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 0 1 2 년 8 월 박사학위 논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조 선 대학 교 대학 원

사 회 복 지 학 과

임 선 모

(3)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A St udy on Af f ect i ng Fact or st oSchoolResi l i enceof adol escent sf r om Mul t i -cul t ualFami l i es

2012년 8월 24일

조 선 대학 교 대학 원

사 회 복 지 학 과

임 선 모

(4)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박 희 서

이 논문을 사회복지학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12년 4월

조 선 대학 교 대학 원

사 회 복 지 학 과

임 선 모

(5)

임선모의 박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호남대학교 교 수 오세윤 (인) 위 원 호원대학교 교 수 배점모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용섭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김진숙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 수 박희서 (인)

2012년 6월

조선대학교 대학원

(6)

목 차

제 1장 서 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1절 연구목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제 2절 연구범위 및 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제 2장 이론적 배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제 1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1.다문화가정의 개념 및 현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2.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제 2절 학교적응유연성의 제이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4 1.학교적응유연성 개념과 관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2.학교적응유연성에 관한 이론모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8

제 3절 학교적응유연성의 영향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0 1.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2.보호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

제 4절 선행연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5 1.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

2.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위험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

3.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보호요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8

4.선행연구의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

제 3장 연구설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제 1절 연구모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3 제 2절 연구가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5 제 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1 1.척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2.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7

(7)

제 4절 자료수집 및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1 1.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 2.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2

제 4장 실증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6 제 1절 기술통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6 1.주요변수의 기술통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6 2.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7 제 2절 연구모형의 가설 검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0 1.구조모형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 2.직접효과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 3.조절효과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 제 3절 분석결과의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5 1.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분석결과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 2.직접효과 분석결과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7 3.조절효과 분석결과 논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8

제 5장 결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3 제 2절 본 연구의 시사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5 제 3절 향후 연구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7

참고문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 9

부록

(8)

표 목 차

<표 2-1>국가별 국제결혼 건수 ···8

<표 2-2>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 ···9

<표 2-3>지역별 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 ···10

<표 2-4>학교적응유연성 관련 변수 ···29

<표 2-5>선행연구 분석 ···31

<표 4-1>변인에 따른 측정도구 구성 ···47

<표 4-2>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49

<표 4-3>요인별 상관계수 제곱 값 및 AVE 값 ···51

<표 4-4>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54

<표 4-5>변수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57

<표 4-6>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 ···59

<표 4-7>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 ···60

<표 4-8>위험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61

<표 4-9>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62

<표 4-10>개인 위험요인과 학교적응유연성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67

<표 4-11>가족 위험요인과 학교적응유연성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71

<표 4-12>학교사회 위험요인과 학교적응유연성 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74

(9)

그 림 목 차

<그림 3-1>직접효과모델 ···34

<그림 3-2>조절효과모델 ···35

<그림 4-1>개인 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79

<그림 4-2>가족 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80

<그림 4-3>학교사회 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81

<그림 4-4>위험요인에 대한 보호요인의 조절관계 ···82

(10)

ABSTRACT

A St udy on Af f ect i ng Fact or st oSchoolResi l i enceof adol escent sf r om Mul t i -cul t ualFami l i es

I m,Sun-mo

Advi s or:Pr of .Par kHwi e -s eoPh.D.

Depar t mentofSoci alWel f ar e

Gr aduat eSc hoolofChos unUni ver s i t 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 in schoolresilienc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al families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bserved how school resilience was influenced by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in individual,family andschoolsociety dimensions.Furthermore,thisstudy verified which protective factor moderated which risk factor to exert positive influenceon schoolresilience.By reviewing precedentstudies,factorsrelated with schoolresilienceofadolescentsfrom multi-cultualfamilieswereestablished asthe following: risk factors (individual dimension: identity confusion and emotional anxiety,family dimension:negative rearing attitude and parent conflict,school society dimension:schoolunder-achievementand peerconflict),protective factors (individualdimension: high self-esteem and positive attitude,family dimension:

democraticrearing attitudeand interestin children,schoolsociety dimension:peer supportand teachersupport)and schoolresilience (positive schoolattitude and abidanceofregul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factors that influence on schoolresilience of children from multi-cultualfamilies.To achieve thispurpose,this study survey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Gwangju, Jeollanam-do area to collectatotalof274questionnaires.Thecollected data was

(11)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and AMOS 18.0 programs.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research subjects,th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executed t-testand ANOVA was done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chool resili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Furthermore,the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analysis were carried outtomeasurethevalidity andreliability ofmeasurementtools.Also,AMOS was used to implement path analysis to verify the moder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school resilience of adolescentsfrom multi-cultualfamilie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chool resili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presented according to school grades, occupationsoftheirfathersand economicstatus.Thisstudy closely examined the difference in schoolresilience to verify thathigh schoolstudents adjusted to the schoolenvironmentbetterthan middleschoolstudents.Furthermore,in relation to theoccupationsofstudents'fathers,high levelofschoolresiliencewaspresented among students whose fathers were office workers, government employees, professionals,agriculture,fishery and livestock farmers,in the respective order. Also,students with higher economic status adjusted to the schoolenvironment more effectively. However, school resilience difference presented according to residential area, foreign father/mother, nationality of foreign parent, academic background ofparents,occupation ofmotherand numberoffamily memberswas statisticallyinsignificant.

Second,this study analyzed how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alfamilies influenced on schoolresilience.Analysis resultsshowed thatrisk factors,such as 'identity confusion','emotionalanxiety', 'negative rearing attitude','parentconflict','schoolunder-achievement'and 'peer conflict',negatively influencedschoolresiliencewith statisticalsignificance.On the other hand, protective factors, such as 'high self-esteem', 'positive attitude', 'democratic rearing attitude','interest in children','peer support' and 'teacher

(12)

support' positively influenced school resili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By observing thedifference in effectexerted by each factoron schoolresilience,the risk factor 'identity confusion'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resiliencevariables'positiveschoolattitude'and 'abidanceofregulations'.Among protective factors,'high self-esteem' presente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schoolattitude'and 'abidance ofregulations'.Furthermore,among risk factors,'parent conflict' and 'emotionalanxiety' presented the least significant effect on 'positive school attitude' and 'abidance of regulations',respectively.

