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국 영화의 시작 (2)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중국 영화의 시작 (2)3"

Copied!
2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5) 1905년 임경풍(林景豊)이 <정군산(定軍山)>을 제작 - 중국인이 손수 만든 최초의 영화

- 경극의 명배우 담흠배(譚鑫培)의 <정군산> 공연실황을 영화화 한 것 6) 영화관

- 북경의 문명다원(1906년) - 홍콩의 비조영화원(1907년) - 상해의 홍구대희원(1908년) 1. 중국 영화의 시작

(2)

3. 발전시기(1935-1949)

1) 1930년대 중국영화의 발전배경 - 유성영화의 보급 기술혁신 - 서민계층의 확대 발전 2) 대표 감독

- 채초생(蔡楚生), 손유(孫瑜), 정보고(程步高), 비목(費穆), 원목지(袁牧之)

(3)

3) 좌익영화

㉠ 반외세와 반봉건을 주제로 한 영화

- 좌련이 제기한 문예대중화운동을 비롯한 좌익진영의 대중운동과 밀접한 관계

㉡ 중국사회가 직면한 민족적인 위기와 혁명의 분위기를 정면으로 묘사

3. 발전시기(1935-1949)

(4)

4) 상해영화

㉠ 1930년대는 중국 영화사상 상해영화의 황금기

- 상해는 근대적 산업과 투기 자본이 집중된 중국 최대의 근대도시 - 활력이 넘치는 진취적 도시

㉡ 상해영화는 상해라는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 - 상해일대는 독자적인 언어를 갖추고 있음 - 하나의 문화적 권역을 이루고 있음

- 滬劇(호극)은 상해일대의 전통적인 대중연예의 독특한 스타일을 대표

㉢ 상해 영화의 특징

- 현대적인 대중매체와 통속적인 정서를 결합시킨 독특한 스타일 만들어냄 - 중국영화의 영역을 확보하는데 성공

- 1930년대 상해 시민의 불안과 초조함을 해소시키는 장치 3. 발전시기(1935-1949)

(5)

- 1934년 ~ 11936년까지 이루어짐

1) 장정(長征)

- 섬북 연안에 근거지를 마련하기위해 2만5000㎞를 행군

- 1934년 10월 중국공산당의 ‘工農紅軍’이 국민당 정부의 포위 토벌공격 을 피함

- 홍군은 농민의 자원입대 등 전폭적인 지지를 받음 2) 연안의 영화계는 건국이후 중국영화의 재편성을 주도 3) 연안전영단(延安電影團)을 만듬

- 영화제작은 기록영화의 방향으로 나감

- 1942년 작 <생산과 전투의 결합(生産與戰鬪結合起來)>

4) 대표영화

- <중국인민의 승리(中國人民的勝利)>

- <해방된 중국(解放了的中國)>

- 1950년 중국공산당의 혁명과정과 팔로군의 활동 상황을 정리한 작품 2. 연안의 영화계

(6)

- <민주동북(民主東北)>

- <회해전보(淮海戰報)>

- <백만웅사하강남(百萬雄師下江南)>

3. 기록영화

- <다리(橋)>,

- <중화여아(中華女兒)>

- <백모녀(白毛女)>

- <신아녀영웅전(新兒女英雄傳)>

- 사회주의적 혁명영웅이라는 캐릭터를 중국 영화에 확립 4. 극영화

(7)

7. <무훈전(武訓傳)> 비판

3) 모택동의 <무훈전>비판

- 보편적인 중국의 전통적인 지배계층의 모습인 양 왜곡하고 있다고 비판 - 사회주의 혁명의 대의를 무시하고 나아가 중국의 혁명역사를 모독하고 있

다고 비판

- 문화예술인 48명의 이름을 공개적으로 거명, 자아비판과 숙청을 요구

4) 독특한 중국식 권력투쟁 방식의 전형을 창출해 준 사건

- 문화와 예술 차원의 논쟁이 정치적 논쟁의 수단으로 공공연히 이용되는 시발점

(8)

①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 50년대에 감독 - 좌우대립이 격화된 시기로

-대표 - 사진(謝晉), 사첨(謝添), 잠범(岑範), 수화(水華), 사철려(謝鐵驪), 최외 (崔嵬), 릉자풍(凌子風), 엄기주(嚴寄洲), 왕염(王炎), 이준(李俊), 노인(魯靭), 소리(蘇里), 왕가을(王家乙), 무조제(武兆堤), 황조모(黃祖模)․ 조환장(趙煥 章)

