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

Copied!
3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 상 근

2004. 12.

(2)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 상 근

1)

< 목 차 >

Ⅰ. 서 론 ··· 1

Ⅱ. 직업 연구의 의미 ··· 2

Ⅲ. 미국 직업 연구의 흐름 ··· 5

Ⅳ. 우리나라 직업 연구의 현황 ··· 15

Ⅴ. 직업 연구의 과제 ··· 24

참고문헌 ··· 30

지식기반경제로의 진입에 따라 국내외적으로 직업 연구에 대한 요구 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직업 연구는 양적 성장에도 불구 하고 질적으로는 많은 문제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먼저 해외의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에게 던지는 시사점을 찾아 볼 것이 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의 주요한 직업 연구 사업을 대상으로 연구 사업 의 내용과 사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직업 연구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 려고 한다.

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직업진로정보센터 부연구위원 (e-mail : hansang@krivet.re.kr)

(3)

직업 연구의 현황과 과제 2)

I. 서 론

□ 지식기반경제로의 변화에 따라서 인력의 수요와 공급의 질적, 양적 불일치(mismatch)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

- 변화된 신체제에서는 전문화된 스킬보다는 다양한 스킬, 그리고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스킬(multi/cross skill)이 필수적 요소가 되고 있음(<표 1> 참조.) 이와 같은 직업 세계 의 변화 흐름을 읽고 적응하는 것은 개인의 직업능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기업과 국가수준에서도 매우 중요한 일임.

- 그러나 현실은 개인, 국가, 기업 수준에서 변화된 직업세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대 한 대비를 하고 있지는 못함. 이에 따라 인력의 공급과 수요 사이에 격차(gap)가 존재 함.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새롭게 부상되는 직업과 쇠퇴하고 있는 직업은 어떤 것이 있는지, 어떤 지식과 스킬, 능력이 핵심적으로 되고 있는지, 변모하는 작업장 구조는 어 떠한지를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임.

<표 1> 직무의 변화

요소 구체제 신체제

작업장 조직

위계적 경직적 기능적/전문적

수평적 유연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팀들의 네트워크

직무설계

협소함 하나의 직무수행

반복/단순/표준

광범위함 다양한 직무수행

다양한 책임

노동자의 스킬 전문화 다양한 스킬/

다 영역에 활용 가능한 스킬

노동력 관리 명령/ 통제체제 자기관리

의사소통 하향식 광범위한 확산

의사결정 책임 명령체계 분산

방향성 표준화된/ 고정된 운영절차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절차

노동자의 자율성 낮음 높은

노동자의 조직에 대한 지식 협소함 광범위함

자료: U.S. Department of Commerce et al. (1999) [이영현 역, 『21세기 직업을 위한 21세기 직업능력』, 한국직 업능력개발원]

2) 본 보고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제20차 KRIVET Fellow Forum(2004년 12월)에서 발표된 내 용을 포럼에 참가한 동료 연구자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일부 수정된 내용임.

(4)

□ 우리나라의 경우 90년대 후반 외환위기 이후 평생직장의 붕괴, 임시․계약제의 확대, 이․전직의 증가 등 직업 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직업 환경의 변화는 급격 할 뿐만 아니라 근본적이어서 직업 준비, 취업, 직장 생활, 이전직, 은퇴 등 직업 생활의 각 단계에서 새로운 현상을 야기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직업관도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음.

- 이러한 직업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직업 연구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음. 우리나라 직업 연 구는 90년대 후반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적어도 양적으로는 적지 않은 성과를 내 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직업 연구는 기초적인 데이터의 미비와 방법론의 빈곤, 전문 연구자의 부족, 성과주의 등으로 인하여 질적으로 볼 때 기대만큼의 성과를 내지는 못 하였음.

□ 본 연구에서는 직업 연구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미국의 직업정보를 중심으로 직 업 연구의 흐름을 개관해 볼 것임. 그리고 우리나라 직업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 보고, 이에 터해서 앞으로 우리나라 직업 연구의 과제를 정리해 볼려고 함.

II. 직업 연구의 의미

□ 직업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 사이에서 ‘직업 연구’란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에 대한 합의는 관련 전문가 사이에서 이루어 지지 못했음. 사실 ‘직업 연구’란 용어는 문헌 보다는 주로 구두(口頭)로 사용되며,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대상과 범위가 상당히 다름. 이에 따라 직업 연구에 대한 정의나 범위를 규정하는 것은 그 자체 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됨. 단, 직업 연구의 정의와 범위를 규정한 문헌이 절대적으로 부 족한 관계로 본 연구의 개념 규정은 시론적인 의미가 강함.

- OECD에서 수년에 걸쳐 연구한 결과물을 연차적으로 발표한 보고서인 The OECD Jobs Study는 본 글에서 언급하는 직업 연구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음. OECD의 Jobs Study 는 기술혁신과 고용불안과 같은 노동시장의 변화에 따른 일자리 창출 혹은 일자리 유 지에 관한 연구이며, Jobs Study의 번역도 직업 연구가 아니라 일자리 연구 혹은 고용 연구가 적절함.3)

□ 향후 논의를 위하여 여기서는 직업 연구(occupational research)를 ‘직업의 생성, 발전을 위시한 직업의 동태적인 측면 혹은 직업의 특성과 구조 등 정태적인 측면을 과학적 방법 으로 파악하고 분석하려는 활동’으로 정의하려고 함.

3) 노동부는 OECD의 연구 보고서를 ‘고용 연구’라는 명칭으로 번역하여 출간하였음(OECD, 1994).

(5)

□ 직업 연구는 협의의 직업 연구와 광의의 직업 연구, 미시적 직업 연구와 거시적 직업 연 구, 직업에 관한 정태적 연구와 동태적 연구 등 다양한 시각에서 분류될 수 있음.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직업 연구의 대상을 분류하면 <표 2>와 같으며,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단서를 달지 않을 경우 협의의 개념으로 ‘직업 연구’를 사용하려고 함.

<표 2> 직업 연구의 대상

분 류 대 상

협의의 직업 연구

직업 구조, 직업 분류, 직업 능력, 직업 이동, 직 업 전망(유망 직업), 직업 변동, 직무 분석, 전문 직, 직업 정보, 직종 개발

광의의 직업 연구 (협의의 직업 연구 대상 +) 직업 위세, 직무 만 족, 취업, 직업의식, 직업 심리, 직업윤리, 이전직

- 협의의 직업 연구는 직업에 대한 내재적 접근을 하는 작업이며 직업 자체에 대한 연구 이며, 이 경우 ‘직업’ 자체가 주된 연구 대상임. 직업 분류, 직업 구조 (직업 구성), 직 업 이동, 직업 능력 (직업의 스킬, 능력, 지식), 직업 전망, 직업 변동(직업의 생성, 발전, 분화) 등이 대표적인 연구 영역임.

- 광의의 직업 연구는 앞서 설명한 협의의 직업 연구에 속하는 대상이외에 직업에 대한 외재적 접근을 하는 연구들, 그리고 ‘직업’ 자체에 대한 연구라기보다는 ‘직업’과 관련된 주제에 대한 연구들도 포함함. 직업에 대한 윤리, 직업에 대한 만족도, 직업 세계로의 진입/탈퇴 등이 대표적인 연구 영역임. 이 경우 ‘직업’은 연구의 주 대상이 아니라 주 연구 대상인 윤리, 만족도, 취업, 이전직 등의 설명 변수로 사용됨.

□ 국회도서관 DB 검색을 이용하여 ‘직업’ 관련 키워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다양한 직업 연구 대상 가운데 직업 능력, 직무분석, 전문직, 직무만족, 취업, 이직, 직업 의식 등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 졌음. 반면 직업 구조, 직업 분류, 직업 이동, 직업 변동 등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것을 알 수 있음.4)

4) 국회도서관 DB검색을 통한 ‘직업’관련 키 워드 조사는 김해동 박사의 아이디어임을 밝힘.

