), 적(笛) - 무장(武場) : 타악기 반주 - 고(鼓), 대라(大鑼), 소라(小鑼), 발(鈸)

- 노래 반주는 문장위주로, 동작 등에는 무장이 주로 사용

② 악곡

- 서피(西皮)와 이황(二簧)으로 나뉨

* 서피 : 격분, 강개, 서술, 서정의 장면에 사용 * 이황 : 감탄과 비애의 정경에 사용

(34)

경극의 소개

5. 경극의 각색

- 4대 배역 : 생(生), 단(旦), 정(淨), 축(丑) 1) 생(生) : 남자배역의 총칭

2) 단(旦) : 여자배역의 총칭 3) 정(淨)

4) 축(丑)

(35)

경극의 소개

6. 경극 형성기의 명배우

도광(道光) 초년까지 단(旦) 중심-> 도광 후기에 노생(老生)중심으로 바꿈

1) 경극을 완성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배우

- 노생삼걸(老生三杰) : 정장경(程長庚), 장이규(張二奎), 여삼승(余三勝) - 삼정갑(三鼎甲)이라고 부름

2) 전성기의 명배우

- 1920년대에 “4대명단”이 출현하면서 단 중심으로 돌아옴 - 4대 명단 : 매란방(梅蘭芳), 정연추(程硯秋),

순혜생(荀慧生), 상소운(尙小雲)

(36)

경극의 소개

1. 검보(臉譜)

1) 얼굴에 색칠한 분장법을 말함

2) 극중 인물의 성격과 신분을 나타냄 3) 소면(素面)과 도면(塗面)으로 나눔 4) 소면(素面)

- 생(生)과 단(旦)의 화장법

- 결면(潔面) : 현란한 색채를 쓰지 않아 깨끗한 얼굴이란 뜻 - 준분(俊扮) : 얼굴이 대부분 준수한 청년 남녀

- 살색과 분홍색을 사용

- 눈썹은 검정색으로 매우 진하고 양쪽 끝이 올라감 - 노생(老生)과 노단(老旦)은 아무런 화장을 하지 않음

(37)

경극의 소개

5) 도면(塗面)

- 화면(花面) : 여러 가지 색깔로 여러 가지 무늬를 그린다는 뜻 - 정(淨)과 축(丑)의 화장법

- 극중 인물의 독특한 성격과 신분을 잘 드러냄.

- 얼굴형은 18가지, 색채는 13가지로 나눔

* 18가지의 검보 얼굴형에 대해서는 참고만 하시기 바람니다..

1. 검보(臉譜)

(38)

검보의 특징

1. 검보의 색깔별 특징

- 성격과 인품, 배역과 운명을 결정, - 선악충간(善惡忠奸)을 가려내는 상징

- 얼굴모양과 색깔로 신분과 성격의 대강을 표현

- 화려한 머리장식과 복장 등은 모두 경극의 독특한 특징 1. 붉은색 계열의 얼굴 : 홍색검, 분홍검 , 자색검 ,자색검 2. 검은색 계열의 얼굴:흑색검(黑色臉) ,회색검(灰色臉) 3. 푸른색과 녹색 계열의 얼굴: 남색검, 녹색검,청색검

4. 황색과 백색 계열의 얼굴:유백검(油白臉) ,황색검(黃色臉) 5. 금색과 은색 계열의얼굴: 금색검(金色臉), 은색검(銀色臉)

(39)

8. 모자

1) 회두(盔頭) : 관(冠) ㆍ회(盔) ㆍ건(巾) ㆍ모(帽) - 관 : 제왕과 귀족의 예모이고, 회는 무인들이 씀.

- 모 : 관리들의 공식 의상으로 양쪽에 날개가 달려 있음.

- 건 : 편복으로서 날개는 없고 뒤로 표대를 드림.

2) 여성은 두면(頭面)으로 머리를 장식.

