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주차: 중국, 일본, 한국한국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3주차: 중국, 일본, 한국한국"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3주차 : 중국, 일본, 한국

(2)

동아시아와 중국은 어떤 나라 ?

동아시아는 유라시아 대륙에 있는 아시아의 동부 지역을 지칭한다. 전체 대륙의 15%를 차지한다.

한자(漢字)를 공용하고 있으며, 언어 ·의식주 등에도 유럽과 대조적인 점이 많으며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 일본 등이 모두 독자적인 문화를 발달시켜 왔다.

중국은 어떤 나라?

중국은 아시아 동부에 있는 나라로, 정식 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이다. 세계 최대 인구와 광대한 국토를 가지며 베이징어 · 광둥어 등의 중국어를 사용한다.

(3)

중국 음악의 역사

중국 본토에서 특히 한나라 민족이 중심이 되어 형성한 음악 한국, 몽골 등 주위 여러 민족에게 많은 영향을 줌

6세기의 남북조 시대 때 서방음악이 본격적으로 전래

7~9세기의 당나라에 이르러서 궁정과 국가의 예술음악이 꽃핌 10~19세기에는 독자적인 음악을 전개한 민족음악 시대

(4)

중국 음악과의 교류와 중국 민속음악

1. 중국 음악과의 교류

당악은 통일신라 때 한국에 전래되어 조선에서도 향악과 속악으로 분류되어 연주

특히 고려시대에는 송나라의 신악과 대성아악이 들어와 조선시대에 이르러 종묘 · 문묘의 제례악으로 전해짐 2. 중국 민속 음악

강정정가

중국의 대표적인 민요/ 사천지방의 민요, 강정은 사천지역의 한 곳을 가리키며 티베트인들의 거주지 모리화

중국의 강소지방에서 전래되던 민요/ 2박자계의 민요, 하얀 쟈스민 꽃이 핀 차 밭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노래

(5)

중국 음악의 특징

표현이 간명하고 직설적이며 내용이 구체적임 기운차면서도 애수에 찬 폭넓은 표현력을 가짐 5음 음계

기본적으로 단선율적이며 5음 음계에 입각 하면서도 수시로 많은 선법을 섞어 강약법이 독특한 표현기법을 형성

‘궁, 상, 각, 치, 우’는 서양의 '도 - 레 - 미 - 솔 - 라'에 해당하는 계이름이라 할 수 있다.

율명

한국과 동일하게 황종, 대려, 태주, 협종, 고선, 중려, 유빈, 임종, 이칙, 남려, 무역, 음종의 12율명 기보법에 표시할 때는 머리글자만 따서 씀

(6)

중국의 전통악기

-고쟁(쟁)

당나라와 송나라 때, 13줄의 현을 갖고 있었으며 이후로 16, 18, 21, 25로 현의 숫자가 늘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21현이다.

-칠현금

음색이 매우 독특하고 무거우며 운율이 은은하고 길다. 클래식 악기인 비올라처럼 저음의 무겁고 강한 깊이 있는 소리를 낸다.

-비파

4줄의 현에 굽은 목을 가지고 있으며 손톱이나 손톱 대용물인 가조각을 끼고 뜯어서 연주한다.

(7)

중국의 전통악기

- 얼후

중국의 남방지방에서 많이 사용되어 남호로도 불린다. 줄이 2개로 해금과 유사하지만, 줄의 재질과 운지법이 다르다 - 적자

피리의 일종으로 중국 취중악기인데 천연 대나무를 재료로 만들어 진다 해서 죽적이라고도 한다.

-호로사

조롱박과 대나무로 만든 퉁소의 일종으로 중국 전통의 취주 악기이다.

(8)

일본의 민속음악

일본은 아시아 대륙 동쪽에 홋카이도, 혼슈 , 시코쿠, 규슈 4개 큰 섬을 중심으로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이어지는 일본열도를 차지한 섬나라이다.

가가쿠

고대에 한국(삼국)와 중국(당)에서 전래된 음악과 무용이 궁중음악인 가가쿠가 되었다. 길고 느린 노래와 춤 같은 몸동작이 특징이며 궁중 연회나 행사 때 공연된다.

