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역별 이동 현황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102)

가. 홍도의 이동 현황

전라남도 홍도를 대상으로 2005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매일 3년간 도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관찰된 수리과 조류는 총 14종 3,659개체로 나타났다. 조사기 간 전체의 우점종은 벌매

Pernis ptilorhynchus

(1,768개체, 48.3%),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1,180개체, 32.2%), 새매

Accipiter nisus

(233개체, 6.4%), 말똥가 리

Buteo buteo

(215개체, 5.9%) 의 순서이었다(Figure 31).

연도별로는 2005년 8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2종 1,299개체이었으며(Table 2),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12종 1,052개체(Table 3),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10종 1,308개체로(Table 4), 매년 종 및 개체수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 내었다. 또한 관찰된 전 종에 대한 연도별 도래 종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Kruskal-Wallis test.

X

2=0.603, p>0.5), 도래개체수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Kruskal-Wallis test.

X

2=0.602, p>0.5).

월별로는 종수의 경우, 추계 이동기인 10월에 최고로 증가한 후 12월부터 감소 하고 3월부터 5월까지 다시 증가하다가 6월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Figure 32). 개체수의 경우에도 추계 이동기(9월)와 춘계 이동기(5월)에 급격히 증 가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Figure 33).

계절별로는 춘계에 평균 4.6종(±1.64) 140.7개체(±175.6), 하계에 평균 0.9종(±0.74) 11.3개체(±22.53), 추계에 6.8종(±2.15) 248.1개체(±175.97), 동계에 1.9종(±1.11) 6.4 개체(±6.33)가 관찰되었으며, 춘·추계 이동기에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관찰되어 본 지역은 이동시기 수리과 조류의 중요한 중간기착지 또는 경유지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Table 5). 또한, 계절별 종(Kruskal-Wallis test.

X

2=64.497, p<0.001) 및 개체수 (Kruskal-Wallis test.

X

2=59.693, p<0.001) 모두 유의한 차를 나타내었다(Table 5).

가장 많은 종과 개체가 이동한 춘계와 추계의 관찰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종별로 뚜렷하게 계절별(춘·추계) 이동시기를 달리하며, 흰꼬리수리

Haliaeetus albicilla

, 붉은배새매, 왕새매

Butastur indicus

, 큰말똥가리

Buteo hemilasius

를 제외하고는 추계에 더 활발히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ure 34).

Figure 31. The percentage of dominant species on Hong island

Scientific name 2005 2006

Total Dom.

(%)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Jul.

Pandion haliaetus   4 3 1           1     9 0.7

Pernis ptilorhynchus   525 177             1 1   704 54.2

Milvus migrans     7 2                 9 0.7

Haliaeetus albicilla 1     3 2 1 2 1 3       13 1.0

Accipiter soloensis   1               359 1   361 27.8

Accipiter gularis   2 16 4         1 18     41 3.2

Accipiter nisus   1 35 14 3 5   14 2 13     87 6.7

Accipiter gentilis   1 2             1     4 0.3

Butastur indicus     2             5     7 0.5

Buteo buteo     47 3 2 2     1 3     58 4.5

Buteo hemilasius               1 2       3 0.2

Aquila clanga     3                   3 0.2

No. of species 1 6 9 6 3 3 1 3 5 8 2 0 12

No. of individuals 1 534 292 27 7 8 2 16 9 401 2 0 1,299

Table 2.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5 to July 2006

Scientific name 2006 2007

Total Dom.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Jul. (%)

Pandion haliaetus   2 5 3                 10 1.0

Pernis ptilorhynchus   325 77             3 5   410 39.0

Milvus migrans   2 9 2 1               14 1.3

Haliaeetus albicilla 1 4 3 1       1 4       14 1.3

Circus melanoleucos   3                     3 0.3

Accipiter soloensis   1               280 66   347 33.0

Accipiter gularis   26 10 3           3     42 4.0

Accipiter nisus   4 32 13 3 2   6 14 3     77 7.3

Accipiter gentilis     3 2                 5 0.5

Butastur indicus     13           6 9     28 2.7

Buteo buteo     40 45 6     7         98 9.3

Aquila heliaca     4                   4 0.4

No. of species 1 8 10 7 3 1 0 3 3 5 2 0 12

No. of individuals 1 367 196 69 10 2 0 14 24 298 71 0 1,052

Table 3.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6 to July 2007

Scientific name 2007 2008

Total Dom.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ay Jun. Jul. (%)

