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리과 조류의 분포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85)

Ⅳ. 결과 및 고찰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 영종도, 거제도, 부산, 제주도 등에서 몇 차례의 관찰 기록만이 존재하였고, 이동 개체수는 1997년 5월 15일 거제도의 254개체가 최대이 다. 그러나 2000년대부터 부산 및 거제도를 중심으로 많은 이동이 확인 되었는데, 2009년 5월 13일 거제도에서는 하루에 1,597개체의 대이동이 관찰되었으며, 경기도 내륙을 중심으로 한 소수의 이동도 확인 되었다(Figure 7).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9월에만 백령도와 강화도에서 각각 15개체, 6개체의 기록이 있으나 2000년대에는 서해 도서지역 및 제주도를 중심으로 많은 이동이 관찰되었고, 특히 소청도에서는 2009년 추계에 4,372개체의 대 이동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청도, 홍 도, 흑산도, 가거도, 제주도 등에서도 일일 100개체 이상의 이동을 확인한 바가 있 다(Figure 7). 2000년대 이동시기에는 한반도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개체가 이 동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경기도 및 강원도 일대에서 번식 및 번식 징후를 확 인하는 등 1900년대에 비해 분포의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3) 솔개

국내에서는 1900년대에 비해 분포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식기 의 경우, 1900년대에는 거제도와 제주도의 기록이 있으며, 경기권에는 공식적인 관 찰기록이 없고, 2000년대부터는 부산 일대의 관찰기록만이 존재하였다(Figure 8).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 경기권을 중심으로 분포하던 것이 2000년대부터 부산 과 경남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가 변화하여 분포의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Figure 8).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울 종묘 일대(1970년 4월), 수원 (1946년 4월), 부산 을숙도(1990년 4월)의 관찰 기록만이 존재하지만 2000년대에는 백령도, 대청도, 흑산도, 독도 등의 도서지역과 강원도 고성, 부산 일대의 관찰기록 만이 확인 되었다(Figure 8).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 독도 등의 도서지역과 서울 인근 지역에서만 관찰 기록이 있으며, 2000년대에 들어와 분포가 넓어져서 소청도, 어청도, 홍도, 가거도 등의 서해안 도서지역 및 독도, 천수만 등 에서 확인되었다(Figure 8).

(4) 흰꼬리수리

국내에서 번식기의 경우에는 1900년대에 흑산도 및 제주도에서 관찰기록이 있 고, 2000년대에도 흑산도와 홍도에서만 관찰되어 분포의 큰 변화는 없었지만 (Figure 9), 2000년 봄에 흑산도에서 국내 최초로 번식이 확인 되었다. 월동기에는 최근 다른 계절에 비해 분포가 크게 증가한 경향이 나타났는데 지역당 개체수는 적으나 강원도 해안가 및 경기도 강 하구, 전남의 해안가, 부산, 제주도 등에서 관 찰되던 1900년대에 비해 2000년대에 들어와 댐, 큰 호수 등이 있는 내륙까지 분포 가 확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9). 춘계 이동기에도 홍도, 흑산도에서만 관 찰되었고, 타 지역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며(Figure 9), 추계 이동기의 경우 에도 전남 홍도, 흑산도, 가거도, 제주도 등에서만 관찰되었다(Figure 9).

(5) 참수리

국내에서 월동기(11월∼3월) 이외의 기록은 1913년 4월(지명 미상)에 단 1회의 기록만 있다. 강화도, 한강-임진강 하구, 제주도, 거제도, 부산 등 일부 지역에 국 한되어 분포하던 1900년대에 비해 2000년대부터 월동 분포가 전국적으로 확장되었 지만 대부분 지역당 1∼2개체 정도인 적은 개체수가 도래하고, 흰꼬리수리에 비해 월동 개체군이 훨씬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10).

(6) 수염수리

국내에서는 북한의 기록(함경남도, 1912년 12월)을 제외하면 겨울철 강원도에 서 2회의 채집기록(1916년 12월 21일, 1918년 1월 6일)만이 확인되었다(이 등, 2000; Figure 11).