노가쿠

전통 문학 작품의 줄거리를 토대로 하기도 하며, 춤이 중심이 된 연회에 가면 · 의상 · 소품 등을 가미한다. 동일 공간에서 연희되는 두 종류의 극인 ‘노’와 ‘교겐’을 합친 것이다.

쯔바사오 구다사이(翼をください)

‘날개를 주세요’라고 번역되며 일본 포크송 그룹 ‘이카이토리’의 대표적 국민가요이며 쉽고 편한 멜로디에 애틋한 가사로 감동적인 곡이다. 또한 월드비전의 공식 캠페인 송으로 임형주가 부르기도 했다.

(9)

일본 음악의 특징

가가쿠를 제외한 전통음악은 단선율이다.

전통음악의 음계는 5음 음계와 7음 음계 두 종류이다.

일본음악의 리듬은 장단이 있는 것과 장단이 없는 자유리듬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각 악기마다 독특한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가쿠, 고토, 샤쿠하치는 주로 기악중심이지만, 다른 전통음악에서는 대체로 성악이 주류를 이룬다.

양식화된 세련미가 일본음악의 미적 특징이다.

(10)

일본의 전통악기

고토

아악에 주로 쓰이며 거문고 비슷한 현악기. 줄을 괴는 발이 없고 13개의 흰 자개를 박아 손으로 짚는 자리를 표시해놓았다.

샤미센

산겐이라고도 하며 4개의 판자를 합친 통에다 긴 판을 달고 그 위에 비단실로 꼰 세 줄의 현을 친 것이다.

치쿠젠비와

현악기의 하나로 목제의 몸통 상부에 짧은 목이 달려있고 4줄(혹은 5줄)이며 몸통은 평평하고 길이는 60~106cm이다.

(11)

한국의 음악

산조: 느린 장단으로부터 빠른 장단으로 연주하는 기악 독주의 민속 음악.

장구 반주가 따르며 무속음악과 시나위에 기교가 확대되어 19세기 무렵에 만들어짐.

악기 종류:가야금 산조, 바디, 거문고 산조, 대금 산조, 해금 산조, 피리 산조, 아쟁 산조가 있다.

장단: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휘모리등, 바디(流)에 따라 장단의 구성이 다른 것도 있음. 박상근류(朴相根流) 가야 금 산조, 지용구류 산조에는 굿거리 장단, 백낙준(白樂俊)의 거문고 산조에는 엇모리 장단이 쓰임.

조: 우조, 평조, 계면조, 경드름(京調), 강산제, 설렁제(덜렁제, 드렁조)가 있다.

(12)

한국의 음악

민요: 민족적인 감정,기호를 자연발생적으로 멜로디로써 나타낸 것. 작사자도 작곡자도 대부분 불명

경기민요:맑고 깨끗, 경쾌, 음색도 부드럽고 유창하며 서정적/굿거리, 세마치, 타령장단/늴리리야,군밤수타령 남도민요:발성이 매우 극적, 굵은 목을 눌러냄, 농음과 전타음의 기교가 발달/판소리나 산조의 장단을 사용. 특히 중모리, 자진모리가 많이 사용/새타령, 육자배기, 강강술래

서도민요:기악반주가 적음/수심가,긴난봉가

동부민요: 빠른 장단,흥겹고 경쾌,지방에 따라 다름/한오백년,신고산타령,쾌지나칭칭나네, 옹헤야

제주민요:현재 정교한 조사가 진행중/주로 토속민요가 주류(예 : 해녀 노젓는 소리, 멸치 후리는 소리 등) 혹은 제 주도 소리꾼에게서 부르는 노래(예 : 오돌또기, 서우제 소리 등)가 있음

(13)

한국의 음악

풍물놀이(풍물굿):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사물)와 나발, 태평소, 소고(버꾸리) 등의 악기를 기본 구성 으로 하여 연주,몸동작,행렬을 지어 다채로운 집단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진풀이등을 모두 가리키는 말.