Pandion haliaetus   2 2                   4 0.3

Pernis ptilorhynchus   478 173             3     654 50.0

Milvus migrans     4                   4 0.3

Haliaeetus albicilla     3 1       14 13 1     32 2.4

Accipiter soloensis   2 1           1 442 26   472 36.1

Accipiter gularis 1                 2     3 0.2

Accipiter nisus     21 20 8 2 2 4 10 2     69 5.3

Accipiter gentilis         1               1 0.1

Butastur indicus     5           4 1     10 0.8

Buteo buteo   1 11 24 13   3 2 5       59 4.5

No. of species 1 4 8 3 3 1 2 3 5 6 1 0 10

No. of individuals 1 483 220 45 22 2 5 20 33 451 26 0 1,308

Table 4.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Hong island from August 2007 to July 2008

Figure 32. Fluctuation of number of species on H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ugust 2005 ∼ July 2008)

Figure 33. Fluctuation of number of individuals on H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ugust 2005 ∼ July 2008)

Spring Mar. Apr. May Mar. Apr. May Mean (±SE) No. of species 3 3 5 3 5 6 4.6 (±1.64) No. of individuals 14 24 298 20 33 451 140.7 (±175.6)

Summer Jun. Jul. Aug. Jun. Jul. Aug. Mean (±SE) No. of species 2 0 1 1 0 1 0.9 (±0.74) No. of individuals 71 0 1 26 0 1 11.3 (±22.53)

Autumn Sep. Oct. Nov. Sep. Oct. Nov. Mean (±SE) No. of species 8 10 7 4 8 3 6.8 (±2.15) No. of individuals 367 196 69 483 220 45 248.1 (±175.97)

Winter Dec. Jan. Feb. Dec. Jan. Feb. Mean (±SE) No. of species 3 1 0 3 1 2 1.9 (±1.1) No. of individuals 10 2 0 22 2 5 6.4 (±6.33) Table 5.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y season on Hong island

Figure 34. Comparison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Spring and Autumn

3년간 춘계 이동기의 우점종(붉은배새매, 새매)과 추계 이동기의 우점종(벌매, 새 매, 말똥가리)을 대상으로 홍도지역의 도착시기를 분석한 결과, 춘계의 경우, 새매 는 붉은배새매보다 이른 3월 초순부터 서서히 도래하기 시작하여 4월 7일부터 도 래 총 개체수의 50%를 초과하면서 조금씩 증가하다가 5월 17일에 95%를 초과하 면서 서서히 이동을 종료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붉은배새매는 새매와는 달리 5월 초순에 이동을 시작하여 도래 총 개체수의 5%를 초과하는 5월 8일부터 급격히 증 가하다가 5월 12일에는 50%를 초과하고 6월 7일에 95%를 초과하여 이동을 종료 하여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Figure 35)

추계의 경우, 벌매는 9월 중순부터 서서히 이동을 시작하여 9월 21일 5%를 초 과하였고 춘계의 붉은배새매와 비슷한 양상으로 급속히 증가하다가 9월 27일에는 50%를 초과하였으며 10월 8일 95%를 초과하여 이동을 종료하였다. 또한 말똥가리 는 새매보다 조금 늦게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두 종 모두 이동패턴이 유 사하였고, 벌매의 이동이 거의 끝나가는 시기(10월 8일, 95%)에 새매(10월 5일)와 말똥가리(10월 10일)가 5%를 초과하여 조금씩 이동이 증가하였다. 50%를 초과하 는 시기도 새매는 10월 24일, 말똥가리는 10월 25일로 매우 유사하였고, 95%를 초 과하여 이동이 끝나는 시기도 새매는 11월 19일, 말똥가리는 11월 23일로 확인되 었다(Figure 36), 3종간의 일별 도착시기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벌매와 말똥가리는 역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Spearman test.

r

2=-0.423, p<0.001), 벌매와 새매도 역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Spearman test.

r

2=-0.240, p<0.05), 말똥가리와 새매는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pearman test.

r

2=0.603, p<0.001).

