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쥐와 인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생쥐와 인간"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 양상과 등장인물과 사건의 도식화에 대한 비평에 대하여

조이경*ㆍ이건근**1)

Ⅰ. 생쥐와 인간의 예술성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

Ⅱ.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과 비평 고찰

Ⅲ.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의 도식화에 대한 비판과 근거추정

Ⅳ. 생쥐와 인간의 대중성에 대한 의문을 남기고

◁ 목차 ▷

*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강사

**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강사

(2)

<Abstract>

Of the Criticism of the Sentimental Aspects and Schematizing Characters and Events of Of Mice

and Men

Cho, Ikyoung and Lee, Geongeun

Of Mice and Men by John Steinbeck has been appreciated as a textbook for American and English high school students, which means its widespread appeal to the average people's emotion. However, not a few reviewers have criticized the work on its sentimentalism and schematic characterization and event structure. This paper studies their substantial and specific aspects because the experts have not revealed them. The research process is observing the emotional factors called sentimentalism and some related critical reviews and then inferring the assumed evidence after introducing the critics' ideas against Steinbeck's writings of characters and events blamed for the schematization. Lastly, the researchers leave a doubt regarding how the loss of artistry of the work affects its popular value, which is meant to produce more academic discussion about the controversy over the true nature of Of Mice and Men.

Key Words

Of Mice and Men, John Steinbeck, sentimentalism, schematic characterization and event structure, popular value of Of Mice and Men

(3)

Ⅰ. 생쥐와 인간의 예술성에 대한 반론을 제기하고

1962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존 스타인벡은 1930년대 미국 경제 공황 기 가난한 시민들의 삶을 기자 수첩처럼 자세하게 묘사한 분노의 포도

(The Grapes of Wrath, 1939) 때문에 20세기 사회주의 소설가로 자리매 김하고 있다. 그의 최초 흥행작품 또띨야 평원(Tortilla Flat, 1935)에 등장한 히스패닉계 파이자노(Paisano)와 동네 사람들처럼 스타인벡 작품 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주로 농부와 노동자 그리고 창녀로서 우아한 언어 는 모르지만, 가식 없는 인간미를 그려낸 서민문화를 상징하고 있다. 그 중에서 생쥐와 인간(Of Mice and Men, 1937)은 출판되자마자 많은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아 저명한 독서단체인 ‘그달의 책 클럽’(The Book of the Month Club)에 의해 그달의 작품으로 선정된 후 고등학교 교과 서로 애용되는 등 지금까지 80년이 지나는 동안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2)

생쥐와 인간은 직전 작품 의심스런 싸움(In Dubious Battle, 1936) 과 분노의 포도를 포함한 스타인벡 노동소설 3부작 중 중간에 있는 작

2) 미국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페밀리 가이>(Family Guy) 에피소드 “하이스 쿨잉글리시”(High School English, 2016)와 영화 <은하계 경비대>(The Guardians of the Galaxy, 2014)는 생쥐와 인간의 등장인물들을 소개하거나 패러디하였다. 인기 랩퍼 릴 다키(Lil Darki)는 2019년 작품 “잭 다니엘 스”(“Jack Daniels”)에서 조오지(George)가 레니(Lennie)를 총살하는 장면을 노래하였고, 해리 터틀도브(Harry Turtledove)의 단편 판타지 소설 “생쥐와 닭 들”(“Of Mice and Chicks”, 2004)에서 두 명의 여성 조오지아(Georgia)와 라니 (Lani)는 생쥐와 인간의 두 주인공을 대신하였다. 그리고, 텔레비전 시리즈

“꿈의 죽음”(“Death of a Dream)에서 잭 블랙(Jack Black)은 그의 기타를 파 괴할 때, 조오지가 레니에게 토끼에 대해 말해주겠으니 먼 곳을 보라는 대사 를 읊었다. 심지어 2000년에 출시된 비디오 게임 “젤다의 전설: 마조라의 마스 크”(Legend of Zelda: Majora's Mask)와 2017년 1월 12일에 방송된 엘렌 터 딕(Alan Tudyk)의 웹 시리즈 <콘 맨>(Con Man) 한 에피소드 “나는 스투피 드와 함께 있다”(“I'm with Stupid")는 레니와 조오지를 닮은 인물과 그 관계 를 연출하고 있다.

(4)

품으로서 나머지 두 소설에 비해서 특별한 정치색을 드러내지 않는다.

