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9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멸종위기 수리科 (Accipitridae) 조류의 분포와 이동 생태

Distribution and Migration Ecology of Endangered Accipitridae Species in Korea

2010年 8月 25日

朝鮮大學校 大學院

生物學科

金 成 顯

(3)

멸종위기 수리科 (Accipitridae) 조류의 분포와 이동 생태

指導敎授 崔 榮 福

이 論文을 理學 博士學位申請 論文으로 제출함 2010年 4月

朝鮮大學校 大學院

生物學科

金 成 顯

(4)

金成顯의 博士學位論文을 認准함

委員長 (인)

委 員 (인)

委 員 (인)

委 員 (인)

委 員 (인)

2010年 6月

朝鮮大學校 大學院

(5)

목 차

Ⅰ. 서론 ···1

Ⅱ. 연구사 ···4

Ⅲ. 연구대상 및 방법 ···6

1. 대상종 ···6

2. 대상지역 ···15

가. 홍도 ···16

나. 어청도 ···17

다. 소청도 ···18

라. 부산 및 거제도 ···19

3. 연구방법 ···20

가. 수리과 조류의 분포 ···20

나. 지역별 이동 현황 ···22

다. 주요 종별 이동 생태 ···22

Ⅳ. 결과 및 고찰 ···24

1. 수리과 조류의 분포 ···24

가. 종별 분포 ···24

나. 고찰 ···56

(6)

2. 지역별 이동 현황 ···71

가. 홍도의 이동 현황 ···71

나. 어청도의 이동 현황 ···78

다. 소청도의 이동 현황 ···79

라. 부산 및 거제도의 이동 현황 ···83

마. 고찰 ···85

3. 주요 종별 이동 생태 ···88

가. 벌매 ···88

나. 솔개 ···100

다. 말똥가리 ···103

라. 고찰 ···107

Ⅴ. 결론 ···115

참고문헌 ···119

Appendix ···125

(7)

List of Tables

Table 1. List of Accipitridae species in Korea ···14 Table 2.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72 Table 3.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6 to July 2007 ···73 Table 4.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7 to July 2008 ···73 Table 5.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y season on Hong island ···· 75 Table 6.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Eocheong island

in Autumn (2008) ···78 Table 7. The number of migrating individuals by hour on Socheng island ··· 80 Table 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in Busan and Geoje

island ···83 Table 9. The number of Oriental Honey Buzzards during spring and autumn ··· 88 Table 10. The number and percentage of Oriental Honey Buzzard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96 Table 11. Home range estimations of Black Kite by Kernel method ···100 Table 12. Tracking data of two Common Buzzards ···105

(8)

List of Figures

Figure 1. The location of the study sites ···15

Figure 2. The study site on Hong island, Jeonnam Province, Korea ···16

Figure 3. The study site on Eocheong island, Cheongnam Province, Korea ···17

Figure 4. The study site on Socheong island, Inchen City, Korea ···18

Figure 5. The study site in Busan and Geoje island, Korea ···19

Figure 6. Distribution map of Osprey (

Pandion haliaetus

) ···35

Figure 7. Distribution map of Oriental Honey Buzzard (

Pernis ptilorhynchus

) 36 Figure 8. Distribution map of Black Kite (

Milvus migrans

) ···37

Figure 9. Distribution map of White-tailed Sea Eagle (

Haliaeetus albicilla

) ·· 38

Figure 10. Distribution map of Steller's Sea Eagle (

Haliaeetus pelagicus

) ···39

Figure 11. Distribution map of Bearded Vulture (

Gypaetus barbatus

) and Himalayan Griffon (

Gyps himalayensis

) ···39

Figure 12. Distribution map of Cinereous Vulture (

Aegypius monachus

) ···40

Figure 13. Distribution map of Eastern Marsh Harrier (

Circus spilonotus

) ··· 41

Figure 14. Distribution map of Northern Harrier (

Circus cyaneus

) ···42

Figure 15. Distribution map of Pied Harrier (

Circus melanoleucos

) ···43

Figure 16. Distribution map of Chinese Sparrowhawk (

Accipiter soloensis

) ···44

Figure 17. Distribution map of Japanese Sparrowhawk (

Accipiter gularis

) ···45

Figure 18. Distribution map of Eurasian Sparrowhawk (

Accipiter nisus

) ···46

Figure 19. Distribution map of Northern Goshawk (

Accipiter gentilis

) ···47

Figure 20. Distribution map of Grey-faced Buzzard (

Butastur indicus

) ···48

(9)

Figure 21. Distribution map of Common Buzzard (

Buteo buteo

) ···49

Figure 22. Distribution map of Upland Buzzard (

Buteo hemilasius

) ···50

Figure 23. Distribution map of Rough-legged Buzzard (

Buteo lagopus

) ···51

Figure 24. Distribution map of Crested Serpent Eagle (

Spilornis cheela

) ···51

Figure 25. Distribution map of Greater Spotted Eagle (

Aquila clanga

) ···52

Figure 26. Distribution map of Steppe Eagle (

Aquila nipalensis

) ···53

Figure 27. Distribution map of Imperial Eagle (

Aquila heliaca

) ···53

Figure 28. Distribution map of Golden Eagle (

Aquila chrysaetos

) ···54

Figure 29. Distribution map of Bonelli's Eagle (

Hieraaetus faciatus

) and Booted Eagle (

Hieraaetus pennatus

) ···55

Figure 30. Distribution map of Moutain Hawk Eagle (

Spizaetus nipalensis

) ····55

Figure 31. The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on Hong island ···72

Figure 32. Fluctuation of number of species on H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ugust 2005 ∼ July 2008) ···74

Figure 33. Fluctuation of number of individuals on H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ugust 2005 ∼ July 2008) ···74

Figure 34. Comparison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Spring and Autumn ··· 75

Figure 35.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of Chinese Goshawk and Eurasian Sparrowhawk arrived on Hong island in spring (2006∼2008) ··· 77

Figure 36.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Common Buzzard, Oriental Honey Buzzard and Eurasian Sparrowhawk arrived on Hong island in autumn (2005∼2007) ···77

Figure 37. The persentage of observed species on Eocheong island in Autumn (2008) ·· 78

Figure 38. The persentage of observed speciest species on Socheong island in Autumn (2009) ···79

(10)

Figure 39. Fluctuation of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n Soche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19 September ∼ 6 October 2009) ···80 Figure 40. Fluctuation of the number of migrating individuals by hour on

Socheng island ···81 Figure 41.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arrived on Soche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

Pernis ptilorhynchus

, B:

Accipiter gularis

, C:

Accipiter nisus

, D:

Accipiter gentilis

) ···82 Figure 42. The Persentage of observed species at Busan and Geoje island in

Spring (2009) ···83 Figure 43.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arrived at Busan and Geoje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

P ernis ptilorhynchus

, B:

B utastur indicus

) ···84 Figure 44. Differences in average number of individuals between September and Otctober (Z=-2.514, p<0.05, n=10) ···89 Figure 45.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arrived of Oriental Honey

Buzzard in Autumn (A: Hong island, B: Eocheong island, C: Socheong island) ···90 Figure 46. The number of migrating individuals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by hour (A: Hong island, B: Eocheong island, C: Socheong island, D: Busan and Geoje island) ···92 Figure. 47. Comparison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the Oriental Honey Buzzard

between AM and PM from 27 September to 2 October 2008 ···93 Figure 48. Correlation between wind speed and number of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s in Autumn (2005) ···94 Figure 49. Correlation between wind speed and number of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s in Autumn (2006) ···94

(11)