(6)

<표 3> 직업 관련 키워드 조사에 따른 직업 연구의 성과물

"직업" 관련 키워드

원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대분류 중분류 학위논문 학술잡지

직업구조 직업구조 3 11

직업구성 0 3

직업분류 2 5 1

직업능력 직업능력 18 78 40

직업기초능력 3 20 3

직업이동 11 6 1

직업전망 직업전망 1 6 3

유망직업 0 7 4

직업변동 0 0 3

직무분석 67 167 70

전문직 59 156 1

직업정보 5 7

직종개발 2 3 1

직업의식

직업의식 117 83 6

직업가치 5 3 2

직업관 145 108

직업태도 3 3

직업인식 3 2

직업위세 직업위세 0 1

직업위신 0 2

직무만족 직무만족 2194 494

직업만족 12 15

취업

취업 432 1203 32

구직 18 16 2

직업선택 56 49

직업심리

직업심리 0 3

직업흥미 44 12

직업적성 13 0 5

직업윤리 30 76 2

이전직

이직 437 189

전직 37 27 7

직업은퇴 1 3

직업지도

직업지도 25 58 1

직업경력 2 3

직업적응 22 17

- Key Words 검색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 졌음.5) 우선, 자료 제목에 “직업”이란

5) 국회도서관에 전자화된 DB를 살펴보면 먼저 석박사학위논문의 경우 1945년 이후 국내외 대학원 에서 수여한 석ㆍ박사 학위의 논문에 대한 목록 약 81만건, 원문 30만건이 DB로 구축되어 있음.

국내학술잡지 기사는 1910년 이후 국내에서 발행된 정기간행물로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국내잡지 의 기사색인과 사회과학분야 잡지의 디지털화된 원문이 구축되어 있는데 전체 약 184만건의 기사 가 있으며 이중 원문으로 구축된 것은 40만건임. 국내학술잡지의 종류는 전체 18,533종이 DB로 구축되어 있음.

(7)

단어가 들어간 모든 자료 선택한 후 다음의 기준에 따라 관련 Key Words가 들어있는 제목의 자료를 선정함. 자료의 범위는 박사학위, 학술논문, 연구기관의 보고서에 한정함.

자료의 출간연도는 1960년도 이후로 한정하여 1960-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 이후로 분류함. “직업”이란 Key Words 없으나 직업과 관련성이 깊은 단어가 연구의 주 제인 경우 포함됨(구직, 전직, 취업 등).

III. 미국 직업 연구의 흐름

-미국직업사전과 O*NET을 중심으로 1. 미국직업사전 편찬사업

가. 미국직업사전 의 발간 목적

□ 미국직업사전 (DOT)은 1939년에 초판이 발간되었고, 1991년에 마지막으로 제4판 증보판 이 편찬되었음. 미국직업사전 은 확장일로에 있던 공공고용서비스 기관의 취업알선을 지 원하기 위한 표준화된 직업정보에 대한 요구에 따라 개발되었음6).

- USES(United States Employment Service)는 이 요구를 1930년대 중반에 인식하였고 와 그너 페이저법을 법적 근거로 삼아 직업연구프로그램을 시작하였음. 와그너 페이저법으 로 연방-주 고용서비스 시스템이 만들어 지자, USES는 전국의 수많은 현장사무소에 있 는 분석가들을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였음. 이 정보는 일자리 알선에서부터 고 용상담, 직업 및 경력 지도, 그리고 노동시장정보 서비스 등에 사용되었음. 미국직업사 전 편찬은 이 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조사하는 것이었음.

□ 제1판 미국직업사전 (1939년, part I∼part III)은 29,744개의 직업명이 발굴되었으며, 이 직업명은 17,452개의 서로 다른 직업에 적용되었음. 직업 정의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었음.

즉, ① 주요 직업명, ② 산업명, ③ 직업코드번호, ④ 그 직업에서 수행되는 임무에 대한 정의 등으로 구성되었음.

- 각각의 직업을 550개의 직업군(occupational group) 가운데 하나에 위치시켰고, 그 직무 들이 ‘숙련’, ‘반숙련’ 혹은 ‘미숙련’인지를 구별하였음. 제1판은 1942년, 1944년, 그리고 1945년에 증보판을 발간하였음.

□ 제1판 미국직업사전 의 효과는 기대이상이었음. 전국 고용서비스기관(Employment

6) 직업사전은 1927년 영국 노동부(British Ministry of Labor)에서 처음으로 만들어 졌음. 영국 노 동부의 직업사전 (Dictionary of Occupations)은 29,106 항목(terms)의 직업 중에서 16,837개의 직업 정의를 담고 있었음. 그러나 영국의 직업사전 은 취업알선이 주목적은 아니었고, 직업과 관 련된 모든 활동에 대한 일반적 작업도구로서 편찬되었음(US DOL USES, xiii, xvi).

(8)

Service)에서 사용하는 직업명을 통일시키는 표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USES의 직업분류 와 코드시스템을 재검토하게 한 기초가 됨. 이 재검토의 결과로 새로운 직업분류구조가 만들어 짐(USDOL, 1965: xiii). 이 구조는 수행하는 작업과, 직무의 내용에 기반한 직업관 계(occupational relationship)를 반영하여, 직장경험이 있는 구직자를 찾는 구인자들의 신 청을 분류하는데 유용하였음.

□ 제2판(1949)은 제2차 세계대전이 직업세계에 미친 영향을 일정부분 반영하였음. 필요한 직업정보와 이용 가능한 직업정보 사이의 큰 간격을 줄이기 위하여 전쟁 전기간에 걸쳐서 제1판 증보판(supplement)이 이미 몇 차례 출간되었음. 1945년까지 6,100개 이상의 새로운 직업정의가 증보판의 형태로 출간되었음.

- 제2판은 제1판의 내용에 증보판의 내용을 더하고, 또 플라스틱, 종이와 펄프, 라디오 생 산산업의 신생직업을 포함시켰음. 그러나 책자의 전반적 구성이나 직업기술방식에는 제 1판과 큰 차이가 없었음.

<표 4> 미국직업사전 의 출간현황

출간연도

발간 기관 직무명 수

비 고

제1판 1939 노동성 USES

본직업명: 17,452 유사 직업명: 12,292

(additional titles)

part I ∼part IV 제4부(part IV)는

1941년에 출간

제2판 1949

연방보장청 사회보장국 (Federal Security Agency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 준비기관은 USES

본직업명: 22,028

유사 직업명: 17,995 vol. I과 vol. II.

제3판 1965 노동성 인력국 (Manpower Administration)

본직업명: 21,741

유사 직업명: 13,809 vol. I과 vol. II.

제4판 1977 노동성 고용훈련국 본직업명: 12,099 단일 책자(single volume) 제4판

증보판 1991 노동성 고용훈련국 본직업명: 12,741 vol. I과 vol. II

□ 제3판 미국직업사전 (1965)은 숙련, 반숙련, 미숙련으로 특정직무를 지적하던 표시를 제 거하고, 대신에 1) ‘수행되는 작업의 성격’ 2) ‘작업자에 대한 작업활동의 요건’에 기반한 분류체계로 대체되었음. 작업요건에 대한 이러한 척도(indicator)에는 8가지 분류요소들, 즉 훈련시간, 적성, 흥미, 기질(temperament), 육체적 요건, 작업조건, 수행되는 작업과 산업 등이 포함됨.

- 특히 자료, 사람, 사물에 대한 작업자의 관계(DPT)를 도입함으로써 제3판은 내용과 개 념에서 제2판까지의 직업사전 과는 질적으로 구별되었음. 그러나 직업명과 그 내용의 기술은 과거의 방식을 따라, 코드와 정의가 있는 직업명은 알파벳 순서로 배열하였고, 정의가 없는 직업명은 ‘직업군’으로 배열하였음.