(7) 고산대머리수리

최근 기록된 종으로 2007년 2월 11일 경남 진주 수곡리의 독수리 월동지에서 유조 1개체가 관찰되었고, 이후 동년 3월 17일(포천)과 18일(연천)에 각각 유조 1개 체가 관찰되었다(채 등, 2009; Figure 11).

(8) 독수리

국내에서 1900년대의 월동기 이외의 기록은 1998년 4월 6일 파주시 적성면에 서 관찰된 30개체만이 존재한다. 월동기의 경우에도 1900년대에는 국지적으로 흔 하지 않는 겨울철새로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부터는 개체군 규모의 증가와 함께 분포가 남부지방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 월동하는 집단은 대부 분 유조로 확인되어지고 있으며, 주로 철원평야, 연천, 파주 등 경기도와 강원도의 비무장지대를 중심으로 많은 개체군이 월동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2000년 대에 들어와 경남 고성에서도 100개체 이상의 월동집단이 확인되었다(Figure 12).

또한 제주에서는 1900년대에 어떤 계절에서도 전혀 확인되지 않았지만, 그러나 2000년대부터 적은 수가 모든 계절에 도래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최근 월동기뿐 만 아니라 번식기인 8월에도 확인되었다(Figure 12).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파주시 적성면에서 30개체(1998년 4월 6일)가 관찰되었고, 2000년대에는 광 양시 수어천(2005년 5월)과 제주 산록도로(2009년 4월 5일)에서 각각 1개체씩 관찰 되었다(Figure 17). 추계 이동기에는 제주 한라산 남부(2008년 9월 9일)에서 관찰 된 1개체의 기록이 전부이다(Figure 12).

(9) 관수리

국내에서는 1900년대에 김해시 녹산면(1988년 12월), 부산시 대연동(1998년 2월), 경남 홍도(1998년 5월) 등 경남 남부지역에서만 채집 및 관찰기록만이 존재하였고, 2000년대에는 2002년 10월 소청도의 관찰기록과 2003년 겨울 춘천에서의 구조기록 이 전부이다(채 등, 2009; Figure 24).

(10) 개구리매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에 울릉도에서 1995년 6월 2일 1개체의 기록만이 존 재한다(Figure 13). 월동기의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분포가 넓어진 경향을 나타내었 는데 1900년대에는 천수만, 해남간척지, 낙동강하구 등에서 1∼2개체만이 관찰되는 아주 희귀한 겨울철새로 도래하였으나, 2000년대에는 분포가 확산되어 개체수는 극히 적으나 넓은 지역에서 관찰되었고, 산림지역보다는 간척지를 중심으로 월동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13). 춘계 이동기의 경우, 영종도에서 1993년 5월

18일 1개체, 대청도에서 2008년 4월 20일 1개체의 기록이 전부이고 그 외의 지역 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Figure 13). 추계 이동기의 경우에는 춘계 이동기에 비해 관찰 빈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1900년대에는 철원, 천수만, 만경강에서만 관 찰되었지만, 2000년대에는 소청도, 강화도, 화성, 제주도에서의 관찰기록이 있다 (Figure 13).

(11) 잿빛개구리매

번식기의 관찰기록은 전혀 없고, 월동기의 경우, 2000년대에 분포가 크게 확대 된 경향이 나타났으며, 해남 간척지 일대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4). 춘계 이동기의 경우, 관찰 빈도는 극히 적으나 1900년대에 남양주시 진전읍에서 1개체의 채집(1967년 4월 5일) 및 경남 홍도에서 4개체의 관찰기록 (1996년 5월 17일)만이 존재하고, 2000년대에는 4월에 백령도, 화성, 화천, 을숙도 등의 4개 지역에서 1∼2개체의 관찰기록이 있다(Figure 14). 추계 이동기의 경우에 도 극히 적은 관찰기록만이 존재하는데, 2000년대 이후에는 소청도, 가거도 등의 도서지역에서 소수의 이동하는 개체가 확인되었다(Figure 14).