Figure 50. Correlation between wind speed and number of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s in Autumn (2007) ···95 Figure 51. Jacobs' preference index for migration in Oriental Honey Buzzard by wind speed (m/s) (A: Hong island, B: Eocheong island, C: Socheong island, D: Busan and Geoje island) ···95 Figure 52. Correlation between wind direction and the percentage of individuals

of migrating Oriental Honey Buzzard (A: Hong island, B: Eocheong island, C: Socheong island, D: Busan and Geoje island) ···97 Figure 53. Possible migration routes of Oriental Honey Buzzard in Spring ··· 98 Figure 54. Possible migration routes of Oriental Honey Buzzard in Autumn ··· 99 Figure 55. Home range estimations of ID 83200 by fixed kernel method ··· 101 Figure 56. Home range estimations of ID 83202 by fixed kernel method ··· 102 Figure 57. Spring migration routes of Common Buzzard tracked by satellite

transmitters (● : ID 83199, ○ : ID 83201) ···104 Figure 58. Cumulative tracked distance after the beginning of migration of two

Common Buzzards in spring 2010 ···106

(12)

ABSTRACT

Distribution and Migration Ecology of Endangered Accipitridae Species in Korea

Kim, Sung-Hyun

Advisor : Prof. Choi, Young-Bok, Ph.D.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Most of Accipitridae species are internationally endangered, therefore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these species are necessary and urgent in the range countr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seasonal distribution and migration ecology of endangered Accipitridae specie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prop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ose species.

The trends of population size, migratory patterns and distributions of each Accipitridae species in 2000'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900’s. In most species except vagrant species, the comparison result shows that the number of wintering sites has an increasing trend. The distribution of Chinese Sparrowhawk (

Accipiter soloensis

) in breeding season of 2000’s has enlarged compared to that of 1900’s. The staging distributions of Oriental Honey Buzzard, Pied Harrier (

Circus melanoleucos

), and Grey-faced Buzzard (

Butastur indicus

) in migration seasons of 2000's also have an increasing trend compared to those of 1900's.

The results of migratory status research in 4 areas (Hong island, Eocheong island, Socheong island, Busan-Geoje island) which were selected by previous

(13)

surveys and records show that these areas are important sites in migration routes of Accipitridae species for these areas regularly support numerous Accipitridae communities. Especially Oriental Honey Buzzard used all 4 areas for their stopover site in large flocks. In addition to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se species choose different migration routes in spring and autumn. In spring, most of them migrate through Busan-Geoje island area. In autumn, on the contrary, they migrate through islands of west coast of Korea; Hong island, Eocheong island and Socheong island. Those stop over islands during autumn migration identified as new migration routes of these species.

The migration ecology of Oriental Honey Buzzard conducted by ground surveys show that they adopt different migration patterns by area and time, respectively. Consequently, departure and arrival area of this species could be estimated based on each migration patterns. Also it was found that the velocity and direction of the wind in the areas are important factors to influence the migratory status of this species.

Migration of Black Kites (

Milvus migrans

) were investigated by satellite tracking using platform transmitter terminals (PTTs). Movement and habitat use pattern from two Black Kites, which wintered in Nakdong estuary, released with PTTs showed that both of them did not migrate to long distance and constantly stayed around Nakdong estuary. During the daytime they had relatively wide home range and during the nighttime they used forests near Dadaepo as their roost site. Exceptionally one adult kite was found to travel to Tsushima island of Japan for a few days.

Satellite tracking of the migration of two Common Buzzards (

Buteo buteo

) were conducted in Cheorwon and Busan respectively. The released two buzzards migrated to the far eastern area of Russia along the Korean Peninsula. They started northern migration in early April and arrived to the far eastern area of Russia in late April. Two buzzards showed similar pattern in migration strategy.

(14)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important for internationally endangered Accipitridae species as providing essential stopover sites during their spring and autumn migration. Those sites are identified as being important habitat for the protection and conservation management of Accipitridae species in Asia region.

(15)

Ⅰ. 서 론

수리科(Accipitridae) 조류는 일반적으로 맹금류라고 불리어지며, 맹금류는 분류 학상 매目(Falconiformes)과 올빼미目(Strigiformes)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매 목 조류는 주행성 맹금류, 올빼미목 조류는 야행성 맹금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주행성 맹금류인 매목 조류는 전체 조류의 약 3% 정도인 290종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수리과는 매목의 5개 과(科) 중 하나로 전 세계적으로 233종이 알려져 있고 (del Hoyo

et al.

, 1992), 수리과 이외에는 뱀잡이수리과(Sagittaridae), 콘도르과 (Cathartidae), 매과(Falconidae), 물수리과(Pandionidae)가 있다(del Hoyo

et al.

, 1992).

이 중 국내에는 매과, 수리과, 물수리과의 3개 과가 알려져 있다. 물수리과의 경 우, 수리과에 포함하는 분류학적 견해(Stresemann & Amadon, 1979; Yamashina, 1986; 日本鳥學會, 2000)와 물수리과로 따로 독립시킨 분류학적 견해(Vaurie, 1965;

Brown & Amadon, 1968; Cramp & Simmons, 1980; Dickinson, 2003; Clements, 2007)가 있다. 지금까지 물수리를 수리과에 포함하여 국내의 수리과 조류는 24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이 등, 2000), 최근 고산대머리수리, 흰점어깨수리, 흰배줄무늬수리 등의 새로운 기록이 추가되어 현재는 27종으로 확인되고 있다(박a 등, 2008; 채 등, 2009).

수리과 조류는 다양한 분류군으로 구성된 무리로서 크게 독수리류(Vultures), 수 리류(Eagles), 새매류(Hawks), 솔개류(Kites), 개구리매류(Harriers), 말똥가리류 (Buzzards)로 나누어진다(del Hoyo

et al.

, 1992; 채 등, 2009). 독수리류는 매우 넓 고 긴 날개를 가진 대형 맹금류로 주로 활공으로 비행하며 죽은 동물을 주된 먹이 로 이용한다. 번식기 이외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머리에는 깃털이 없거나 솜털로 덮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목은 길게 발달되 어 있으나 날아갈 때는 목을 움츠리는 경향이 있다. 수리류는 다양한 종들이 함께 포함된 그룹으로 일반적으로 길고 폭 넓은 날개를 이용하여 활공한다. 암수의 형 태는 비슷하나 비교적 암컷이 큰 경향이 있다. 새매류는 넓고 짧은 날개와 긴 다 리, 긴 꼬리를 가진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중소형이다. 채식을 위해 발가락 이 길게 발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숲에 서식하면서 작은 포유류, 파충류, 곤충

(16)

등을 먹는다. 솔개류는 주로 개활지에서 활동하는 소형에서 중형의 맹금류로 길고 각진 날개를 가지며, 날개짓과 활공을 반복하며 비행한다. 소형 조류와 포유류, 양 서류, 파충류, 조개류, 그리고 죽은 사체까지 다양한 먹이를 이용한다. 주로 전 세 계의 온대지역에 분포하며 집단생활을 하는 경향이 있다. 개구리매류는 길고 폭이 좁은 날개와 꼬리를 가진 중형의 맹금류로서 다른 맹금류에 비해 지상에서 낮게 날며 생활하는 경향이 있다. 주로 개활지나 습초지 등에서 서식하며 개구리류나 설치류 등을 먹는다. 말똥가리류는 수리류와 유사한 중형 맹금류로서 수리류에 비 해 크기가 작은 편이며 머리와 부리도 몸에 비해 작은 편이다. 폭이 넓고 둥근 날 개와 넓은 꼬리를 가지고 있고 공중을 선회하며 유라시아, 아프리카, 신대륙 등에 서 서식한다. 정지비행을 하거나 높은 곳에서 움직이지 않고 먹이를 찾으며 주로 지상에 있는 곤충과 양서류, 파충류, 소형 조류와 포유류 등을 먹이로 이용한다 (del Hoyo

et al.

, 1992).