② 제3세대 “전형화”를 통해 실생활 속에서 전형화

③ 내용

- 新舊 사회의 대비

- 신민주주의 혁명과 사회주의 혁명의 시대 영웅을 반영 - 생활의 哲理를 제시

1. 제3세대 감독

(9)

④ 예술적으로는 문학의 내용과 희극구조의 결합

-선명한 주제․생동하는 인물․파란만장한 모순충돌을 추구

⑤ 제2세대와 차이

- 몽타즈(montage)를 폭넓게 사용

- 렌즈와 렌즈 사이의 조작 역량을 중시

- 주관적인 렌즈의 운용에 주의하여 사상의식을 강렬하게 주입

⑥ 1950년대에 활동했던 감독

-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과 사회주의 개조운동이 전개된 시기 - 회화적, 시적 정서가 넘치는 사실주의적 영화를 제작

1. 제3세대 감독

(10)

1. 개혁개방 이후의 중국영화

1. 제4세대 감독(1976-1983)

① 60년대에 영화학교와 학원에서 배양해낸 감독 - 예술적 재능은 주로 80년대에 비로소 발휘

- "학원파"라고 불림

② 주장

- 영화가 생활을 반영하는 잠재력을 끊임없이 개척 - 영화는 창조적이어야 함

- 영화의 새로운 관념을 운용해서 영화를 개조하고 발전시켜야 함 - "희극의 지팡이"를 버려야 함

- 發生 ․ 發展 ․ 激化 ․ 高潮를 거쳐서 결말에 이르는 희극구조의 양식의 모 순을 타파할 것을 제시

- 산문식의 구조보다 생활 자체에 접근해 있는 개방식의 구조를 제창

③ 영화의 담백하고 질박하며 자연스러운 풍격을 추구 - 사회와 인생의 哲理를 발굴하는 데 비교적 주의

- 감독의 주관의식을 직접적으로 관객에게 주입하는 것을 반대 - 관중의 상상과 사고를 격발시키기를 희망

(11)

1.개혁개방 이후의 중국영화

④ 특징

- 인물의 창조에 대해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함 - 주제의 표현은 단일한 것에서 다의적인 발전

- 풍격과 양식의 형성은 "대통일"에서 다양한 양식의 번영 - 이론이 있다면 실천이 있었고 구호가 있다면 성취도 있었음

⑤ 작품

- 「월남의 옛이야기(越南舊事)」․「오래된 우물(老井)」

- 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

⑥ 주제

- 멜로드라마로서의 연극적 효과를 중시한 멜로드라마 - 여성문제를 테마로 설정

(12)

3) 대표 영화

- <서광(曙光)>, <누흔(淚痕)>, <허무와 그의 딸들(許茂和他的女兒們)>

4) 대표 감독

- 오천명(吳天明), 황건중(黃建中), 오이궁(吳貽弓) - 사비(謝飛). 장난흔(張暖昕), 등문기(騰文驥)

5) 중앙집중적인 영화 제작 체제의 변화 - 지방분권적인 형태로 변화

- 영화잡지의 여러 종류의 출판 - 영화평론의 활발함

- 극영화에 대한 시상제도의 다양화 2. 1956년대 후반 자유화 정책의 재천명

(13)

1) 비판적인 시작의 작품

- <피는 뜨거운 것(血總是熱的)>, <대리시장(代理市長)>, <피고석 뒤에서(在被告後面)>

2) 문혁기간동안 비판 받던 작품

- <낙타상자(駱駝祥子)>, <차관(茶館)>, <자야(子夜)>

- <뇌우(雷雨)>, <일출(日出)>, <상처(傷逝)>

- 문혁기간 동안 走資派 작가들의 작품으로 몰려 비판을 당하였던 작품 - 등장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관객들에게 있는 그대로 제시

3. 1980년대의 중국영화

(14)

2. 제5세대 감독의 등장

1) 장군조(張軍釗)

- 1983년 북경에서 <한 개와 여덟 개(一個和八個)>시사회를 시작으로 제5세대 감독등장

- 진개가(陳凱歌)와 장예모(張藝謀)는 이 영화에서 촬영감독을 맡음 2) 진개가(陳凱歌)

- <황토지(黃土地)>를 통해서 외부세계에 제5세대 감독의 존재가 알려짐 - <황토지(黃土地)>는 서구세계에 소개되어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 수상 3) 기타 감독

- 전장장(田壯壯), 황건신(黃建新), 오자우(吳子牛), 장택명(張澤鳴)

(15)

1) 실험성이 강한 영화들을 일컬음

- 진개가(陳凱歌), 전장장(田壯壯), 황건신(黃建新)

- 오자우(吳子牛), 장택명(張澤鳴), 장예모(張藝謀), 강문(姜文)

2) 새로운 영화기법과 스타일을 모색함.