책의 부피에 있어서 중편에 불과한 이 작품은 1930년대 중반부터 1940년 대 초까지 부자의 꿈을 꾸고 이주한 젊은 남성 노동자들의 향수병과 빈 약한 경제 상황을 자세하게 비유하고 있지만, 의심스러운 싸움처럼 노 동자들의 파업과 그 와중에 침투한 공산주의자들을 묘사하지 않으며,  분노의 포도처럼 35만 명의 더스트 보울(Dust Bowl) 난민 노동자와 이 들을 혹사한 캘리포니아 부유층 주민 간의 갈등을 다루지 않고 있다. 그 대신 생쥐와 인간은 역사적 사실을 암시하기보다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조건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산 호세(San Jose) 주립대학교 스타인벡 연구센터에서 18년 동안 이사 직을 역임한 수잔 쉴링로(Susan Shillinglaw)는 생쥐와 인간 2000년 판 본 서문에서 스타인벡이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덫에 걸려들지 않아야 하 는 것을 작가의 덕목으로 삼았다고 주장한다. 쉴링로는 스타인벡이 공산 주의자를 악마로, 기업가를 매우 탐욕스럽고 잔인한 짐승으로 간주하였 다는 점에서 불안정한 1930년대 노동시장의 암울한 현실을 간접적으로 반영하되, “이주노동자의 고립되고 정처 없는 존재 방식”에 더 많은 관심 을 표명하고자 하였다고 말한다(Steinbeck, 2000: xi-xii). 다시 말해서,  생쥐와 인간은 자본주의 폐단을 고발하거나 질책하려는 정치적인 동기 보다 사회적 약자의 처지를 배려하는 휴머니즘을 역설하였을 뿐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스타인벡은 이러한 주제를 소설의 서사와 연극의 형식으 로 융합한 플레이-노블레 양식으로 표현하고자 하였고, 그 과정에서 소 설의 내레이션에 해당하는 많은 부분을 등장인물의 대사로 치환하여 독 자와 관객의 자유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열린 구조는 사소한 실수로 컬리의 아내가 사망하 고, 그 결과 레니가 조오지에 의해 온정적인 살해당한 부분에 대하여 과 잉감정에 따른 이성의 현격한 감소를 의미할 뿐이라는 감상주의 비판의 여지를 남기게 되었다. 출간 당시 에드먼드 윌슨(Edmund Wilson) 그리 고 그 이후 해롤드 블름(Harold Bloom) 등 적지 않은 비평가들은 스타 인벡이 등장인물들을 딱딱한 나무나 인형처럼 생명력이 없는 도식화의

(5)

틀 속에 가두었기 때문에 한낱 비현실적인 감상주의를 추구한 셈이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 실제로 생쥐와 인간 이후 13년 뒤에 저술한 마지 막 플레이-노블레 활활 타오르다(Burning Bright, 1950)는 “사실적이 지 않은 언어와 주제의 중요한 결함”으로 “임의적 추상성”을 초래한 바 람에 스타인벡이 이 부류의 실험을 종료하였다(Lee, 2015: 3).

반면에, 조셉 크러치(Joseph W. Krutch)와 질 칼슨(Jill Carson) 등 훨 씬 더 많은 비평가들은 이 작품에 담긴 센터멘털리즘을 부인하지는 않았 지만, 모든 인류가 공감할 수 있는 가슴 저민 사연이 정형화된 등장인물 구성의 단점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역설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 생쥐와 인간은 꿈의 속성, 고독과 무기력, 인간관계의 장벽, 운명결정론 을 극복할 수 있는 자유의지, 우정과 동료애, 장애인과 흑인 그리고 여성 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 등 풍부한 주제와 문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반영하 고 있으므로 이 작품의 감상주의적 양상은 오히려 작가의 리얼리즘과 잘 어울리는 촉매가 될 만하다는 것이다. 특히 스타인벡이 “생쥐와 인간의 가장 잘 마련된 계획이 / 자주 빗나간다”(Burns and Kuch, 1875)라고 노 래한 로버트 번즈(Robert Burns)의 시 “생쥐에게”(“To a Mouse”)에 공 감하여 이 작품의 원래 제목인 “발생했던 일”을 변경하였다는 점에서 감 상주의적 양상은 해석하는 사람의 경험과 주관에 따라 그 강도가 달라진 다.

문제는 이 작품을 부정적으로 해석한 비평가들이 생쥐와 인간의 도 식화된 등장인물 구성에 대한 감상주의 양상의 실체가 무엇인지를 명확 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이 논문은 이 의문점을 답하기 위하여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와 관련한 비평을 소개하고, 이 작품을 비판한 비평가들이 말한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의 도식화에 대한 견해를 고찰하 고, 그 근거를 추정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이 작품의 대중성을 조명하고, 예술성과의 관계를 남은 과제로 남긴다. 이 연구는 현재 미국 고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되거나 많은 예술작품에 영향을 주고 있는 고전으로서 생 쥐와 인간이 역사적 의의를 차치하고도 예술성을 충분히 인정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주로 부정적인 견해를 조명한다.