Among protectivefactors,'interestinchildren'presentedtheleastsignificanteffect on'positiveschoolattitude'and'abidanceofregulations'.

Third,in orderto investigateprotectivefactorsthatcan reduceoralleviaterisk factors to increase schoolresilience ofchildren from multi-cultualfamilies,this study verified themoderation effectofprotectivefactorsregarding risk factorsin the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society dimensions. First, by analyzing the moder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regarding individualrisk factors,results showed that 'interest in children' moderated 'emotional anxiety' to increase 'positive schoolattitude'with statisticalsignificance,whereas 'peersupport'and 'teacher support' significantly moderated 'identity confusion' and 'emotional anxiety'toincreaseschool resilience.Next,by verifying themoderation effectof protective factors regarding family risk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high self-esteem' moderated 'negative rearing attitude','positive attitude' moderated 'negative rearing attitude' and 'parent conflict', whereas 'teacher support' moderated 'negative rearing attitude' to significantly increase school resilience. Furthermore,by verifying the moderation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regarding schoolsocietyriskfactors,theresultsshow that'positiveattitude'moderated'peer conflict' to significantly increase 'abidance of regulations', 'teacher support' moderated 'school under-achievement' to significantly increase 'positive school attitude', whereas 'democratic rearing attitude' moderated 'school under- achievement'tosignificantlyincreaseschoolresilience.

By observing theabovemoderation effectanalysisresultscentered on protective

(13)

factors,it can be known that 'high self-esteem' moderated 'negative rearing attitude', whereas 'positive attitude' moderated 'negative rearing attitude' and 'parent conflict' to increase school resilience and regulate 'peer conflict' to influence the 'abidance ofregulations'.Also,the 'democratic rearing attitude',a family protective factor,moderated 'schoolunder-achievement'to influence school resilience.Ontheotherhand,'interestinchildren'moderated'emotionalanxiety'to influence'positiveschoolattitude'.Lastly,theschoolsocietyprotectivefactor'peer support' moderated 'emotional anxiety' whereas 'teacher support' moderated 'identity confusion','emotionalanxiety','negative rearing attitude' and 'school under-achievement'toinfluenceschool resilience('schoolunder-achievement'only influenced'positiveschoolattitude').

By observing the moderation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the protective factors that effectively reduced family risk factors were shown as individualprotective factors,whereas schoolsociety protective factors were presented as the protective factors thateffectively reduced individualrisk factors. Furthermore, school society factors exerted the greatest influence in increasing the schoolresilience,followed by individualfactors.Thus,this study verifiestheimportanceoftheteacherandpeersupporttotheschoolresilience.

(14)

제 1장 서 론

제 1절 연구목적

최근 한국사회의 가족구조 변화에 있어 가장 두드러지는 현상 중 하나는 한국인과 외국인 간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1)의 증가이다.국제결혼은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과의 결혼을 중심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통계청 (2010)의 증감 추이 분석에 따르면,2009년 한국인과 외국인과의 혼인은 총 33,300건으 로 한국의 전체 혼인 중 국제결혼 비중은 10.8%로 2004년 이후 10% 이상을 계속 유 지하고 있다.

다문화가정을 형성하는 국제결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과의 결혼은 한국 남성의 결혼 문제를 해결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는가 하면,외국 여성의 한국 문화와 언어의 차이에서 오는 의사소통의 문제,외모와 피부색깔로 인한 편견,자 녀의 양육 및 교육의 어려움,부부갈등,경제적 어려움,긍정적이지 못한 사회적 인식 등 극복해야 할 많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또한,자녀들도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익 숙하지 못한 어머니의 양육에 따른 늦은 언어발달,부모와의 소통,외국인 부모를 두었 다는 것과 외모의 차이에서 오는 편견과 따돌림 등으로 적응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적 응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다문화가정 자녀의 적응문제가 대두되면서,인구사회학적 요인이 학교생 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분석 등 활발 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성장과정에서 겪어 온 또래들의 따돌림,편견과 차별 등으로 공격적이고 소극적인 태도와 정체성의 혼란을 갖게 되며,가정에서 부부갈등과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 태도,교육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학교생활 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한편,다문화가정이라는 위험상황에도 불구하고 자아존중감,긍정적 태도,부모의 1)가정과 가족의 의미는 차이가 있다.가정은 한 가족이 생활하는 집 또는 가까운 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생활 공동체를 의미하며,가족은 부부와 같이 혼인으로 맺어지거나,부모ㆍ자식과 같이 혈연으로 이루어지는 집단.또는 그 구성원을 의미한다.다문화와 관련해서 “다문화가족지원법”또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 이 법령이나 지원기관에서는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일반적으로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 는 다문화가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다문화가정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15)

양육태도,자녀에 대한 관심,가족지지,교사 및 친구의 지지 등에 따라 학교생활에 적 응을 잘 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있다.이렇게 위험상황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유능성을 발휘하는 과정 설명으로는 적응유연성(resilience)이 적합하다(Olsson etal.,2003).

적응유연성은 역경이나 위험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유능성을 이루는 것 으로(Masten& Coatsworth,1998;김순규,2006),역경과 위험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적응에 개인의 발달을 포함하는 수많은 체제와 개인의 상호교류에 초점을 두 고 있다.(Sam Goldstein,RobertB.Brooks,2009).또한,적응유연성은 반드시 발달에 위협적인 역경이나 위험상황에 노출되어야 하며,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적응이나 유능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바람직하지 않은 결과와 관련된 변인으로 부 정적 발달 산물을 발생시키는 개인적,환경적 특징을 의미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 과 위험한 상황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중재하거나 완화시키는 개인 또는 환경적 특성인 보호요인(protectivefactors)이 있다.위험요인과 보호요인 중 동일한 위험상황에서도 적응을 잘하는 사람과 부적응 문제를 일으키는 사람들의 차이에 대한 현상을 설명하는 데 보호요인 개념이 유용하다(김택호,2004).