이러한 수리과 조류는 국내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또는 문화재청 지정 천 연기념물에 속하는 종이 대부분이며, 국제적으로도 대부분 멸종위기에 처한 분류 군이다. 따라서 수리과 조류를 비롯한 맹금류는 국제적으로 관심이 집중되는 종이 며, 체계적인 조사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수리과 조 류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조사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지역별 전 체 조류상을 조사하면서 수리과 조류의 기록도 함께 확인되어지는 정도이다. 또한 월동기에는 채식을 위해 개방된 곳으로 나오고, 대부분 다른 분류군을 조사하면서 함께 관찰하기 용이한 지역에 도래하므로, 월동 개체의 도래 현황에 대해서는 어 느 정도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번식기나 춘·추기 이동기에는 다른 분류군의 조류에 비해 조사방법이나 관찰지점이 다른 경우가 상당히 많으므로 수리과만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가 아니 라면 도래현황, 개체군 변동, 이동경로 등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어렵다는 것을 의 미한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최근 탐조인이나 조류를 촬영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 서 관찰 및 사진 기록들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관찰 기록이 예 전에 비해 증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보들이 분산되어 있으므로 수리과 조 류의 분포 및 현황들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1900년대는 한국에 도래하는 조류 전 종을 대상으로 Austin(1948), 원(1969), 원과 고아(1971) 및 원

(17)

(1981)이 관찰기록들을 정리하였고, 이후로 국내 조류 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 리된 것이 없었다. 이에 대해 박(2002)은 원(1981)이 마지막으로 현황을 정리한 이 후 20년이 흘러 조류의 현황과 분포에 대한 새로운 사실들이 계속해서 밝혀지고 있고 많은 자료가 누적되었으나, 참고할만한 문헌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라고 언급 하였고, 이에 박(2002)은 그 당시 정리되었던 문헌들을 토대로 전 종에 대한 분포 및 현황을 재정리하였으며, 수리과 조류의 경우에도 구체적인 관찰기록이 잘 정리 되어 있다.

지금의 시점에서 보면 다시 10년 정도가 흘렀으며, 2000년을 기준으로 전후에 환경이나 문화적 변화가 급격히 일어났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2000년 이후 분산되 어 존재하는 수리과 조류의 많은 관찰 정보들을 수집하고 분포 및 현황 등을 정리 하여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이라 판단된다. 또한 분포 기록 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못하여 과거와 현재의 분포 및 도래실태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었던 점을 감안한다면 2000년 이후의 수리과 분포와 박(2002)이 정리한 1900 년대의 분포를 비교하여 분포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멸종위기인 수리과 조류의 연구 및 보호 방안 마련을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할 기본적인 연구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월동기에는 자료로 활용 가능한 수리과 조류의 정보들이 어느 정도 확보되 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번식기 및 이동기의 도래 실태 조사는 별도의 많은 시 간과 노력이 소모되는 연구이므로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특히 한반도는 동 아시아의 중심에 있기 때문에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있어서 중요한 중간기착지 또 는 경유지로 이용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대한 연구가 김 등 (2008, 2009), 박 등(2005), 최 등(2009) 의 연구 이외에는 거의 전무하다는 점을 감 안한다면 멸종위기의 수리과 조류의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반 도를 통과하는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대한 연구는 필요성이 더욱 절실히 대두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리과 조류의 분포를 파악하고, 동아시아 수리과 조류의 이동 경로 상 중요한 위치에 있는 한반도에서 야외 조사와 인공위성 추적 조사를 병행한 이동 생태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여 수리과 조류의 새로운 이동 경로 규명과 함께 본 분류군의 국제적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8)

Ⅱ. 연구사

수리科 (Acciptridae) 조류는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종들이 대부분이며 (Collar

et al.

, 2001), 생태계의 최상위 소비자로서 생태계의 건강 상태를 대변할 수 있는 분류군이다. 그러한 이유로 국제적으로도 수리과 조류에 대한 많은 연구 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으며, 인접 국가인 일본의 경우에는 번식, 월동, 이동 등 전 분야에 걸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의 맹금류 조사 연구 단체는 아시아 맹금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Asian Raptor Research & Conservation Network (ARRCN)를 비롯하여 종별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 검독수리연구회, 뿔매 생태연구 그룹, 참매 보호 기금, 일본 참매 네트워크 등이 있으며(김, 2009), 이동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연구 단체는 수십여개에 이른다. 또한 많은 연구비용이 소요되어 일반 연구단체에서 실시하기 어려운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이용한 이동 경로 추적 연구도 대학 연구소 등에서 정부의 지원을 받아 벌매와 왕새매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많은 결과들을 도출해 내고 있다(Higuchi

et al

., 2005; Shiu

et al

., 2006; Yamaguchi

et al

., 2008 등).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수리과 조류의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 며, 수리과 조류의 도래현황 및 실태조차도 체계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는 실정 이므로 분포에 대한 재정리의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1900년대의 경우, 수리과 조류를 포함한 한국에 도래하는 조류 전 종을 대상으로 Austin(1948), 원(1969), 원 과 고아(1971) 및 원(1981)이 관찰기록들을 정리하였고, 이후로 국내 조류 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정리된 것이 없었으나, 박(2002)은 2000년까지의 수리과 조류를 포함한 전 종에 대해 현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최근 탐조인의 증가와 함께 수리과 조류의 관찰기록들이 급증하여 재정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채 등(2009)에 의해 맹금류 도감이 발간되었으나, 주로 식별을 위한 가이드 북 형 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현황에 대한 언급은 부족하다. 또한, 번식 생태는 최 (2009)의 붉은배새매, 월동 생태는 진 등(2009)의 독수리, 이동 생태는 Kim

et al.

(2007)의 독수리 및 최 등(2009)의 벌매에 관한 연구 외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국외에서는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관한 여러 가지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 지만, 국내에서는 이동 현황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수리과 조류에 있어

(19)

서 가장 취약한 연구는 이동생태 연구라고 판단된다. 벌매의 경우에는 일본의 인 공위성 추적 연구(Higuchi

et al

., 2005; Shiu

et al

., 2006; Yamaguchi

et al

., 2008 등)가 꾸준히 진행되어 국내에 통과하는 집단의 대략적인 이동경로는 밝혀져 있지 만, 일본의 번식 집단과 별개로 국내에 통과하는 집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동집단의 규모도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를 통과하는 벌매의 이동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와 함께 국내 에서 번식하는 벌매를 대상으로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이용한 이동경로 조사 를 병행할 필요성이 있다.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이용한 이동경로 조사는 발 신기의 무게로 인해 다른 분류군보다 몸집이 크고 개체수가 적은 수리과 조류를 연구하는데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말똥가리를 대상으로 인공위성 추적용 발 신기를 이용한 이동경로 추적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종은 이미 스웨덴에서 선행연 구가 진행된 바가 있으나(Strandberg

et al

., 2005), 이동 경로 상 한반도를 통과하 는 아시아 경로와는 다른 경로상의 연구이므로 국내에 월동하는 개체를 대상으로 이동경로를 규명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솔개의 경우에는 부산에서 연중 머 무르는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박(2000)의 보고와 같이 시기별로 관찰되는 개체 수의 차이가 있어 부산 일대에 머물고 있는 솔개의 도래유형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으며, 본 종에 대하여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이용한 이동연구는 세계 최초이다.

