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장 부분 분수에 의한 역변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3장 부분 분수에 의한 역변환"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3장 부분 분수에 의한 역변환



   

  

  

 ⋯  

    

  : 외부작용함수(forcing function) 부분분수(Partial Fractions)

예제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  

식(3.1)의 양변에 s를 곱하고   으로 두면

  

  

  



,  

마찬가지로 식(3.1)의 양변에   곱하고   로 두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예제 3.2 Laplace 변환과 고전적인 방법의 비교



  

 

     

   ,    ,  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에 s를 곱한 다음   

 

  

   

마찬가지로 다른 상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전적인 미분

특성방정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충해(complementary solution) 외부작용함수를 보면

    

   

초기조건 적용하여  결정

주목할 점

1. 두 방식 모두 특성 방정식의 근을 구해야 함. 이 근들은 외부 작용 함수와는 관계없는 형태의 항 들을 추가해 준다. 이 항들이 보충해(complementary solution)를 이룬다.

2. 외부 작용 함수 때문에 추가되는 항들은 외부 작용 함수에 의존하지만 식의 좌변에는 무관한 형태 를 갖는다. 이 항들이 특이해(particular solution)를 구성한다.

3. 항들로 구성되는 이러한 두 개의 집합들, 즉 미분 방정식의 우변과 좌변은 관계되는 상수들을 구 할 때에 서로 연관된다.

4. 초기 조건들의 유일한 효용은 상수 값들을 구하는 데 있다.

(3)

예제 3.3

복소수를 포함하는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양변에 곱하고    ,  

    

  

양변에     곱하고      ,  

    

  

   

양변에     곱하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를 이용하면   cos   sin

   cos   sin    cos   sin

     cos  sin

→유도

복소수가 포함되는 경우의 일반화

의 복소수항은 가 실수 함수이므로 공액복소수(complex conjugate number)로 존재

   

     ~ conjugate of Z 공액복소수근이 존재하면

        



부분적분

 

   

 

    

 

(3.10)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 (3.10)의 좌변이 모든 실수 s에 대해 실수이므로 우변도 모든 실수 s에 대해 실수이어야 함.

→ 이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우변의 두 항들이 서로 공액복소수가 되는 것.

분모가 공액관계이므로 분자도 공액관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1)

복소수근항의 역변환

       

  cos   sin 이용하면

 cos  sin (3.12) 식(3.8), (3.11) & 

   

로부터

 

 ,  

 ,   ,    또는

 

 ,  

 ,    ,   

∴  cos  sin

(5)

예제 3.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식(3.11)에 대응시키면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 

 cos  

 sin

  

  

 cos  

 sin

check! 미분방정식과 경계조건 만족여부, B대신 C에 대응하여 같은 결과를 얻는지

2차항을 이용하는 다른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in →

    

, 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sin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3.19)

예제 3.5

     

  

     

 

근의공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3.19) 이용

  

 

cos  

 sin 

(7)

예제 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20)

양변에 × ,    →  

×   ,    →  

A, B를 (3.20)에 대입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방 및 초기조건 만족하는지 확인

일반화

의 분모에    의 인자가 들어 있으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참조

관련 문서

Measurement device: Continuity test; test current up to 0,1A (option 3A), resistance from 10mOhm Insulation measurement; test voltage up to 750V, resistance up to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

[r]

제7조(의견 수렴) ① 학사단위구조개편을 희망하는 학사단위는 소속교원의 회의록을 첨부하여 학 사단위구조개편 신청서를 기획처장에게 공문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②

제4조(조직 및 기능) 사업단에 4IR교육혁신센터, 창의인력양성센터, 현장실습지원센터, 기업지원센 터, 사회적경제협업센터, 창업교육센터, LINC+혁신선도대학사업단, LINC+사업팀을

[참고] 유선에 따른 압력분포는 위

(Drive Line

▪ 화폐의 정치∙경제적 중요성의 확대로 귀금속=국부의 인식이 나타남에 따라 무역정책의 목표를 귀금속의 획득을 위한 商圈 확장에 두었고, 그 방법으로 수입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