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축(丑)

문서에서 중국 문학 (페이지 34-50)

경극의 소개

6. 경극 형성기의 명배우

도광(道光) 초년까지 단(旦) 중심-> 도광 후기에 노생(老生)중심으로 바꿈

1) 경극을 완성시키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배우

- 노생삼걸(老生三杰) : 정장경(程長庚), 장이규(張二奎), 여삼승(余三勝) - 삼정갑(三鼎甲)이라고 부름

2) 전성기의 명배우

- 1920년대에 “4대명단”이 출현하면서 단 중심으로 돌아옴 - 4대 명단 : 매란방(梅蘭芳), 정연추(程硯秋),

순혜생(荀慧生), 상소운(尙小雲)

경극의 소개

1. 검보(臉譜)

1) 얼굴에 색칠한 분장법을 말함

2) 극중 인물의 성격과 신분을 나타냄 3) 소면(素面)과 도면(塗面)으로 나눔 4) 소면(素面)

- 생(生)과 단(旦)의 화장법

- 결면(潔面) : 현란한 색채를 쓰지 않아 깨끗한 얼굴이란 뜻 - 준분(俊扮) : 얼굴이 대부분 준수한 청년 남녀

- 살색과 분홍색을 사용

- 눈썹은 검정색으로 매우 진하고 양쪽 끝이 올라감 - 노생(老生)과 노단(老旦)은 아무런 화장을 하지 않음

경극의 소개

5) 도면(塗面)

- 화면(花面) : 여러 가지 색깔로 여러 가지 무늬를 그린다는 뜻 - 정(淨)과 축(丑)의 화장법

- 극중 인물의 독특한 성격과 신분을 잘 드러냄.

- 얼굴형은 18가지, 색채는 13가지로 나눔

* 18가지의 검보 얼굴형에 대해서는 참고만 하시기 바람니다..

1. 검보(臉譜)

검보의 특징

1. 검보의 색깔별 특징

- 성격과 인품, 배역과 운명을 결정, - 선악충간(善惡忠奸)을 가려내는 상징

- 얼굴모양과 색깔로 신분과 성격의 대강을 표현

- 화려한 머리장식과 복장 등은 모두 경극의 독특한 특징 1. 붉은색 계열의 얼굴 : 홍색검, 분홍검 , 자색검 ,자색검 2. 검은색 계열의 얼굴:흑색검(黑色臉) ,회색검(灰色臉) 3. 푸른색과 녹색 계열의 얼굴: 남색검, 녹색검,청색검

4. 황색과 백색 계열의 얼굴:유백검(油白臉) ,황색검(黃色臉) 5. 금색과 은색 계열의얼굴: 금색검(金色臉), 은색검(銀色臉)

8. 모자

1) 회두(盔頭) : 관(冠) ㆍ회(盔) ㆍ건(巾) ㆍ모(帽) - 관 : 제왕과 귀족의 예모이고, 회는 무인들이 씀.

- 모 : 관리들의 공식 의상으로 양쪽에 날개가 달려 있음.

- 건 : 편복으로서 날개는 없고 뒤로 표대를 드림.

2) 여성은 두면(頭面)으로 머리를 장식.

경극의 의상과 도구

10. 수염

1) 염구공(髥口功)이라 부름.

2) 검정ㆍ회색ㆍ흰색으로 인물의 나이를 구분

3) 홍색ㆍ자색ㆍ남색 등은 성격이 포학한 인물이나 귀신에 씀 4) 수염의 종류

- 만염(滿髥) : 길이는 한 자 반 정도이며, 입을 덮어 가림.

정(淨)과 생(生)의 정면인물과 반면인물이 사용함.

- 삼염(三髥) : 얇고 세 가닥으로 나뉘어 있음.

생(生)이 분장하는 문인과 무인이 많이 씀.

- 찰염(札髥) : 만염에 구멍을 만들어 입이 드러나도록 만듬.

정(淨)이 주로 사용함.

경극의 의상과 도구

정식화된 연기

1) 양상(亮相) 2) 삼소(三笑) 3) 알문(挖門) 4) 과장(過場) 5) 참문(站門)

6) 이룡출수(二龍出水) 7) 쟁마(趟馬)

8) 주변(走邊)

연극의 출현

③ 양계초

- 극양식 도입의 선구자

- 극양식을 계몽적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응용

- 곤곡<신로마>는 새로운 극양식의 대두를 시사한 작품

④ 극양식의 소재변화

- 각 나라의 독립운동(쿠바, 그리스)

- 청일전쟁, 프랑스의 성공적인 인도차이나 침략 - 여성해방운동, 여성열사에 대한 추모

- 전족과 변발 반대, 의화단에 대한 지지 1. 출현

연극의 출현

3. 문명희(文明戱)

① 1910년대에 대두하였던 새로운 연극의 명칭

- 서구식 연극의 영향을 받아 조직된 단체에 의해 공연 - 단체 : 춘류사(椿柳社), 계명사(啓明社)

② 새로운 서구식 연극을 소개

- 관객들에게 구어체 대사를 중심으로 공연

③ 중국인들에게 애국심과 신문명에 대한 관심을 신파적 스타일로 보여줌.