경극의 의상과 도구

(40)

10. 수염

1) 염구공(髥口功)이라 부름.

2) 검정ㆍ회색ㆍ흰색으로 인물의 나이를 구분

3) 홍색ㆍ자색ㆍ남색 등은 성격이 포학한 인물이나 귀신에 씀 4) 수염의 종류

- 만염(滿髥) : 길이는 한 자 반 정도이며, 입을 덮어 가림.

정(淨)과 생(生)의 정면인물과 반면인물이 사용함.

- 삼염(三髥) : 얇고 세 가닥으로 나뉘어 있음.

생(生)이 분장하는 문인과 무인이 많이 씀.

- 찰염(札髥) : 만염에 구멍을 만들어 입이 드러나도록 만듬.

정(淨)이 주로 사용함.

경극의 의상과 도구

(41)

정식화된 연기

1) 양상(亮相) 2) 삼소(三笑) 3) 알문(挖門) 4) 과장(過場) 5) 참문(站門)

6) 이룡출수(二龍出水) 7) 쟁마(趟馬)

8) 주변(走邊)

(42)

연극의 출현

③ 양계초

- 극양식 도입의 선구자

- 극양식을 계몽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응용

- 곤곡<신로마>는 새로운 극양식의 대두를 시사한 작품

④ 극양식의 소재변화

- 각 나라의 독립운동(쿠바, 그리스)

- 청일전쟁, 프랑스의 성공적인 인도차이나 침략 - 여성해방운동, 여성열사에 대한 추모

- 전족과 변발 반대, 의화단에 대한 지지 1. 출현

(43)

연극의 출현

3. 문명희(文明戱)

① 1910년대에 대두하였던 새로운 연극의 명칭

- 서구식 연극의 영향을 받아 조직된 단체에 의해 공연 - 단체 : 춘류사(椿柳社), 계명사(啓明社)

② 새로운 서구식 연극을 소개

- 관객들에게 구어체 대사를 중심으로 공연

③ 중국인들에게 애국심과 신문명에 대한 관심을 신파적 스타일로 보여줌.

④ 한계점

- 정확하게 기록된 대본을 갖고 있지 않음.

- 대사는 배우 개개인의 재량에 맡겨졌음

(44)

연극의 정착

④ 조우(曹禺)의 〈雷雨(뇌우)〉

- 조우는 서구 연극의 영향을 잘 반영한 작가 -〈雷雨(뇌우)〉: 1933년 발표

- 부유하고 타락한 광산주와 배 다른 두 아들과 딸, 전처와 후처 사이에 벌어지는 배신과 근친상간의 비극

3. 혁명문학기의 연극

(45)

연극의 정착

4. 항일문학기의 연극

① 항전문학(抗戰文學)이라고 함

- 1937년 제2차 국공합작의 성립과 중일전쟁의 발발 이후의 문단

② 중화전국희극계항적협회(中華全國戱劇界抗敵協會)를 결성 - 애국적인 항전극의 유포 노력

- 농민과 접촉하게 됨

- 작가들은 서구연극의 영향권에서 연극의 중국화라는 문제를 고민

(46)

연극의 정착

④ 신가극(新歌劇)의 등장

- 서구적인 연극 구성방식과 중국 전통희곡, 전통음악의 조화 - 중국현실을 다루고 있고 구어체 대화가 많이 사용

- 노래와 운문이 많이 들어있음.

