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4)

교사지지 척도의 신뢰도는 Cronbach'sα는 .889이다.

본 연구의 변인에 따른 측정도구의 구성은 [표 4-1]과 같다.

[표 4-1]변인에 따른 측정도구 구성

척 도 하위변수 문항수 신뢰도 문항번호 비고

학교적응 유연성

긍정적 학교태도 4 .929 1,2,3*,4* 규율준수 4 .927 5,6*,7*,8* Ⅰ문항

위험요인

개인요인 정체성 혼란 4 .931 1*,2,3*,4 정서불안 4 .904 5,6,7,8 Ⅱ문항

가족요인 부정적 양육태도 4 .950 1,2,3,4 부부갈등 4 .906 5,6,7*,8* Ⅲ문항

학교사회요인 학습부진 3 .812 17,18,19* 친구갈등 3 .881 4,11*,20 Ⅰ문항

보호요인

개인요인 높은 자존감 4 .896 9,10,11,12* 긍정적 태도 4 .901 13,14,15,16* Ⅱ문항

가족요인 민주적 양육태도 4 .852 9,10,11,12 자녀에 대한 관심 4 .921 13,14,15,16 Ⅲ문항

학교사회요인 교우지지 4 .901 9,10,11,12 교사지지 4 .908 13,14,15,16 Ⅰ문항

*역산문항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본다.

측정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모형적합도 지수가 X2=459.3(df=234,p=0.000),RMR=0.044,GFI=0.888,AGFI=0.857,CFI=0.910 NFI=0.922, IFI=0.960,TLI=0.953,RMSEA=0.059로 나타났다.

카이제곱(X2)검정은 그 값이 크면 모델이 데이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이 도출되 는데,본 연구에서 가설은 X2=459.3(p=0.000)로 기각되었다.그러나 카이제곱 검정에서 기각되었다는 것은 모델을 채택할 필요조건이지 충분조건이 아니므로,다른 적합도지수 를 참조하여 판단하여야 한다.모델을 채택하기 위한 일반적인 적합도지수의 기준은 GFI,AGFI,CFI,NFI,IFI,TLI는 0.9이상,RMR은 0.05이하,RMSEA는 0.1이하로 보 고 있다.본 연구의 GFI=0.888,AGFI=0.857로 적합도지수 0.9이하로 나타났다.그러나 GFI와 AGFI는 표본특성에 기인한 비일관성(inconsistencies)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표본 특성으로부터 자유로운 CFI를 권고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본 연 구의 CFI=0.910로 모델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송지순,2011). 집중타당성(convergentvalidity)5)을 분석하기 위해 요인부하값을 검토한 결과 0.7 이상으로 나타났고,또한,각 변수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모수추정치의 t값이 모두 1.96을 초과해 요인부하값은 유의하게 나타났다.다중상관자승(squaredmultiplecorrelation:

SMC)을 검토한 결과 0.4이상으로 잠재변수는 해당 측정변수들의 변량을 잘 설명하 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또한,평균분산추출값(averagevarianceextracted:AVE)과 개념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에 의한 타당성을 분석해 보면, 평균분산추출값은 0.563이상으로 일반적인 기준 0.5를 충족하였고,개념신뢰도는 0.870이상으로 일반적 인 기준 0.7을 충족하여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판별타당성(discriminantvalidity)6)은 한 잠재요인이 실제로 다른 잠재요인과 얼 마나 다른가에 관한 것으로,대상이 되는 두 잠재요인의 AVE 값과 상관관계계수 제곱 값을 비교하여 두 AVE의 값이 다른 상과관계계수 제곱의 값보다 크다면 타당성이 확인 된다(이학식․임지훈,2011).판별타당성 분석을 위한 요인별 상관관계계수 제곱 값 및 AVE 값은 [표 4-3]과 같다.요인별 상관관계계수 제곱 값 중 규율준수와 긍정적 학교태 도(0.884),높은 자존감과 긍정적 학교태도(0.605),높은 자존감과 정체성 혼란(0.951)은 가 5)집중타당성은 은 하나의 잠재요인에 대한 두 개 이상의 측정도구가 상관관계를 갖는 정도에 관한 것으로,집 중타당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표준화 요인부하량의 크기,평균분산추출값,잠재요인 신뢰성 등이 있다(이학식, 임지훈,2011)

6)판별타당성은 잠재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1로 고정시킨 모형과의 비교 방법과 두 잠재요인 각각의 AVE와 그 두 잠재요인 간의 상관관계 제곱을 비교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이학식․임지훈,2011).

장 낮은 AVE값은 0.563보다 큰 수치를 보이고 있고,나머지 모든 요인의 상관관계 계수 제곱의 값은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판별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다.

