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1장 행태경제이론 제21장 행태경제이론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21장 행태경제이론 제21장 행태경제이론"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21장 행태경제이론 제21장 행태경제이론

이 기 성

이 기 성

(2)

l 행태경제이론(behavioral economics) l 행태경제이론(behavioral economics)

u 행태경제이론의 개요 u 행태경제이론의 개요

è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은 모든 경제주체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함.

è 현실 경제에서 사람들의 행태는 이기심(self-interest)과 합리성(rationality) 가정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

è 행태경제이론(behavioral economics)은 현실 경제 에서 사람들의 행태를 직접 관찰한 결과에 기초해서 전통적인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이 과연 현실 경제를 제대로 설명해 주고 있는지 검증해 보아야 한다는 입장으로부터 출발함.

è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은 모든 경제주체가 이기적이고 합리적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함.

è 현실 경제에서 사람들의 행태는 이기심(self-interest)과 합리성(rationality) 가정과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

è 행태경제이론(behavioral economics)은 현실 경제 에서 사람들의 행태를 직접 관찰한 결과에 기초해서 전통적인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이 과연 현실 경제를 제대로 설명해 주고 있는지 검증해 보아야 한다는 입장으로부터 출발함.

(3)

l 행태경제이론의 배경 설명 l 행태경제이론의 배경 설명

u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의 가정 u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의 가정

è 모든 경제주체는 이기심과 합리성을 지닌 경제인 (homo economicus)으로 가정함.

è 모든 경제주체는 이기심과 합리성을 지닌 경제인 (homo economicus)으로 가정함.

u 신고전학파 가정의 근거 u 신고전학파 가정의 근거

è 현실과의 부합 여부와 상관없이 이기심과 합리성의 가정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가정이 될 수 있다고 믿음(® 믿음차원에서 도입).

è 경제주체의 이타적이거나 비합리적 행동은 예외적인 현상일 뿐이고 현실 경제를 움직이는 힘은 이기심과 합리성이라 믿음.

è 현실과의 부합 여부와 상관없이 이기심과 합리성의 가정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가정이 될 수 있다고 믿음(® 믿음차원에서 도입).

è 경제주체의 이타적이거나 비합리적 행동은 예외적인 현상일 뿐이고 현실 경제를 움직이는 힘은 이기심과 합리성이라 믿음.

(4)

l 행태경제이론의 배경 설명 l 행태경제이론의 배경 설명

u 행태경제이론 (behavioral economics)의 등장 u 행태경제이론 (behavioral economics)의 등장

è 초기의 행태경제학적 연구는 심리학적 실험 결과나 현실 경제의 특이현상(anomaly)에 초점을 맞춤.

è 사이먼(H. Simon, 1955)은 현실 여건상 인간이 무제한적 합리성을 추구할 수 없음을 지적하면서 전통적 경제이론에 반기

- 인식능력과 정보, 그리고 지식의 현실적 한계로 제한된 합리성 제시

è 행태경제이론의 본격적인 발전은 심리학자인 트버스키 (A. Tversky)와 카네만(D. Kahneman)의 공로가 큼.

è 초기의 행태경제학적 연구는 심리학적 실험 결과나 현실 경제의 특이현상(anomaly)에 초점을 맞춤.

è 사이먼(H. Simon, 1955)은 현실 여건상 인간이 무제한적 합리성을 추구할 수 없음을 지적하면서 전통적 경제이론에 반기

- 인식능력과 정보, 그리고 지식의 현실적 한계로 제한된 합리성 제시

è 행태경제이론의 본격적인 발전은 심리학자인 트버스키 (A. Tversky)와 카네만(D. Kahneman)의 공로가 큼.

(5)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합리성과 이기심의 가정 u 합리성과 이기심의 가정

è 행태경제이론은 전통적인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의 기본 가정 또는 기본 분석 틀의 재검토에서 출발함.