보호요인은 고위험이나 역경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적응을 이루는데 중요한 요인으 로 위험이나 역경이 적응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막아준다.보호요인은 고위험 상 황이나 부족한 개인자원에 성공적으로 적응함으로써 적응유연성을 증가시키며,이후 발생하는 스트레스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다(Prior,1999;Rutter,1993).유아기 때 어머 니의 일관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정서적 지지원을 많이 끌어 모으며 스트레스성 생활사건을 더 적게 겪는다.또한 학교에서의 성공적인 적응과 성 장과정에서의 풍부한 자원과 효능성 증가로 인해 성인기에 더 많은 정서적 지지원을 활용하고 높은 수준의 심리적 안녕을 갖는다(Sam Goldstein,RobertB.Brooks,2009). 따라서 위험요인이나 보호요인이 실제로 어떻게 적응을 손상키시거나 향상시키는지, 또는 보호요인의 효과가 어떤 위험요인에 작용하여 위험을 조절하여 적응을 향상시키 는지를 탐색한다.

국내에서 진행된 적응유연성 연구는 빈곤 청소년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이 외 에도 조손가족,소년․소녀가장,탈북청소년,학업중퇴 청소년 등 주로 아동과 청소년 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최근에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적응유연성 연구

(16)

가 이루어졌다.

다문화가정이라는 위험상황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유능성을 보이는 과정 설명으로 적응유연성 개념이 적합하다.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 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높고 낮음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을 완화시켜 적응유연성을 높인다.또한 적응유연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위험요인보다 보호요인이 더 적합하며,적응유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보호요인이 위험요인을 감소 또는 완화시키는지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 치는 영향을 밝히고,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처해있는 위험상황을 보호요인이 어떻게 작 용하여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힘으로써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양적 연구를 실시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제시한다.

[연구문제 1]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위험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보호요인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보호요인은 위험요인과 학교적응유연성 사이의 관 계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분석한다.

첫째,[연구문제 1]과 [연구문제 2]는 직접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이를 위해 다문화가 정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독립변수로,학교적응유연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독립변수인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종속변수인 학교적응유연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아니면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다.이를 위해,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개념과 학교적응유연성의 제이론들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 연성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학교적응유연성 측정변수를 도출하고,도출된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은 세 가지 하위요인 즉,개인,가족,학교사회요인으로 구분한다.

둘째,[연구문제 3]은 조절효과모델을 이용하여 보호요인의 하위요인들이 위험요인의 하위요인들을 조절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17)

는가를 분석한다.이를 위해 위험요인을 독립변수로,학교적응유연성을 종속변수로,보 호요인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개인,가족,학교사회 보호요인들이 어떤 개인,가족, 학교사회 위험요인을 조절하여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지를 검증한다.이러한 검증을 통하여 학교적응유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완화 또는 감소시키는 보호요인을 도출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 보호요인을 발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이러한 검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 2절 연구범위 및 방법

먼저,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을 우리와 다른 민족이면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 진 사람들이 포함된 가정으로 정의하고 그 대상을 국제결혼가정으로 한정하며,새터민 과 외국인근로자 가정은 본 연구의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구체적인 본 연구의 범위 는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국제결혼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다.새터민은 우리와 같은 민족으로서 본 연구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며,2010년 현재 광주광역시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외국인근로자가정 자녀는 한 명도 없으며,전라남도에 1명의 중학생만이 재학하고 있어 포함시키지 않았 다(교육과학기술부,2010).여기서 국제결혼가정은 한국 남성 또는 여성이 외국 여성 또는 남성과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이며,외국인근로자가정은 외국인 근로자 남성 과 여성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이다.또한,박순희(2009)는 초등학생을 연구대상에 포함했지만,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일과운영,선생님과의 관계,교육내용 및 수업방식, 성적관리,학교규칙 등 학교생활 전반에 큰 차이가 있어,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재학 생을 포함시키지 않았다.

교육과학기술부(2010)의 자료에 따르면,2010년 현재 광주광역시에는 중학생 104명, 고등학생 34명의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재학하고 있으며,전라남도에는 중학생 449명, 고등학생 106명의 국제결혼가정 자녀가 재학하고 있다.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중․

고등학교 재학생 693명은 한국 전체 국제결혼가정 중․고등학교 재학생 6,438명의 약

(18)

10.7%를 차지하며,경기,서울 다음으로 많은 학생이 재학하고 있다.

분석의 범위는 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유연성으로 한다.학교는 청소년의 가장 중요한 발달과업이면서 일상생활의 대부 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생활공간이며,학교적응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 는다.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구분하며,위험 요인과 보효요인은 하위요인으로 개인관련 요인,가족관련 요인,학교사회관련 요인을 갖는다.학교적응유연성의 측정변수는 긍정적인 학교태도와 규율준수이다.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은 독립변수가 되며,학교적응유연성 측정변수는 종속변수가 된다.

또한 본 연구는 제시 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 였다.문헌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제이론을 살펴보고,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설문조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 로 실시하였으며,학교생활,다문화가정 청소년 개인의 성격 특성,부모의 양육태도 및 가정 분위기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교적응유연성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 요인을 확인하고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19)

제 2장 이론적 배경

제 1절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해

1.다문화가정의 개념 및 현황

다문화가정 또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우리와 다른 민족 또는 우리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된 가정으로 국제결혼가정,외국인 근로자가정, 새터민가정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교육과학기술부,2009).국제결혼가정은 한 국 남성과 외국 여성,한국 여성과 외국 남성의 결혼으로 이루어진다.외국인 근로자가 정은 외국인 근로자의 남성과 여성이 한국에서 결혼하여 이루어진 가정,외국인 근로 자인 남성과 여성이 그들의 자국에서 결혼한 후 한국에 이주한 가정,그리고 외국인 근로자로서 결혼하지 않고 단독으로 또는 동료와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 있다.새터민 가정은 탈북자 출신의 남성과 여성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가정,탈북자 출신의 남성과 여성이 한국에 입국한 후 한국의 여성 또는 남성과 결혼하여 이루어진 가정,탈북자 출신으로서 결혼하지 않고 단독으로 또는 동료와 함께 생활하는 가정이다(신선희.

2009).2008년에 제정된 다문화가족지원법에서는 “결혼이민자와,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귀화 허가를 받은 자와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 적을 취득한 자로 이루어진 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을 우리와 다른 민족이면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 들이 포함된 가정으로 정의하고,그 대상을 국제결혼가정으로 한정하였다.