④ 한계점

- 정확하게 기록된 대본을 갖고 있지 않음.

- 대사는 배우 개개인의 재량에 맡겨졌음

연극의 정착

④ 조우(曹禺)의 〈雷雨(뇌우)〉

- 조우는 서구 연극의 영향을 잘 반영한 작가 -〈雷雨(뇌우)〉: 1933년 발표

- 부유하고 타락한 광산주와 배 다른 두 아들과 딸, 전처와 후처 사이에 벌어지는 배신과 근친상간의 비극

3. 혁명문학기의 연극

연극의 정착

4. 항일문학기의 연극

① 항전문학(抗戰文學)이라고 함

- 1937년 제2차 국공합작의 성립과 중일전쟁의 발발 이후의 문단

② 중화전국희극계항적협회(中華全國戱劇界抗敵協會)를 결성 - 애국적인 항전극의 유포 노력

- 농민과 접촉하게 됨

- 작가들은 서구연극의 영향권에서 연극의 중국화라는 문제를 고민

연극의 정착

④ 신가극(新歌劇)의 등장

- 서구적인 연극 구성방식과 중국 전통희곡, 전통음악의 조화 - 중국현실을 다루고 있고 구어체 대화가 많이 사용

- 노래와 운문이 많이 들어있음.

⑤ 〈백모녀(白毛女)〉

- 신가극의 대표작

- 노신예술학원(魯迅藝術學院) 학생들이 집체창작을 통해 만든 작품 4. 항일문학기의 연극

2. 대표 작가와 정치적 강령사이의 갈등관계

① 노사(老舍) :

- 대표작 : <용수구(龍須溝)> 〈차관(茶館)〉, 〈전가복(全家福)〉

- 정치적 강령준수 문제로 비판을 당하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

② 조우(曹禺)

- 대표작 : 〈맑은 날(明朗的天)〉, 〈담검편(膽劍篇)〉

- 강령에 대한 비협조적 태도로 문혁 때 비판당하고 고초를 당함

③ 곽말약(郭沫若)

- 고대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재해석을 내용으로 한 극본 발표 - 정치적 강령과 자신의 문학활동을 적절히 조절

신중국 이후 연극

3. 연안문예강화(延安文藝講話)

①《연안(延安) 문예좌담회에서의 강화》의 약칭

② 1942년 연안정풍운동(延安整風運動)의 모택동의 모두(冒頭)발언과 결론을 모은 것

③ 항일변구(抗日邊區) 및 신중국 문예운동과 지식인 사상개조운동의 기본문헌

④ 핵심 내용

- 文學은 노동자ㆍ농민ㆍ병사를 위하여 봉사하고, 無産階級政治를 위하여 봉사해야 한다”

⑤ <문화대혁명> 때의 지식인 박해·문화 부정의 극좌노선으로 나아감.

⑥ 사회주의 현실주의 원칙을 극작가들에게도 채택하도록 함 - 항일전쟁, 한국전쟁, 철도건설, 농촌생활, 사회변혁

⑦ 하연(夏衍)의 〈시련(試鍊)〉(1954년)

- 공산당의 강령적 요구를 수용하면서 문학적 수준을 동시에 확보한 작품

신중국 이후 연극

⑥ <홍군여대(紅軍女隊)>

- 여군부대의 이야기를 과장적으로 묘사한 무극(舞劇)

⑦〈백모녀〉개작본

- 문혁기의 극적 상황을 집약적으로 보여준 작품

- 줄거리를 훨씬 단순화시켜, 선인과 악인을 양분시켜 구분 - 인민 해방군의 역할을 훨씬 증대시킴

- 등장인물의 수를 많이 늘림

- 기본적으로 서구와 소련의 발레 안무방식을 이용 - 중국식 춤 + 서양식 합창을 결합

- 서양 악기 + 중국 악기를 함께 섞여 규모가 거대한 오케스트라로 반주 - 예술적 표현과 정치적 주제를 결합

⑧ 신극은 중국문화를 대표하는 모범적인 문화 산물로 선전

신중국 이후 연극

4. 문화대혁명기(文革)의 연극

문서에서 중국 문학 (페이지 34-5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