è 휴리스틱(heuristics) : 주먹구구 판단과 의사결정방식 - 예를 들어 중년층의 심장마비 발병위험을 평가할 때 객관적 통계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알고 있는 사람 중 심장마비가 발병한 사례를 기억에 떠올리고 판단을 내림(가용성 편향; availability

bias).

è 행태경제이론은 전통적인 신고전학파 경제이론의 기본 가정 또는 기본 분석 틀의 재검토에서 출발함.

è 휴리스틱(heuristics) : 주먹구구 판단과 의사결정방식 - 예를 들어 중년층의 심장마비 발병위험을 평가할 때 객관적 통계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들이 알고 있는 사람 중 심장마비가 발병한 사례를 기억에 떠올리고 판단을 내림(가용성 편향; availability

bias).

(6)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합리성과 이기심의 가정 u 합리성과 이기심의 가정

è 인식의 편향(cognitive bias)

- 인간이 주변 상황을 인식할 때 엄격한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특정한 편향을 보임.

- 여기서 편향이란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것을 말함.

è 이타적 행동

- 심리학적 실험 결과,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남이 얼마만큼 이익을 차지하는 지에도 관심을 보임.

- 최후통첩게임/공공재게임 è 인식의 편향(cognitive bias)

- 인간이 주변 상황을 인식할 때 엄격한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고 특정한 편향을 보임.

- 여기서 편향이란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것을 말함.

è 이타적 행동

- 심리학적 실험 결과,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남이 얼마만큼 이익을 차지하는 지에도 관심을 보임.

- 최후통첩게임/공공재게임

(7)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è 전통적 경제이론인 소비자선택이론에서 소비자는 잘 정의되고 안정적 선호체계를 보유했다는 전제로 출발함.

è 부존효과(endowment effect)

- 어떤 물건을 소유하는 사람이 그것을 포기하기 싫어 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

- 동일한 상품인데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팔 때 받으려는 금액(willingness-to-accept: WTA)과 소유하지 않은 상황에서 살 때 지불하려는 금액(willingness-to-pay : WTP) 간 차이의 결과

è 전통적 경제이론인 소비자선택이론에서 소비자는 잘 정의되고 안정적 선호체계를 보유했다는 전제로 출발함.

è 부존효과(endowment effect)

- 어떤 물건을 소유하는 사람이 그것을 포기하기 싫어 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효과

- 동일한 상품인데도 소유하고 있는 것을 팔 때 받으려는 금액(willingness-to-accept: WTA)과 소유하지 않은 상황에서 살 때 지불하려는 금액(willingness-to-pay : WTP) 간 차이의 결과

(8)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 부존효과가 존재한다면, WTA>WTP임.

왜냐하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포기하기 싫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가격을 받아야 만 팔겠다는 태도를 취하기 때문임.

- 부존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은 동일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방향으로 교환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선호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함.

® 무차별곡선의 가역성(reversibility) 조건이 깨짐.

- 비가역성(non-reversibility) 현상 :

한계대체율을 어느 방향에서 재느냐에 따라 달라짐. - 부존효과가 존재한다면, WTA>WTP임.

왜냐하면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을 포기하기 싫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가격을 받아야 만 팔겠다는 태도를 취하기 때문임.

- 부존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은 동일한 사람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방향으로 교환이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선호가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함.

® 무차별곡선의 가역성(reversibility) 조건이 깨짐.

- 비가역성(non-reversibility) 현상 :

한계대체율을 어느 방향에서 재느냐에 따라 달라짐.

(9)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è 틀짜기효과(framing effect)

- 사람들은 의사결정시 특정한 ‘결정 틀’(decision frame)을 사용함.

- 예를 들어 월급을 받지 못하게 된 상황을 경우에 따라 이득이 감소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고, 손실이 증가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음.

따라서 인식의 틀이 바뀜에 따라 의사결정을 바꾸게 됨.

è 틀짜기효과(framing effect)

- 사람들은 의사결정시 특정한 ‘결정 틀’(decision frame)을 사용함.

- 예를 들어 월급을 받지 못하게 된 상황을 경우에 따라 이득이 감소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고, 손실이 증가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음.