한국의 국제결혼2)은 시대별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크게 3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설동훈 외.2005).첫째,1950년대에 한국 전쟁으로 인하여 한국에 주둔한 미국 병 사 남성과 한국 여성의 결혼으로 형성된 다문화가정이다.50~70년대에 태어난 혼혈인 들은 대부분은 경제적 빈곤과 저학력으로 직장조차 제대로 가질 수 없었으며,직․간

2)우리나라 국제결혼의 역사는 고대로부터 여러 민족의 침략을 받으면서 다른 민족과 정략적 또는 자발적 국 제결혼이 이루어졌다.특히,몽고와 청나라의 침략,일본의 수탈에 의한 강제적 결혼과 혼혈인들이 생겨났다.

1653년 제주도 근처에서 좌초된 네덜란드 함대 선원의 대부분이 한국여성과 결혼하여 가정을 이루었다.해 방 이후 미군이 한국에 주둔하면서 본격적인 국제결혼이 시작되었다(유준수,2005).

(20)

접적인 차별로 소외감과 좌절감 그리고 자아존중감 상실 등을 경험하며 살아왔다(금명 자 외,2006).둘째,1980년대 이후에 나타난 다문화가정으로,이 시기에 우리나라는 경 제력의 급속한 신장으로 외국인의 국내 유입과 한국인의 해외 진출이 증가하였고,그 과정에서 외국 남성 전문직 종사자와 한국 여성의 결혼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셋째, 1990년대 이후 “농촌총각 장가보내기”운동으로 국제결혼이 추진되면서 형성된 가정이 다.이 시기에 이루어진 국제결혼은 한국보다 상대적으로 경제수준이 낮은 나라를 대 상으로 많은 외국인 여성들이 국내로 유입되면서 한국 남성과의 결혼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 속에서 일부 다문화가정은 안정적인 가정을 꾸려 큰 문제없이 살아가지 만,일부는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가족 구성원끼리 극심한 갈등을 겪거나 구성원 중 일부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다(박순희,2009).또한,한국의 경제가 성장 하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제조업 등의 산업분야에서 외국인의 값싼 노동력 수요의 증가로 외국인 노동자가 증가하면서 한국 남성 혹은 여성과의 결혼도 증가하였다.

1950년대부터 시작된 국제결혼은 1990년대 들어 급속하게 증가하였다.특히 한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성비례 불균형 등으 로 인한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안은미,2007)

1990년대 이후 농촌지역 및 도시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국제결혼의 특징은 한국사회 또는 지역 공동체 내에서 가계재생산이 지속되기 어려운 신분집단이 발생하 고 나서 국제결혼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는 것이다(한준희,2009).이러한 현상은 국제 결혼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이 인종과 계급적으로 분리되거나 계층화된 형태를 보일 수 있으며,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문제를 통해 지역사회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의 문 제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국제결혼은 [표 2-1]과 같이 2002년 15,202건에서 2009년 33,300건으로 2배 이상 증 가하였으며,2009년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의 국제결혼은 25,142건으로 국제결혼 전체 의 75.5%를 차지하고 있다.

통계청(2010)의 증감 추이 분석에 따르면,2009년 외국인과의 혼인은 총 33,300건으 로 2008년 36,204건 대비 2,904건 감소하였으나,우리나라 전체 혼인 중 외국인과의 혼 인 비중은 10.8%로 2004년 이후 10% 이상 계속 유지하고 있다.또한,한국 남성과 외 국 여성의 혼인은 25,142건으로 전년보다 10.7% 감소한 반면,한국 여성과 외국 남성 의 혼인은 8,158건으로 전년보다 1.5% 증가하였다.

(21)

[표 2-1]국가별 국제결혼 건수 년도

구 분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국제결혼 총건수 15,202 24,776 34,640 42,356 38,759 37,560 36,204 33,300

한 국 남 성 + 외 국 여 성

중국 7,023 13,347 18,489 20,582 14,566 14,484 13,203 11,364 베트남 474 1,402 2,461 5,822 10,128 6,610 8,282 7,249 필리핀 838 928 947 980 1,117 1,497 1,857 1,643 일본 690 844 809 883 1,045 1,206 1,162 1,140 캄보디아 2 19 72 157 394 1,804 659 851 태국 327 345 324 266 271 524 633 496 몽골 194 320 504 561 594 745 521 386 우즈베키스탄 183 328 247 332 314 351 492 365 기 타 967 1,218 1,252 1,136 1,236 1,359 1,354 1,648 소 계 10,698 18,751 25,105 30,719 29,665 28,580 28,163 25,142

한 국 여 성 + 외 국 남 성

일본 2,032 2,250 3,118 3,423 3,412 3,349 2,743 2,422 중국 263 1,190 3,618 5,037 2,589 2,486 2,101 2,617 미국 1,204 1,222 1,332 1,392 1,443 1,334 1,347 1,312 캐나다 172 219 227 283 307 374 371 332 호주 90 109 132 101 137 158 164 159 영국 86 88 120 104 136 125 144 166 파키스탄 126 130 100 219 150 134 117 104 독일 81 94 109 85 126 98 115 110 기타 450 723 779 993 794 922 939 936 소계 4,504 6,025 9,535 11,637 9,094 8,980 8,041 8,158 출처 :통계청(2010).2009년 혼인통계결과

국적별 외국인과의 혼인 추이를 보면,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과의 혼인은 중국 (45.2%),베트남(28.8%),필리핀(6.5%)등 3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이 80.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그러나 최근 들어 중국 및 베트남 여성과의 혼인이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2006년 방문취업제를 실시한 이후 중국 여성과의 혼인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 는 추세이다.그리고 한국 여성과 외국 남성의 혼인은 한국 여성과 중국 남성의 혼인 증가 영향으로 2008년보다 117건 증가하였다.

(22)

국제결혼한 외국 여성의 출신국가는 1980년대에는 종교단체에 의한 결혼으로 일본출 신 여성과의 결혼이 주를 이루었다.1990년대에는 농촌 총각의 신부감 부족현상으로 중국 조선족과 중국 한족 여성과의 국제결혼이 대부분이었으며,1990년대 중반 이후 필리핀,태국,몽골 여성과 결혼이 증가하였다.1990년대 말부터는 베트남과 구 소련 여성의 결혼이주가 증가하였으며(김오남,2006;한건수,2006),2007년에는 캄보디아인 의 결혼이주가,2008년에는 베트남 여성의 결혼이주가 증가하였지만,2009년에는 중국 및 베트남 여성의 결혼이주가 감소하는 추세이다.