Figure 35.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of Chinese Goshawk (Accipiter soloensis) and Eurasian Sparrowhawk (Accipiter nisus) arrived on Hong island in spring (2006∼2008)

Figure 36.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Common Buzzard (Butoe buteo), Oriental Honey Buzzard (P ernis ptilorhynchus) and Eurasian Sparrowhawk (Accipiter nisus) arrived on Hong island in autumn (2005∼2007)

나. 어청도의 이동 현황

전라북도 어청도를 대상으로 2008년 9월 27일부터 10월 2일까지 6일간 수리과 조류의 추계 이동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9종 422개체가 확인되었다(Table 6). 우 점종은 벌매

Pernis ptilorhynchus

350개체(82.9%), 조롱이

Accipiter gularis

와 새매

Accipiter nisus

각각 23개체(5.5%), 참매

Accipiter gentilis

10개체(2.4%), 붉은배새매 8개체(1.9%) 의 순서이었다(Figure 37).

Scientific name 27 Sep. 28 Sep. 29 Sep. 30 Sep. 1 Oct. 2 Oct. Total Dom.

(%)

Pandion haliaetus       2 1 1 4 0.9

Pernis ptilorhynchus 93 95 53 38 30 41 350 82.9

Milvus migrans 1           1 0.2

Butastur indicus         1 1 2 0.5

Accipiter soloensis       2 1 5 8 1.9

Accipiter gularis 10 5 3   3 2 23 5.5

Accipiter nisus 5 3 6 3 3 3 23 5.5

Accipiter gentilis   2 1 4 2 1 10 2.4

Buteo buteo 1           1 0.2

Number of species 5 4 4 5 7 7 9  

Number of individuals 110 105 63 49 41 54 422  

Table 6.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on Eocheong island in Autumn (2008)

Figure 37. The percentage of observed speceis on Eocheong island in Autumn (2008)

다. 소청도의 이동 현황

옹진군 소청도를 대상으로 2009년 9월 19일부터 10월 6일까지 총 18일간 (06:00-18:00) 추계 도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관찰된 수리과 조류는 총 10종 5,014 개체로 나타났다. 조사기간 전체의 우점종은 벌매

Pernis ptilorhynchus

(4,372개체, 87.2%), 새매

Accipiter nisus

(118개체, 2.4%), 참매

Accipiter gentilis

(117개체, 2.3%), 조롱이

Accipiter gularis

(104개체, 2.1%) 의 순서이었다(Figure 38). 전체 종 및 개체를 대상으로 일별 변화를 살펴보면, 종수의 경우에는 9월 21일부터 감소하다가 27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9월 29일부터 10월 6일까지 크게 감소하지 않고 유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개체수의 경우에는 9월 20일 최대 개체수를 나타내었고, 21일부터 급감하여 23일부터 29일까지 조금의 증감을 나타내다가 9월 30일부터 10월 6일까지는 적은 개체수만이 관찰되었다(Figure 39).

Figure 38. The percentage of observed speceis on Socheong island in Autumn (2009)

Figure 39. Fluctuation of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n Soche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19 September ∼ 6 October 2009)

시간대별 이동 비율을 조사한 결과, 주로 9시부터 12시 사이에 이동하는 것으로 나 타났고, 10시부터 11시 사이에 가장 많은 개체(908개체, 18.1%)의 이동이 확인되었다 (Table 7; Figure 40). 종별로는 시간에 따라 이동 개체수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wo-way ANOVA test, F=25.98, df=3, p<0.001), 시간대별로는 종에 따라 이동 개체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wo-way ANOVA test, F=1.13, df=10, p>0.05).

Scientific name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Total Dom.