(9)

□ 제4판 미국직업사전 (1977년)은 1965년부터 70년대 초중반 까지 75,000건 이상의 현장분 석을 수행하여 발간되었음. 제4판은 내용과 개념에서 제3판과 크게 다르지 않았고, DPT도 3판과 같이 유지되었음. 단 적지 않은 직업에 대해서 실제의 작업자 기능을 반영할 수 있 도록 수정하였음. 제3판과 비교하여 2,100개의 새로운 직업정의가 추가되고, 3,500개는 삭 제되었음(USDOL, 1977).

나. 미국직업사전의 구조

□ 미국직업사전 편찬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기능적 직무분석’이란 방법임. 미국 노동성은 수십년에 걸친 조사와 연구를 통해서 ‘기능적 직무분석’(functional job analysis)을 개발했 음7).

“기능적 직무분석은 미국직업사전 제1판(1939)과, 제2판(1949)에서 정의된 직무들 (jobs)을, 직무분석계획의 일환으로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특성’에 기초하여 분류하기 위 한 연구노력의 결과로서 출현했다”(Fine, 1988: 1019).

□ USES가 개발한 직무분석방법은 두 가지 직업차원(two dimensions of a job)에 따라서 직 업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함. ‘수행 작업’(Work Performed)과 ‘작업자 특 성’(Worker Characteristics)이 두 가지 직업 차원을 이룸(Droege, 1988: 995) 그 내용을 도 표로 나타내면 <표 5> '기능적 직무분석에서 직업 정보의 요소‘와 다음과 같음.

<표 5> 기능적 직무분석에서 직업 정보의 요소 직업 정보의 두 차원

수행 작업 작업자 특성

작업자기능 작업 분야 (Work

Field)

도구, 장비 그리고 작업

보조물 (MTEWA)8)

재료, 생산물, 그리고 주제, 혹은 서비스 (MPSMS)9)

일반 교육 발전

특정 적업 준비

적 성

기 질

흥 미

육체적 활동

환경적 조건

- 수행 작업은 작업자 기능(Worker Functions), 작업분야(Work Field), 사용하는 기계, 도 구, 장비 그리고 작업 보조물(MTEWA), 재료, 생산물, 주제, 그리고 서비스(MPSMS) 등 으로 이루어짐.

- 이 가운데 하나의 위계로서 표현되는 작업자 기능은 기능적 직무분석 체계에서 중추적

7) 노동성 직무분석법의 방법론에 대해서는 다음 글을 참고할 수 있음. U. S. Department of Labor, Manpower Administration (1972), U. S. Department of Labor, 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1991b). 이 방법론을 기반으로 나온 결과물이 제3판 이후의 미국직업사전 임.

8) MTEWA : machines, tools, equipment, and work aids 9) MPSMS : material, products, subject matter, or services

(10)

(pivotal) 역할을 수행함(Ghorpade, 1988: 64). 기능적 직무분석은 각각의 직업이 자료, 사람, 사물에 관하여 어떤 관계를 맺고 있다는 가정을 함. 자료, 사람, 사물에 대한 작업 자의 관계는 일련의 공통적 기능 혹은 활동을 통해서 표현됨. 여러 기능들은 하나의 위 계(hierarchy)로서 배열되며, 이 위계에서 가장 단순한 기능은 위계상 맨 아래에, 그리고 가장 복잡한 기능은 맨 위에 위치함.

<표 6> USES에서 직업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 사람, 사물(DPT) 척도

직무와 자료, 사람 및 사물간의 관계가 낮은 숫자부터 각각 차례대로 매겨진다.

숫자가 낮을수록 각 척도에서 복잡성이 높다는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을 종합하여 작업자가 수행하는 전체적인 복잡성 수준을 나타낸다.

자 료 사 람 사 물

0. 종합화

사실을 발견하고, 지식을 개발하기 위한 자료 분석의 통합

0. 지도

타인에게 조언, 상담, 안내하기

0. 설정

기계나 도구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설정하는 것 1. 조정

시간, 장소, 일련의 활동을 결정

1. 협상

타인과 협력해서 결정, 결론 혹은 해결책에 함께 도달하려는 것

1. 정밀한 작업

작업참여자가 신체나 도구를 사용 하거나 신중한 판단을 하는 것 2. 분석

자료의 검사 및 평가

2. 지시

타인에게 주요 문제를 가르치거나 훈련을 시키는 것

2. 조종-제어

작업 진행을 위해 기계를 설정하고 조종하는 것

3. 수집

자료, 사람, 사물 관련 정보를 수 집, 분류

3. 감독

직무 절차를 결정하고 협력을 유지 하고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것

3. 운전-조종

기계의 제어와 관련된 것으로 조종 하고 운전하는 것

4. 계산

산술적 계산을 수행하고, 그것과 관련되어 규정된 활동을 보고하거나 수행. 셈은 포함하지 않음.

4. 기분전환

타인을 즐겁게 해 주는 것

4. 조작

작업 참여자의 신체. 도구나 고안 물을 사용하고 어느 정도의 판단을 하는 것

5. 기록

자료의 등사, 입력, 게시

5. 설득

생산물, 서비스 혹은 관점이 자신 에게 이익이 되도록 타인에게 영향 력을 행사하는 것

5. 시운전

기계와 기기를 시동, 정지, 관찰하 는 것으로 약간의 판단을 요함.

6. 비교

자료, 사람 및 사물의 관찰 가능한 기능적, 구조적 구성적 특성들을 판

6. 말하기- 신호하기

6. 투입․인출

다른 종업원에 의해 시운전되었거 나 혹은 자동화된 기계나 도구로부 터 재료를 옮기거나 삽입, 분사, 집 적 혹은 장착하는 것

7. 제공

사람이나 동물의 요구 혹은 요청에 즉시 반응하는 것

7. 조종

신체, 수도구, 특별히 고안한 장비 를 사용하여 물체나 재료를 이동시 키거나 운반하는 것으로 판단을 거 의 요하지 않음.

8. 지시, 도움받기

책임감이나 학습을 수반하지 않음.

출처: U.S. Department of Labor. (1977). Dictionary of Occupational Titles. Washington,

(11)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69-1371

- 작업자 특성은 일반교육발전(GED ; general educational development), 특정직업 준비 (SVP ; specific vocational preparation), 적성, 기질, 흥미, 육체적 활동, 환경적 조건 등으 로 구성됨.

- 이 가운데 일반교육발전(GED)은 ① 교육을 따라갈 수 있는 작업자의 추리능력 발전 ② 언어와 수학적 능력과 같은 ‘도구적’ 지식의 습득에 기여하는 공식적, 비공식적 교육을 포괄하는 개념임(U. S. Department of Labor, 1972: 8, U. S. Department of Labor, 1991b: 7-1). GED는 세 가지, 즉 추리력 발전, 수학적 발전 그리고 언어적 발전으로 구성 됨. 세 가지 요소는 각기 하나의 척도(scale)로서, 6가지 수준(level)으로 평가됨. 단, 언어 적 발전은 5가지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음. 대학교 수준에서 제공되는 언어과정은 다양해 서 특정한 언어발전수준을 정할 수 없기 때문임.

다. 평가

□ 미국직업사전 편찬 방법론을 이루는 기능적 직무분석은 1940년대 이래 ‘선도적’ 직무분석 방법이었음(Ghorpade, 1988: 237). 그리고 기능적 직무분석은 “가장 안정된(established) 직 무분석 체계”임(Ghorpade, 1988: 145). 한 논자는 노동성이 개발한 기능적 직무분석이 “관 찰과 면접을 통해서 직업정보를 수집하려고 할 때 전통적인 직무분석의 절차를 안내하는 가장 훌륭한 예”이라고 평가했음”(Droege, 1988: 994).