(6)

Ⅱ.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과 비평 고찰

생쥐와 인간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살리나스(Salinas)는 스타인벡이 출생하고 성장하였던 유년기 시절 인구 약 5,000명의 작은 장소로서 캘 리포니아 몬트레이(Monterey)의 도시 기능 중 교역을 지원하는 역할을 하였다. 스타인벡은 아름다운 풍광을 자랑하고 있는 살리나스 계곡을 배 경으로 수많은 작품을 생산하였는데, 그의 후반기 작품세계를 대표하는 장편소설 에덴의 동쪽(East of Eden, 1952)은 이곳에서 얻은 희비극적 영감을 적나라하게 옮긴 대서사적 작품이다. 생쥐와 인간은 마치 그 소설의 한 부분에 해당한 것처럼 타인에 대한 이해가 서로를 증오하지 않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데 공통된 주제의식을 가지고 있다. 다만, 생쥐 와 인간에 나타난 감상주의 특징은 캘리포니아의 광활한 땅에서 외롭게 살아가는 농부들 이외에 자작농의 꿈을 가지고 이주해온 뜨내기 노동자 들의 애환과 무너진 모습에 기인하고 있다.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과 관련한 에피소드로서 스타인벡의 중개회사인 ‘맥인토시 앤 오티스’(McIntosh & Otis) 측은 또띨야 평원

과 의심스런 싸움의 잇따른 흥행으로 상기되었지만,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을 정상적인 상태로 충분히 만회하기에 초본의 부피가 빈약하다는 우려를 나타낸 적이 있었다. 하지만, 스타인벡은 생쥐와 인 간의 등장인물 구성과 상징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않아 지면의 양이 현 저히 줄어든 이유에 대하여 소우주의 진리를 표현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설명하였다. 다만, 스타인벡은 “레니의 현실적인 소망이 결코 그의 정신 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며, 단지 정확하게 말할 수 없지만 온 인류가 강렬하게 열망하는 것”을 이 작품에 담으려 하였다고 덧붙였다(Steinbeck, 1989: 35). 하지만, 생쥐와 인간의 예술성을 부인하 는 자들은 스타인벡의 감상주의적 묘사에 그것을 뒷받침할 수 있는 개연

(7)

성이 결핍되어있어서 인위적인 도식화에 따른 감정 도취 이상의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이 작품의 가치를 인정한 사람들은 레니와 조오지의 우정과 꿈이 녹록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줄어들지 않았던 점이 그 감상주의 양상을 승화시킬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또한,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은 스타인벡이 실제로 젊은 시 절 노동자로서 경험하였던 사실과 매우 관련되어 있다. 생쥐와 인간의 배경이 된 스프렉클 사탕회사(Spreckel’s Sugar Company)는 산타 클라 라(Santa Clara) 인근 목장으로서 스타인벡은 스탠포드 대학교를 입학하 기 전후에 이 장소에서 일하였다. 스타인벡은 레니의 모델이 된 실제 한 일꾼이 목장주인의 며느리가 아닌 작업반장을 흉기로 살해하였고, 그 이 유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친구를 해고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하였다 (Benson, 1984: 39). 스타인벡은 당시 이주노동자들의 약 25퍼센트가 쇠 약한 정신상태를 가질 만큼 열악한 삶을 살았으며, 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였지만, 대부분 실패하였음을 알고 있었다(Steinbeck, 2000:

xii). 물론 그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지만, 스타인벡도 역시 그의 20 대와 30대 중반을 노동자로서 그들과 똑같이 순탄하지 못한 삶을 경험하 였는데, 1919년 스탠포드 대학교에 입학하였지만, 꾸준하게 학업을 이어 가지 않았고, 1925년부터는 학교를 완전히 떠나 1935년에 귀향할 때까지 뉴욕에서 기자로서 꿈을 키워갔지만, 끝내 성공하지 못하였다(Benson, 1984: 33).

이상에서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적 양상은 스타인벡이 유소년기에 살리나스의 원초적 자연환경에서 몰입된 감성과 청년이 되어 15년 동안 노동자의 삶을 경험하면서 얻은 지식을 융합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이 소설이 1927년 2월에 처음 출판되자, 독자는 물론이고 많은 비 평가로부터 호평을 받았음을 앞서 살핀 바와 같다. 그 예로서 바그너 (Wagner, 1937: 24)는 스타인벡이 “인간의 열정과 억압” 그리고 “노동자 의 꿈과 몰락”을 소리와 침묵에 예민한 시인처럼 잘 그리고 있다고 칭찬 한다. 또한, 올리버(Oliver, 1937: 5)는 이 작품의 간결한 형식미를 높이 평가하면서 “플롯이 훌륭하거나 등장인물이 뛰어나지 않지만, 실제로 존

(8)

재하는 것에 가깝다”고 말하고, 등장인물 구성과 이야기 내용이 뼈에 달 라붙은 살처럼 효과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주장한다. 특히, 감상주의적 양상과 관련하여 톰슨(Thompson, 1937: 15)은 스타인벡의 강한 주제의식 때문에 오히려 흥미로운 감동을 주고 있다고 역설한다.