국제결혼 가정의 급속한 증가로 다문화가정 자녀도 [표 2-2]와 같이 점차적으로 증 가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2010)발표에 의하면 초,중,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이 2010년 30,040명으로,이는 2009년 대비 21.4% 증가하였으며,2006년 7,998명에 비해 약 3.75배 증가한 수치이다.특히 같은 기간 중․고등학교 재학생 증가는 5.35배 에 달하는 것으로,이러한 증가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표 2-2]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

구 분

초 중 고 계

인원 증감(%) 인원 증감(%) 인원 증감(%) 인원 증감(%) 2006 6,795 924 279 7,998

2007 11,444 68.4 1,588 71.9 413 48.0 13,445 68.1 2008 15,804 38.1 2,213 38.9 761 84.0 18,778 39.6 2009 20,632 30.5 2,987 35.0 1,126 48.0 24,745 31.8 2010 23,602 14.4 4,814 61.2 1,624 44.2 30,040 21.4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0).2010년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학교급별 학생 수를 보면,초등학교 23,602(78.6%),중학교 4,814(16.0%),고등학 교 1,624(5.4%)명으로 초등학교 재학생 비율이 월등히 높다.[표 2-3]에서 보는바 와 같이 지역별 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은 경기(22.3%),서울(12.9%),전남(9.6%), 경남(7.2%),충남(7.0%)순이며,어머니가 외국인인 경우가 89.9%(27,001명)로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으며,부모 국적별 비율은 일본(36.4%),중국(17.3%),필리핀(17.1%) 순이다.

(23)

[표 2-3]지역별 국제결혼가정 학생 현황 구분

시도

국제결혼가정 학생수(A) 어머니가 외국인인 학생수(B)

초 중 고 계 초 중 고 계

서울 3,108 584 196 3,888 2,511 437 142 3,090 부산 978 197 70 1,245 836 123 63 1,022 대구 606 115 30 751 572 100 30 702 인천 1,171 209 82 1,462 1,011 187 85 1,283 광주 567 104 34 705 552 90 21 663 대전 409 98 36 543 375 91 34 500 울산 349 62 19 430 329 58 15 402 경기 5,029 1,144 515 6,688 4,382 993 425 5,800 강원 1,341 289 77 1,707 1,299 277 65 1,641 충북 1,089 241 62 1,392 1,008 233 59 1,300 충남 1,565 399 129 2,093 1,469 362 106 1,937 전북 1,674 250 75 1,999 1,639 247 74 1,960 전남 2,337 449 106 2,892 2,302 428 102 2,832 경북 1,475 262 75 1,812 1,465 262 75 1,802 경남 1677 377 103 2,157 1488 290 83 1,861 제주 227 34 15 276 172 26 8 206

계 23,602 4,814 1,624 30,040 21,410 4,204 1,387 27,001 비율(%) 78.6 16.0 5.4 100.0 90.7 87.3 85.4 89.9 출처 :교육과학기술부(2010).2010년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이와 같이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다문화가정이 차지 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또한,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른 세계화는 다 문화사회로의 진입을 한층 촉진시키고 있다(최성보,2010).

다문화가정의 특징 중의 하나는 이중문화이다.가족공동체의 이중문화는 서로의 문 화를 존중하지 못하고 다른 하나의 문화를 무시하기 때문에 긴장과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어머니의 부적응은 자녀가 한국문화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의 결혼은 조선족 출신이라는 이유 만으로 동질의 문화적 특징을 가진 남성과 여성의 혼인관계로 예상하기 쉽다.그러나 중국내 조선족 가족은 한국과 중국의 영향을 동시에 받고 있으면서도 한국과 다른 점 을 보이고 있다(박혜원 외,2005;원영미 외,2004;임현신 외,2002;조복희 외,2005).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 조선족 여성이나 한국 남성 모두 서로의 문화적 배경에 대한

(24)

이해 없이 결혼을 함으로써 결혼 후에 적지 않은 문화적 충격을 받고 있다(홍기혜, 2000).필리핀,베트남,태국 등 동남아 국가 출신의 다문화가정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 다.이들은 사회 문화적 배경이 상이한 민족으로,결혼 초기에는 기본적인 한국어 구사 능력 부족으로 남편이나 시보모간의 갈등을 일으키기 쉽고,문화적 차이로 인한 가사 분담의 불만과 가부장적인 분위기에 대한 부적응이 많이 나타난다(이혜경,2005).신난 희(2005)와 윤형숙(2005)은 국제결혼의 문제점과 원인은 막연한 기대의 결혼 동기,결 혼과 관련된 정확한 정보의 부재,부정확한 배우자들에 대한 정보,음주,폭언,폭력 등 남편의 잘못된 일상생활 습관,언어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시댁식구들과 갈등과 불화, 힘든 가사노동,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보고 있다.또한,거주 기간이 길어진다 해 도 사회적․문화적 차이로 인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가 쉽지 않고 적응과정에서 겪은 소외,불공평한 대우,무시,기대상실 등에 대한 경험은 심리적,정서적 위기를 겪게 된 다(HaMinhThanh,2005;최금해,2005).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정이 한국사회에 효과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여 러 가지 제도적 지원정책이 마련되고 있지만,여전히 한국문화와 언어의 부적응,경제 적 어려움,자녀의 양육 및 교육의 어려움,부부갈등,외모와 피부색깔로 인한 편견,긍 정적이지 못한 사회적 인식 등 극복해야 할 많은 문제들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충래 외,2006;설동훈 외,2005;양철호 외,2003;오성배,2005;한건수,2006).