(%)

Pandion haliaetus     1 1   1       1 1 5 0.1

Pernis ptilorhynchus 179 210 290 775 848 717 334 385 255 189 190 4,372 87.2

Milvus migrans 13   6 6 3 8 4 3 18   10 71 1.4

Butastur indicus     7 1   1 5 2 1 8   25 0.5

Circus melanoleucus 1     1 1 3   2 1   1 10 0.2

Accipiter soloensis           1           1 0.0

Accipiter gularis 4 12 6 10 17 10 6 18 10 6 5 104 2.1

Accipiter nisus 1 4 5 12 24 14 28 13 9 8   118 2.4

Accipiter gentilis   3   13 9 22 27 17 21 5   117 2.3

Buteo buteo   1 1 10 2 9 35 6 27     91 1.8

Sp.Accipiter   2 3 5 4 16 18 28 20 4   100 2.0

No. of species 5 6 8 10 8 12 8 9 9 7 5 12

No. of individuals 198 232 319 834 908 802 457 474 362 221 207 5,014 100 Dom. (%) 3.9 4.6 6.4 16.6 18.1 16.0 9.1 9.5 7.2 4.4 4.1 100 Table 7. The number of migrating individuals by hour on Socheng island

Figure 40. Fluctuation of the number of migrating individuals by hour on Socheong island

우점종(벌매, 새매, 참매, 조롱이)을 대상으로 일별 도착시기를 분석한 결과, 벌 매는 9월 20일 5%를 초과하여 급격히 증가하다가 9월 24일에 50%를 초과하였으 며 10월 1일에는 95%를 초과하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조롱이는 벌매와 비슷하게 9월 20일 5%를 초과하였지만 천천히 증가하여 10월 1일에 50%를 초과하였고, 다 시 급증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새매와 참매는 아주 비슷한 이동 양상을 보였는 데 벌매와 조롱이 보다 늦은 각각 9월 28일과 27일에 5%를 초과하였고, 10월 3일 에 50%를 초과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Figure 41). 우점종의 일별 도착시기에 있 어서 벌매는 조롱이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Spearman test.

r

2=0.078, p>0.5), 새매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Spearman test.

r

2=-0.347, p>0.1), 참매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Spearman test.

r

2=-0.445, p>0.1). 조롱이는 새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Spearman test.

r

2=0.306, p>0.1), 참매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Spearman test.

r

2=0.333, p>0.1). 그러나 새매와 참매는 도착시기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Spearman test.

r

2=0.933, p<0.01).

Figure 41.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arrived on Socheong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 P ernis ptilorhynchus, B: Accipiter gularis, C:

Accipiter nisus, D: Accipiter gentilis)

라. 부산 및 거제도의 이동 현황

부산 및 거제도를 대상으로 2009년 5월 6일부터 5월 17일까지 총 12일간 (06:00-17:00) 춘계 도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관찰된 수리과 조류는 총 5종 2,923개 체로 나타났다(Table 8). 조사기간 전체의 우점종은 벌매

Pernis ptilorhynchus

(2,526 개체, 86.4%), 왕새매

Butastur indicus

(304개체, 10.4%) 의 순이었다(Figure 42).

Location Busan Geoje island Busan

Total Dom.

Dates in May (%)

Scientific name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Pandion haliaetus       1                 1 ∠0.0 Pernis ptilorhynchus 40 328 46 93 34 31 1,604 368 37 2,581 86.1 Butastur indicus 3 84 118 9 1 3 73 33 324 10.8 Accipiter soloensis     15 6         3       24 0.8 Accipiter nisus   6   3       45 14       68 2.3

No. of species 2 3 3 5 2 2 0 3 4 2 0 0 5

No. of individuals 43 418 179 112 35 34 0 1,722 418 37 0 0 2,998

Table 8.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bserved in Busan and Geoje island

Figure 42. The result of dominant species at Busan and Geoje island in Spring (2009)

본 조사지역에서는 종 구성이 단조롭고 벌매와 왕새매 이외의 종들은 일정한 규 칙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우점종인 벌매와 왕새매의 일별 도착시기를 분석 한 결과, 두 종 모두 조사시작 하루 뒤인 5월 7일에 5%를 초과하였으나, 벌매는 조금씩 증가하여 5월 13일 50%를 초과하였고, 왕새매는 급격히 증가하여 5월 8일 50%를 초과하였다. 또한, 95%를 초과한 시점은 두 종 모두 5월 14일로 전체적으 로는 비슷한 이동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43). 일별 도착시기에 있어서 벌매와 왕새매는 상호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Spearman test.

r

2=0.637, p<0.05).