따라서 인식의 틀이 바뀜에 따라 의사결정을 바꾸게 됨.

(10)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u 소비자 선호체계의 성격

è 심적 회계방식(mental accounting)

- 사람들은 마음 속에 여러 개의 계정(accounts)들을 설정하고 있음(R. Thaler).

- 예를 들어 복권에 당첨되거나 노름에서 딴 돈을 정상적인 수익과 다른 계정이라고 봄.

- 또한 지출측면에서도 생활비에 쓸 돈과 오락비와 휴가비에 쓸 돈을 구분함.

è 심적 회계방식(mental accounting)

- 사람들은 마음 속에 여러 개의 계정(accounts)들을 설정하고 있음(R. Thaler).

- 예를 들어 복권에 당첨되거나 노름에서 딴 돈을 정상적인 수익과 다른 계정이라고 봄.

- 또한 지출측면에서도 생활비에 쓸 돈과 오락비와 휴가비에 쓸 돈을 구분함.

(11)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기대효용이론의 현실설명력 u 기대효용이론의 현실설명력

è 전통적인 경제이론에서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대효용(expected utility)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선택행위를 함.

è 알레의 역설(Allais’ paradox)

- 알레(M. Allais)에 의하면 기대효용이론은 실제 상황 에서 사람들의 선택행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분석 수단이 될 수 없음.

- 알레는 현실에서의 선택행위를 관찰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 이론의 현실설명력을 재검토함. è 전통적인 경제이론에서 사람들은 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기대효용(expected utility)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선택행위를 함.

è 알레의 역설(Allais’ paradox)

- 알레(M. Allais)에 의하면 기대효용이론은 실제 상황 에서 사람들의 선택행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분석 수단이 될 수 없음.

- 알레는 현실에서의 선택행위를 관찰한 결과에 기초하여 기존 이론의 현실설명력을 재검토함.

(12)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l 전통적 경제이론의 문제점

u 기대효용이론의 현실설명력 u 기대효용이론의 현실설명력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 논의 - 사람들은 최종적인 결과가 아니라 변화(change)에

주로 관심을 가짐.

- 평가의 기준이 되는 점인 준거점(point of reference)을 설정하고, 여기에 비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심의 초점을 둠.

- 동일한 절대적 크기라고 할 때 이득이 생겼을 때의 효용 증가폭보다 손실이 생겼을 때의 효용 감소폭이 더 크다고 인식함, 즉 손실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손실기피적 태도; loss adverse attitude)함.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 논의 - 사람들은 최종적인 결과가 아니라 변화(change)에

주로 관심을 가짐.

- 평가의 기준이 되는 점인 준거점(point of reference)을 설정하고, 여기에 비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관심의 초점을 둠.

- 동일한 절대적 크기라고 할 때 이득이 생겼을 때의 효용 증가폭보다 손실이 생겼을 때의 효용 감소폭이 더 크다고 인식함, 즉 손실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반응(손실기피적 태도; loss adverse attitude)함.

(13)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u 전망이론의 배경 설명 u 전망이론의 배경 설명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는

기대효용이론이 현실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를 제대로 설명해 주지 못함을 지적하고 대안으로 전망이론이란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

- 여기서 전망(prospect)이란 기대효용이론에서의 복권(lottery)과 비슷한 뜻을 가짐(여러 복권간의 선택은 전망간의 선택).

- (x1,p1; ∙∙∙;xn,pn)로 표현된 전망은 pi의 확률로 xi라는 결과를 가져다 주는 계약을 의미(단 p1+p2+∙∙∙+pn=1 임).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는

기대효용이론이 현실의 불확실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를 제대로 설명해 주지 못함을 지적하고 대안으로 전망이론이란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시

- 여기서 전망(prospect)이란 기대효용이론에서의 복권(lottery)과 비슷한 뜻을 가짐(여러 복권간의 선택은 전망간의 선택).

- (x1,p1; ∙∙∙;xn,pn)로 표현된 전망은 pi의 확률로 xi라는 결과를 가져다 주는 계약을 의미(단 p1+p2+∙∙∙+pn=1 임).