따라서 최근 국내의 수리과 조류 분포 및 현황을 정리하여 분석하고, 그 중 가장 취약한 연구 분야인 이동 생태 연구에 대하여 이동현황 조사와 함께 인공위성 추 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한다면, 수리과 조류의 국제적인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0)

Ⅲ. 연구대상 및 방법 1. 대상종

수리科 (Accipitridae) 조류는 전 세계적으로 233종이 알려져 있고(Dickinson, 2003), 그 중 국내에 기록된 전체 종인 27종을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물수리 의 경우에는 수리과에 포함하였고, Black Baza (

Aviceda leuphotes

)의 경우에는 2006년 5월 19일 소청도에서 1개체를 관찰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사진 등의 근거 자료가 불충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외하였다. 분류학적 순서 및 학명 등은 Dickinson(2003)의 The Howard and Moore Complete Checklist of the Birds of the World 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1) 물수리

Pandion haliaetus

Linnaeus, 1758

세계적으로 분포가 넓은 종으로 북유럽, 동유럽에서 시베리아 동부, 중국 북서 부에 걸쳐 남미를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4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Pandion haliaetus haliaetus

Linnaeus 로 알려져 있다(Austin, 1948; 원과 고아, 1971; Vaurie, 1965; 원, 1981).

(2) 벌매

Pernis ptilorhyncus

Temminck, 1821

세계적으로는 번식지가 크게 두 지역으로 나누어지는데, 극동에 있어서 바이 칼호 서부에서 아무르강 하류지방, 우수리지방, 사할린까지 남쪽은 몽골 동부, 중 국 하북, 황하 하류, 한반도, 일본에 걸쳐 번식하는 집단과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 에서 번식하고 연중 같은 장소에 서식하는 이동성이 약한 집단이 있다 (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6아종으로 분류하 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Pernis ptilorhyncus

orientalis

Taczanowski 로 알려져 있다(Vaurie, 1965; 원과 고아, 1971; 원, 1981).

(21)

(3) 솔개

Milvus migrans

Boddaert, 1783

극지와 사막을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 아프리카 대륙,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마다가스카르, 스리랑카, 일본, 대만, 하이난섬, 슬라웨시, 소순다열도, 뉴기니아 등 에서 번식하고,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번식 집단은 극소수가 예외적으로 남아 있는 것 외에는 대부분 열대 아프리카에서 월동한다. 시베리아, 몽골, 중국북부의 번식 집단은 인도부터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고, 그 이외의 지역에서는 일부를 제외하 고는 대부분 일년내내 동일지역에서 머문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7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Milvus migrans lineatus

로 알려져 있다(Vaurie, 1965;

원과 고아, 1971; 원, 1981).

(4)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Linnaeus, 1758

유라시아 대륙의 북부와 아일랜드, 그린랜드, 일본, 사할린, 치시마열도의 수림 대에서 주로 번식하고, 월동기에는 조금 남쪽으로 이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로 알려져 있다(Vaurie, 1965; 원과 고아, 1971; 원, 1981).

(5) 참수리

Haliaeetus pelagicus

Pallas, 1811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부에 넓게 분포한다(Morioka

et al.

, 1998). 캄챠카반도, 오호츠크해를 따라 남쪽으로 사할린에 걸쳐 번식하고, 우수리 지방, 한국, 일본의 해안 습지, 하구 등에서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채 등, 2009).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Haliaeetus pelagicus pelagicus

(참수리)로 알려져 있으나

H. p. niger

(한 국참수리)의 기록도 알려져 있다(Vaurie, 1965). 아종인 한국참수리의 경우, 그 분 포가 한국을 비록한 극동아시아에 제한되어 있지만(Austin, 1948), 참수리의 어린 개체로 보는 견해도 있으며(Brazil, 1991), 여러 종의 맹금류에서 보고된 흑색형의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Austin, 1948). 특히 지명미상의 채집기록 4건(1911년 11 월, 1913년 4월, 1921년 1월, 1929년 1월)과 충청남도에서 일자미상의 기록 1건이 보고되어 있으나(Austin, 1948), 1930년대 이후 표본이나 살아있는 상태의 개체가 보고된 바가 없어 멸종되었을 가능성도 있다(Ferguson-Lees and Christie, 2001).

(22)

(6) 수염수리

Gypaetus barbatus

Linnaeus, 1758

중앙아시아에서 남시베리아, 서유럽에 걸쳐 분포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북 한에 기록된 아종은

Gypaetus barbatus aureus

이다(Vaurie, 1965).

(7) 고산대머리수리

Gyps himalayensis

Hume, 1869

히말라야부터 파키스탄 북부, 인도 북부, 티벳 남부, 네팔, 부탄, 중국 중부 등에 서식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채 등, 2009).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8) 독수리

Aegypius monachus

Lannaeus, 1766

스페인 서부, 마요르카섬, 그리스 북부, 불가리아 남부, 크림반도, 터키, 카프카 스 산지, 이란,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북부, 인도 북부, 톈산 산지, 위구르, 티베 트, 중국 중부 및 북부, 몽골에 걸친 지역에서 번식하고, 대부분은 동일 지역에서 연중 서식하지만 아시아 집단은 남쪽의 인도 중부, 중국 중부, 한반도에서 월동한 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다 (Dickinson, 2003; Clements, 2007).

(9) 관수리

Spilornis cheela

Latham, 1790

파카스탄, 인도, 스리랑카, 중국 남부 및 동남부, 야에야마 제도, 대만 및 동남 아시아 전역에 분포하지만, 이동성이 약하며 지역에 따라 많은 변이가 있기 때문 에 분류 방법에 따라 아종간 분포가 크게 바뀐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22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지리적 분포 만을 고려한다면 한국에 기록된 아종은 중국 중남부와 동남부, 베트남 북부 에 분포하는

Spilornis cheela ricketti

일 가능성이 높으나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추가적인 분류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23)

(10) 개구리매

Circus spilonotus

Kaup, 1847

바이칼호 주변과 몽골의 동쪽, 아무르강 유역, 사할린까지, 남쪽은 중국의 내 몽고 중부에서 중국 동북지방의 북·중부, 우수리까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하 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Circus spilonotus spilonotu

s 이다(원, 1981; 日本鳥学会, 2002).

(11) 잿빛개구리매

Circus cyaneus

Linnaeus, 1766

극북을 제외하고 유라시아 대륙 북부와 북 아메리카 대륙 북부에서 번식하고, 스칸디나비아 반도 남부를 포함하여 유럽 중남부, 중앙아시아 남부, 인도 북부, 인 도차이나반도 북부, 중국 남동부, 대만, 한반도 남부, 일본 등에서 월동한다 (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하 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Circus cyaneus cyaneus

이다(Vaurie, 1965; 원, 1981).

(12) 알락개구리매

Circus melanoleucos

Pennant, 1769

번식 지역은 비교적 좁고 바이칼호의 동쪽에서 몽골 동부, 중국 동북부 지방, 아무르강 중류, 한반도 북부에 걸친 지역과 조금 남쪽으로 떨어진 미얀마 북부이 며(Morioka

et al.

, 1998), 주된 월동지는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 등이다(Ferguson- Lee

et al.

, 2001; 채 등, 2009).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13)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Horsfield, 1821

중국의 북부를 제외한 동쪽과 한반도에서 번식하고 있으며, 북쪽은 중국 동북 지방 남부까지만 분포한다. 기존에 분포하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던 우수리 지방에 서도 1983년까지 남부에서의 번식이 4차례 발견되었다. 대만에서도 텃새로 되어 있지만 Gan(1984)에 의하면 번식은 확인되지 않았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24)

(14) 조롱이

Accipiter gularis

Temminck & Schlegel, 1844

중앙시베리아 남부와 몽골 북부, 중국 동북지방, 한반도, 아무르 지방, 우수리 지방, 사할린, 치시마 남부, 일본 등에서 번식하고, 중국 동부·남부, 대만, 일본, 말 레이시아 반도, 안다만 제도, 니코발 제도, 수마트라, 자바, 필리핀, 보르네오에서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Accipiter gularis gularis

이다(원, 1981; 日本鳥学会, 2002).

(15) 새매

Accipiter nisus

Linnaeus, 1758

극북을 제외한 유럽 전역과 아프리카의 북부, 터키 서부, 시베리아 전역, 이란 북부, 톈산산맥 일대, 중국 동북지방 북부, 캄챠카, 아무르·우수리 지방, 사할린, 치 시마 열도, 일본 등에서 번식하고, 겨울에는 조금 남쪽으로 이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7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Accipiter nisus nisosimilis

이다(Austin, 1948; 원 과 고아, 1971; 원, 1981).

