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6-1 디지털 경제학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6-1 디지털 경제학"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6-1 디지털 경제학 제3강 디지털 재화의 등장

Prof. 김 민정

경영대학 경제학부 원광대학교

교재 : 김기홍 교수님의 디지털경제 3.0

본 자료는 김기홍 교수님의 디지털경제 3.0 교재를 기초로 해서 작성되었음

(2)

제 1절. 디지털재화란 무엇인가?

제 2절. 디지털재화의 성격

디지털재화의 성격에서 파생되는 문제점

오늘의 강의

(3)

 Shapiro and Varian(1999), Information Rules

• 디지털로 변환될 수 있는 것이 정보(Anything that can be digitized is information)

• 디지털로 변환될 수 있는 정보가 특정재화의 주요 구성요소일 때 그 상품을 정보재로 이해

 Quah(2003)

• 경제적 가치를 가지는 0과 1의 연속인 이진수열(Digital goods are bitstrings of 0s and 1s, which have economic value)

• 디지털재화와 정보재는 거의 같은 개념

(4)

 0과 1의 연속인 이진수열

 경제적 가치를 가짐: 개인의 효용에 영향

 원본과 복사본의 차이가 없음

 해당재화의 획득으로 기존 재화 소유자의

해당재화 소유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음

 예술품과 관련된 시각적 이미지?

 경성적(robust): 이진수열에서 아주 작은 부분을 재구성하더라도 경제적 가치 변화없음

 JPEG, MP3 등의 압축기술

 연성적(fragile): 재구성할 경우 큰 변화를 초래함.

 Computer software

(5)
(6)

 비경합성(nonrivalry)

• 한 특정인(기관)이 디지털재화를 사용한다고 해서 다른 사람(기관)의 디지털재화 사용가능성이 줄어들지 않음

• 일반재화는 한 사람이 소비한 만큼 다른 사람의 소비가 줄어 듬; 10개의 사과

 비배제성(non-excludability)

• 해당재화의 생산에 관여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 이 재화의 사용을 배제할 수 없음

• 마을에 설치된 가로등

• 디지털재화의 경우 배제성을 인위적으로 보장해주어야 함. 재화의 생산 초기에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임

(7)

 무한확장가능성(infinitely expansible)

• 재화가 추가적인 비용의 지출 없이 인위적으로 많아질 수 있을 때

• 무한확장가능성 비경합성, 그 반대의 경우는 불성립

 이산성(discreteness): 비분할성

• 디지털재화는 항상 정수 크기로 공급되거나 소비됨

• 반쯤 작성된 프로그램은 반 정도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이 아니 라 전혀 작동하지 않으며, 반 정도 고안된 아이디어는 전혀 역할 을 할 수 없음

(8)

음악회에서 피아니스트가 연주하는 음악:

•비경합성을 가지지만 무한확장가능성은 가지지 않음

연주한 음악을 MP3 파일로 만들어 인터넷에 업로드:

•무한확장가능성과 비경합성을 가짐

(9)

 비공간성(aspatiality)

• 디지털재화는 장소를 차지하지 않으며 모든 공간에서 존재 할 수 있다

• both nowhere and everywhere at the same time

 재조합성(recombinant)

• 디지털재화는 자신의 내부에 포함되어있는 0과 1의 이진 수열을 재조합할 수 있다

• 이런 재조합 과정을 통해 새로운 디지털재화가 만들어짐:

아이디어나 상상력의 중요성

(10)

 지적재산권(Intellectual Property)

• 디지털재화의 무한확장가능성은 사후적 효율성과 사전적 인센티브간의 긴장을 야기

• 사후적 효율성:사회가 필요한 만큼 생산하고 공급하는 것

• 사전적 인센티브: 그런 디지털재화를 제공하고 만들기 위한 일종의 혜택

• 이 긴장을 완화하는 장치가 지적재산권의 보장:

• 어떻게(현 제도이용, 새로운 제도 발전)

• 어느 정도(개인의 창의성과 사회적 효율성의 갈등)

(11)
(12)
(13)
(14)

 수확체증의 법칙

① 디지털시대의 정보와 지식의 생산 특징

② 자기증식의 특징 : 창출, 축적된 지식이 새로운 지식을 계속 증 식시켜 나감

③ 선발자의 이익 : 먼저 앞서 나가기 시작하면 더욱 그 시장에서 앞서 나감

④ 독과점의 우려

(15)
(16)

 디지털재화와 공간과의 관계

– 기본적으로 디지털재화는 비공간성의 성격

– 공간은 중요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여전히 중요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음

– 지식집약적 경제활동의 경우에 더 그러함

– 비공간성은 공간이 중요하지 않다는 말이 아니라 디지털재 화의 운송에 있어서 운송비용은 더 이상 중요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

– 지리적인 집적과 클러스터

참조

관련 문서

[r]

(2)

선착순으로 접수하며 인원모집이 완료된 후에는 더 이상 접수를

우리는 더 이상 이런 것을

ㅇ 차푸토바 슬 대통령은 국회심의를 통과한 코로나19 위험국의 입국자 대상 전화 번호 수집법안(Electronic Communication Act)의 목적이 부정확하고 구체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배당의 신호효과 à 현실적으로, 배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회사가 법적 책임은 지지 않지 만 재무상태가 좋지 않다는 신호(signal)을 시장에 전달함으로써 주가가 하락하는 결과

조합적 제도나 기관에 충성심을 요구하기 보다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계급의 개인들은 자아발전이나 생애기록을 극대화하는데 그리 중요하지 않는 조합적 제도나 기관과의 관계

‘작곡을 하려면 당신은 화음(harmony)에 대한 감 (feeling)을 가져야 합니다.’ 나는 곧바로 화음에 대해 내가 감을 갖고 있지 않다는 것을 그에게 말해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