이 이야기의 감상주의 양상은 레니와 조오지가 우정을 간직하며 막연 하게나마 꿈을 버리지 않고 있는 점, 노년의 장애인 노동자 캔디, 평생 백인으로부터 소외당한 채 자존감을 잃은 흑인 크룩스, 남성우월주의 사 회에서 성적 매력을 보유하여야 하는 컬리의 아내가 가진 처지에도 농후 하게 담겨있지만, 무엇보다 레니와 조오지가 각자 살인한 사건에서 가장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에 대하여 영국의 프리체트(Pritchett, 1937: 448)는 레니가 쇳덩이를 잡아두는 바이스와 같은 악력을 가졌지만, 그의 두뇌는 콩알만 하다고 비난하면서 이 이야기를 섬뜩할 정도로 이상하다고 평가 한 반면, 런던의 언론지 머큐리(Mercury)는 레니에 대한 조오지의 헌신 적인 노력은 이전부터 계속되어왔던 것처럼 친구가 군중에 의해 린치를 당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하는 수 없이 살인한 장면은 단순한 감상주의 를 극복한 승리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한다("Of Mice and Men").

스타인벡이 개작하기 전 중편소설에서 바로 극화된 생쥐와 인간에 대해서 쉐드(Shedd, 1937: 774-780)는 이 작품은 단지 감질나게 하는 수 준에 있으며, 연극의 기초적인 패턴이 보이지 않고 생략이 심하여 감상 주의적 양상을 해명하지 못한다고 혹평한다. 쉐드는 이 작품에서 충분한 저작 동기를 엿보기 어려울 정도로 설득력 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은 채 가학적 양상만 보인다고 주장하고, 마지막 장면 등에 나타난 감상주 의 양상은 그 이유를 설명하지 않아서 그만큼 신빙성이 약해진다고 주장 한다. 하지만, 1937년 11월 공연을 위해 각색된 생쥐와 인간에 대해서 로드스(Rhodes, 1937: 7)는 스타인벡이 값싼 멜로드라마로 끝나버릴 작품 을 “어렵지 않은 철학과 잡동사니 사건으로 난무한 인생살이에서 발생한 듯한 연약하고 불분명한 꿈들”로 잘 포장한 것으로 평가한다.

한편, 연극 생쥐와 인간이 뉴욕에서 성공리에 공연된 후에도 이 작 품의 감상주의 양상에 대한 비평 담론은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예를 들

(9)

어 크러치(Krutch, 1939: 128-130)는 결과적으로 독자와 관객 모두가 이 작품의 그러한 경향을 좋아하였다고 판단하고, 이 작품에서 레니의 연약 한 마음이 가혹한 환경 속에서 낯선 형태를 취하고 그 결과 유일한 여성 등장 인물에게 그 재앙이 내려짐으로써 그 기괴한 속성이 숨겨지기보다 강조된 것으로 파악한다. 또한, 크러치(Krutch, 1939: 128-130)는 레니가 저지른 실수는 그를 에워싼 사회적 환경이 폭력적이거나 야만적으로 변 모한 상태와 비교하여 지나친 감상주의적 의미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 다.

1960년대 비평가 프렌치(French, 1961: 76-77)는 생쥐와 인간을 인간 이 자신의 야만성을 온전히 이성적으로 통제할 수 없음을 말해주는 희비 극으로서 단순한 비극보다 더한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프렌치는 스 타인벡이 이런 점을 알레고리로 표현하였고, 소설보다 연극에서 더 강하 게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즉, 연극은 소설보다 좀 더 효과적인 커튼을 제 공하고 있으며, 결말 부분에서 조오지가 레니를 살인한 후 슬림과 대화 하는 장면을 삭제하여 알레고리의 강도를 극대화하였다는 것이다. 여기 에서 프렌치(French, 1961: 76-77)는 감상주의 양상으로서 비이성적 행위 를 할 수 있는 자에 단지 레니로만 국한하지 않고, 조오지는 물론이고, 캔디와 크룩스를 포함한 모든 등장인물들을 포함할 수 있는지를 말하지 않고 있지만, 열린 해석을 가능하게 한 이 작품의 구조적 특징을 감안하 면 이것을 긍정하여도 될 것이다.

하지만, 프렌치와 같은 시대 비평가 와트(Watt, 1962: 60-61)는 생쥐 와 인간의 감상주의 양상이 레니와 조오지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다른 등장인물들은 단지 보조적인 역할을 할 뿐이라고 주장한다. 와트의 견해 를 추론하면, 전체 여섯 개의 챕터 대부분에 레니와 조오지의 농장 소유 에 대한 꿈과 그것을 실현하는 과정에 위험요소로서 컬리 부부와의 관계 가 중심을 이루고 있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앞서 본 비이성적 행위를 할 수 있는 가능성과 다르게 이 작품의 주요 테마로서 우정과 꿈을 호혜 적으로 가지고 있는 주체가 오로지 레니와 조오지 밖에 없다는 점에서 레니가 사망하기 전까지 이 두 사람을 제외하고 모든 인물이 고독이라는

(10)

감상주의적 상황에 놓여 있다는 역설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스타인벡은 제4장에서 캔디, 크룩스, 컬리의 아내의 경우에 소외와 고독으로서 감상 주의 양상을 가미하고 있지만, 조오지의 등장으로 더 이상 논해지지 않 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1980년대 비평가 팀머맨(Timmerman, 1986: 96-98)은 생쥐와 인간이 그 주제와 이미지에 있어서 빈틈없이 통일된 상태를 강조한다.