(14)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의 실험 결과 밝혀진 특이현상(anomaly)

1) 확실성효과(certainty effect)

사람들은 확실한 결과에 대해 이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

- 여기서 이례적이란 기대효용이론에서 볼 때 이해 하기 힘든 높은 가중치임.

è 카네만(D. Kahneman)과 트버스키(A. Tversky)의 실험 결과 밝혀진 특이현상(anomaly)

1) 확실성효과(certainty effect)

사람들은 확실한 결과에 대해 이례적으로 높은 가중치를 부여함.

- 여기서 이례적이란 기대효용이론에서 볼 때 이해 하기 힘든 높은 가중치임.

(15)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2) 반사효과(reflection effect)

절대금액은 같지만 부호만 반대인 상황과 관련된 사람들의 선택행위에서 하나가 다른 것의 거울상 (mirror image)에 해당하는 특성

- ① 확실하게 300만원을 얻는 경우와

② 0.8의 확률로 400만원을 얻는 경우의 선택

® ①을 더욱 선호(이득에 관해서는 위험기피적) - ① 확실하게 300만원을 잃는 경우와

② 0.8의 확률로 400만원을 잃는 경우의 선택

® ②를 더욱 선호(손실에 관해서는 위험선호적) 2) 반사효과(reflection effect)

절대금액은 같지만 부호만 반대인 상황과 관련된 사람들의 선택행위에서 하나가 다른 것의 거울상 (mirror image)에 해당하는 특성

- ① 확실하게 300만원을 얻는 경우와

② 0.8의 확률로 400만원을 얻는 경우의 선택

® ①을 더욱 선호(이득에 관해서는 위험기피적) - ① 확실하게 300만원을 잃는 경우와

② 0.8의 확률로 400만원을 잃는 경우의 선택

® ②를 더욱 선호(손실에 관해서는 위험선호적)

(16)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3) 위험에 대한 태도의 양상

- 이득에 관해서는 위험기피적, 손실에 관해서는 위험선호적인 경우 중간에서 높은 정도의 확률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현상

- 반대로 확률이 낮은 경우에는 이득은 위험선호적, 손실은 위험기피적인 태도가 나타남.

3) 위험에 대한 태도의 양상

- 이득에 관해서는 위험기피적, 손실에 관해서는 위험선호적인 경우 중간에서 높은 정도의 확률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현상

- 반대로 확률이 낮은 경우에는 이득은 위험선호적, 손실은 위험기피적인 태도가 나타남.

위험에 대한 태도의 4가지 양상

낮은 확률 중간에서 높은 정도의 확률

이 득 위험선호적 위험기피적

손 실 위험기피적 위험선호적

(17)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l 전망이론(prospect theory)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u 불확실성하의 선택과 관련해 나타나는 특이현상

- 예를 들어 당첨될 확률이 지극히 낮은 복권을

기꺼이 구입하는 행위에서 위험선호적인 태도를 관찰할 수 있음.

- 반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사고에 대비하여 보험에 가입하는 행위는 위험기피적인 태도를

반영함.

- 사람들이 효용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최종적인 재산 크기가 아니라 재산의 변화폭임. 즉, 사람들이 선택상황에서 관심의 초점은 현재 상황에서

얼마만큼의 이득이나 손실이 발생하느냐에 있음. - 예를 들어 당첨될 확률이 지극히 낮은 복권을

기꺼이 구입하는 행위에서 위험선호적인 태도를 관찰할 수 있음.

- 반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사고에 대비하여 보험에 가입하는 행위는 위험기피적인 태도를

반영함.

- 사람들이 효용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은 최종적인 재산 크기가 아니라 재산의 변화폭임. 즉, 사람들이 선택상황에서 관심의 초점은 현재 상황에서

얼마만큼의 이득이나 손실이 발생하느냐에 있음.

(18)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행태게임이론의 배경 설명 u 행태게임이론의 배경 설명

è 전통적인 게임이론에서 기본가정 역시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는 동시에 자신의 이익을 합리적 으로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봄.