Figure 43. Cumulative percentage of population arrived at Busan and Geoje island during survey period (A: P ernis ptilorhynchus, B: Butastur indicus)

마. 고찰

수리과 조류의 지역별 이동 현황을 살펴보면 홍도에서는 2005년 9월부터 2008년 7월까지 3년간 총 14종 3,659개체가 관찰되었고, 어청도에서는 2008년 추계에 9종 422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소청도에서는 2009년 추계에 10종 5,014개체, 그리고 부산 및 거제도에서는 2009년 춘계에 5종 2,923개체가 관찰되었는데, 조사 시기 및 기간 의 차이로 절대적인 비교는 어려우나 소청도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관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009년 춘계에 조사한 부산 및 거제도 지역은 종 구성이 가장 단순하였고, 추계 어청도에서는 상대적으로 수리과 조류의 이동 개체가 적은 것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서해안 도서지역 및 부산, 거제도 일대는 수 리과 조류의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중요한 지역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 조사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벌매의 대 이동을 확인하였는데, 벌매의 경 우에는 도래하는 시기와 지역이 제한되어 있어 전체적인 도래규모에 대해서 알려 진 바가 없고, 본 종에 대한 통과시기의 조사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박, 2002), 본 연구를 통하여 벌매의 대략적인 이동 규모와 중간기착지 및 경유지를 확 인하였다. 또한 추계 소청도에서 하루 동안 1,319개체, 춘계 거제도에서 하루 동안 1,604개체의 대 집단을 확인한 것은 본 연구가 국내 최초의 기록이다. 그리고 벌매 는 춘계에 서해 도서지역을 거의 통과하지 않지만, 추계의 중간기착지 및 경유지 로 서해 도서지역이 이용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부산 및 거제도 일대는 그와 반대로 춘계의 중요한 중간기착지 및 경유지라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벌매 집단이 춘계와 추계의 이동경로를 달리 선택하여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Higuchi

et al

. (2005), Shiu

et al

. (2006), Yamaguchi

et al

. (2008) 등이 일본에서 번식한 소수 개체에 대해 인공위성 추적을 실시함으로써 밝힌 이동경로와 일치한 다. 따라서 벌매는 계절풍이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이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춘․추계 이동 경로를 달리하여 이동하는 타원형 이동(Elliptical migration) 전략을 취하는 종으로 판단된다.

홍도의 3년간 이동결과를 살펴보면 매년 종 및 개체수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 었다. 춘계인 5월에는 매년 붉은배새매가 집중적으로 통과하고, 추계인 9월말부터 10월초까지는 벌매가 집중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볼 때, 수리과 조류는 매년 일정

한 이동경로를 이용해 규칙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붉은배새매의 경우, 2003년과 2004년의 춘계인 5월에는 홍도와 비슷한 이동경로 상에 속해 있는 가거도와 흑산도에서 각각 5천여개체와 3천여개체를 관찰한 기록 등도 있는 것으 로 보아, 이 시기에 서남해 도서지역을 통과하는 붉은배새매 집단은 수 만개체로 추정된다(박 등, 2005). 또한 춘계와 추계의 관찰개체수를 비교해 본 결과 붉은배 새매와 벌매 이외에도 대부분의 종들이 계절별(춘·추계) 이동시기를 달리하는 것 이 확인되었고, 흰꼬리수리, 붉은배새매, 왕새매, 큰말똥가리를 제외하고는 추계에 더 활발한 이동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본 지역은 번식지에서 월동지로 이동하 는 도중에 통과하는 지역으로 더 활용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착시기에 있어서 춘계 이동의 경우 새매가 붉은배새매보다 한달 정도 빠른 이동을 나타내었고, 이 결과는 종별 분포의 차이와 번식시기의 차이 등으로 인해 번식지로 이동하기 전 홍도를 통과하는 시기가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추계 이동의 경우에도 벌매가 9월 말에 새매와 말똥가리보다 빨리 폭발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새매와 말똥가리는 벌매보다 한달 정도 늦은 10월말 경에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것 을 고려한다면, 이 결과도 춘계와 마찬가지로 분포와 번식시기의 차이 등으로 인 해 번식을 마치고 월동지로 이동하기 전 홍도를 통과하는 시기가 다른 것으로 판 단된다.