팀머맨의 이러한 주장은 레니와 조오지 그리고 다른 등장인물들의 고독 과 꿈의 상실을 의미하는 감상주의 양상이 매우 짧은 지면에 그려진 상 태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어온 점을 감안하면 이 작품의 예술성을 부정 한 비평가들의 의견과 크게 배치된다. 팀머맨(Timmerman, 1986: 96-98) 에 따르면, 이 작품은 구조적인 틀과 예시, 레니의 성격과 주제의식으로 서 우정의 발달, 꿈의 본질을 중심으로 하고, 처음과 마지막 장면을 동일 하게 그리되 개빌란 산의 금빛 능선에서 두 주인공이 야영한 연못가로 그리고 다시 도마뱀과 사슴이 움직인 흔적까지 점강적으로 묘사하고 있 다. 즉, 자연은 멀리에서 바라본 모습과 세밀한 영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 전혀 다른 현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레니가 조오지에 의해 총살당한 사연은 자연의 커다란 그림에서 누구 든지 경험할 수 있으면서도 타인의 눈에 전혀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 현 상에 불과하게 되고, 그만큼 감상주의 양상의 수위는 줄어든다. 아마도 스타인벡이 생쥐와 인간을 중편으로 저술한 까닭은 대작 분노의 포도

의 순서가 남아있기도 하였지만, 연극 대본의 역할도 겸한 플레이-노블 레 양식의 실험적 시도를 감행하는 과정에서 소설 속 사연의 원인을 일 일이 설명하지 않은 채 설득력과 감동을 제시하려고 한 탓이 크다. 감상 주의 양상으로 보인 마지막 장면에 대해서 스타인벡은 훗날 다음과 같이 속내를 드러냈다.

생쥐와 인간은 정신적 위안을 주지 않는 비극으로 보일는지 모르지만, 그 렇지 않다. 그 책을 주의 깊게 읽어보면, 관객들이 그들의 희망과 반대로 꿈 이 실현되지 않을 것이라고 알고 있지만, 작품 속 주인공들은 그것이 실현될

(11)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세상의 모든 이가 실현될 수 없는 꿈을 가지고 있 지만, 그것이 이루어질 것을 믿고 산다. 이것은 우리 인간의 슬픔, 위대함, 승 리가 되는 것이다. 현대적 의미로 운명이라고 불리는 그 어느 것에 의해 무 산될 때까지 무대 위에서 이러한 믿음은 회의에서 가능성으로 그리고 개연성 으로 변화될 것이다. 조오지는 위대하게도 그 희망을 잃은 상태에서 친구를 구하기 위하여 살인을 한다. 조오지는 영웅이고, 그 영웅들만이 쓰여질 가치 가 있다.

M & M may seem to be unrelieved tragedy, but it is not. A careful reading will show that while the audience knows, against its hopes, that the dream will not come true, the protagonists must, during the play, become convinced that it will come true. Everyone in the world has a dream he knows can't come off but he spends his life hoping it may. This is at once the sadness, the greatness and the triumph of our species. And this belief on stage must go from skepticism to possibility to probability before it is nipped off by whatever the modern word for fate is. And in hopelessness—George is able to rise to greatness—to kill his friend to save him. George is a hero and only heroes are worth writing about.

(Steinbeck and Wallsten, 1989: 562-563).

위 인용문에서 보듯이 스타인벡은 이 작품에서 감상주의 양상으로 보이 는 결말이 사실은 인생에 대한 무정하게 보일 만큼 예리하게 관찰한 결 과임이었음을 주장한다. 비슷한 예로 캔디는 자신의 손으로 차마 죽이지 못했던 늙은 개에 대해 가진 불필요한 연민과 차라리 스스로 안락사를 선택하지 못한 점을 아쉬워하였다. 이상을 종합하면, 스타인벡은 생쥐와 인간에서 발생한 슬픈 사건들에 감상주의적 효과를 인위적으로 의도하 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소설의 감각으로 만들어진 희곡으로서 이 작품은 등장인물 구성에 있어서 작가의 지나친 개입을 의미하는 도식 화의 비판을 받고 있는데, 평자들은 그 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 고 있다.

(12)

III.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의 도식화에 대한 비판과 근 거추정

해롤드 블름(Harold Bloom)은 노동자 주제 소설가로 유명한 스타인벡 을 비판해온 대표적인 미국 보수주의 비평가로서 인기가 식지 않은 생 쥐와 인간의 예술성과 역사성을 부정함으로써 오히려 저술된 지 80년이 넘은 작품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블름은 생쥐와 인 간의 경제적 합리성과 유명세의 파급효과를 인정하지만, 이 작품의 감 상주의 양상과 도식화된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그 내용은 이 책의 등장인물들이 인간의 본질적 심리를 충분히 표현하지 못하고, 성경의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원용하고 있지만 비슷한 경향의 작가의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블름의 눈에 생쥐와 인간은 플롯의 기술과 등장인물 묘사의 힘이 그동안 누려왔던 유명세를 무색하 게 할 정도로 저조하고, 진지하게 발전시켜가던 중 엉뚱하게 가벼운 문 제로 선회하는 점강법이 산만한 구조를 가진 작품이다.