2.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특성

다문화가정 자녀들도 여러 어려움에 노출되어 있다.하미화(2009)의 연구에 따르면 배타적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우리 사회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들은 소외를 당하거나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등 심각한 위기에 처해있다.한국사회에 내재해 있는 인 종차별을 태어나면서 겪게 되고,이러한 사회적 태도는 그들에게 여러 가지 문제를 발 생시키는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특히 한국 남성과 외국 여성 사이의 국제결혼이 주 로 중매형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익숙하지 못 한 어머니가 자녀를 양육하게 됨으로써,결국 자녀는 한국어와 어머니 모국어 모두 미 숙한 경우가 많다(김현욱 외,2010).외국인 부모의 문화적 충격과 언어소통의 어려움 으로 자녀들의 성장과정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부모가 외국인이라는 것과 피부색과 외모의 차이 등 일반적으로 다르다는 사실만으로 편견과 따돌림을 일상생활

(25)

에서 받는다.학교생활에서 또래들의 폐쇄적인 태도로 따돌림을 당하거나 놀림의 대상 이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친구들과 서로 말하기를 꺼려하고 어울리기를 싫어하며 적 응과정에서 여러 가지 부적응 현상을 보이고 있다.(오성배,2007).손선진(2007)은 국제 결혼 자녀의 사회화 과정의 특징을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 부모와 함께 생활에서 오는 늦은 언어 발달,한국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부모의 자녀 양육과정의 혼란,일반 가정 자녀와 다른 외모에 따른 또래 집단으로부터의 소외,미숙한 한국어로 인한 수업 및 교과서 이해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고 있다.

2001년 교육인적자원부와 펄벅재단 한국지부의 조사에 따르면 일반 혼혈인 중 9.4%

가 초등학교를 중퇴하고,17.5%가 중학교를 중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김보람(2009) 의 연구에서는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학교중도탈락률은 일반가정 학생보다 매우 높으 며,학교급별로 살펴보면 중학교 9.9배,고등학교 8배를 보이고 있다.국제결혼가정 자 녀의 학교중도탈락률이 높은 이유는 언어학습,정체성 형성,대인관계 형성 등에 문제 가 있고,학습결손과 편견 및 차별로 인한 학교생활의 부적응으로 지적되고 있다(김정 원,2005;신혜정,2007;최선화,2008).

이와 같이 다문화가정 자녀들 중 상당수가 부 또는 어머니의 미숙한 한국어로 인해 학습부진과 언어능력 부족,정체성 혼란,또래집단에서의 차별과 따돌림 등으로 한국사 회의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Alpern와 Lyons-Ruth(1993),Duncan와 Brooks-Gunn(1997),그리고 Mayer(1997)은 아동․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빈곤,가족 관련요인,사회적지지 등을 들었으며,김순규(2006)는 빈곤아동 및 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개인관련 요인,가족관련 요인,사회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였다.다문화가정 자녀의 적 응에 대한 연구에서 최성보(2010)는 가정생활 환경 요인,부모와의 관계 요인,일상생 활 습관 요인,자기효능감을 적응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이영수(2007)는 개인적 요인, 가족관련 요인,친구관련 요인,심리적 소외감 요인,학교관련 요인,문화적 이질감의 6 개 요인으로 구분하였다.본 연구에서는 김순규(2006)의 연구와 같이 다문화가정 청소 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개인관련 요인,가족관련 요인,학교사회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개인관련 요인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는 낮은 한국어 구사능력과 피부색 또는 외모 의 차이로 사회와 또래 친구들로부터 거부와 무시,편견과 차별 등으로 정체성의 혼란,소 극적인 태도,공격적 행동,우울,소외의식 등을 보이며,이러한 특성들은 학교적응에 부정

(26)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설동훈 외,2005;송선진,2007;오성배,2005;정정희, 2006;최성보,2010;한정애,2009).Lempers외(1989),Huston,McLoyd와 Coll(1994)의 연 구에서도 낮은 사회적 대우와 편견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청소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가족관련 요인들이다.부모의 아동학대 및 방임,우울증,음주,악물남용 등의 문제는 열악한 환경에서 많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이며 (Alpern& Lyons-Ruth,1993;Kadushin& Martin,1981;Straus, Gelles,& Steinmetz,1980),이로 인한 부정적 경험에의 노출이 아동 및 청소년의 부 적응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다문화가정의 가족관련 요인으로는 이주 부모의 한국어 능력 부족,부정적 부모-자녀 상호작용,부모의 낮은 교육수준,양육태도,부부갈등,물리적 환경,경제적 지위 등을 지 적할 수 있다.이주 부모의 한국어 능력 부족은 자녀와 의사소통의 어려움,학습지도의 한계,자녀의 행동조절 및 통제력 한계 등 부모와 자녀 간 상호작용을 이루는데 어려움 이 있다(박순희,2009;변미선,2005;이영수,2007;홍정미,2009).부부 간 의사소통의 어 려움,문화적 차이,낮은 경제 수준 등으로 인한 부부갈등 및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정 서․행동문제,교육성취에 영향을 미친다.(Eamon,2001;Guo& Harris,2000;박민전,이 병인,2010;이영수,2007;최성보,2010).부모의 낮은 교육수준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 와 관련이 되는데,일반적으로 부모의 낮은 교육수준은 직업상의 지위와 연관되어 빈곤 과 자녀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친다(Crosnoe,2002;Eamon,2001;홍정미,2009).

한편,부모의 경제적 지위는 가족기능,거주지역과 같은 물리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 며,물리적․사회적 자원을 제공하는 가족기능을 약화시키고 자녀의 지적 발달 및 학 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Brooks-Gunn et,1995;Eamon,2001;구 인회,2002;오은순,1997).다문화가정의 50% 이상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빈곤 가정으로(설동훈 외,2005;이혜경,2005;전영희,2010),이는 부부간의 갈등을 가중시 켜 가족해체로 이어지기도 하며,부모-자녀와의 불안정한 관계 및 양육태도로 이어지 기도 한다(Mcloyd,1990;김보형,박성연,2000;설동훈 외,2005;전영희,2010).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상호작용하는 학교사회 요인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지적할 수 있다.먼저,학교는 학교 분위기,학교경험,교사 및 교우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학교 분위기는 학생들의 능력 격차를 가져오는 주요 요인으로 청소년 개인의 지능,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양육태도 등 가정환경 특성들과 별도로 학생의 학업성취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즉,학교 자체의 특성이 학생의 성적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며,사회

(27)

경제적 수준이 낮고 가정환경이 빈약한 학생들에게 학교의 영향이 크게 부각된다는 것 이다(강희경,2001).학교 분위기의 하위변수인 교사-학생간의 관계는 학급 내 분위기 를 설명할 수 있으며,아동 및 청소년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 뿐 아니라 사회 심리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어 학교환경 요인으로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김순규,2006).특히,편견과 차별,따돌림을 받아온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은 학교에서의 개방적인 학급 풍토,허용적인 분위기,교사지지 및 친구지지가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박순희,2009;차유림,2000;최성보,2010;

한정애,2009;홍정미,2009).