è 이러한 가정이 현실과 얼마나 부합되는가에 대해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는 영역의 문제임.

è 최근 들어 실험적인 게임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를 관찰, 분석한 결과를 보면 기존의 이론적 분석 틀만 가지고는 사람들의 행태를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음.

è 전통적인 게임이론에서 기본가정 역시 인간은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는 동시에 자신의 이익을 합리적 으로 추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고 봄.

è 이러한 가정이 현실과 얼마나 부합되는가에 대해서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없는 영역의 문제임.

è 최근 들어 실험적인 게임 상황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를 관찰, 분석한 결과를 보면 기존의 이론적 분석 틀만 가지고는 사람들의 행태를 만족스럽게 설명할 수 없음.

(19)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è 최후통첩게임은 사람들이 언제나 자신의 이익만을 근시안적으로 추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

- ‘싫으면 말고’(take-it-or leave-it) 식의 제안

- 이 게임의 특성은 다른 한 사람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그 방식대로 나눠 갖는 한편, 받아들이지 않으면 두 사람 모두 아무 것도 얻지 못하는 상황임.

è 이와 같은 게임의 구조는 두 사람 간에 자신의 이득을 어느 정도까지 추구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함.

è 최후통첩게임은 사람들이 언제나 자신의 이익만을 근시안적으로 추구하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실시

- ‘싫으면 말고’(take-it-or leave-it) 식의 제안

- 이 게임의 특성은 다른 한 사람이 제안을 받아들이면 그 방식대로 나눠 갖는 한편, 받아들이지 않으면 두 사람 모두 아무 것도 얻지 못하는 상황임.

è 이와 같은 게임의 구조는 두 사람 간에 자신의 이득을 어느 정도까지 추구하는지 검증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함.

(20)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è 게임의 결과, 전통적 분석방법에 의하면 게임에 참여 하는 사람이 모두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경우, 제의에 대해 답하는 사람은 가장 적은 금액의 제의도 수락함. è 실제 게임의 결과,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는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는다는 가정하에서의 예상과 크게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함.

- 많은 사람들의 경우 상대방에게 40% 이상의 몫을 제의하는 관대함을 보이며, 또한 제안을 받아 들이는 사람도 대개 자신의 몫이 20%가 안 되는 경우에는 제의를 거부함.

è 게임의 결과, 전통적 분석방법에 의하면 게임에 참여 하는 사람이 모두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경우, 제의에 대해 답하는 사람은 가장 적은 금액의 제의도 수락함. è 실제 게임의 결과, 사람들이 보이는 행태는 자신의

이익에만 관심을 갖는다는 가정하에서의 예상과 크게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함.

- 많은 사람들의 경우 상대방에게 40% 이상의 몫을 제의하는 관대함을 보이며, 또한 제안을 받아 들이는 사람도 대개 자신의 몫이 20%가 안 되는 경우에는 제의를 거부함.

(21)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u 최후통첩게임 (ultimatum game)

è 이는 자신이 갖고 있는 유리한 입장을 활용하여 과도 하게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데 대한 거부감의 표현이며, 어떤 것이 바람직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공정성(fairness)에 대한 고려가 중요 역할을 한다는 의미임.

è 결론적으로 사람들은 근시안적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가 상당히 일반성을

지님.

è 이는 자신이 갖고 있는 유리한 입장을 활용하여 과도 하게 개인적 이익을 추구하려는 데 대한 거부감의 표현이며, 어떤 것이 바람직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공정성(fairness)에 대한 고려가 중요 역할을 한다는 의미임.

è 결론적으로 사람들은 근시안적으로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실험 결과가 상당히 일반성을

지님.