[표 4-2]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구분 변수 하위변수 측정 변수

요인 부하량

표준 요인부하량

표준

오차 tSMC AVE 신뢰도 (α)

개념 신뢰도

학교 적응 유연 성

긍정적 학교태도

c1 1.000 0.883 - - 0.780

0.765 .929 .934 c2 0.944 0.866 0.044 21.397*** 0.751

c3 0.970 0.878 0.044 22.032*** 0.771 c4 0.966 0.872 0.045 21.676*** 0.760

규율준수

c5 1.000 0.876 - - 0.767

0.765 .927 .933 c6 1.085 0.868 0.051 21.085*** 0.754

c7 1.073 0.878 0.050 21.580*** 0.771 c8 1.013 0.877 0.047 21.553*** 0.770

위험 요인

개인

정체성 혼란

a1 1.000 0.873  - -  0.762

0.760 .931 .932 a2 1.010 0.870 0.051 19.949*** 0.757

a3 1.108 0.878 0.055 20.300*** 0.770 a4 0.950 0.867 0.047 20.046*** 0.751

정서불안

a5 1.000 0.838 - - 0.702

0.706 .904 .910 a6 1.051 0.873 0.059 17.755*** 0.761

a7 1.110 0.889 0.061 18.217*** 0.790 a8 0.960 0.755 0.067 14.323*** 0.570

가족

부정적 양육태도

b1 1.000 0.905 - - 0.819

0.828 .950 .934 b2 1.156 0.933 0.044 26.118*** 0.871

b3 1.085 0.944 0.040 26.954*** 0.891 b4 0.947 0.856 0.045 20.950*** 0.733

가족갈등

b5 1.000 0.792 - - 0.627

0.717 .906 .896 b6 1.029 0.889 0.062 16.673*** 0.790

b7 1.098 0.899 0.065 16.890*** 0.808 b8 1.057 0.801 0.073 14.579*** 0.642

학교 사회

학습부진

d1 1.000 0.772 - - 0.596

0.563 .812 .870 d2 0.951 0.752 0.083 11.394*** 0.566

d3 0.951 0.727 0.084 11.344*** 0.529

친구갈등

d5 1.000 0.796 - - 0.634

0.717 .881 .884 d6 0.999 0.880 0.058 17.128*** 0.775

d7 0.972 0.862 0.058 16.661*** 0.743

구분 변수 하위변수 측정 변수

요인 부하량

표준 요인부하량

표준

오차 tSMC AVE 신뢰도 (α)

개념 신뢰도

보호 요인

개인

높은 자존감

a9 1.000 0.824 - - 0.679

0.666 .896 .919 a10 0.738 0.744 0.051 14.358*** 0.553

a11 1.013 0.841 0.058 17.410*** 0.708 a12 1.007 0.850 0.057 17.689*** 0.722

긍정적 태도

a13 1.000 0.770 - - 0.593

0.664 .901 .901 a14 1.046 0.819 0.074 14.137*** 0.671

a15 0.968 0.798 0.071 13.709*** 0.636 a16 1.094 0.869 0.073 15.088*** 0.755

가족

민주적 양육태도

b9 1.000 0.827 - - 0.684

0.594 .852 .890 b10 0.911 0.750 0.066 13.701*** 0.562

b11 1.051 0.792 0.071 14.757*** 0.628 b12 0.904 0.709 0.071 12.724*** 0.502

자녀에 대한 관심

b13 1.000 0.839 - - 0.703

0.747 .921 .926 b14 1.084 0.870 0.060 18.032*** 0.756

b15 1.045 0.877 0.057 18.276*** 0.769 b16 1.102 0.871 0.061 18.082*** 0.759

학교 사회

교우지지

d9 1.000 0.806 - - 0.649

0.703 .901 .919 d10 0.966 0.850 0.058 16.672*** 0.723

d11 0.970 0.845 0.059 16.440*** 0.714 d12 0.925 0.852 0.056 16.393*** 0.725

교사지지

d13 1.000 0.747 - - 0.557

0.724 .908 .929 d14 1.242 0.838 0.083 14.994*** 0.702

d15 1.234 0.864 0.079 15.582*** 0.747 d16 1.419 0.942 0.083 17.155*** 0.887

적합도 지수 X2= 459.3(df=234,p=.000),RMR=.044,GFI=.888,AGFI=.857,CFI=.910 NFI=.922,IFI=.960,TLI=.953,RMSEA=.059

*:p<.05,**:p<.01,***:p<.001

[표 4-3]요인별 상관계수 제곱 값 및 AVE 값

구 분 변 수 a b c d e f g h i j k l m n

유연성 요인

긍정적 학교태도(a) 교율준수(b) .884

워험요인

정체성 혼란(c) .486.448 정서불안(d) .285.268.221 부정적 양육태도(e) .230.202.075.082

부부갈등(f) .182.206.088.094.222 학습부진(g) .283.307.068.100.026.029 친구갈등(h) .331.312.059.042.103.139.119

보호요인

높은 자존감(i) .605.554.951.267.132.094.071.079 긍정적 태도(j) .503.472.267.264.070.172.047.120.355 민주적 양육태도(k).496.480.248.120.440.226.221.209.316.168 자녀에 대한 관심(l).387.352.140.052.201.101.154.073.212.147.524

교우지지(m) .389.366.078.061.123.224.130.292.116.182.181.063 교사지지(n) .430.424.133.095.015.010.230.057.178.105.166.086.090 AVE값 .765.765.760.706.828.717.563.717.666.664.594.747.703.724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0-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