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방법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8)

가. 수리과 조류의 분포

(1) 문헌 조사

수리과 조류의 분포 및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1월부터 2009년 12월 까지 10년간의 수리과 조류에 대한 관찰 기록 및 기타 정보들을 수집하였다. 관찰 에 수집된 자료는 아래와 같으며, 정보의 내용 중 수리과 조류의 관찰기록만을 추 출하였다.

○ 2000년∼2009년 환경부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보고서

○ 2000년∼2008년 환경부 전국자연환경 조사 보고서

○ 2006년∼2008년 환경부 철새이동경로 및 이동성 조류 보호관리방안 연구 보고서

○ 2000년∼2005년 환경부 철새이동경로 및 도래서식조사 보고서

○ 2005년∼2009년 국립공원 철새연구센터 조사·연구 보고서

○ 2002년 문화재청 전국 천연기념물 분포지도

○ 2002년 문화재청 천연기념물 조류의 월동실태조사Ⅱ

○ 새와 생명의 터 Birds Korea 홈페이지(http://birdskorea.or.kr)

○ 한국야생조류협회 홈페이지(http://kwbs.or.kr)

○ 버드디비 홈페이지(http://www.birddb.com/)

○ 제주야생동물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rdsinjeju.com)

2000년 이전의 관찰 기록은 1900년대의 문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박(2002)의 논문을 인용하였다. 민간단체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찰 정보들은 사진 등의 근거 자료가 있는 정보들만 정리하였고, 오동정으로 인한 분포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진들을 검토하여 수리과 조류의 기록들을 재확인 하였다. 그 리고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수리과 조류의 연구를 위해 조사하였던 저자 개인의 관찰기록도 포함하였고 출판되지 않은 저자 개인의 관찰기록과 제보를 통해 수집 된 관찰기록 및 문헌으로 정리되지 않은 민간단체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관찰 정보 들은 별도로 부록에 정리하였다(Appendix 1).

(2) 자료의 정리

본 논문의 분류체계는 Dickinson (2003)의 기준에 의거하여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포도 작성과 일부 현황 제시를 위해서만 사용하였고, 1900년대와 2000년 대의 분포 변화가 나타나는 종의 경우에는 분포도 상에 별도로 구분하여 표시해 수리과 조류의 분포 변화를 제시하였다. 분포도는 기본적으로 계절별로 나누어 작 성하였고, 도래시기는 일반적 기준인 번식기를 6월부터 8월까지, 월동기를 11월부 터 3월까지, 춘계 이동기를 4월과 5월, 추계 이동기를 9월과 10월로 나누어 작성하 였다. 그러나 11월에 이동하는 개체, 10월에 월동하는 개체 등 월별로 도래시기를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기 어려운 개체들의 경우에는 분포도 상에는 그대로 월 별로 나누어 표기하였으며 별도로 고찰에서 설명하였다. 일부, 관찰지점이나 시기 에 따라 도래개체수의 차이가 큰 종은 도래 규모를 표기하였으며, 지역미상의 관 찰기록일 경우에는 분포도에 표기하지 않고 고찰에 설명을 두었다. 이렇게 작성된 분포도를 토대로 분포 및 현황을 고찰하였고, 현재의 실정에 맞는 도래유형을 제 시하였다.

나. 지역별 이동 현황

수리과 조류의 이동에 있어서 분포 조사 및 전문가와 민간단체로부터 수집된 정보 등을 토대로 중요한 중간기착지와 경유지라 판단되는 4개 지역(홍도, 어청도, 소청도, 부산 및 거제도)을 선정하고 각 지역별로 조사가 가장 용이한 지점에서 정 점 조사(Point Census)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전남 홍도의 경우, 2005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3년간 매일 조 사하였으며, 어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8년 9월 27일부터 10 월 2일까지 6일간, 소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9월 19일부 터 10월 6일까지 18일간, 부산 및 거제도의 경우에는 춘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5월 6일부터 5월 17일까지 12일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육안과 쌍안경(10×42, Swarovski), 망원경(30×80, Swarovski) 등을 이용하여 관찰되는 종 및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각 종 및 개체수의 도래 경향 등을 파 악하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사용한 경우에는 사용된 분석 방법을 본문에 기입하였 고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다. 주요 종별 이동 생태

(1) 벌매

홍도의 경우, 2005년 9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3년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시간 대별(06:00∼18:00) 이동현황은 2007년에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 으로 실시하였다. 어청도의 경우에는 추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8년 9월 27일부 터 10월 2일까지 6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 현황을 조사하였고, 소청도의 경우에는 2009년 9월 19일부터 10월 6일까지 18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 현황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부산 및 거제도의 경우에는 춘계 이동기를 대상으로 2009년 5월 6일부터 5월 17일까지 12일간 시간대별(06:00∼18:00) 이동현황을 조사 하였다.

관찰은 육안과 쌍안경(10×42, Swarovski), 망원경(30×80, Swarovski) 등을 이용

하였으며, 벌매가 이동해 나갈 때에는 진행방향을 정확히 확인하기 위하여 망원경 에 나침반을 부착하여 진행방향을 기록하였다. 또한, 풍향과 풍속과의 관계를 분석 하기 위하여 Mann-Whitney U-test 및 Jacobs (1974)의 선호도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12.0이었다.

(2) 솔개와 말똥가리

인공위성 추적을 통한 수리과 조류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야외에서 탈 진 및 충돌하여 구조된 개체를 회복시킨 후 인공위성 추적용 발신기를 부착·방사하여 2010년 봄철의 이동경로를 파악하였다. 추적에 사용된 발신기는 미국 Microwave Telemetry 사에서 제작한 22g Solar Argos/GPS PPT 제품이며, 각 개체의 위치 정보는 Argos system (http:// www.argos-system.org)을 통하여 수신하였다.

대상종은 솔개와 말똥가리 각각 두개체이다. 솔개의 경우, 두개체 모두 낙동강 하 구에서 2010년 2월 22일 방사하였고, 4월 31일까지의 위치좌표 결과를 정리하여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연령은 깃털의 외부 형태를 통해 태어난지 2년째 되는 어린 새(ID 83200)와 3년 이상의 아성조(ID 83202)인 것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본 행동 권 분석에는 AcrGIS 9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인공위성의 위치좌표는 ArcGIS 9 용 Extension인 HRE (The Home Range Exten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에 있어서 최소다각형법(MCP, Minimum Convex Polygon)은 공간이동을 하 는 동물의 행동권 분석을 할 경우에 이용되지 않는 공간까지 행동권에 무리하게 포함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점집합으로부터 확률밀도를 계산하기 적합한 핵심 분포추정법(Fixed kernel estimator method)을 이용하였다. 또한, 야간에 잠자리로 이용되는 지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개체별 주야간 분석도 함께 병행하였다. 정밀한 행동권 분석을 위해서 위치 정보는 오차범위가 적은 Class 1(250∼1,000m)부터 2(150∼350m), 3(<150m)까지 만을 사용하였고, 동일 장소에 반복적으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Class 0(>1,000m)의 위치좌표도 일부 활용하였다. 말똥가리의 경우, 두 개체 모두 성조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낙동강 하구에서 2010년 2월 22일 1개체, 철 원에서 2010년 3월 3일 1개체를 각각 방사하였고, 5월 15일까지 이동 경로를 추적하 였다. 수신된 위치정보는 Class 1, 2, 3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동일한 날짜 및 장소 에서 반복적으로 수신되어 신뢰 가능한 경우에는 일부 Class 0, A, B도 활용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4-3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