특징:중부지방 이남에 많이 분포함. 농악,세시의례와 명절에 세시놀이 음악,무속에서 춤이나 노래의 반주음악으 로 사용됨

지방별 구분:진주·삼천포 농악, 평택농악, 이리농악, 강릉 농악, 임실필봉농악, 구례잔수농악 풍물굿의 구성:발림,가락,진

(14)

한국의 음악

시나위

시나위는 한국 무속 음악의 일종으로 정형화되지 않은 기악곡 전라도·충청도·경기도 남부의 가락악기 무속 음악에서 유래

악기의 구성은 피리·젓대·해금·장구·징으로 되어있음. 최근 가야금·퉁애·태평소 등을 곁들이기도 하고 아쟁이 끼 이기도 하며, 또 독주 악기로 연주하는 경우도 있음

장단: 살풀이·자진살풀이· 도살풀이·모리·발버드래가 원칙, 진양·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로 연주하기도 함

시나위 가락에서 본청은 라·시·미가 주요 음이며, 시(Si) 위에 레(Re)에서 도(Do)에 이르는 흘러내리는 미분음이 있음

생삼청에서는 여러 가지 음이 나타남

(15)

한국의 음악

잡가

국악의 한 갈래로,서울을 중심으로 전문 소리꾼들에 의해 널리 불리던 민속 음악, 좌창이라고도 불림

유래: 조선 후기에 가곡, 가사, 시조등의 가악이 번창→ 노래에 재주를 가지고 있던 가객들이 오래전부터 전해오 던 노래를 발전시켜만듦.

서울 잡가: 서울에서 불리는 잡가. 원래 8잡가였지만 12가사를 본따기 위해 잡잡가 4곡을 추가해 모두 12잡가. 대 부분 세마치 장단 또는 도드리 장단임

서도잡가: 황해도, 평안도 등 서도 지방에서 불리는 잡가들. 서도소리 특유의 애절한 창법을 사용, 세마치 장단을 기본으로 불규칙한 장단을 사용함.

공명가 사설,공명가,초한가,제전이 있음

(16)

한국의 음악

판소리

판소리의 음악은 시나위권의 향토음악 중 패개성음에 토대를 둠.

기본장단은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장단.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엇모리·엇중모리가 쓰임 판소리에서 “조”라는 것은 선법·선율형·시김새·감정표현·발성 등 여러 음악 특징으로 구분되는 선율적 특징

판소리가 예술화됨에 따라 다른 분야의 음악적 어법이 차용→ 오늘날에는 계면조·우조·평조·경드름·설렁제 등 여 러 조(調)가 쓰임

연창자: 형상적 표현수단을 이용하여 판소리대본을 청중에게 전달하여 그들의 사상적·정서적 감흥을 불러일으킴 고수: 북장단으로써 연창자를 인도하며 청중과 호흡을 맞춤. 고수는 북장단을 치며, 때로는 추임새를 붙여 연창 자의 흥취를 돋우며 청중의 인기를 끔

참조

관련 문서

이때에 프랑스의 전통적 음유시인 트루베르와 트루바두 르의 샹송들과 서사시들도 포함되었다. 이 작업에 근거 하여 많은 노래집들이 출판되었으며, 학생들을 위한교

이 시기는 중국의 전쟁 후 회복·발전시기로서 중국 정부는 일련의 면화 생산·소비장려정책을 취하여 면화 생산을 급속히 증가시켰 다...

봉행소의 명을 받들어 중국 상인들에게 증명서를 발급하여 무역의 질서를 엄정하게 세우고자 한다.. 이에 중국의 각 항구 에서 내항하는

 각 음표에 정해진 음절을 붙여 리듬의 정확한 전달과 표현을 목적으 로 한다.. 민요,

이와 같이 서사무가의 내용은 설화의 세계와 유사하다.. 서사무가의 구연 형태(口演形態)는 구송창(口誦唱)과

• 고려말기 각 지방의 창기娼妓, 관비官婢, 무당巫堂 중 가무를 잘하는 자를 뽑아 궁중에 두었는데 이들을 통해 민요가 궁중으로 흘러 들어갔으며, 이는 다시 궁중의 속악가사로

 개혁개방이후 중국의 산업구조

고대 중국의 기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