- 그리고 기능적 직무분석은 포괄적이고 사용하기 간단하며 확장가능함. 기능적 직무분석 의 개발자들은 직업정보를 원하는 주요 조직의 대부분의 요구를 경청하고 수용했음. 사 실 어떠한 직무분석도 한 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직업을 조사하려고 하지 않음. 오직 기 능적 직무분석만이 이러한 목적을 가지고 실행되었으며, 실제로 이에 기반한 “ 미국직 업사전 은 직업과 스킬에 관한 가장 포괄적인 정보원”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음 (ATDOT, 1993: 13).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직업사전 사업은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한계를 안고 있음.

- 첫째는 직무중심적 접근법이 가지고 있는 생래적 문제점임. 그것은 과업(task)을 중심으 로 작업자가 하는 일을 기술하는데 초점을 맞추는데서 나타남. 상대적으로 특정 직업에 종사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지녀야 하는 지식, 능력, 기술 등은 경시되는 경향이 있음.

기능적 직무분석의 경우 작업자 기능, 일반교육발전, 특정직업 준비 등을 통해서 작업자 를 일부 파악하지만, 정교한 분석을 제공해 주지는 못함. 특히 기능적 직무분석은 작업 자가 하는 과업을 중심적으로 보기 때문에, 직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능력 등에 관한 정보를 직접 수집하지 않음(Peterson et al. 1995: 1-3).

- 둘째, 같은 맥락에서 기능적 직무분석은 ‘직업간 관계’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없으며, 이 로 인해서, 한 직업에서 다른 직업으로의 이전가능성(transferability)에 관한 정보를 제

(12)

공해 주지 못함. 직업간의 공통적 요소를 추출하여 직업간 관계를 명료하게 하는 목적 에는 기능적 직무분석이 어울리지 않음.

-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는 것은 기능적 직무분석이 “직무 분석가의 스킬(skill)”에 의 존한다는 점에 있음. 한두 명의 직무분석가들이 한 곳 이상의 현직자와 면접과 관찰을 통해서 그 직무에 관한 과업과 임무를 파악하여 질적인 정보를 획득함(Peterson et al.

1995: 1-2). 이 방식에서 직업에 관한 기술은 주로 직업특수적 정보(occupational-specific information)에 기초하게 되어, 직업간의 비교가 어렵게 됨. 그것은 직업의 과업과 임무 에 대한 기술이 서로 다른 수준의 일반성 위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정의되기 때문임 (Peterson et al. 1995: 1-3).

- 셋째, 미국직업사전 은 21세기 변화하는 노동시장이 필요로 하는 스킬, 지식, 컨피턴시 (competency)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미국직업사전 의 출발 은 1930년대의 경제위기에 대한 대응이었으며, 인력의 공급자와 수요자를 연결시켜주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개발되었음. 이로 인해서 스킬의 취득(skill acquisition)과 노동력 투자를 중시하는 현재의 노동시장에는 맞지 않음. 미국직업사전 자문단은 다음과 같이

미국직업사전 의 의의와 한계를 규정하였음(APDOT, 1993: 6).

“당시는 주로 대량생산이 근로자를 통제하거나 제한하던 때였다. 직무(job)는 저기술 근로자로 채워지는 단순한 과업들로 분해되었다. ---- 근로자와 작업장을 기술할 때, 미국직업사전 은 집권화된 위계구조와, 수천 개로 협소하게 정의된 직무들을 반영 하였다. 결과적으로 미국직업사전 은 인식상의 스킬 요건(cognitive skill requirements)보다는 육체적 스킬과 손끝으로 다루는(manipulative) 스킬을 종종 강 조했다.”

- 같은 맥락에서 또 하나의 문제는 직업 현장의 상황이 급박하게 변화함에 따라 더 이상 책 자 형태로 직업 정보를 만들어 전달하는 미국직업사전 이 적절하지 않다는 것임. 특히 미국직업사전 을 발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10년 이상인 것을 고려할 때, 최신 정보의 업데이트가 너무 늦다는 문제가 노정되었음.

2. 미국직업정보네트워크(O*NET) 가. O*NET 탄생의 배경

□ 미국직업정보네트워크(O*NET ; Occupational Information Network)는 미국직업사전을 대 체할 목적으로 기획되었음. 현재 O*NET은 미국의 새로운 직업분류 및 직업정보시스템으 로 고용안정 및 인적자원개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 O*NET은 주요 직업의 작 업특성, 입직하는데 필요한 자격요건, 그 직업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knowledge), 능력(ability), 스킬(skill), 교육 및 훈련에 관한 정보, 그리고 임금과 고용 등의 노동시장정

(13)

보 등을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정보네트워크임.

□ O*NET이 구축된 시대적 배경은 대규모 제조업 중심의 경제에서 지식기반경제로 변모한 데에서 찾을 수 있음. 지식기반경제가 요구하는 직업 정보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의 접근법이 필요하며 그것은 과업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능력, 기 술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임.

- 기존의 직업정보는 작업자가 “하는 일” 즉 과업(task)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이 주를 이 루었고 미국직업사전 은 그 대표적 사례라 할 수 있음.

<표 7> 직업사전과 직업정보네트워크의 비교

직업사전 직업정보네트워크

제공형태 서적 인터넷

정보형태 고정된 형태 사용자 요구, 목적에 부합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할 수 있는 유동형 시스템

분석대상 제조업중심의 다수의

블루칼라 근로자를 반영 현재의 지식경제와 지식근로자도 반영 분석방법 과업을 중심으로 근로자의 기능을 분석 근로자에게 요구되는 스킬을 중심

변수 DPT 등 8개 항목 483개 변수

정보내용 직업명에 대한 간단한 서술 노동시장정보와 연계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제공 이직 및 전직 이직과 전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함 이직과 전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정보개선주기 업데이트가 어려움 업데이트가 용이함

자료: Mariani(1999: 4)

□ O*NET은 11,00여개 대표직종을 대상으로 직무수행능력, 지식, 경험, 작업환경, 노동시장 정보 등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있음.

- O*NET은 직무내용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직업능력을 선정하고 이를 각 직업별로 수치 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며, 인터넷체제로서 관련정보의 효과적인 검색과 신속한 갱신이 가 능한 것이 특징.

□ O*NET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가운데에서 핵심은 “직업간 비교 가능한” 직업정보를 개 발하는 것임. 이렇게 하여 교육과 훈련의 효율성을 확대하고, 특정 직업에서 이전 가능한 다른 직업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함.

- 물론 직업정보개발의 역사를 되돌아보면 “직업간 비교가능한” 직업정보를 개발하겠다는 아이디어가 완전히 새로운 것만은 아님. 미국직업사전 (DOT)에서 사용하는 DPT(작업 자 기능), GED(일반교육수준), SVP(특정직업준비) 등의 직업명세사항은 모두 직업을 비 교하고 분류하기 위한 전략에서 나온 개념들임. 그러나 O*NET은 보다 본격적으로 직업

(14)

간 비교 가능한 직업정보 생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직업사전과는 차이 를 보임.

나. O*NET 생산의 과정

□ 현장 조사를 통한 기능적 직무분석을 사용한 미국직업사전 편찬 산업과는 달리 O*NET은 현직자들로부터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정보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특징임.

□ 그러나 O*NET의 정보가 설문 조사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니며, 크게 기존 정보를 이용한 것과 설문 조사에 따라 새로운 정보를 획득한 것으로 나누어 짐. O*NET의 일부 정보는 미국직업사전 처럼 이미 존재하고 있는 자료를 가공하여 만들어진 것임. 그리고 O*NET의 많은 변수는 설문 조사가 아니라 직업 전문가의 평정에 의존한 것임(Mariani, 1999: 3).

□ O*NET은 미국직업사전처럼 미국에 존재하는 전체 직업이 아니라 대표직업에 관한 정보 를 생산하여 제공하고 있음. O*NET에서 채용한 대표 직업은 미국직업사전 을 원자료로 삼아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추출된 1,100여개.