(16) 참매

Accipiter gentilis

Linnaeus, 1758

유라시아 대륙과 북아메리카 대륙의 북부에 넓게 분포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채 등, 2009). 지리적으로 10아종으로 분류하며 (Dickinson, 2003), 한국에는 도래하는 아종은 주로

Accipiter gentilis schvedowi

이지만, 아종 흰참매

Accipiter gentilis albidus

의 채집 및 관찰기록도 몇 차례 있 다(Vaurie, 1965; 원과 고아, 1971). 국내에는 기록이 없지만 일본 본토에 넓게 분 포하고 있는 아종

Accipiter gentilis fujiyamae

의 도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그 집단은 대부분 이동성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종간에 형태학적 인 차이도 크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조사 및 분류학적 검토가 필요하다.

(17) 왕새매

Butastur indicus

Gmelin, 1788

극동의 제한된 지역에서 번식하는 종으로, 번식하는 지역은 아무르 지방 남부, 우수리 지방, 중국의 동북 지방에서 하북성까지, 그리고 일본의 동북 지방에서 큐

(25)

슈까지이다. 또한 한반도 북부에서도 번식할 것이라 판단된다. 겨울철에는 남서 제 도, 대만, 중국 남부, 미얀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반도, 필리핀, 보르네오, 슬라 웨시, 마르크 제도, 뉴기니아 등을 지나간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18) 말똥가리

Buteo buteo

Linnaeus, 1758

대체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북위 40∼65도 상의 지역과 영국, 사할린, 치시 마, 일본에서 번식하며 겨울에는 유럽 남서쪽의 반 정도와 터키, 아라비아 반도 남 부, 아프리카 동부·남부, 톈산 산지, 사할린,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 탄, 스리랑카 등으로 건너가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11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Buteo buteo japonicus

로 알려져 있지만(Vaurie, 1965; 원, 1981), 최근

Buteo buteo vulpinus

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 다(박b 등, 2008). 개체변이가 많은 말똥가리의 특성상 이 개체들이 기존에 국내에 기록된 말똥가리 (

B. b. japonicus

) 의 개체변이에 해당되는지 새로운 아종이 도래 한 것인지에 대해서 추가적인 조사와 함께 아종간의 분류학적 고찰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9)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Temminck & Schlegel, 1844

알타이 산맥에서 몽골, 중국의 동북 지방까지와 톈산 산맥부터 남쪽은 티베트 까지의 고지 초원지대에서 번식하고 텃새의 형태로 영소지 근처에 그대로 머무르 는 개체가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일부는 평야로 내려오거나 중국의 동·남부, 인도의 북부, 미얀마, 한반도 등으로 이동해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20) 털발말똥가리

Buteo lagopus

Pontoppidan, 1763

북반구의 한대 툰드라 지대 및 아한대 북부의 침엽수림대에서 툰드라 지대로 옮겨지는 지역에 번식한다. 겨울은 보다 온난한 지방으로, 유라시아 대륙에서는 거

(26)

의 북위 40∼55도 지역, 북아메리카 대륙에서는 거의 북위 35∼50도 지역에서 월 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4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는 2아종이 도래하는데 Austin(1948) 및 원과 고아(1971)는

B. l. kamtschatkensis

가 도래하는 것으로 보 고하였으나, 원(1981)과 Vaurie(1965)는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을

B. l. menzbieri

로 보고하였다. 박(2002)은 두 아종은 무늬차이로 인해 야외에서 구별이 가능한데 관찰 결과, 철원에서 관찰한 개체는

B. l. menzbieri

, 아산만과 천수만에서 관찰한 개체는 모두

B. l. kamtschatkensis

로 동정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아종간의 도래 빈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21) 항라머리검독수리

Aquila clanga

Pallas, 1811

유럽 동부에서 서시베리아 남부, 중앙시베리아 남부, 중국 동북지방, 우수리 지방까지 걸쳐진 지역과 이란 북부, 키르기스스탄 초원과 톈산 산지의 일부에서 번식하고 있다. 겨울에는 아프리카 남부, 터키에서 인도, 인도네시아, 중국 남부에 걸쳐서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22) 초원수리

Aquila nipalensis

Hodgson, 1833

알타이산맥 서부부터 몽골의 나무가 없는 대초원에서 번식하고, 인도에서 월 동하며, 일부 개체는 아라비아와 아프리카까지 이른다(Ferguson-Lee

et al.

, 2001;

채 등, 2009). 지리적으로 2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서 월동하는 아종은 지리적 분포권으로 볼 때

Aquila nipalensis nipalensis

로 판단되나(채 등, 2009), 추가적인 조사 및 분류학적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3) 흰죽지수리

Aquila heliaca

Savigny, 1809

포르투칼과 스페인의 남서부 일대, 그리고 구체코슬로바키아 남부에서 그리스, 터키, 이란 북부까지, 바이칼호에 걸쳐 대략 북위 40∼55도까지의 지역 내에서 여 러 곳에 번식하고 있다. 우수리 지방에서도 번식한다고 판단되며 분포역의 남쪽 한계가 되는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남서부, 그리고 구유고슬라비아 남부, 루마니아,

(27)

그리스, 터키, 이란 북부에서는 텃새로 거의 번식지와 같은 지역에서 월동하지만 그 외의 보다 북쪽 지역에서는 월동기에 보다 온난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생활한 다. 주된 월동지는 중동과 근동지역, 나일강 중류역,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북부, 중국 황하 중류역, 양자강 하류역 및 중국의 남동·남부, 베트남 북부 등이다 (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알려진 아종은 없으나 (Dickinson, 2003; Clements, 2007), 원(1981)과 Vauire(1965)에 의하면 한국에 도래 하는 아종은

Aquila heliaca heliaca

로 기재되어 있다.

(24) 검독수리

Aquila chrysaetos

Linnaeus, 1758

아프리카 북부, 이베리아 반도, 유럽 남부 및 동부, 영국 북부,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부 및 서부, 구소련령 유럽 서부 및 북부부터, 극북을 제외하고 거의 시베 리아 전토, 몽골, 캄챠카, 치시마 열도, 우수리 지방, 중국 동북지방 서부, 중국 중 부 및 서부, 한반도, 일본, 중동 및 근동 지역에서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북부에 걸친 지역, 북아메리카 북부 및 서부, 멕시코 북부에서 번식하고, 대부분은 같은 지역에서 연중 머무르지만, 스웨덴 북부, 시베리아 북부, 북아메리카 북부의 집단은 보다 남쪽에서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7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Aquil achrysaetos japonica

이다(Austin, 1948; Vaurie, 1965; 원, 1981).

(25) 흰배줄무늬수리

Hieraaetus fasciatus

Vieillot, 1822

북아프리카, 이베리아 반도에서 중동, 중앙아시아까지 산발적으로 분포하며, 인도, 중국 동남부, 소순다열도에도 분포한다(Brazil, 2009; 채 등, 2009). 지리적으 로 2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Hieraaetus fasciatus fasciatus

로 판단된다(박a 등, 2008).

(26) 흰점어깨수리

Hieraaetus pennatus

Gmelin, 1788

유럽 남부와 아프리카 북부에서 인도 북서부 그리고 중앙 아시아, 아프리카 남부에서 번식하고,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에서 월동한다(Ferguson-Lee

et al.

, 2001; 채 등, 2009). 알려진 아종은 없다(Dickinson, 2003; Clements, 2007).