(12) 알락개구리매

국내에서는 전체적으로 도래규모나 분포가 크게 확장되지는 않았으나, 번식기 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84년 8월 21일 판문점 부근에서 관찰기록이 있고, 2000년 대에는 경기도 광주(2007년 7월)에서 1개체, 소청도(2004년 8월)에서 3개체의 기록이 있다(Figure 15).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전혀 관찰되지 않은 반면, 2000년대 에는 고천암호, 천수만, 석문간척지, 시화호, 구미 해평 등 간척지 및 강 주변에서 1월에 각각 1∼2개체의 관찰기록이 있고, 흑산도에서도 1월에 5개체의 관찰기록이 있으며(Figure 15), 또한 12월과 2, 3월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까지는 철원을 포함한 경기권을 중심으로 6회 정도의 관찰기록만이 존재 하고, 2000년대에는 충남 광덕, 김제, 어청도, 홍도 등에서 관찰되어 1900년대와 관 찰된 지점이 전혀 다르게 기록되었다(Figure 15). 특히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천수만 일대에서만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순천만을 포함한 서 해안의 도서지역 및 해안가에서 지속적으로 관찰되는 것이 확인되었다(Figure 15).

(13) 붉은배새매

국내에서는 번식기와 춘계 이동기에 한국 전역에 넓게 분포하는 것이 확인 되 었다. 번식기의 경우, 한국 전역에 관찰되었고, 특히 2000년대부터 분포가 더욱 넓 어지고 관찰지점이 확연히 증가하였다(Figure 16).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관찰기록이 전혀 확인 되지 않았지만 2000년대에는 2001년 1월에 철원평야, 보성-득량만, 2007년 3월에 청평, 12월에 백령도에서 확인되었다(Figure 16). 춘계 이동 기의 경우, 1900년대에도 한국전역에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에 들어와 그 분포가 넓어지고 관찰지점이 확연히 증가하였는데, 특히 홍도와 흑산도에서 300개체 이상 의 대집단의 이동이 확인되었다(Figure 16). 추계 이동기의 경우, 관찰빈도가 현저 하게 감소하였으며, 1900년대에는 서울 홍릉, 포천, 계방산, 남해 금산에서만 관찰 기록이 있다. 2000년대에는 어청도, 홍도, 흑산도 등의 도서지역과 내륙 전역에 극 히 소수만이 관찰되었다(Figure 16).

(14) 조롱이

국내에서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나 관찰 빈도는 높지 않았다.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광릉(1958년 7월, 1976년 7월), 철원(1997년 7월), 만경강하구(1999년 8월), 부산 황령산(1988년 8월), 부산 금정산(1962년 7월, 8월), 거제도 학동(1993년 8월) 등에 각각 1∼2개체씩의 채집 및 관찰기록이 존재하며 2000년대에는 한국전 역에 불규칙적으로 확인되었다.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울(1910년 12월, 1999년 2월), 고천암호(1999년 12월), 순천만(1998년 1월, 11월), 제주도(1999년 3 월) 등의 관찰기록이 있고, 2000년대부터 홍도, 흑산도 및 내륙의 극히 소수의 지 역에서 관찰기록이 나타났다(Figure 17). 그러나 최근 제주를 제외하고 관찰지점이 증가하여 소수이지만 내륙 전역 및 소청도, 홍도 등의 도서지역에서 관찰 기록이 있다(Figure 17).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울(1934년 5월), 남양주시 진전읍(1968년 5월), 설악산(1966년 5월) 칠발도(1999년 5월), 제주 대정읍(1993년 4월) 등에 각각 1개체씩 관찰되었다. 2000년대에는 한반도 중부지역의 일부와 경남 권, 제주도 및 서해안 도서지역 등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특히 서해안 도서지역에 서 매년 소수 개체의 꾸준한 이동이 관찰되었다(Figure 17).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경기도를 중심으로 소수의 개체가 관찰되었고, 대전 부근 및 남해, 제

주도, 흑산도 등에서도 관찰기록이 있지만, 2000년대에는 강원도 및 경북권 북부를 제외한 한국 전역에서 관찰되고 있고, 주로 서해안 도서지역 및 해안가 일대를 중 심으로 관찰되었다(Figure 17).