어청도의 경우에는 조사기간이 짧아 특이 사항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어청도도 홍도와 마찬가지로 벌매의 추계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 시작일이 9월 27일인 점을 고려한다면 그 이전에 더 많은 벌매 집단의 이동이 있 었던 것으로 예측되며, 벌매를 포함한 다양한 수리과 조류의 추계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소청도의 경우에는 시간에 따라 종별로 유사한 이동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는 데, 9시부터 12시 사이에 많은 개체수가 확인되었고 특히 10시에서 11시 사이에 가장 많은 개체가 통과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리과 조류는 대부분 일출 이후 기온상승과 함께 발생하는 상승기류를 타고 이동하므로(Kerlinger, 1995), 일반적으 로 7시에서 9시 사이에 이동이 많이 관찰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소청도의 경우에 는 중간기착지로 이용하기보다 인접한 지역에서 상승기류를 타고 이동하던 개체가 바로 통과하는 지역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도착시기의 경우에도 소청도는

홍도와 비슷하게 벌매가 조롱이, 새매, 참매 등보다 빨리 폭발적으로 통과하는 것 이 확인되었는데, 이 결과도 홍도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새매류의 경우에는 번식시 기가 비슷하므로 번식을 마치고 월동을 위해 소청도를 통과하는 벌매와 새매류 사 이의 이동 시기가 차이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부산 및 거제도는 같은 이동경로 상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며, 이 지역의 춘계에 는 벌매가 가장 많이 통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Higuchi

et al.

(2005), Shiu

et al.

(2006), Yamaguchi

et al.

(2008) 등의 결과처럼 동남아시아 등의 월동 지에서 번식을 위해 이동하던 중 기상 등의 영향으로 중국과 일본 번식지 사이의 바다를 바로 건너지 못해 한반도 내륙을 거슬러 내려와 일본으로 건너가기 전 통 과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왕새매의 경우, 3년간 춘계에 전남 홍도에서는 25개 체만이 관찰되었지만, 부산 및 거제도 일대에서는 2009년 5월 6일부터 17일 사이 에만 324개체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부산 및 거제도 일대는 소수이지만 왕새매의 중간기착지 또는 경유지인 것으로 판단되며, Shiu

et al.

(2006) 의 보고 에 의하면 왕새매는 일본 번식지에서 남하하여 류큐 열도를 지나 동남아시아의 월 동지로 이동한 후 다시 번식을 위해 동일한 경로로 되돌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나, 그 외에도 부산 및 거제도 일대와 같은 새로운 이동경로가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 5월 12일, 16일, 17일에는 1개체도 관찰되지 않았는데, 공통적으로 비가 내 린 날이었다. 이처럼 우천 시에는 이동에 큰 장애를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지역은 종 구성이 단조롭고 다른 지역에 비해 벌매와 왕새매를 제외하고는 특 별한 규칙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벌매와 왕새매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이동 양상을 나타내어 번식지 또는 번식시기가 비슷한 종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소청도, 어청도, 홍도, 그리고 부산 및 거제도 등은 한반도를 통과는 수리과 조류의 이동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요한 중간기착지 또는 경유지인 것을 확인하였다.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에 처한 수리과 조류의 보호를 위해서는 번식지 와 월동지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거쳐 가야하는 중간기착지 또는 경유지의 이동 현황 파악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수리과 조류의 이동조사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대 집단의 이동이 관찰되는 벌매, 붉은배새매, 왕새매 등의 주요 종들을 체계적으로 조사한다면 국제적 멸종위기 수리과 조류의 보호·관 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85-10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