지역사회 환경의 경우 유해환경과 폭력적인 이웃 등 불건전한 지역사회 환경에 빈번 하게 노출됨으로써 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명된다.그러나 공부방,방과 후 교실 등 사회적지지 자원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이용할수록 아동의 비행수준이 낮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영수,2007;정익중 외,2005;최성보,2010).

이상과 같이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요인은 크게 피부색 차이와 같은 외모,자존감,정체성,우울,공격적인 행동 등을 포함한 개인관련 요인,이주 부모의 한국어 능력,부정적 부모-자녀 상호작용,부모의 낮은 교육수준,양육태도,부부갈등, 물리적 환경,경제적 지위 등을 포함한 가족관련 요인,학업성취,학급 분위기,교사 및 친구의 지지 등과 관련된 학교와 사회적지지 자원인 사회 환경을 포함한 학교사회 요 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 2절 학교적응유연성의 제이론

1.학교적응유연성 개념과 관점

적응유연성(resilience)3)은 부모의 죽음,이혼,폭력,학대,빈곤,약물,스트레스 등의 높은 위험상황 또는 역경의 배경을 가진 사람 중에서 어떤 사람들은 위험이나 역경을 잘 이겨내고,또 어떤 사람들은 잘 이겨내지 못하는데 의문을 갖고 적응유연성에 대한

3)resilience에 대해 국내 연구에서 탄력성(김택호,2004;이은미,2001),회복력(이경욱,2006),적응유연성(김순규, 2006;박현선,1998)등으로 사용되고 있다.본 연구에서는 역경이나 위험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유능성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하고 적응유연성으로 한다.

(28)

연구를 시작했다.당시 연구자들은 높은 위험상황 또는 역경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인 적응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유연하다(resilient)”라고 했다(Cicchetti& Garmezy,1993; Rutter,1987;Werner& Smith,1982).

적응유연성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들마다 다양하다.Werner와 Smith(1982)는 상처받 기 쉬운 것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으로,불행이나 충격으로부터 급속히 회복 하여 성공적인 삶의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라고 했다.Bernard(1991)는 어려운 상황 하 에서 부정적이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들의 감소와 건강하거나 생산적인 행동의 증가 라고 했으며,Egeland,Carlson와 Sroufe(1993)는 발달과정에서 인간의 신체적,심리적 요인들과 인간과 관계된 환경 속에서 사회학적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이 라고 하였다.한편,박현선(1998)은 동일한 위험 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회복 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다.이러한 적응유연성에 대한 연구자들의 다양한 견해는 서로 다른 위기상황에서 유연성을 고찰하고 서로 다른 보호과정들의 영향을 다루었기 때문 이다.그러나 공통적으로 적응유연성은 역경이나 위험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 하여 유능성을 이루는 것으로 정의된다(Masten& Coatsworth,1998;김순규,2006).

적응유연성의 구성개념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바뀌고 있다.초기의 적응유연성 연구 는 기본 개념 및 방법론과 더불어 역경을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인적 요인이나 특 징에 초점을 맞추었다.그러나 그 개념에 대한 지식이 발달할수록 개인과 환경 요인을 고려해야만 적응유연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고 인식하게 되었다.최근에는 적응유 연성에 대한 보다 역동적인 설명을 하였다.이러한 역동적 설명은 역경과 위험의 맥락 에서 이루어지는 긍정적인 적응에 관한 이론과 연구에 대한 발달체제 접근(developmental- system approach)을 채택하여,개인의 발달을 포함하는 수많은 체제와 개인의 상호교 류에 초점을 둔다(Sam Goldstein,RobertB.Brooks,2009).

적응유연성과 유사한 개념으로 상처받지 않음(invulnerable),적응(adjustment),대처 (coping)가 있으나,이러한 개념과 적응유연성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상처받지 않음은 초기연구에서 적응유연성과 비슷한 개념으로 사용하였으나,상처받 지 않음은 불변의 성격적 특성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떠한 상처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며,반면 적응유연성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상처를 받지만,다시 회복하여 이전의 적응수준으로 되돌아오거나 그 이상의 유능함을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Germezy,1993).

또한 적응은 한 개인이 그가 속한 사회나 문화 속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기

(29)

대되는 발달과제들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반드시 역경이나 위 험상황에 처해있음을 전제하지 않지만,적응유연성은 반드시 발달에 위협적인 역경이 나 위험상황에 노출되어야 하며,그럼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적응이나 유능함을 나타내 는 것이다(김순규,2006;박현선,1998;신현숙,2003).

대처는 역경이나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사람에 따라 역경이나 위험에 대한 대처 유 형이 다양할 수 있으며,대처가 반드시 위험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의미하지 않 는다.그러나 적응유연성은 역경과 위험에 노출되었을 때 그러한 환경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고 긍정적 적응,유능함을 이끌어 낸다.따라서 적응 유연성에는 위험상황을 회피하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 어 있다는 점에서 대처와 구분된다(Rutter,1985).

이상과 같이 적응유연성은 반드시 위협적인 역경이나,위험상황에 노출되어 있어야 하며,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거나 긍정적 결과를 가져와야 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Masten와 Coatsworth(1998)은 적응유연성 연구에서는 먼저 고위험상황이나 심각한 역경에 노출되어 있음이 확인되어야 하고,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적응이나 발달의 질이 좋아야 한다고 했다.또한 적응유연성은 사회적,문화적,시간적 상황에 따라 달 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적응유연성을 평가할 때 상황적 맥락에 대한 정의가 분명히 제시 되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요컨대 적응유연성이란 전형적으로 고위험 상황,심각한 역경 또는 충격적 사건을 경험했었음에도 불구하고 잘 적응하고 건강하게 발달하는 능력이며,상처받기 쉬운 것 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며,불행으로부터 급속히 회복하여 성공적으로 적 응하는 능력을 말한다(Masten,Best& Garmezy,1991;Masten & Coatworth,1998;

Werner& Smith,1982).

적응유연성 연구에 있어서,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결과로서의 적응유연성,원인으로 서의 적응유연성,과정으로서의 적응유연성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결과로서의 적응유연성은 빈곤,부모의 사망,이혼과 같은 여러 가지 위험상화 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으로 극복하고 적응해 나가는 심리사회적 결과로 정의될 수 있다.