(15) 새매

국내에서는 전반적으로 월동기에 관찰이 집중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번식기 의 경우, 1900년대에는 6, 7월의 관찰 기록이 전혀 없고, 1996년 8월 17일 광릉에 서의 1개체가 관찰기록의 전부이다. 2000년대에도 관찰 기록이 극히 적으나 한국 전역에서 관찰되어 넓은 분포권을 형성하였다(Figure 18). 월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경기권과 경남을 중심으로 관찰기록이 많았고, 2000년대에는 한국 전역에 서 쉽게 관찰되었으며 분포권 및 관찰빈도가 확연히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18).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1993년 4월 30일)에서 1개 체의 관찰 기록과 정확한 지명을 알 수 없는 경기도권의 10회 미만의 채집기록만 이 존재하였지만, 2000년대 서해 도서지역 및 한국 전역에서 넓게 관찰되고 있다 (Figure 18).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울 주변과 흑산도, 울릉도 등에 서만 관찰되던 것이 2000년대에 들어와 내륙 중심부를 제외하고 서해 도서지역과 부산을 중심으로 많은 개체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이동 현황 조사 중에 소청도 및 부산 인근에서 100개체 이상의 이동하는 새매를 관찰하였다(Figure 18).

(16) 참매

전반적으로 겨울철에 한국 전역에서 소수의 개체가 넓게 분포하였다. 국내에 서는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 1992년 8월 8일 울릉도에서 1개체의 관찰기록만 이 존재하지만, 2000년대에는 충남 공주시 묵방산(2009년 6월)과 충북 및 강원도에 서 몇차례 관찰기록이 있고 이들 대부분은 번식이 확인 되었다(Figure 19). 월동기 의 경우, 1900년대에는 경기권을 중심으로 한반도 중부에서 주로 관찰이 되었으며, 그 외에는 1999년 2월 완도군 보길도에서 1개체의 관찰기록이 존재한다. 2000년대 에는 소수이지만 한국 전역에 넓게 분포하여 월동하는 것이 확인되었다(Figure 19).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의 관찰기록은 없고, 2000년대에는 전남 내륙과 제주도를 제외한 서해 도서지역을 비롯하여 소수이지만 한국 전역에서 이동이 확

인되었다(Figure 19).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88년 10월 26일 제주 종달리에서 1개체의 채집기록만이 존재하였고, 2000년대에는 서해 도서지역 및 한 국 북부와 중부에서 여러 차례의 관찰기록이 확인 되어 춘계 이동기와 마찬가지로 분포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19).

(17) 왕새매

전반적으로 분포의 큰 변화는 없었으나 분포권이 조금 확장된 경향을 나타내 었다.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09년 7월 서울, 1998년 6월 강원 도 계방산, 1995년 6월 거제도 등 극소수의 채집 및 관찰기록이 존재하고 1967년 7, 8월 경기도 파주 휴전선 부근의 번식기록도 있다. 2000년대부터는 강원도 산림 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 중부지역의 관찰기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Figure 20).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84년 3월 대청도에서 1개체의 기록만이 존재 하고, 2000년대에도 2007년 3월 경북 인산과 전남 흑산도, 2008년 11월의 홍도에서 관찰된 기록이 전부이다(Figure 20).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서해 도서지 역과 부산, 거제도 등의 경남지역, 그리고 경기권에서 몇 차례의 관찰기록이 존재 하며 1948년 5월 경기도 안양에서도 번식이 확인된 사례가 있다. 2000년대에도 비슷 한 양상이지만 관찰빈도 및 분포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서해 도서지 역에 매년 규칙적으로 소수 개체의 이동이 확인되었다(Figure 20).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흑산도에서 매년 소수 개체의 꾸준한 이동이 확인된 것을 제 외하면 1997년 9월 고성군 죽왕면에서 1개체만의 관찰기록이 존재하지만, 최근 2000년대부터는 서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홍도, 흑산도, 가거도 등의 신안군 도서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이동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특히, 가거도에서는 수백개체의 집단이 규칙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확인되었고, 2002년 10월 7일 1,500개체, 2009년 10월 3일 1,650개체의 대집단이 이동한 관찰기록이 있다(홈페이지 http://birdskora.org;

Figure 20).