- <황토지>을 필두로 제작

-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의미가 풍부한 상징성을 담고 있는 화면을 지향 1) 중국의 현실에 대한 반성적 시각을 드러냄

- 은유적이고 암시적인 화면과 색채

2) 자신들의 비사회주의적 생각을 암시적으로 표출 - 진하고 강렬한 색채

3. 실험영화

(16)

1) 상업영화의 모색

- 1993년 진개가(陳凱歌)

- <패왕별희(覇王別戱)>를 통해 상업성과의 결합을 모색

2) 장예모 감독이 상업영화의 영역을 타진 - <상하이 트라이어드(搖啊搖,搖到外婆橋)>

- 1994년 프랑스의 UGC 영화사와의 합작을 함

3) 기타 작품

- 1994년 주효문(周曉文)의 <홍분(紅粉)>

- 1996년 진개가(陳凱歌)의 <풍월(風月)>

- 1997년 장예모(張藝謀)의 <할 말이 있으면 말로 해(有話好好說)>

4) 전장장(田壯壯)의 <푸른 연(藍風箏)>

- 1992년 정치적 박해를 무릅쓰고 공산당의 정책을 비판 한 작품 - 중국의 엄격한 검열제도에 도전

7. 향후 중국영화의 전망

(17)

1. 1990년대 이후 등장

1) 제6세대의 감독

- 張元, 王小師, 何一, 吳文光, 何建軍, 賈樟柯

- 경제적인 발전에 따르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짐 - 제5세대의 부정적인 역사관을 공격

- 급변하고 있는 중국사회의 혁신상을 예리하게 그려냄

- 카메라로 중국 사회를 관찰하며 민중의 마음속의 정서를 정직하게 분석

2) 6세대 감독들은 ‘6ㆍ4천안문 사태’로 지하활동을 펼침 - ‘7군자 사건’의 주인공

- 사회적 금기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전위적 언더그라운드적인 성격을 지님

3) 외국의 자본으로 영화를 만들기도 함.

- 제6세대 감독의 작품은 항상 제작비가 부족 - 대부분 사회적 금기의 범위를 지속적으로 탐구

(18)

1. 씨에진(謝晋)

① 제3세대의 대표 감독

② 중국영화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고리 역할을 함

③ 정치 이데올로기와 일치하는 의식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

④ “씨에진(謝晉) 스타일” 또는 “정치 멜로드라마”이라 부름

• 대표영화 :

-<천운산전기(天雲山傳奇)>

-<부용진(芙蓉鎭)(1986)>

-<아편전쟁>

(19)

① 제5세대 감독이 영화계에 뛰어든 시기와 동일

② 영화의 주요 모티브는 과거극복 -상흔문학 및 반사문학으로 표출

-예술과 학문의 자유와 탈이데올로기화에 대한 추구

③ 영화의 독립성과 리얼리즘을 구현

④ 다양한 영화기법 도입

- 인간의 내면세계를 표현과 의식의 흐름, 시공의 교차 1. 제 4세대 감독의 특징

(20)

⑤ 영화 언어의 현대화, 영화의 새로운 개념을 제기

⑥ 영화가 정치적 기능에 매몰되거나 문학과 무대예술에 종속되는 것을 거부

⑦ 과거에 대한 철저한 극복이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도외시 1. 제 4세대 감독의 특징

오이궁(吳貽弓) 오천명(吳天明) 황건중(黃建中) 사비(謝飛) 2. 감독

(21)

① 북경전영학원이 다시 문을 연 1978년 함께 입학한 동기생

② 유년시절과 청소년기에 대약진 운동이나 문화대혁명을 겪으며 성장

③ 대학에서 주로 동구권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미학과 양식을 공부

④ 다양한 영화교육을 받아 독자적이고 다양한 표현양식을 창출

⑤제5세대 감독들의 비판적이고 개혁적인 시각은 은유와 상징으로 표출됨.