- 1단계는 O*NET을 위한 동질적 직업의 개발임. 11,761개 미국직업사전의 직업을 OES(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 조사에 기초한 범주로 집단화하였고, 852개 OES 직업들 가운데 몇 가지는 너무 크기 때문에, 이 직업들은 2개 이상으로 나누어서 1,122개의 O*NET 직업단위(OUs : Occupational Units) 설정.

- 2단계는 직업단위를 설명하기 위한 과업진술(task statement)의 개발임. 각각의 직업단위 에 대한 과업진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미국직업사전의 과업진술을 조사하여 미국직업사 전의 진술들을 결합하고 응축하여 보다 일반적 과업진술을 추출하였음.

- 3단계는 O*NET 내용 모형(Content Model)에 따른 직업단위의 평정(rating)임. 직업단위 들과 내용 모형을 연결시키기 위하여, 모형의 설명인자(descriptor)에 대하여 직업단위 들을 평정함,

- 4단계는 직업단위의 과업진술 평가이며, 과업진술의 신뢰성과 안면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과업들을 기존의 직업 데이터베이스들과 비교하였음.

다. 내용 모형(content model)

□ O*NET의 내용 모형은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 경험 요건(experience requirements), 직업 요건(occupational equirements), 직업-특수 요건(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 직업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 등 6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음.

- 근로자 특성(worker characteristics)은 능력, 흥미(interest), 근로 가치관 등으로 구성됨.

- 근로자 요건(worker requirements)은 교육, 지식, 기초 스킬, 범용 기능의 스킬 등올 구 성되며, 이 항목들은 새로운 학습과 경험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음.

(15)

- 경험 요건(experience requirements)은 훈련, 경험, 자격 등으로 구성됨, 다시 말해서 어 떤 종류의 훈련이나 경험이 필요한지, 어떤 종류의 자격이 필요한지를 나타냄.

- 직업 요건(occupational requirements)은 일반 근로 활동, 근로 환경, 조직 환경 등으로 구성되며 해당 직업의 근로 자체를 기술하기 위한 구성 요소임.

- 직업-특수 요건(occupation-specific requirements)은 과제, 임무, 직업적 스킬과 지식, 기 계, 도구 및 장비 등으로 구성됨. 이 정보는 특정 직업과 관련된 특수한 정보로서 내용 모형 가운데 유일하게 비교가능하지 않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 직업 특성(occupation characteristics)은 노동 시장 정보, 직업 전망, 임금 등의 정보이며, BLS(노동통계국)의 직업 전망 자료, OES의 임금 자료 등을 활용함.

[그림 1] O*NET 내용 모형

근로자 요건 ․스킬 ․지식 ․교육

직업 요건

․일반 근로 활동 ․근로 환경 ․조직 환경

직업 특성

․노동 시장 정보 ․직업 전망 ․임금

직업-특수 요건 ․과제, 임무 ․직업적 직능, 지식 ․기계, 도구 및 장비 근로자 특성

․능력

․노동 가치 및 흥미 ․근로 스타일(성격)

O*NET

경험 요건 ․훈련 ․경험 ․자격

(16)

라. 문제점

□ O*NET은 직업 환경의 변화라는 시대적 흐름을 읽고 의욕적으로 시작된 사업이지만 다음 과 같은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음.

- 우선 미국직업사전처럼 전체 직업을 포괄하지는 못하며, 그렇다고 개별 직업에 관한 정 보가 수요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정보를 아우를 정도로 심층적이지도 못함.

- 새로운 직업은 이미 설계된 설문 조사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새롭게 출현하는 직업을 예측하거나 조기에 파악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지는 못함. 이는 직업 분석자가 현 장을 지속적으로 찾아다니며 산업별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지 않는 상황에서 나타나 는 불가피한 결과임.

- 설문조사는 통계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사례수를 확보해야 하며, 자료의 최신화를 위해서는 동일한 직업에 대하여 빈번한 재조사가 필요함. 그러나 예산상의 제약으로 개 별 직업당 충분한 사례수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있으며, 동일 직업에 대한 재조사 기 간도 길게 나타나고 있음.

- 최근 급변하고 있는 시장 상황에 따라서 직업세계의 이질성(heterogeneity)이 증대하고 있음. 동일한 직업이라 하더라도 산업별로 요구되는 핵심기술 및 능력, 작업방식, 작업 장 조직 및 인력충원방식에 방식에 있어 차이가 존재함. 모든 직업을 포괄하는 표준화 와 일반화에 기반한 직업 연구로는 이러한 차이를 밝혀내기 어려움. 이러한 이유로 산 업이라는 중범위 수준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직업종사자, 일, 그리고 작업장을 분석하는 연구 흐름이 지속되고 있으며(Alder & Alder, 2004; Applebaum, 1999; Becker, 1982;

Blau, 1987; Cusumano, 2004), IT 산업 등 부상하고 있는 산업분야별로 직업연구가 활 성화되면서 산업별 직업연구의 중요성이 최근 부각되고 있음10).

3. 시사점

□ 첫째, 지속적으로 직업 정보를 일반화, 표준화하려는 움직임을 양 사업에서 확인할 수 있 음. 대부분의 정보를 수량적 정보로 만든 O*NET은 물론이고 미국직업사전 역시 작업자 기능, GED, SVP 등을 통해서 정보를 비교 가능하게 만들려고 시도하였음.

□ 둘째, 현장 조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음. 미국직업사전의 경우에는 현장성을 확보하 기 위하여 현장 방문조사를 실시하였음. 반면 O*NET의 경우 기존 자료와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정보를 생산하고 있는데 현장 조사의 미비는 아킬레스 건으로 보임. 새로운 직 업의 출현 등 노동시장의 변동에 따른 직업 변화를 파악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현장 조사임.

10) 산업별 직업 연구에 대한 해외의 연구 동향은 김기헌 박사가 도움을 준 사항임(한상근, 김기헌외 2003)

(17)

□ 셋째, 설문 조사 중심의 O*NET 프로젝트가 가능했던 것은 미국 직업사전 사업을 비롯한 직업 관련 인프라가 탄탄했던 점에 특별히 유의할 필요가 있음. 직업 분류, 직업별 직무 내용, 임금․고용같은 직업 관련 각종 통계 자료 등이 미비할 경우 O*NET과 같은 직업 정보네트워크는 구축자체가 어렵고 구축되더라도 그 실효성이 의문스러움.

IV. 우리나라 직업 연구의 현황

□ 다양한 직업 연구 대상 가운데 국가적 수준에서 연구되거나 개발된 사업은 직업 정보, 직 무능력, 직무분석 등에 과한 것임. 이들 연구 사업은 개별 직업이 지닌 특성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갖고 있음.

- 직업별 특성을 분석하는 주요한 연구 사업들로는 한국직업사전 발간사업, 한국직업전망 사업, 한국직업정보시스템 구축사업, 국가직무능력표준 사업,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직무 분석 사업 등이 있음. 각각의 사업을 중심으로 사업의 목적, 연혁, 구성 체계, 성과물, 문제점 등을 살펴보기로 함.

가. 한국직업사전 발간 사업

『한국직업사전』은 우리나라의 전체 직업변화를 조망할 수 있는 자료로서 기술혁신 및 산업구조조정 등에 따라 변동 생성 소멸되는 직업현황을 체계적으로 분석 제공하여 산업 사회 및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자 발간되었음.

- 이를 위하여 『한국직업사전』은 전문가의 직무분석을 통해 표준 직업명을 제정하고, 객 관적이고 표준화된 직업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고용안정정책, 직업상담 및 취업알선의 기 본적 자료로 활용되며 기본적인 노동시장정보의 인프라를 구축하고자 하였음(중앙고용정 보원, 2002).