(28)

(27) 뿔매

Spizaetus nipalensis

Hodgson, 1836

인도 남서부, 스리랑카, 인도 북부 및 네팔에서 하이난섬을 포함한 중국의 남·동부, 미얀마 북부, 말레이시아 반도, 태국, 인도네시아에 걸친 지역, 대만, 일본 등의 산지 에서 번식하고, 연중 거의 동일한 지역에서 서식한다(Morioka

et al.

, 1998). 지리적으로 3아종으로 분류하며(Dickinson, 2003; Clements, 2007), 한국에 도래하는 아종은

Spizaetus nipalensis orientalis

Temminck & Schlegel 이다(Vaurie, 1965; 원, 1981).

Scientific Name Common Name

Korean Name English Name

Pandion haliaetus 물수리 Osprey

Pernis ptilorhynchus 벌매 Oriental Honey Buzzard

Milvus migrans 솔개 Black Kite

Haliaeetus albicilla 흰꼬리수리 White-tailed Eagle Haliaeetus pelagicus 참수리 Steller's Sea Eagle

Gypaetus barbatus 수염수리 Lammergeier

Gyps himalayensis 고산대머리수리 Himalayan Griffon Aegypius monachus 독수리 Cinereous Vulture Spilornis cheela 관수리 Crested Serpent Eagle Circus spilonotus 개구리매 Eastern Marsh Harrier

Circus cyaneus 잿빛개구리매 Northern Harrier

Circus melanoleucos 알락개구리매 Pied Harrier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Chinese Goshawk Accipiter gularis 조롱이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nisus 새매 Eurasian Sparrowhawk

Accipiter gentilis 참매 Northern Goshawk

Butastur indicus 왕새매 Gray-faced Buzzard

Buteo buteo 말똥가리 Common Buzzard

Buteo hemilasius 큰말똥가리 Upland Buzzard

Buteo lagopus 털발말똥가리 Rough-legged Hawk

Aquila clanga 항라머리독수리 Greater Spotted Eagle

Aquila nipalensis 초원수리 Steppe Eagle

Aquila heliaca 흰죽지수리 Imperial Eagle

Aquila chrysaetos 검독수리 Golden Eagle

Hieraaetus faciatus 흰배줄무늬수리 Bonelli’s Eagle Hieraaetus pennatus 흰점어깨수리 Booted Eagle

Spizaetus nipalensis 뿔매 Mountain Hawk-Eagle Table 1. List of Accipitridae species in Korea

(29)

2. 대상지역

수리과 조류의 분포 연구는 한국 전역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리과 조류의 지역 별 이동현황 및 벌매의 이동 생태 연구는 이동시기에 중요한 중간기착지 또는 경 유지로 예측되고 한반도 전체의 이동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전남 홍도, 전북 어청도, 인천 소청도, 부산 및 거제도 일대 등 4개 지역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Figure 1).

A: Socheong Island B: Eocheong Isand C: Hong Island

D: Geoje Island and Busan Figure 1. The location of the study sites

(30)

Figure 2. The study site on Hong island, Jeonnam Province, Korea (◎: Survey point)

가. 홍도

홍도는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위치한 섬으로서(N 34° 41′07″, E 125°

11′33″), 섬의 전체 면적은 약 6.5㎢이고 남북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모양을 하 고 있다(Figure 2). 홍도에서 가장 가까운 육지인 목포로부터 약 115km 서쪽에 위 치해 있고, 흑산도까지는 약 19km 떨어져 있으며, 중국까지는 최단 거리로 약 430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은 섬 전체를 천연기념물 및 다도해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1965년 4월 7일)하여 보호하고 있고, 국가 간을 이동하는 철새의 중간기착지 로 잘 알려져 있는 곳이다(국립공원연구원, 2007). 홍도 주변에는 20여개의 무인 부속도서가 섬 주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주요 식생은 메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붉가시나무 등의 상록활엽수림과 곰솔림이 군락을 이루어 분포한다. 또 한, 한반도의 이동경로 상 러시아와 중국 북동부 등에서 남하하는 집단과 일본에 서 중국 남부로 건너가

는 집단이 교차하는 지 역으로 한반도 수리과 조류의 이동 연구에 있 어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섬이 남북으로 길게 늘어져 있는 형태 이고 본 섬의 최고봉인 깃대봉(368m)과 양산봉 (231m)은 산림이 우거져 있으므로 시야확보가 어 려워 이동방향을 확인하 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도 1구 마을의 양상봉에서 정점 조사를 실시하였다.

(31)

나. 어청도

어청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에 위치한 섬으로서(N 36° 08′00″, E 125°

57′09″), 섬의 전체 면적은 약 1.8㎢이고, 가장 가까운 육지인 군산항으로부터 서 쪽으로 약 66km, 가장 가까운 섬인 외연도까지는 약 12km, 중국 산둥반도와는 약 3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Figure 3). 섬의 최고 해발고도는 198m로 경사가 완 만하며, 마을에서 북서쪽 끝에 위치하는 등대에서는 중국으로 빠져나가는 수리과 조류를 관찰하기 용이하다. 또한 주 조사지점인 마을 북서쪽 정상에 위치한 전망 대는 중국을 향해 이동해 나가는 개체를 제외한 전 지역의 이동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며, 한반도의 이동경로 상 러시아와 중국 북동부 등에서 서해안을 통 과하여 남하하는 집단과 한반도 내륙에서 빠져 나오는 집단을 확인할 수 있는 지 역으로 한반도 수리과 조류의 이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지점이다.

Figure 3. The study site on Eocheong island, Cheongnam Province, Korea (◎:

Survey point)

(32)

다. 소청도

소청도는 인천 옹진군 대청면에 위치한 섬으로서(N 37° 46′8.43″, E 127°

44′23.55″), 섬의 전체 면적은 약 2.9㎢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약 13.1km이다 (Figure 4). 가장 가까운 육지인 인천항으로부터는 북서쪽으로 약 223.6km 떨어진 해상에 있다. 중국 산둥반도와는 직선거리로 약 185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한 반도에서는 중국과 가장 가까운 지역이다. 동서 길이 약 9km, 남북 길이 약 2km 로 가로로 누운 형상이며, 전체적으로 구릉성 산지이나 해안은 급경사의 암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점 조사 지점인 마을 서쪽의 철탑 주변은 사방이 완전 개방되어 국내의 맹금류 이동 조사지역 중 시야 확보가 가장 좋은 지역이다.

Figure 4. The study site on Socheong island, Inchen City, Korea (◎: Survey point)

(33)

라. 부산 및 거제도

조사지역은 부산의 태종대 전망대(N 35° 3′2″, E 129° 5′17″)와 거제도 최남단의 홍포 지역(N 34° 42′29″, E 128° 35′56″)이다(Figure 5). 부산과 거 제도는 한반도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있어서 같은 경로 상에 존재하므로 이동 조 사시 함께 포함하였다. 부산 태종대는 대마도까지 직선거리로 50km 정도 떨어진 지역에 위치해 있고 날씨가 좋은 날이면 대마도를 육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

거제도 홍포에서 대마도까지의 직선거리도 65km 정도로 가까우며 이동 시기에 일 본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일본 방향에서 이동해 오는 집단들을 관찰하기 용이한 지 역이다. 그러나 두 지역은 모두 북쪽이 산으로 가려져 있어서 북쪽 방향의 이동 개체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Figure 5. The study site in Busan and Geoje island, Korea (◎: Survey point)

(34)

3. 연구방법

가. 수리과 조류의 분포

(1) 문헌 조사

수리과 조류의 분포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 까지 10년간의 수리과 조류에 대한 관찰 기록 및 기타 정보들을 수집하였다. 관찰 에 수집된 자료는 아래와 같으며, 정보의 내용 중 수리과 조류의 관찰기록만을 추 출하였다.