⑥독특한 색채와 공간구성을 통해 영화의 중심을 이미지와 자연으로 옮겨감 3. 감독의 특징

(22)

⑦전통문화에 대한 집요한 추구와 중국의 전근대성에 대한 솔직한 폭로 - <황토지(黃土地)>: 황하와 황토의 이미지

- <현 위의 인생(邊走邊唱)>: 음유시인 - <패황별희(覇王別戱)>: 경극

- <붉은 수수밭(紅高粱)> : 술도가와 혼례의식 - <국두(菊豆)>: 염색공장과 장례의식

- <인생(活着)> : 그림자극 3. 감독의 특징

(23)

① “천안문세대”로 불리는 젊은 감독장

② 정치적 경제적 이중고를 겪음 - 1990년대 이후 영화산업의 위축

- 당국의 편파적 지원으로 인한 영화 제작자나 투자가를 스스로 찾아야 함 - 당국의 허가없이 영화를 제작하여 중국 국내에서는 상영이 금지되는

경우도 많았음.

③ 도시 리얼리즘으로 특징지워짐

- 작품의 배경을 1990년대 중국의 도시로 가져옮 1. 감독의 특징

(24)

2. 장원(張元)

① <어머니(媽媽):1990>와 <북경 녀석들(北京雜種):1993>

② 중국의 억압적 사회체제에 맞선 작품 - <광장(廣場)>(1995), <아들(兒子)>(1995),

- <동궁서궁(東宮西宮)>(1996), <17년 후>(1999)

③ 다큐멘터리 기법을 영화에 도입

- 오문광(吳文光)의 <1966~나의 홍위병시대(1966~我的紅衛兵時代)>식의 제6 세대 영화의 새로운 형식

(25)

① 제5세대 감독 : 중국영화를 대표 장예모 감독 : 제5세대 감독을 대표

② 영화의 진정한 가치

- 현대 중국을 이해하고 그 문제점과 전망에 대한 통찰을 갖게 한다는 점

③ 다층적인 메시지가 담겨 있음 - 인류 보편의 원초적 감동을 전함 - 솔직한 성찰과 분석이 반영

④ 장예모 감독의 영화에 대한 이해는 다면적

- 절묘한 알레고리(allegorie)가 그의 작품의 전체를 지배하고 있기 때문 1. 제5세대와 장예모

(26)

1) 북경영화학교(北京電影學院) 출신이 중심

2) 세계 유수 영화제의 상을 휩씀

- 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베르린 영화제 - 국제적으로 큰 주목과 찬사를 받기 시작

3) 중국 내에서는 대중들에게 쉽사리 다가가지 못함 - 폐쇄적인 사회 분위기

- 정부의 검열 1. 제5세대와 장예모

(27)

2. 장예모

- 제5세대 감독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짐

- 찬사와 비판의 교차점에 서 있는 대표적인 인물

1) 초기 작품

- <붉은 수수밭(紅高粱)>이나 <국두(菊豆)>, <홍등(大紅燈籠高高卦)>

- 제5세대가 가지고 있었던 전형적인 경향

- 문화대혁명 시기 정신적 상처와 피해의식을 감성의 원천으로 삼음 - 주관적이고 감각적이며 과장된 형태의 이미지로 표출

2) 객관적인 역사와 현실에 대해 대화를 시도 - <귀주이야기(秋菊打官司)>와 <인생(活着)>

- 우회적이고 상투적인 표현방식에 의존

3) 작품세계의 변화

- <책상서랍 속의 동화(一個都不能少)>, <집으로 가는 길(我的父親母親)>

- <할말 있으면 말로 해(有話好好說)>

(28)

* 장예모의 작품들에 대해서 잘 파악하세요..

1. 제5세대로서의 장예모의 작품 1) <붉은 수수밭>

2) <국두(菊豆)>

3) <홍등(大紅燈籠高高卦)>

2. 창작 경향의 전환점으로서 작품 1) <귀주이야기>

2) <인생>

3. 제5세대를 넘어선 문제제기

1) <할 말 있으면 말로 해(有話好好說)> (1997년) 2) <책상서랍 속의 동화(一個都不能少)>

3) <집으로 가는 길(我的父親母親)>

참조

관련 문서

멘토링 과정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지일관 자신 감과참을성을 가지고 끈질기게 멘토링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된 멘토링에 진지하고 헌신적으로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약국은 당초 수집 목적과 합리적으로 관련된 범위에서 정보주체에게 불이익이 발생하는지 여부, 암호화 등 안전성 확보에 필요한 조치를 하였는지 여부 등을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

15) 세광음악출판사

[r]

자석 팽이는 볼록한 두 부분에는 고리 자석이 들어 있고, 받침대에는 팽이의 고 리 자석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자석이 네 개 들어 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