한국직업사전은 1986년에 제1판 통합본이 나왔고, 1995년에 제2판, 그리고 2003년에 제 3판이 발간되었음. 한국직업사전은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 존재하는 모든 직업을 조사ㆍ분 석하여 수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음. 우리나라의 전체 직업명칭 수는 12,000여 개로 알려져 있는데, 이 수치의 근거가 되는 것도 바로 한국직업사전임.

한국직업사전은 면접과 관찰을 통한 현장조사를 중심으로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생산․가공하여 출간하고 있음. 이 점에서 직업사전은 기존에 생산된 직업정보 자료를 기 초로 재가공하는 형태의 다른 직업정보와는 질적으로 구별됨. 한국직업사전(통합본)을 발 간하기 위하여 매년 4 ~ 6개정도의 산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매년 조사된 4 ~ 6개정도의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별『한국직업사전』발간)하고 직무분석을 실시하였음.

(18)

<표 8> 한국직업사전 발간 현황

연 도 명 칭 발간기관 직업명칭 수

1986년

한국직업사전 (제1판) 노동부 국립중앙직업안정소 10,451

1995년

한국직업사전 (제2판)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1,537

2003년

한국직업사전 (제3판) 노동부 중앙고용정보원 (발표 안함)

한국직업사전은 매우 많은 직업을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정보를 압축하여 수록 하고 있음. 한국직업사전에서 수록된 각각의 직업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① 직업코 드, ② 직업명칭, ③ 산업명칭, ④ 유사직업명, ⑤ 내용설명, ⑥ 관련 직업명, ⑦ 직업명세 사항 등으로 구성됨. 직업명세사항에는 작업원이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료, 사람, 사 물에 관련된 직무수행 기능정도(D.P.T), 일반교육수준(교육), 훈련 및 숙련기간(훈련/숙련), 육체적 활동(활동), 작업환경(환경)과 입직할 때 요구되거나 직무수행에 필요한 자격/면허 등의 사항이 포함됨.

문제점

- 한국직업사전 사업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비판이 제기되었음(중앙고용정보원, 2003:

5). 먼저, 한국직업사전에 수록된 「직업명칭」에 대하여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직업분류」와 관련하여 “직업에 대한 정의와 분류를 좀 더 체계화하여야 한다”는 지적이 많았음. 다음으로, 직업의 작업내용을 설명하는 「수행직 무내용」에 대해서는 내용의 풍부함보다는 정확성과 직무 범위, 기준 등에 대한 개선 요구가 많았음. 또한, 전체적인 구성 체계와 관련하여 현재의 구성 체계를 개선하거나, 전면적인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일관되게 제기되었고, 특히 미국의 직업정보 네트워크(O*NET)와 같은 직업정보시스템으로의 변화도 제안되었음.

- 그리고 한국직업사전 편찬사업에 속한 전 산업의 전체 직업을 조사하는 방대한 작업이 므로 많은 조사인력과 장기간의 조사기간이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되어야 함. 노동부의 제1판 한국직업사전(1986)의 조사기간은 5년(1982년∼1986년), 제2판(1995)은 9년(1987 년∼1995년)이었음. 제3판(2003)은 7년(1997년∼2003년)이 소요됨. 이와 같은 장기간의 조사 기간은 빠르게 발전하는 지식기반산업의 직업들을 신속하게 분석하여 수요자에게 제공하는 데 큰 장애가 되고 있음.

나. 한국직업전망 발간 사업

미래에 자신의 직업을 탐색하는 청소년, 신규 노동시장 진입예정자 또는 실업자, 이전직 을 하거나 직업훈련을 받고자 하는 근로자에게는 경력개발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목적 하에 한국직업전망 책자를 발간하고 있음(중앙고용정보원, 2002b).

(19)

노동부 중앙고용정보원에서는 1999년에 우리나라의 대표직업 213개를 선정하여『한국직 업전망 1999』(통합본 초판)을 발간하였고, 2001년에는 정보기술(IT)관련 직업 33개를 대상 으로『정보기술직업전망』을 발간하였음. 2002년에는 우리나라의 대표직업 218개를 선정 하여『한국직업전망 2003』(통합본 2판)을 발간하였음.

한국직업전망의 편찬 방향은 다음과 같음(위의 글). 첫째, 우리나라 직업 중 대부분을 포 괄하도록 함.「산업 직업별 고용구조 조사(WIC-OES)」에 포함된 직업(세분류 ; 4-digits) 중 83%의 직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전체 직업 종사자 중 대략 91%를 설명하고 있음. 둘 째, 종합적인 직업 및 고용정보 구축을 지향함. 수행직무 및 근로조건, 교육 및 훈련, 자 격, 고용전망을 연계하여 종합적인 직업정보 서비스를 제공함. 셋째, 충실한 직업정보를 위하여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 조사(WIC-OES)」및「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다 양한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음. 넷째, 고용전망의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재직자가 본 5년 후 고용전망' 조사에 의한 통계치(정량적 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및 각종 연구보고서 를 통한 고용전망(정성적 조사)을 비교 분석함. 마지막으로 가독성(可讀性) 제고를 위하여 고등학생 이상이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내용을 평이하게 기술하였고, 각종 그래프를 삽입하여 시각적 효과를 높이고 있음.

「2003 한국직업전망」은 우리나라 대표 직업으로 선정된 218개 직업에 대하여 임금, 고용 형태, 고용전망 등에 관한 노동시장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개별 직업에 대한 설명 체계는 다음과 같음.

<표 9> 한국직업전망 2003의 구성 항목

항 목 내 용

직업개요 하는 일, 사회적 의미, 세부 직업, 근무형태와 시간, 작업환경 등의 해당 직업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

수행직무 구체적인 업무활동의 과정 및 내용, 관련 직업과의 직무상 관계, 사용 장비 및 도구 등을 소개

교육․훈련 및 자격

해당 직업에 종사하기 위해 필요한 학력, 전공, 직업훈련, 자격 및 면허를 비롯하여 채용경로, 이․전직이 가능한 관련 직업 등을 소개. 또한, 업무수행능력, 지식, 성격 등을 그래프로 제공함.

고용 및 임금 현황 해당 직업의 종사자수, 연령별 분포, 학력별 분포, 월평균 임금, 여성종사자 비율, 임금근로자 비율 등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함.

직업전망 직업당 60여 명의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등을 토대로 향후 5년간의 고용변화를 전망함.

관련 정보처 해당 직업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협회, 학회, 사업체 등의 명칭과 인터넷 주소

문제점

(20)

- 「2003 한국직업전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

- 첫째, 본 책자를 이용하는 주 이용자 층을 어디로 보느냐에 따라 수록 직업의 내용이 상 이할 수 있음. 「2003 한국직업전망」의 경우 학생에서부터 일반 국민까지 거의 모든 계층 을 이용자층으로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록된 직업들이 어느 계층도 만족시키지 못하 는 한계가 있음.11)

- 둘째, 개별 직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직업개요, 수행직무, 교육․훈련 및 자격, 고용 및 임금 현황, 직업전망 등 5개 항목에서 다루는 관계로 항목별 텍스트의 내용이 길어지 는 문제가 있음. 이에 따라 중․고등학교 학생 수준에서는 흥미를 가지고 정보에 접근하 고 내용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음.

- 셋째, 직업 전망의 경우 체계적인 전망 방법을 가지고 있지 못하고 고용 전망에 대한 현직자의 의견을 5점 척도로 설문 조사하여 제시하고 있음. 또한 일부 전문직의 경우 임금 등 노동시장 정보의 신뢰성에 의문이 감. 산업별 직업별 조사(OES)를 통하여 전문 직의 노동시장 정보를 획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국세청, 의료보험공단 등의 자료 를 활용하는 등 통로를 다각화해야 함.