결과로서의 적응유연성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은 기능성의 유지를 강조한다.Garmezy (1991)는 적응유연성은 좌절시키는 정서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기능 적 적절성으로 보았고,Wolin과 Wolin(1996)은 역경을 극복하고 이를 통해 성장하며

(30)

더 유능해질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즉 위험이나 역경에 노출된 청소년들의 효율적인 기능과 행동을 말하는 것으로,주로 기능적 능력,좋은 정신건강,사회적 유 능감 등의 요인들이 언급되었다.그러나 결과로서의 적응유연성을 외현적인 측면으로 본다면,심리적 안녕 척도와 같은 단순 척도만으로 적응유연성을 측정한다는 것이 사 실을 오도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응유연성을 측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Olssonetal.,2003).

원인으로서 보는 관점에서 적응유연성은 개인적 또는 환경적 특징이 위험과 역경에도 불구하고 바람직한 결과를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보는 것이다.Block과 Kremen (1996)은 적응유연성이 성격의 한 유형으로서 사람들을 잘 이해하고 관계를 유지며,사 회적 규칙에 잘 적응하고,새로운 경험과 사상에 개방적인 기능과 특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Cohler(1987)는 적응유연성이란 바람직한 결과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적 또는 환경적 특징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하였다.Rauh(1989)는 적응유연성은 취약 성(vulnerability)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보고,복잡한 상황을 예견하거나 적절하게 대처 할 수 있는 능력,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개인적,사회적 자원들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았다.즉,적응유연성을 바람직한 결과가 나오도록 영향을 미치는 특징들이라고 정의하였다.따라서 적응유연성이 성격을 구성하는 핵심요인이기 때문에, 적응 유연한 성격의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을 구분하고 적응유연성의 정도를 측정하 게 된다(이해리,2007;장휘숙,2001).이러한 측정의 문제점은 적응유연성과 외적 보호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을 간과한다는 것이다.

적응유연성을 과정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위험과 역경에서 오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이고 긍정적 발달을 촉진시키는 발달적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개인이 지닌 보호요인 이 위험요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역경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거나 완화시켜 긍 정적으로 적응해 나가도록 돕는 과정이나 기재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Constantine&

Benard,2001;Luthar,etal.,2000;Olsson etal.,2003;Revich & schattė,2003;

Rutter,1999).Wyman(2003)은 적응유연성을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정상적인 발달과 업을 촉진하기 위하여 불우한 삶의 요인과 개인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집합 과정으로 나타낸다.과정으로서의 적응유연성은 다양한 영역의 위험요인들과 보호요인 들에 관심을 갖고 이들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데에도 관심이 있다(Olsson et al.,2003;이해리,2007).

(31)

2.학교적응유연성에 관한 이론모델

위험 상황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적응을 가능하게 하는 적응유연성과 관련하여 주요 한 몇 가지 이론적 모델에 대한 개념을 살펴보고자 한다.

적응유연성에 관한 이론적 모델은 크게 인감중심모델과 변수중심모델 2가지 유형으 로 나눌 수 있다.인간중심(person-focused)모델은 유사한 위험이나 역경을 겪고 있지 만 잘 적응하고 있지 못하는 사람과 잘 적응한 사람이 어떻게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하 여 적응 유연한 사람과 적응 유연하지 못하는 사람을 구분하는 접근이며,사례연구와 종단연구에 적합한 모델이다.한편 변수중심(variable-focused)모델은 위험이나 역경이 높을 때 좋은 결과에 기여하는 개인의 특징과 환경의 특징 간 관계를 검증하는 접근으 로 표집이 이질적이고 클 때 유용하다(Masten,2001).

가.인간중심모델( per son-f ocused)

인간중심모델은 위험요인의 높고 낮음의 수준에 따라 적응유연성이 좋은 집단과 나 쁜 집단을 비교하는 모델이다.유사한 위험이나 역경 하에서 적응을 잘하는 사람과 적 응을 잘 못하는 사람이 어떻게 다른가를 확인하기 위해,적응을 잘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구분하는 접근 방법이다.일반적으로 인간중심모델은 사례 연구를 통해 적응을 잘하는 집단과 그렇지 못한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한다(Bergman& Magnusson, 1997).

인간중심모델은 네 개의 비교 집단을 정의하기 위해 1단계로 위험요인의 높고 낮음 으로 구분하고,2단계로 적응을 잘하는 집단과 잘 못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이때 높은 위험수준의 적응 집단,낮은 위험수준의 적응 집단,높은 위험수준의 부적응 집단,그리고 낮은 위험수준의 부적응 집단 간 서로 교차하여 비교된다.

그러나 인간중심모델은 사례연구와 종단연구에 적합한 모델로,자연적으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중심으로 사람들 간의 상호 비교를 할 수 있으나,적응유연성의 현상을 설명 하는 중요한 근거가 되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명하게 밝히지 못한다.

나.변수중심모델( var i abl e-f ocused)

변수중심모델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이 적응유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참조

관련 문서

• 준거집단의 신뢰성(credibility)은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 유명인사의 신뢰성은 전문성(expertise)과 진실성(trustworthiness)에 의해

‘텃밭 텃밭 텃밭 텃밭’이란 이란 이란 소재를 이란 소재를 소재를 통해 소재를 통해 통해 통해 가족 가족 가족 가족 구성원 구성원 구성원 간의 구성원 간의 간의

미국의 가족 부양자 지원 프로그램은 가족 부양자들에게 돌봄 활 동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돌봄이 필요한 노인들이 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여지는 것을 예방하 는

서구의 시민가족 서사에서 혈연관계 는 전통을 부정하고 시민적 공공성을 형성하기 위해 지양되어야 할 대상으로 표상된 반면,(2절. 한국 근대의 혈연가족)

위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인 어려움이 없는 저학년(1-2 학년) 과 중학년(3-4 학년)의 비다문화가정 정상언어 아동, 다문화가정

reason for for for for the the the necessity the necessity necessity of necessity of of of doing doing doing doing research research research on research

따라서 무용 전공자의 자기관리가 공연자신감 및 경쟁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 향을 자기관리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두 가지 측면으로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

셋째, 매개변수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선정하여 청소년의 학업열의에 부모의 양육태도가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삶의 만족도가 매개역할을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