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을 중심으로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학 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결과는 [표 4-6]과 같다.

t-test와 분산분석은 종속변수에 대한 독립변수의 차이를 구할 때 이용하는 분석방법 으로 t-test는 독립변수가 두 집단으로 구성되어야 하고,분산분석은 독립변수의 집단이 최소 3집단 이상일 때 분석한다.또한,분산분석은 독립변수의 집단이 최소 3집단 이 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집단 내에서 평균의 차이가 어느 집단 간에 발생하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다.따라서 사후검정을 통해서 집단 간 평균차이를 규명해야 한 다.또한,t-test와 분산분석에서 독립변수는 명목척도 또는 서열척도로 구성되어야 하 고 종속변수는 등간척도 또는 비율척도로 구성되어야 한다(송지준,2011).

본 연구에서는 학교급,거주 지역,부모 중 누가 외국인인가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비교는 t-test를 사용하며,외국인 부모의 출신국,부모의 학력과 직업,가족 수,가정의 경제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은 분산분석을 사용한다.

먼저 t-test를 사용하여 학교급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각 평균이 3.311과 3.617이며,t값은 -2.303(p=.026)의 수치를 보여 고등학생 이 중학생보다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학교적응유연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도시와 농․어촌 거주 지역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t값이 1.942(p=.053)로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이러한 결과는 행정구역 상 도시에 속하더라도 도심에서 벗어난 지역은 농․어촌과 같은 생활 환경에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그리고 부모 중 아버지가 외국인인가 아니면 어 머니가 외국인인가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 분석결과 t값 1.024(p=308)로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아버지의 직업과 가정경제 수준에 따라 유의수준 0.05이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는 유의확률 p=0.039(F값 2.380)로 0.05보다 낮은 수치로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 다.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정 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집단 간 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구체적으로 살펴보면,아버지의 직업이 회사원(평 균=3.645)인 경우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공무원(평균=3.583),전문직(평균=3.430), 농․수․축산업(평균=3.387),자영업(평균=3.318),기타(평균=3.113)순으로 나타났다.

경제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는 유의확률 0.008(F=4.014)의 수치를 보여 유 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경제수준이 중하인 집단에서 가장 낮은 평균 값 3.080을 보였으며,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특히,집단 간의 차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검정 분석을 실시하였으나,빈도수가 1개 집단인 상인 집단 이 무시됨으로써 사후검정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외국인 부모의 국적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는 유의확률 p값이 0.232(F=1.338) 로 0.05보다 크므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보모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어머니 학력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학력이 높을수록 높은 수치를 보였 으나,아버지 학력과 어머니의 학력에 대한 유의확률 p값이 0.361(F=1.074)과 0.361 (F=1.073)로 0.05보다 큰 수치를 보여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어머니 의 직업과 가족 수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 결과,유의확률 p값이 0.622 (F=0.657)와 0.173(F=1.608)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6]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적응유연성 차이분석

구 분 항 목 평균 표준편차 t(F)값 유의확률 사후분석 학교급 별 중학생 3.311 0.892

-2.303 .026 고등학생 3.617 0.677

거주 지역 도시 3.479 0.790

1.942 .053 농어촌 3.275 0.911

외국인 부모 아버지 3.625 0.750

1.024 .307 어머니 3.337 0.878

외국인 부모 국적

필리핀 3.272 0.891

1.338 .232 중국 3.400 0.933

베트남 3.167 0.964 일본 3.349 0.819 캄보디아 4.500

-태국 4.625 -우즈베키스탄 3.688 0.794

기타 2.500 1.010

아버지 학력

중졸이하 3.230 0.810

1.074 .361 고졸 3.409 0.930

대졸 3.401 0.897 대학원이상 3.594 0.529

어머니 학력

중졸이하 3.308 0.824

1.073 .361 고졸 3.262 0.950

대졸 3.463 0.812 대학원이상 3.444 0.585

아버지 직업

농·수·축산업(a) 3.387 0.874

2.380 .039 자영업(b) 3.318 0.381

회사원(c) 3.645 0.832 공무원(d) 3.583 0.981 전문직(e) 3.430 0.757 기타(f) 3.113 0.913

어머니 직업

농·수·축산업 3.280 1.000

0.657 .622 회사원 3.433 0.815

공무원 3.600 0.852 전문직 3.458 0.878 기타 3.310 0.867

가족 수

3명 이하 2.901 1.048

1.608 .173 4명 3.445 0.898

5명 3.332 0.875 6명 3.429 0.778 7명 이상 3.308 0.828

경제 수준

상(a) 4.500

-4.014 .008 중상(b) 3.658 0.787

중(c) 3.329 0.865 중하(d) 3.080 0.907

하(e) -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7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