(22)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독재자게임 (dictator game) u 독재자게임 (dictator game)

è 독재자게임이란 첫 번째 사람의 제의에 대해 두 번째 사람이 거부할 수 없게 만든 게임

è 따라서 첫 번째 사람은 독재자처럼 어떻게 나눌지를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사람의 보복은 걱정할 필요가 없는 상황

è 실험 결과, 이 상황에서 독재자처럼 제의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그리 인색하게 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è 이 게임의 결과에서 제의하는 사람이 보이는 태도는

(비록 부분적이나마) 공정성에 대한 관심이 있음을 의미함.

è 독재자게임이란 첫 번째 사람의 제의에 대해 두 번째 사람이 거부할 수 없게 만든 게임

è 따라서 첫 번째 사람은 독재자처럼 어떻게 나눌지를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두 번째 사람의 보복은 걱정할 필요가 없는 상황

è 실험 결과, 이 상황에서 독재자처럼 제의하는 사람은 상대방에게 그리 인색하게 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è 이 게임의 결과에서 제의하는 사람이 보이는 태도는

(비록 부분적이나마) 공정성에 대한 관심이 있음을 의미함.

(23)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공공재게임 (public goods game) u 공공재게임 (public goods game)

è 전통적 경제이론에서 공공재는 배제불가능성 때문에 무임승차자의 문제(free rider problem)가 발생함.

è 따라서 근시안적인 이익추구자는 공공재 생산에 소요 되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려 함.

è 공공재게임은 무임승차가 가능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그러한 태도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의도로 실시

è 실험의 결과, 사람들은 무임승차할 수 있는 상황임을 알면서도 보유 자원의 상당부분을 전체의 이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행태를 보임.

è 전통적 경제이론에서 공공재는 배제불가능성 때문에 무임승차자의 문제(free rider problem)가 발생함.

è 따라서 근시안적인 이익추구자는 공공재 생산에 소요 되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려 함.

è 공공재게임은 무임승차가 가능한 상황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그러한 태도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의도로 실시

è 실험의 결과, 사람들은 무임승차할 수 있는 상황임을 알면서도 보유 자원의 상당부분을 전체의 이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기여하는 행태를 보임.

(24)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l 행태게임이론(behavioral game theory)

u 행태경제이론의 평가와 전망 u 행태경제이론의 평가와 전망

è 행태경제이론은 경제학의 여러 분야 중 가장 활력이 넘치는 분야임.

è 그 동안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경제학의 지형을 상당한 정도 바꿔놓음.

è 그러나 아직까지 행태경제이론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상황임.

è 아직까지 행태경제이론은 전통적 경제이론이 갖는 한계를 밝혀내는 데 주력하고 있는 상황임.

è 행태경제이론은 경제학의 여러 분야 중 가장 활력이 넘치는 분야임.

è 그 동안 수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경제학의 지형을 상당한 정도 바꿔놓음.

è 그러나 아직까지 행태경제이론은 기존의 패러다임을 대체할만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상황임.

è 아직까지 행태경제이론은 전통적 경제이론이 갖는 한계를 밝혀내는 데 주력하고 있는 상황임.

참조

관련 문서

비선형곡선을 일정범위 내에서 선형 (직선)으로 근사 è 선형으로의 근사 (linear approximation) :. 비선형곡선을 일정범위 내에서

㉡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해 사람들이 갖고 있는 기존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다..?. 자신의 관심뿐

 When we refer to ‘blood sugar’, we actually mean the monosaccharide (simple sugar) glucose dissolved in

▪ 게임이란 2인 이상의 경기자들이 일정한 게임룰에 의해 상호 연관관계 를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경쟁하는 상황.. ▪ 협조적 게임 은 경기자들이

è 각 기업은 자기가 가격을 인하해도 경쟁기업은 현재의 가격을 그대로 고수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윤극대화 가격을 책정함 .. è

행동경제학의 개념과 사고방식.. 인간은 합리적인 이익의 극대화 추구자가 아니라 ‘만족 추구자’이며 인식능력의 한계로 인해 문제해결능력에 제약이 있다고

è 소비자잉여란 소비자가 어떤 주어진 양의 재화를 구입 또는 소비하기 위하여 지불할 용의가 있는 (최대)금액과 실제로 지불한 금액과의 차이 (또는 차액)을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