그리고, 블름(Bloom, 1996: 4)은 스타인벡 작품들의 휴머니즘 성격을 문학의 심미적 가치와 분리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그의 견 해를 보면, 생쥐와 인간이 누려왔던 인기는 잘해보아야 대중적 성향에 부합한 것이고, 저술 당시 어려운 서민들에게 팽배하였던 운명 결정론적 감성에 호소한 도식화의 결과인 것으로 여겨진다. 블름(Bloom, 1996: 6) 은 심지어 스타인벡이 작품 스타일과 자연적인 인간의 심미적 존엄성을 인식하는 면에서 헤밍웨이의 것을 닮았지만, 진정한 사회참여와 고독을 상대적으로 많이 담지 못하였다고 말한다. 레니와 조오지의 관계가 개인 을 넘어 신화적 성격을 표방하지만, 이마저도 포크너(Faulkner)의 수준에 이르지 못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블름의 이렇게 혹독한 비판에도 불구하 고, 스타인벡의 다른 작품들처럼 생쥐와 인간은 21세기에도 가장 사랑 받고 패러디되고 있는 대중적인 소설이다. 무엇보다 블름을 포함하여 그 와 같은 의견을 가진 비평가들도 생쥐와 인간의 도식화 구성을 비판하

(13)

지만, 그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지 않고 있다.

다음은 생쥐와 인간의 감상주의 양상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구체 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줄거리의 대강을 서술한다. 이 이야기는 1930년 미국 경제공황이 심화된 상황에 더스트 보울(Dust Bowl) 현상마저 발생 하여 수많은 청년들이 캘리포니아로 일거리를 찾아 이주하여 노동자로 일하였던 상황을 다루고 있다. 커다란 몸을 가졌지만, 정신연령이 낮은 레니는 어릴 적부터 그를 보호해온 조오지와 위드(Weed)에서 일하던 중 한 여성의 스커트 자락을 만지는 바람에 도망하고, 살리나스 강변 연못 가에서 야영하고, 다음 날 금요일 오전 늦게 새로운 일터인 솔대드 (Soledad) 인근 컬리 목장에 도착한다. 두 청년은 목장 잡역 캔디로부터 합숙소 안내를 받고 그곳 사장과 만난 후 점심을 먹고 나서 보리를 수확 하는 일을 부여받는다. 그 후 그들은 성마른 성격의 사장 아들컬리와 요 염한 그의 아내를 차례로 만나게 되자, 조오지는 레니에게 왜소한 키에 자격지심을 가진 컬리가 싸움을 걸어올 것과 남성에게 눈길을 남발하는 그 여성의 도발을 조심할 것을 당부한다. 그리고, 조오지는 부드러운 물 건을 쓰다듬는 것을 너무나 좋아하는 레니를 위하여 일꾼들 중 대장격인 슬림의 새로 태어난 강아지 한 마리를 구해 준다. 칼슨과 위트 그리고 흑인 마굿간지기 크룩스마저 컬리 부부를 제외한 다른 일꾼들의 호의로 두 친구는 이곳에서 안정적으로 일을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드디어 컬리가 레니를 폭행하다 오히려 그의 손이 부러지는 사건이 발생하고, 일요일 오후 헛간에서 자신의 실수로 강아지를 죽이는 바람에 조오지에게 혼날 것에 전전긍긍하던 레니가 이곳을 찾은 컬리의 아내와 만나 서로의 이야기를 하게 된다. 문제는 이때 그녀가 부드러운 물건에 대한 레니의 집착을 알고, 자랑하듯이 자신의 머릿결을 만져보게 하다 이에 정신을 잃은 레니의 완력에 겁을 먹고 비명을 지르다 이것을 제지한 그의 손에 목이 부러져 사망에 이른다. 그 후 두 친구는 이런 경 우 만나기로 한 그 연못가에서 다시 만나고, 조오지는 컬리와 성난 추격 자들이 레니를 모욕하고 살해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레니의 뒤통수에 총 을 발사한다.