다.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구축 사업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은 산업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요구되는 핵심적 지식, 업무수행능력, 성 격, 흥미 및 직업전망, 자격․훈련 등을 체계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종합적인 직업정보시 스템을 지향하며 개발되었음.

한국직업정보시스템 개발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중앙고용정보원, 2003:

8-9).

- 첫째, 구인․구직, 진로 선택, 인사 선발․배치, 평생 교육 훈련과 관계된 다양한 직업정 보 수요자들의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서, 직업정보시스템은 직무 과제 중심의 직업 특수 정보뿐만 아니라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근로자의 속성에 관한 정보와 임금, 일자 리 전망 등의 노동시장정보를 망라하는 종합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함.

- 둘째, 신속한 갱신과 직업간 비교가 가능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직무분석가의 관찰 에 의한 방법은 직업 특수적인 정보에 한정하고, 직업간 비교가 가능한 표준화된 객관 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근로자 및 노동시장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자료수집 방법을 택하 여야 함.

- 끝으로, 정보전달의 시간․공간적 제약을 초월하고, 사용자의 접근 가능성, 친숙성 및

11) 한국직업전망서가 산업 직업별 고용구조 조사에 포함된 직업 가운데 83%를 포함하고 있다고 하 나 이에 대한 해석에는 주의가 요함. 이것은 산업별 직업별 조사에 포함된 직업을 기준으로 한 것 이며 이 조사의 기준이 되는 한국고용직업분류의 세분류 직업들이 분화가 덜 된 상태라는 점을 고 려해야 함. 그리고 직업분류의 속성상 새롭게 생성되는 직업을 직업분류상 독립된 단위로 위치시 키기 어렵다는 점까지 고려할 때 한국직업전망서의 200여개 직업 정보가 대다수 독자를 만족시키 는 것은 거의 불가능함.

(21)

관여도를 제고하기 위해, 정보제공자에 의해 수집, 분석된 정보는 인터넷 온라인상에서 실시간 제공되고 수요자에 의해 피드백이 가능한 양방향적 정보 전달체계로 구축되어야 함.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의 내용 모형은 미국 직업정보네트워크(O*NET)의 내용 모형 을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 맞추어 재설계되었음. 내용 모형의 구체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음.

- KNOW의 내용 모형은 제공하려는 직업정보의 내용을 기준으로 세 가지로 대별하여 압 축되었음. 즉, 근로자와 관련된 특성, 요건 및 경험에 관한 항목을 근로자 관련 정보로 통합하였고, 직업 요건 및 직업 특수 요건을 업무관련 정보로, 끝으로 직업요건을 노동 시장 관련 정보라는 명칭으로 정리되었음.

[그림 2]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내용모형

자료: 중앙고용정보원(2003)

한국직업정보시스템(KNOW) 구축을 위하여 2001~2003년에 걸쳐 520개 직업에 종사하는 31,752여명에게 업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능력과 지식, 적합한 성격과 흥미, 일자리 전망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음.

문제점

- 직업정보 개발의 주요 대상으로 볼 수 있는 수행 과제 및 도구 등에 관한 구성요소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음. 또한 노동 환경에 관한 요소도 분석에서 빠져있음. 직업 정보의 표준화를 지향하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으로서는 이러한 요소들은 주변적인 정 보일 수도 있지만, 보다 다양하고 신뢰성있는 직업정보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단점으 로 지적할 수 있음.

라.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

KNOW

근로자 관련 정보 ․업무수행능력 ․지식

․성격 ․흥미

․경험(교육, 자격, 훈련)

업무 관련 정보

․직업 특수 정보 (과업, 도구 등) ․일반 근로 활동 ․근로 환경 노동시장 관련 정보

․재직자 직업 전망 ․임금

(22)

현재 국가직무능력표준(KSS : Korean Skills Standard) 사업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과 중앙고 용정보원이 각각 추진하고 있음. 여기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사업을 중심으로 살펴보 겠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은 교육훈련 및 자격제도에 대한 산업현장의 요구를 체 계적으로 수렴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을 추출하고 이의 달성여부를 평 가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직무능력표준(skill standards)이라는 제도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운영함을 통해서 국가인적자원의 질을 향상함으로써 개인의 직무능력을 고양하여 궁극적 으로 국가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음(조정윤 외, 2003).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기본 방향은 대략 세 가지로 정리됨(김현수 외, 2003). 첫째, 국 가직무능력표준은 근로자가 보여주어야 하는 직무수행능력의 결과(outcome)를 나타낸 것 으로 직무수행능력 평가를 위한 최종 결과(end result)의 내용도 포함되어야 함. 이 최종 결과는 무엇을 하여야 한다기보다는 무엇을 성취하여야 한다는 형식으로 제시하여야 함.

둘째,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좁은 의미에서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한 특정한 직무능력만 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직무수행과 관련된 모든 종류의 수행능력까지 망라해야 함. 일반 적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은 4가지 주요한 요소, 즉 직무기술, 직무관리기술, 위기관리능력, 직무 및 법 환경 기술로 구성됨. 셋째, 성취결과 중심으로 직무수행능력을 제시하기 위해 서는 직무분류에 따른 수행 내용을 작은 단위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 이로 인해 현재 국 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는 거의 모든 국가가 모듈식 체제를 채택하고 있 거나 이의 도입을 위해 기존의 체제를 변경하고 있는 추세임.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개발은 먼저 산업영역과 직무영역에 대한 분류를 실시하고, 이러한 직무영역에 해당되는 직무 내용을 분류하여 표준화하는 절차를 거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관한 다년간의 기초연구를 수행하였고, 2003년에는 실내장식, 2004년에는 e-commerce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하였음.

문제점

- 직업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직업특수적 정보의 개발에 집중하는 관계로 직업간 비교라는 중요한 측면을 놓치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임. 특정한 직업에 관한 상세한 분석을 시도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많은 직업들을 다루는 데에 는 막대한 인력과 예산이 소요되는 것도 하나의 문제임. 또한 특정 직업을 중심으로 한 분석인 관계로 그 직업이 속한 산업의 전반적인 동향, 직업들의 생성과 발전, 새롭게 요구되는 지식, 스킬, 능력의 동향 등을 직업을 넘어선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마.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사업

직무분석(Job Analysis)이란 직무의 성격에 관련된 중요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이들 정

(23)

보를 관리 목적에 적합하게 정리하는 체계적 과정으로, 인간의 노동력을 과학적이고 합리 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작업임. 직무분석은 크게 특정 직무에서 수행하는 업무내용과 그 직무를 담당할 사람에게 요구되는 수행요건 두 가지를 대상 내용으로 함(주인중 외, 2003a).

- 직무분석의 목적은 교육훈련, 조직관리, 노동력의 선발, 고용 및 배치, 이동 및 임금 관 리, 안전보건, 작업방법의 개선 등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음. 구체적인 활용 목적 에 따라 직무분석 방법은 매우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주인중 외 2003b).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교육훈련을 위한 직무분석을 목적으로 하여, 직무분석 자료를 교육 훈련 자격에 사용함으로써 상호간을 연계하고자 하였음. 즉,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직무분석은 산업현장의 직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 및 직업능력개발훈련기준 그 리고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발의 자료로 공통적으로 활용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음(주인중 외, 2003a).

- 이를 고려하여 직무분석 단계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그리고 능력을 추출하 고, 취업 예정자 및 재직자의 직무능력을 숙련시킬 수 있도록 교육훈련 유형을 제시하 고자 함. 또한 교육훈련과정의 교과별 교육훈련목표, 교육훈련내용, 교육훈련평가에 관 련된 기준 및 요소를 제시하고, 직업교육과정과 직업훈련기준 및 자격검정 출제기준 개 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고자 함.

직능원에서 실시하는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절차는 크게 직무분석 영역과 교육훈련과정 개발 영역으로 나누어짐. 직무분석 절차는 크게 직무분석 준비 단계, 직무의 모형 설정 단계, 직업 명세서 및 작업분석 단계, 교육훈련 코스 개발 단계, 교육훈련 내용 상세화 단계, 출제기준 개발 단계, 수요조사 단계 등으로 구별할 수 있음(위의 글).