(18) 말똥가리

전체적으로 관찰빈도가 크게 증가 하였다.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 1900년 대에는 1995년 6월 울릉도에서 3개체 및 1982년 8월 완도군 노화도에서 1개체의

기록만이 존재하였고, 2000년대에도 관찰빈도는 낮았으나 강원도 및 전남의 산림 지역, 제주도, 백령도 등에서 관찰기록이 있다(Figure 21). 월동기의 경우, 1900년 대에도 경기권을 중심으로 한국 전역에 쉽게 관찰되었고, 2000년대에는 한국 전역 에서 매우 높은 관찰빈도로 쉽게 확인되었다(Figure 21).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99년 4월 6일 부산 해운대 인근에서 1개체의 채집기록만이 존재하 지만, 2000년대에 들어오면서 관찰기록이 크게 증가하여 백령도, 홍도, 흑산도 등 의 서해 도서지역과 내륙의 산림 주변에서도 관찰이 확인되었다(Figure 21).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백령도, 흑산도 등의 도서지역과 내륙의 일부 지역에 서만 관찰되었지만, 2000년대부터 소청도, 어청도, 홍도, 흑산도, 가거도 등 서해 도서지역의 관찰 지점 증가와 함께 관찰빈도도 증가하였다. 또한 내륙에서도 전반 적으로 넓게 분포하여 어렵지 않게 관찰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21).

(19) 큰말똥가리

전반적으로 월동기 이외에는 관찰기록이 극히 적다. 국내에서 번식기에는 전 혀 관찰되지 않았고, 월동기의 경우에는 1900년대에 제주를 포함한 경기권, 충남권 의 서쪽 지역에서만 집중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관찰빈도도 낮았다. 2000년대에는 한반도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한국 전역에서 관찰되었지만, 관찰빈도는 높지 않은 편이었다(Figure 22). 춘·추계 이동기에도 1900년대에는 모두 관찰 기록이 없으며, 2000년대에는 4월에 백령도, 홍도, 제주도 등에서 1∼2개체, 10월에 강원도 명파, 소청도 등에서 1∼2개체의 기록만이 존재할 뿐이다(Figure 22).

(20) 털발말똥가리

전반적으로 월동기의 분포만이 증가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 남부지역에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고, 경기권에서 주로 확인 되었다. 강 원도 강릉, 충남 아산만, 천수만에서도 관찰기록이 있지만 분포가 한국 북서부로 편향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관찰빈도 및 개체수도 극히 적었다. 2000년대에는 경기 권 등의 한국 북서부에서 주로 관찰되었지만, 분포가 제주도까지 한국전역으로 확 장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 역시도 관찰빈도 및 개체수는 적었다(Figure 23). 월동기 이외의 기록은 추계 이동기인 10월에 부산 태종대(2000년)와 고흥 운

람산(2004년)에서 각각 1개체씩 관찰된 기록이 전부이고, 1900년대에는 관찰기록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Figure 23).

(21) 항라머리검독수리

국내에서는 전반적으로 상당히 국지적인 관찰 경향을 나타내었다. 번식기에는 제 주에서 2005년과 2006년 6∼7월에 1개체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Figure 25). 월동 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남양주시 진전읍, 낙동강하구, 천수만 및 지명미상의 지역에서 몇 차례의 관찰기록만이 있고, 2000년대에도 관찰기록은 증가하였으나 아산호, 천수 만, 해남간척지, 부산, 제주도 등 국지적인 관찰이 확인되었다(Figure 25). 또한 춘계 이동기에는 관찰기록을 확인할 수 없었고, 추계 이동기에는 10월에만 백령도, 천수만, 홍도, 가거도, 제주도에서 소수 개체의 비교적 규칙적인 이동이 확인되었다(Figure 25).