(14)

이 이야기에 대해서 밴 도렌(Van Doren, 1937: 275)은 비현실적인 등 장인물 구성을 지적하면서 슬림을 제외하고, 레니와 조오지 등 모든 인 물의 인격과 처지를 보통의 경우보다 너무 낮게 만들어 놓았다고 주장한 다. 특히 밴 도렌(Van Doren, 1937: 275)은 스타인벡의 도식적인 인물 구 성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등장인물들이 마치 작가가 지시하는 경우에만 움직이는 인형과 비슷하여 그 모습이 “거위 한 마리가 무덤 위로 [느닷 없이] 걸어가거나, 한밤중에 전화가 요란스럽게 울리더니 잘못된 번호로 밝혀진 것처럼” 사건 간 인과관계가 연결되지 않다고 꼬집었다. 밴 도렌 이 주장한 바의 근거를 추론하면, 컬리와 그의 아내가 뜬금없이 악의 배 역을 맡지만, 대부분 등장인물은 이 사실을 알지 못하는 것이 된다.3) 컬 리는 성난 황소처럼 싸움을 거는 인간이고, 그의 아내는 자신의 성적 매 력에 넘어갈 먹잇감을 쫓는 위인이 된다. 그리고, 스타인벡의 도식은 손 에 대어 부드러운 무엇이든 탐닉하다 마음에 들지 않으면 비틀어버리는 레니의 나쁜 손버릇 때문에 이 여성이 그 희생자가 되는 것을 요구하는 데, 눈치가 있는 보통의 독자라면 이것은 언제든지 예감할 수 있는 줄거 리이고 등장인물들은 그 예상대로 움직였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콜린스(Collins, 1937: 6)는 생쥐와 인간에서 감상주의 양상 과 도식화된 인물 구성이 상호작용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 예를 추론 하면, 레니는 부드럽고 복슬복슬한 털이 있는 것을 만지기 좋아하지만, 자신의 힘이 얼마나 위험한지조차 모르는 사람인데도 경험 많은 슬림이 나, 똑똑한 조오지는 레니의 행위에 별다른 경계를 하지 않는다. 또한, 연극에서 다소 개선되기는 했지만, 컬리의 아내는 백화점 전시용 상품처 럼 반짝이는 차림에 밝은 색깔로 덧칠한 요부로 소개되어 작품의 대부분 볼거리 이외에 다른 의미를 보여주지 못한다. 이어서 콜린스(Collins, 1937: 6)는 남성들의 우정이 여성과의 연애감정보다 우월하다는 식으로 인물과 사건이 도식화되었다는 점을 비판한다. 그의 견해대로 해석하면,

3) 하지만, 캔디가 헛간에서 그녀의 시체를 보고, “당신이 상황을 망쳐놓을 것이 라고 모두들 알았었소. 당신은 좋지 않았소. 당신은 좋지 않고 있소. 이 엉망 인 여자야”(Steinbeck, 2000: 94)라고 말한다.

(15)

이 작품에 실제로 등장한 여성은 컬리의 아내 한 명밖에 없고, 컬리의 어머니 또는 컬리 집안의 여성 도우미 등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여성인물 이 보이지 않는다. 더하여 레니의 예전 보호자 클라라 아주머니가 소개 되기도 하지만, 수지가 운영하는 유흥업소 등에서 종사하는 여성은 모두 남성 일꾼들로부터 그 소중한 임금을 빼앗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마치 제 대로 된 남성들은 여성에게서 벗어나야 진정한 우정을 나눌 수 있다는 식의 결론을 유도하고, 그 결과 레니가 죽은 사연에 여성의 성적 매력이 중요한 원인을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가이즈마(Geismar, 1942: 257-258)는 레니의 성격과 행위는 과장되고 유치한 느낌을 주고 있으며, 이는 작가의 도식화 흔적을 보여준다고 주 장하고, 그와 유사한 스타인벡의 성향으로서 하늘 목장(The Pastures of Heaven, 1932)에 등장한 툴라레시토(Tularecisto)와 긴 계곡(The Long Valley, 1938)의 조니 베어(Johnny Bear)를 변태적인 행동을 하는 인물로 예를 들고 있다. 가이즈마의 견해대로 살펴보면, 레니는 동화 속 야수를 연상시키는 순수한 마음씨를 가진 착한 존재로서 감상주의적 대 상이지만, 모든 인간의 삶을 대변하기에 보편적 성격이 부족하다. 또한, 레니의 죽음이 캔디의 개의 경우처럼 스타인벡이 즐겨 사용하는 가학증 의 일면이지만, 문명사회의 관점에서 레니를 정신병원 등 보호소로 데려 가야 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간주한다. 가이즈마(Geismar, 1942: 257-258) 는 스타인벡이 지나치게 개입하여 모든 인물의 성격과 처지를 결정하는 도식을 가하는 바람에 비논리적인 야만성과 그것으로 인한 감상주의 양 상이 혼재한 형태가 발생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다음으로 레반트(Levant, 1974: 135-137)는 스타인벡이 생쥐와 인간

에 의도적인 이분법적 도식화를 가한 결과 등장인물의 생동감이 현저히 상실하게 되었다고 아쉬워한다. 레반트는 이분법적 대조관계를 그 한 예 로 들고 있는데, 우선 모든 등장인물과 사건이 단순화된 가운데 이야기 의 처음과 끝에 나온 연못가는 사람들이 많은 목장과 분리되지만, 그 장 소마저도 처음 제1장에서 주인공들이 야영한 시간의 강은 고요하고 평화 롭지만, 마지막 제6장의 장면은 같은 장소에서 레니가 조오지의 총에 죽

(16)