⑤ 〈백모녀(白毛女)〉

- 신가극의 대표작

- 노신예술학원(魯迅藝術學院) 학생들이 집체창작을 통해 만든 작품 4. 항일문학기의 연극

(47)

2. 대표 작가와 정치적 강령사이의 갈등관계

① 노사(老舍) :

- 대표작 : <용수구(龍須溝)> 〈차관(茶館)〉, 〈전가복(全家福)〉

- 정치적 강령준수 문제로 비판을 당하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

② 조우(曹禺)

- 대표작 : 〈맑은 날(明朗的天)〉, 〈담검편(膽劍篇)〉

- 강령에 대한 비협조적 태도로 문혁 때 비판당하고 고초를 당함

③ 곽말약(郭沫若)

- 고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재해석을 내용으로 한 극본 발표 - 정치적 강령과 자신의 문학활동을 적절히 조절

신중국 이후 연극

(48)

3. 연안문예강화(延安文藝講話)

①《연안(延安) 문예좌담회에서의 강화》의 약칭

② 1942년 연안정풍운동(延安整風運動)의 모택동의 모두(冒頭)발언과 결론을 모은 것

③ 항일변구(抗日邊區) 및 신중국 문예운동과 지식인 사상개조운동의 기본문헌

④ 핵심 내용

- 文學은 노동자ㆍ농민ㆍ병사를 위하여 봉사하고, 無産階級政治를 위하여 봉사해야 한다”

⑤ <문화대혁명> 때의 지식인 박해·문화 부정의 극좌노선으로 나아감.

⑥ 사회주의 현실주의 원칙을 극작가들에게도 채택하도록 함 - 항일전쟁, 한국전쟁, 철도건설, 농촌생활, 사회변혁

⑦ 하연(夏衍)의 〈시련(試鍊)〉(1954년)

- 공산당의 강령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문학적 수준을 동시에 확보한 작품

신중국 이후 연극

(49)

⑥ <홍군여대(紅軍女隊)>

- 여군부대의 이야기를 과장적으로 묘사한 무극(舞劇)

⑦〈백모녀〉개작본

- 문혁기의 극적 상황을 집약적으로 보여준 작품

- 줄거리를 훨씬 단순화시켜, 선인과 악인을 양분시켜 구분 - 인민 해방군의 역할을 훨씬 증대시킴

- 등장인물의 수를 많이 늘림

- 기본적으로 서구와 소련의 발레 안무방식을 이용 - 중국식 춤 + 서양식 합창을 결합

- 서양 악기 + 중국 악기를 함께 섞여 규모가 거대한 오케스트라로 반주 - 예술적 표현과 정치적 주제를 결합

⑧ 신극은 중국문화를 대표하는 모범적인 문화 산물로 선전

신중국 이후 연극

4. 문화대혁명기(文革)의 연극

(50)

5. 신시기의 연극

① 1976년 모택동의 사망 이후를 말함

- 연극인들을 강제하던 모델이나 신극의 강제성은 사라짐 - 비판 당하던 작품과 작가는 문혁 이전의 지위를 회복

② 상흔(傷痕)문학

- 1970년 후반~ 1980년대 초반의 문혁에 대한 비판을 주 내용으로 한 작품 - 조우(曹禺)의 〈뇌우(雷雨)〉, 노사(老舍)의 〈茶館(차관)〉 등이 공연

신중국 이후 연극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Das Rathaus liegt im Graus, die Starken sind zerhaun, Die Jungfern sind geschänd’t, und wo wir hin nur schaun, Ist Feuer, Pest, und Tod, der Herz und Geist durchfähret..

책 속의 인물이 되어 역할극을

• 인간과 사회의 개선불가능성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생겨나는 체념, 유머,이로니 정서가 지배!. • 마술오페라 Zauberoper

• 또한 광고 속의 인간은 기독교적 인간이 아니라 정보 속의 혹은 소비자로서의 인간이다. • 상업주의 이데올로기의 도구로 쓰이는

이종 응용 프로토콜 추상화 기술 이종 연동 브릿지/Femtocell AP 기술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변환 기술 QoS 보장/대역폭 가상화

산출 자료에

하얀 눈이 내려올 때면 온 세상이 물들을 때면 눈꽃이 피어나 또 빛이 나 눈이 부신 너처럼 Yeah girl you should know that That my heartbeats like Huh Huh Huh Huh From the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