(22) 초원수리

1900년대에는 국내에서 관찰기록이 없던 종으로 2005년 12월 28일 경남 진주 인근 수곡면 관정리에서 국내 최초로 관찰된 이후, 2006년 10월 소청도와 승봉도, 2008년 1월 전남 금호호, 2009년 1월 전남 영암호, 2008년 11월 전남 홍도 등 총 6 회의 추가 관찰기록만이 존재하는 미조이다(Figure 26).

(23) 흰죽지수리

국내에서는 전반적으로 관찰 지역이 극히 제한적이며 관찰빈도도 낮았다. 월 동기의 경우, 12월과 2월 사이의 한겨울에만 관찰되었고, 11월이나 3월에는 관찰기 록이 확인되지 않았다. 1900년대에는 경기도 일대와 철원, 형산강, 낙동강하구, 주 남저수지, 제주 가파도 등의 몇 차례 관찰기록만이 존재하고, 2000년대에도 임진강 하구, 천수만, 무안-목포 해안, 영암호, 금호호, 주남저수지, 부산 염막, 제주 구좌 읍 등 몇 차례의 관찰기록만이 확인 되었다(Figure 27). 춘계 이동기의 경우, 정확 한 지명을 알 수 없는 전라남도(1916년 5월 5일)에서의 채집기록만이 존재한다. 추 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흑산도에서 1996년과 1997년의 10월에 각각 3개 체, 6개체의 기록만이 존재하고, 2000년대에도 10월에 확인된 소청도(2005년)와 천 수만(2008년)의 관찰기록이 전부이다(Figure 27).

(24) 검독수리

국내에서는 번식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강원도 양구(1989년), 내장산(1974년) 등의 기록만이 존재하며, 2000년대에는 2005년 8월 제주도 한라산과 2007년 7월 경주에서 각각 1개체의 기록만이 존재한다(Figure 28). 월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 는 가평(1977년), 수원(1946년), 철원(1993년, 1995년, 1996년, 1998년), 동강(1999 년), 낙동강하구(1961년, 1992년, 1997년), 제주 하도리(1998년)와 지명미상의 여러 차례 채집 및 관찰기록이 존재하며, 2000년대에는 관찰 빈도와 개체수는 극히 적 으나 분포는 넓게 확장된 경향을 나타내었다(Figure 28). 춘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경기도 광주(1937년)와 천마산(1948년)의 채집 및 관찰기록이 존재하 며, 2000년대에는 흑산도(2000년)와 제주 저지리(2009년)의 관찰기록만이 확인되었 다(Figure 28). 추계 이동기의 경우, 1900년대에는 1926년, 1928년 지명미상(경기 도)의 채집기록과 흑산도(1997년, 1999년)의 관찰기록만이 존재하며, 2000년대에는 흑산도(2000년), 소청도(2006년), 볼음도(2007년)에서 각각 1개체씩의 관찰기록만이 확인되었다(Figure 28).

(25) 흰배줄무늬수리

국내에서는 2007년 3월 21일 전남 우이도에서 발견된 사체 1개체가 첫 기록이 다. 그 이후의 추가 관찰 기록은 아직 없다(Figure 29).

(26) 흰점어깨수리

국내에는 2006년 10월 29일 전남 신안군 흑산도 배낭기미습지에서 관찰된 1개체가 첫 기록이며, 2007년 3월 30일 전북 군산에서 1개체의 추가 관찰 기록이 있다(Figure 29).

(27) 뿔매

국내에서는 1900년대에 강원도(지명미상)에서 1914년 1월, 1925년 2월, 1934년 9 월 각각 1개체씩의 채집기록만이 존재하며, 2000년대에는 2000년 9월 초 강원도 홍천에 서 1개체의 관찰기록이 전부이다(Figure 30).