○ 2000년∼2009년 환경부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보고서

○ 2000년∼2008년 환경부 전국자연환경 조사 보고서

○ 2006년∼2008년 환경부 철새이동경로 및 이동성 조류 보호관리방안 연구 보고서

○ 2000년∼2005년 환경부 철새이동경로 및 도래서식조사 보고서

○ 2005년∼2009년 국립공원 철새연구센터 조사·연구 보고서

○ 2002년 문화재청 전국 천연기념물 분포지도

○ 2002년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조류의 월동실태조사Ⅱ

○ 새와 생명의 터 Birds Korea 홈페이지(http://birdskorea.or.kr)

○ 한국야생조류협회 홈페이지(http://kwbs.or.kr)

○ 버드디비 홈페이지(http://www.birddb.com/)

○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rdsinjeju.com)

2000년 이전의 관찰 기록은 1900년대의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박(2002)의 논문을 인용하였다. 민간단체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찰 정보들은 사진 등의 근거 자료가 있는 정보들만 정리하였고, 오동정으로 인한 분포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진들을 검토하여 수리과 조류의 기록들을 재확인 하였다. 그 리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수리과 조류의 연구를 위해 조사하였던 저자 개인의 관찰기록도 포함하였고 출판되지 않은 저자 개인의 관찰기록과 제보를 통해 수집 된 관찰기록 및 문헌으로 정리되지 않은 민간단체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찰 정보 들은 별도로 부록에 정리하였다(Appendix 1).

(35)

(2) 자료의 정리

본 논문의 분류체계는 Dickinson (2003)의 기준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포도 작성과 일부 현황 제시를 위해서만 사용하였고, 1900년대와 2000년 대의 분포 변화가 나타나는 종의 경우에는 분포도 상에 별도로 구분하여 표시해 수리과 조류의 분포 변화를 제시하였다. 분포도는 기본적으로 계절별로 나누어 작 성하였고, 도래시기는 일반적 기준인 번식기를 6월부터 8월까지, 월동기를 11월부 터 3월까지, 춘계 이동기를 4월과 5월, 추계 이동기를 9월과 10월로 나누어 작성하 였다. 그러나 11월에 이동하는 개체, 10월에 월동하는 개체 등 월별로 도래시기를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기 어려운 개체들의 경우에는 분포도 상에는 그대로 월 별로 나누어 표기하였으며 별도로 고찰에서 설명하였다. 일부, 관찰지점이나 시기 에 따라 도래개체수의 차이가 큰 종은 도래 규모를 표기하였으며, 지역미상의 관 찰기록일 경우에는 분포도에 표기하지 않고 고찰에 설명을 두었다. 이렇게 작성된 분포도를 토대로 분포 및 현황을 고찰하였고, 현재의 실정에 맞는 도래유형을 제 시하였다.

(36)

나. 지역별 이동 현황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있어서 분포 조사 및 전문가와 민간단체로부터 수집된 정보 등을 토대로 중요한 중간기착지와 경유지라 판단되는 4개 지역(홍도, 어청도, 소청도, 부산 및 거제도)을 선정하고 각 지역별로 조사가 가장 용이한 지점에서 정 점 조사(Point Census)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전남 홍도의 경우, 2005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3년간 매일 조 사하였으며, 어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8년 9월 27일부터 10 월 2일까지 6일간, 소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9월 19일부 터 10월 6일까지 18일간, 부산 및 거제도의 경우에는 춘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5월 6일부터 5월 17일까지 12일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육안과 쌍안경(10×42, Swarovski), 망원경(30×80, Swarovski) 등을 이용하여 관찰되는 종 및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각 종 및 개체수의 도래 경향 등을 파 악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된 분석 방법을 본문에 기입하였 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 주요 종별 이동 생태

(1) 벌매

홍도의 경우,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시간 대별(06:00∼18:00) 이동현황은 2007년에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 으로 실시하였다. 어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8년 9월 27일부 터 10월 2일까지 6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 현황을 조사하였고, 소청도의 경우에는 2009년 9월 19일부터 10월 6일까지 18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부산 및 거제도의 경우에는 춘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5월 6일부터 5월 17일까지 12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현황을 조사 하였다.

관찰은 육안과 쌍안경(10×42, Swarovski), 망원경(30×80, Swarovski) 등을 이용

(37)

하였으며, 벌매가 이동해 나갈 때에는 진행방향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망원경 에 나침반을 부착하여 진행방향을 기록하였다. 또한, 풍향과 풍속과의 관계를 분석 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test 및 Jacobs (1974)의 선호도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12.0이었다.

(2) 솔개와 말똥가리

인공위성 추적을 통한 수리과 조류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야외에서 탈 진 및 충돌하여 구조된 개체를 회복시킨 후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부착·방사하여 2010년 봄철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였다. 추적에 사용된 발신기는 미국 Microwave Telemetry 사에서 제작한 22g Solar Argos/GPS PPT 제품이며, 각 개체의 위치 정보는 Argos system (http:// www.argos-system.org)을 통하여 수신하였다.

대상종은 솔개와 말똥가리 각각 두개체이다. 솔개의 경우, 두개체 모두 낙동강 하 구에서 2010년 2월 22일 방사하였고, 4월 31일까지의 위치좌표 결과를 정리하여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연령은 깃털의 외부 형태를 통해 태어난지 2년째 되는 어린 새(ID 83200)와 3년 이상의 아성조(ID 83202)인 것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본 행동 권 분석에는 AcrGIS 9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인공위성의 위치좌표는 ArcGIS 9 용 Extension인 HRE (The Home Range Exten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에 있어서 최소다각형법(MCP, Minimum Convex Polygon)은 공간이동을 하 는 동물의 행동권 분석을 할 경우에 이용되지 않는 공간까지 행동권에 무리하게 포함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점집합으로부터 확률밀도를 계산하기 적합한 핵심 분포추정법(Fixed kernel estimator method)을 이용하였다. 또한, 야간에 잠자리로 이용되는 지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체별 주야간 분석도 함께 병행하였다. 정밀한 행동권 분석을 위해서 위치 정보는 오차범위가 적은 Class 1(250∼1,000m)부터 2(150∼350m), 3(<150m)까지 만을 사용하였고, 동일 장소에 반복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Class 0(>1,000m)의 위치좌표도 일부 활용하였다. 말똥가리의 경우, 두 개체 모두 성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낙동강 하구에서 2010년 2월 22일 1개체, 철 원에서 2010년 3월 3일 1개체를 각각 방사하였고, 5월 15일까지 이동 경로를 추적하 였다. 수신된 위치정보는 Class 1, 2, 3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동일한 날짜 및 장소 에서 반복적으로 수신되어 신뢰 가능한 경우에는 일부 Class 0, A, B도 활용하였다.

(38)

Ⅳ. 결과 및 고찰 1. 수리과 조류의 분포

가. 종별 분포

(1) 물수리

국내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주로 해안가 일대에서 관찰되었고 내륙의 경우에는 하천이나 댐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97년 8월 제주 하도리 일대에서 1회의 관찰 기록만이 있으며, 2000년대에는 만경강, 홍 도, 흑산도, 제주도에서 추가적으로 관찰되었다(Figure 6). 월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제주 및 전라남도 해남 해안가 일대의 관찰 기록이 대부분이며, 강원도 강 릉, 경기도 시화호, 부산 등에도 관찰기록이 존재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관찰 기록이 크게 증가하여 서남해 해안가 전역, 제주도, 동해안 일부 등에서 쉽게 관찰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내륙의 큰 하천이나 댐 주변에서도 관찰되었다 (Figure 6).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소매물도, 부산 태종대, 제주도에서 관찰되었고, 2000년대에는 백령도, 외연도, 전남 홍도, 흑산도, 가거도 등의 도서지 역과 금강 하구 등 일부 해안가 지역에서 관찰되었다(Figure 6). 추계 이동기의 경 우, 1900년대에는 경기도, 강화도 등의 내륙 지역과 제주도, 흑산도 등의 도서지역 에서 주로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에는 서남해안의 도서지역 및 내륙에 넓게 분포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Figure 6).