직능원에서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직무분석 연구 사업을 수행하여 직무분석 지침서를 개발하고, 82종의 직업에 대한 직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직업 교육 기관 및 직업 훈련 기관 등 관계기관에 보급하여 왔음.

문제점

- 직무분석은 표준직무능력개발 사업과 마찬가지로 개별 직업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는 관계로 표준직업능력개발 사업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나는 한계가 있음. 문제점을 부언하자면 직무분석 결과가 교육 및 훈련 현장에서 얼마나 활용되는지 검증되지 않았고, 교육 훈련 자격을 상호 연계시키겠다는 전략은 부처간 이해관계 등으로 그 효과가 매우 의문임.

바. 시사점

(24)

□ 지금까지 논의한 주요한 사업들을 몇 가지 요소별로 비교분석하면 다음 <표 3>과 같이 요약․정리할 수 있음.

- 분석 대상 직업의 포괄성은 실제로 다루는 직업들이 얼마나 다양한지의 정도를 말함.

이 도표에서 한국직업사전은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모든 직업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분석대상의 포괄성이 가장 높음. 정보를 수량화하여 직업간 비교가 가능하게 한 사업은 한국직업정보시스템임. 국가직무능력표준 사업과 교육훈련과정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사 업은 직업별로 직무내용을 능력요소(작업요소) 수준까지 상세히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 하는 것이 특징적임. 산업별 특성에 관한 정보는 한국직업전망에서 일부 소개될 뿐 본 격적으로 다루는 사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남.

- 또 하나 지적할 것은 대부분의 기존 직업 연구 사업은 연구자가 현장을 관찰하고, 연구 자와 현장 전문가가 지속적으로 연계되면서 상호 정보를 교환하는 현장 밀착형 연구와 는 거리가 있다는 점임. 전문가협의회나 워크숍, 설문조사에 의존하는 조사방법은 본 연 구에서 지향하는 현장 밀착형 연구와는 다르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음.

- 현장 밀착형 연구는 연구자가 현장을 방문하여 직접 현장을 관찰하고, 현직자를 심층 인터뷰하는 방식임. 이러한 연구 방식은 연구자가 직업 현장을 직접 보고 분석할 수 있 으며, 무엇보다도 연구자 자신이 작업장과 직업에 대한 지식을 체득(體得)할 수 있음.

이 점에서 조사 전문회사의 조사원이 설문 조사를 실시하는 것과는 차이가 많음.

(25)

<표 10> 직업별 특성을 분석하는 선행 연구 사업

사업명 한국직업

사전

한국직업 전망

한국직업 정보시스템

국가직무 능력표준

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운영기관 중앙고용

정보원

중앙고용 정보원

중앙고용 정보원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벤치마킹

대상

DOT (미국직업사전)

OOH (미국직업전망서)

O*NET (미국직업정보네

트워크)

각국의 국가직무능력표

DACUM, 모토롤라 직무분석 정보제공

시작연도* 1986 1999 2002 2003 1998

사업 방법 사업체 직무조사

현직자(전문가)

설문조사 현직자 설문조사 전문가협의회 (workshop)

전문가협의회 (workshop)

핵심 수요자 직업 관련

연구원 학생 및 구직자 학생 및 구직자

정부 및 교육훈련기관의

전문가

정부 및 교육훈련기관의

전문가

핵심 정보 직업명칭, 수행하는 업무

직업의 특성, 취업현황, 고용전망

직업의 업무수행능력, 지식, 성격, 흥미

직무능력모형, 핵심능력, 능력단위, 능력요소

직무모형, 작업별 지식, 기능,

태도 작업별 작업요소 분석 대상

직업의 포괄성

높음 중간 중간 낮음 낮음

직업간 비교

가능성 중간 낮음 높음 낮음 낮음

직업 특수정보

제공

중간 중간 낮음 높음 높음

산업별 특성정보 제공

낮음 중간 낮음 낮음 낮음

*일반인을 위한 (통합본) 책자 발간, 인터넷 서비스 제공 등 구체적인 결과물을 중심으로 함.

(26)

V. 직업 연구의 과제

1. 직업 연구의 위상

□ 직업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자격, 직업 교육과 훈련, 취업, 작업조직, 진로지도 등의 연구 사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

- 인력수급은 인적자원개발 전략을 수립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자료 가운데 하나이며 직업 전망에 관한 연구 결과는 인력수급 예측을 위한 핵심적 자료임.

- 자격, 직업 교육과 훈련은 직업 현장의 요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기반하여 운용 되어야 함. 이를 위해서는 직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인력수요, 지식, 능력, 스킬 등에 관 한 정확한 인식이 전제되어야 함.

- 국민들의 진로선택을 지원하는 정확한 직업 정보의 제공은 국가의 의무이며, 이는 청년 실업 등 우리 나라 고용문제의 해결에도 도움을 줌. 직무 내용, 요구되는 지식과 능력, 스킬 등 직업별 특성에 관한 직업 연구의 내용은 취업과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 자료임.

- 작업 조직에 관한 연구는 직업 현장에서 직무와 인력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를 파악하 는 것이며, 이는 현직자가 사업장에서 어떤 직무와, 그리고 어떤 인력과 관계를 맺고 있 는지를 파악하려는 직업 연구의 영역과 중첩됨.

□ 이와 같이 직업 연구는 인적자원개발, 자격, 직업 교육과 훈련, 취업, 진로지도, 작업조직 등의 연구 사업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음.

- 직업 연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주요 영역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함. 이를 위하여 인적자원개발, 자격, 직업 교육과 훈련, 취업, 작업 조직, 진로지도 등의 과제를 포괄적으로 핵심적 연구 주제로 다루어 온 기관이 직업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 해야 함.

2. 직업 연구 활성화를 위한 과제

□ 직업 연구의 3대 원칙

- 현장성의 원칙 : 직업 연구는 철저히 직업 현장에 기반하여 수행되어져야함. 연구자는 현장을 찾아 현직자와 부단히 만나고 대화하면서 현장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기반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

- 연계성의 원칙 : 직업 연구는 자격, 직업훈련 및 교육, 취업, 진로지도, 작업조직에 관한 관련 연구와 연계하면서 수행되어야 함.

- 활용성의 원칙 : 직업 연구의 성과는 일반 국민들이 진로 선택시 활용할 수 있도록 대 중적인 매체(책자, 인터넷 등)를 통하여 전달되어야 함.

참조

관련 문서

공정 총점검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 개개인별로 현재의 SKILL 수준을 평가하고, 목표를. 설정하여, 해당 공정의 젂문화 및

≐ ≐ 법률명령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는 헌법 제34-1조, 제39조 및 제44조의 적용에 관한 조직법률 에 관한 결정(n°2009-579 DC)에서 법률명령을

이에 따라 각 자치단체에서 제정한 공공시설 등 건립비용 공개에 대한 조례 등에서 공공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을 제시하고

먼저 본 연구의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밝혔고,제2장 조직몰입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조직몰입의 개념 과 유형 그리 고

이상에서 근대 이전 재난 기록의 신빙성 논란과 활용 문제, 그리고 유교 적 재이론을 중심으로 재난 인식과 그에 대한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아 래에서는

따라서 신규 근로자에게 자격은 노동시장으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재직 근 로자에게는 고용유지 혹은 고용안정(종사상의 지위개선) 및 직무만족을 가져올

한국의 철학계는 박종홍 이후에도 우리철학의 정립 문제를 고뇌한 철학자 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이 책에서는 한국사상이란 무엇이며, 한국철학이 가능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정보는 직업 연구가 추구 하는 ① 산업 현장 인력수요의 질적 분석, ② 핵심직업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