Figure 6. Distribution map of Osprey (Pandion haliaetus)

Figure 7. Distribution map of Oriental Honey Buzzard (Pernis ptilorhynchus)

Figure 8. Distribution map of Black Kite (Milvus migrans)

Figure 9. Distribution map of White-tailed Sea Eagle (Haliaeetus albicilla)

Figure 10. Distribution map of Steller's Sea Eagle (Haliaeetus pelagicus)

Figure 11. Distribution map of Bearded Vulture (Gypaetus barbatus) and Himalayan Griffon (Gyps himalayensis)

Figure 12. Distribution map of Cinereous Vulture (Aegypius monachus)

Figure 13. Distribution map of Eastern Marsh Harrier (Circus spilonotus)

Figure 14. Distribution map of Northern Harrier (Circus cyaneus)

Figure 15. Distribution map of Pied Harrier (Circus melanoleucos)

Figure 16. Distribution map of Chinese Sparrowhawk (Accipiter soloensis)

Figure 17. Distribution map of Japanese Sparrowhawk (Accipiter gularis)

Figure 18. Distribution map of Eurasian Sparrowhawk (Accipiter nisus)

Figure 19. Distribution map of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Figure 20. Distribution map of Grey-faced Buzzard (Butastur indicus)

Figure 21. Distribution map of Common Buzzard (Buteo buteo)

Figure 22. Distribution map of Upland Buzzard (Buteo hemilasius)

Figure 23. Distribution map of Rough-legged Buzzard (Buteo lagopus)

Figure 24. Distribution map of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Figure 25. Distribution map of Greater Spotted Eagle (Aquila clanga)

Figure 26. Distribution map of Steppe Eagle (Aquila nipalensis)

Figure 27. Distribution map of Imperial Eagle (Aquila heliaca)

Figure 28. Distribution map of Golden Eagle (Aquila chrysaetos)

Figure 29. Distribution map of Bonelli's Eagle (Hieraaetus faciatus) and Booted Eagle (Hieraaetus pennatus)

Figure 30. Distribution map of Moutain Hawk Eagle (Spizaetus nipalensis)

나. 고찰

(1) 물수리

원과 고아(1971)는 드문 통과철새, 원(1981)은 드문 겨울철새, 이 등(2000)은 희귀한 나그네새 또는 희귀한 겨울철새, 그리고 서와 박(2008) 및 채 등(2009)은 드문 나그네새 또는 제주도와 남해안 일대에서 월동하는 겨울철새로 보았다. 그러 나 박(2002)에 의하면 최근 전국적으로 기록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드물지 않은 겨울철새 또는 통과철새로 실태를 조정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고, 실제적으로 2000년대에 월동 및 이동 기록이 더욱 증가하고 있어 드물지 않은 겨울철새 및 통 과철새로 도래유형을 조정해야 함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분포가 넓어진 이유는 실제적인 개체수가 증가한 이유도 있으나, 최근 탐조인의 증가와도 비례한다고 판 단된다. 또한, 제주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번식기에도 관찰기록이 있어 번식 가능 성이 제기되고 있으나 아직 확인된 바가 없으므로(박, 2002), 추가적인 조사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벌매

대부분 1980년대까지 희귀한 통과철새 또는 희귀한 여름철새로 보았으나 (Austin, 1948; 원과 고아, 1971; 원, 1981), 박(2002)은 통과시기에 관찰기록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춘추기에 비교적 규칙적으로 적지 않은 수가 한반도를 통과하고 있음이 알려졌다고 하였다. 박(2002)이 언급한 것처럼 2000년대부터 실제적으로 춘·추계 이동 기록이 크게 증가하였고, 최근 춘계 이동기에는 부산 및 거제도, 추 계 이동기에는 소청도, 어청도, 홍도, 가거도 등 서해안 도서 지역을 중심으로 많 은 이동 집단이 확인 되고 있다(김 등, 2008; 김 등, 2008; 최 등, 2009). 또한 도래 하는 시기와 지역이 제한되어 있어 전체적인 도래규모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고 본 종에 대한 통과시기의 조사가 부족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박, 2002), 최근 김 등(2008)과 김 등(2009), 그리고 최 등(2009)의 연구에 의해 벌매의 이동에 관한 정보들이 조금씩 밝혀지고 있다. 이처럼 최근 벌매의 이동현황이 밝혀지기 시작하 면서 본 종이 국내를 통과하는 수리과 조류 중 이동집단이 가장 큰 종임이 밝혀졌 고 따라서 더욱 구체적인 이동연구를 실시하여 이동 현황 및 이동경로 파악이 명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38-8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