(2) 벌매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 광릉 및 울릉도, 거제도에서만 관찰 기 록이 있지만 2000년대 이후부터 경기도, 강원도, 제주도, 백령도 등의 여러 지점에 서 관찰되었고 강원도 홍천 지역에서는 2009년에 실제로 번식이 확인되었다 (Figure 7). 1900년대에는 벌매의 이동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으나, 2000년대 에 들어와 춘·추계 이동기의 분포가 크게 확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춘계 이동기의

(39)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 영종도, 거제도, 부산, 제주도 등에서 몇 차례의 관찰 기록만이 존재하였고, 이동 개체수는 1997년 5월 15일 거제도의 254개체가 최대이 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부산 및 거제도를 중심으로 많은 이동이 확인 되었는데, 2009년 5월 13일 거제도에서는 하루에 1,597개체의 대이동이 관찰되었으며, 경기도 내륙을 중심으로 한 소수의 이동도 확인 되었다(Figure 7).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9월에만 백령도와 강화도에서 각각 15개체, 6개체의 기록이 있으나 2000년대에는 서해 도서지역 및 제주도를 중심으로 많은 이동이 관찰되었고, 특히 소청도에서는 2009년 추계에 4,372개체의 대 이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청도, 홍 도, 흑산도, 가거도, 제주도 등에서도 일일 100개체 이상의 이동을 확인한 바가 있 다(Figure 7). 2000년대 이동시기에는 한반도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개체가 이 동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경기도 및 강원도 일대에서 번식 및 번식 징후를 확 인하는 등 1900년대에 비해 분포의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3) 솔개

국내에서는 1900년대에 비해 분포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식기 의 경우, 1900년대에는 거제도와 제주도의 기록이 있으며, 경기권에는 공식적인 관 찰기록이 없고, 2000년대부터는 부산 일대의 관찰기록만이 존재하였다(Figure 8).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 경기권을 중심으로 분포하던 것이 2000년대부터 부산 과 경남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가 변화하여 분포의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igure 8).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울 종묘 일대(1970년 4월), 수원 (1946년 4월), 부산 을숙도(1990년 4월)의 관찰 기록만이 존재하지만 2000년대에는 백령도, 대청도, 흑산도, 독도 등의 도서지역과 강원도 고성, 부산 일대의 관찰기록 만이 확인 되었다(Figure 8).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 독도 등의 도서지역과 서울 인근 지역에서만 관찰 기록이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 분포가 넓어져서 소청도, 어청도, 홍도, 가거도 등의 서해안 도서지역 및 독도, 천수만 등 에서 확인되었다(Figure 8).

(40)

(4) 흰꼬리수리

국내에서 번식기의 경우에는 1900년대에 흑산도 및 제주도에서 관찰기록이 있 고, 2000년대에도 흑산도와 홍도에서만 관찰되어 분포의 큰 변화는 없었지만 (Figure 9), 2000년 봄에 흑산도에서 국내 최초로 번식이 확인 되었다. 월동기에는 최근 다른 계절에 비해 분포가 크게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지역당 개체수는 적으나 강원도 해안가 및 경기도 강 하구, 전남의 해안가, 부산, 제주도 등에서 관 찰되던 190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들어와 댐, 큰 호수 등이 있는 내륙까지 분포 가 확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9). 춘계 이동기에도 홍도, 흑산도에서만 관 찰되었고, 타 지역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Figure 9), 추계 이동기의 경우 에도 전남 홍도, 흑산도, 가거도, 제주도 등에서만 관찰되었다(Figure 9).

(5) 참수리

국내에서 월동기(11월∼3월) 이외의 기록은 1913년 4월(지명 미상)에 단 1회의 기록만 있다. 강화도, 한강-임진강 하구, 제주도, 거제도, 부산 등 일부 지역에 국 한되어 분포하던 1900년대에 비해 2000년대부터 월동 분포가 전국적으로 확장되었 지만 대부분 지역당 1∼2개체 정도인 적은 개체수가 도래하고, 흰꼬리수리에 비해 월동 개체군이 훨씬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10).

(6) 수염수리

국내에서는 북한의 기록(함경남도, 1912년 12월)을 제외하면 겨울철 강원도에 서 2회의 채집기록(1916년 12월 21일, 1918년 1월 6일)만이 확인되었다(이 등, 2000; Figure 11).

(7) 고산대머리수리

최근 기록된 종으로 2007년 2월 11일 경남 진주 수곡리의 독수리 월동지에서 유조 1개체가 관찰되었고, 이후 동년 3월 17일(포천)과 18일(연천)에 각각 유조 1개 체가 관찰되었다(채 등, 2009; Figure 11).

(41)

(8) 독수리

국내에서 1900년대의 월동기 이외의 기록은 1998년 4월 6일 파주시 적성면에 서 관찰된 30개체만이 존재한다. 월동기의 경우에도 1900년대에는 국지적으로 흔 하지 않는 겨울철새로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개체군 규모의 증가와 함께 분포가 남부지방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 월동하는 집단은 대부 분 유조로 확인되어지고 있으며, 주로 철원평야, 연천, 파주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많은 개체군이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2000년 대에 들어와 경남 고성에서도 100개체 이상의 월동집단이 확인되었다(Figure 12).

또한 제주에서는 1900년대에 어떤 계절에서도 전혀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2000년대부터 적은 수가 모든 계절에 도래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최근 월동기뿐 만 아니라 번식기인 8월에도 확인되었다(Figure 12).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파주시 적성면에서 30개체(1998년 4월 6일)가 관찰되었고, 2000년대에는 광 양시 수어천(2005년 5월)과 제주 산록도로(2009년 4월 5일)에서 각각 1개체씩 관찰 되었다(Figure 17). 추계 이동기에는 제주 한라산 남부(2008년 9월 9일)에서 관찰 된 1개체의 기록이 전부이다(Figure 12).

(9) 관수리

국내에서는 1900년대에 김해시 녹산면(1988년 12월), 부산시 대연동(1998년 2월), 경남 홍도(1998년 5월) 등 경남 남부지역에서만 채집 및 관찰기록만이 존재하였고, 2000년대에는 2002년 10월 소청도의 관찰기록과 2003년 겨울 춘천에서의 구조기록 이 전부이다(채 등, 2009; Figure 24).

(10) 개구리매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에 울릉도에서 1995년 6월 2일 1개체의 기록만이 존 재한다(Figure 13). 월동기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분포가 넓어진 경향을 나타내었 는데 1900년대에는 천수만, 해남간척지, 낙동강하구 등에서 1∼2개체만이 관찰되는 아주 희귀한 겨울철새로 도래하였으나, 2000년대에는 분포가 확산되어 개체수는 극히 적으나 넓은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산림지역보다는 간척지를 중심으로 월동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13). 춘계 이동기의 경우, 영종도에서 1993년 5월

참조

관련 문서

(b) Island formation starts due to an influx of the cooler part of the plasma outside the inversion radius through the magnetic reconnection as soon as the

Catalogue of marine and freshwater red algae (Rhodophyta) of New South Wales, including Lord Howe Island, South-western.. discussion of apical organizations

Under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 law, both land and island can have its own maritime jurisdictional zon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34;la terre domine

When the concentration of ozone exceeded the air quality standard over Jeju Island, the other gaseous pollutants were also increased together, and

The northern sea area of Jeju Island exhibits a northeastward current regardless of season; the coastal sea area within seven miles from the northern part

The methodology for this study is historical investigation using old texts relating to Jeju such as Tamlaji (‘Records of an ancient Jeju Island’),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and survey for the plans to activate the Amenity development policy, the problems of developing Jeju Island are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igh saline water phenomenon of Handong-ri area in the eastern coast of Jeju Island, were investigate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