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레니가 소망한 꿈은 “조그만 집과 2에서 3 에이커의 땅 그리고 젓소 한 마리와 몇 마리의 돼지”(Steinbeck, 1964:

15)에 불과하지만, 그들이 실제로 처한 상황은 그 꿈을 도저히 이룰 수 없는 참담한 현실이어서 스타인벡은 책의 전반에 인위적인 대조를 시도 한 것으로 쉽게 파악된다. 그리고, 컬리와 슬림은 그 인성에 있어서 정반 대의 인물로 등장하는 바람에 이야기가 발전하는 상황을 오히려 방해한 다. 컬리는 유일하게 한 여성을 아내로 둔 성공한 남성이지만, 우월한 인 성과 외모를 가진 슬림에 비해 부자인 아버지를 둔 것을 제외하고 어느 면에서도 부족한 인물로 그려진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분화된 도식은 컬리의 아내와 레니의 죽음과 그것에 대한 작가의 시각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두 사건의 중심에는 레니의 알 수 없는 손버릇이 원인이지만, 컬리의 아내가 사망한 것은 그녀가 순진한 레니에게 자신의 처지를 토로한 가운데 우연히 머리카락을 만져보게 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서 부드러운 인체와 사나운 야성 그리고 막무가내식 으로 고성을 지르는 천박함과 그것을 강제로 억눌러야 하는 레니의 상황 이 어색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반면, 조오지가 레니를 온정적으로 살인 한 장면은 앞의 경우와 반대로 잔잔하고 슬픈 분위기를 연상하게 하며, 마치 레니가 묵시적으로 동의를 한 것처럼 조용하게 연출된다.

그 결과, 레니의 죽음은 독자와 관객의 감정에 긍정적인 호소를 한 반 면, 컬리의 아내의 경우는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비난의 대상이 되어버 린다. 다시 말해서, 두 사람의 생명은 객관적으로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스타인벡의 도식화에 따라 레니의 경우는 조오지의 우정을 더 한 이유로 훨씬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 결국, 마치 레니와 컬리의 아내 가 마치 하나의 기계에 의해 사망한 듯한 인상을 지울 수 없으며, 레니 가 조오지의 명령에 예외없이 복종하는 고정된 성격도 이것을 뒷받침하 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들 때문에 레반트(Levant, 1974: 135-137)는 스타인벡의 지나친 도식화 작법 때문에 지나치게 분명한 점을 지적하면 서 생쥐와 인간은 단지 우연히 발생한 한 일화로 여겨진다고 주장한 다.

(17)

같은 취지에서 영(Young, 1937: 171)은 1930년대 초뿐만 아니라 역대 최고의 인기를 모으고 있는 잭 커크랜드(Jack Kirkland)의 작품 <담배 도로>(Tobacco Road, 1933)과 비교하여 생쥐와 인간은 생동감과 현실 감 그리고 사회현상의 반영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아마도 영이 비판한

생쥐와 인간의 인위적 또는 가공적 색체는 앞서 본 도식화 경향과 무 관하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버쇼일(Vershoyle, 1939: 668)이 생쥐와 인 간의 “[등장인물 구성과 사건 등의] 재료가 조잡하고, 그것을 사용한 방 법도 섬세하지 못하다”고 말한 것과 일치한다.

Ⅳ. 생쥐와 인간의 대중성에 대한 의문을 남기고

스타인벡의 생쥐와 인간은 미국의 고등학교의 대부분과 영국의 중등 교육 수료 시험을 준비하는 학교의 90퍼센트가 영어교재로 채택하고 있 는 대중적인 소설이다. 이 책은 무려 80년 전 미국 경제 공황기 이주노 동자를 주제로 하고 있지만, 단지 6개 챕터로 구성된 짧은 글이고, 그 주 제가 21세기 현재 상황에도 부합한다. 교재로 사용되고 있는 생쥐와 인 간은 저속하다고 여겨진 언어를 순화시킨 상태에서 주로 조오지가 레니 를 총살한 이유에 대해서 많은 토론을 유발시키면서 영미문화권은 물론 이고 이외의 국제적인 대중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문적 영역에서 정 치적 영향, 실험적인 플레이-노블레 양식, 상징하고 있는 것, 아서 전설 의 영향과 알레고리, 조오지와 레니의 꿈과 우정, 염세주의, 장소적 배경, 우화적 성격, 카인과 아벨의 성경 내용과의 관련성 등이 논해지고 있다.

하지만, 블름을 비롯한 비판론자들은 생쥐와 인간의 예술적 약점으 로서 감상주의 양상과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의 도식화를 강하게 주장하 시만, 그것을 구체적으로 지적하기보다 간단한 소감과 견해를 밝히는 수 준에 머물렀다. 이 논문은 그 중 블름, 밴 도렌, 콜린스, 가이즈마, 레반 트의 비판을 소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텍스트 내용을 간단하게 추정하 여 보았다. 여기에서 공통되게 지적된 감상주의 양상은 자신도 모르는

(18)

위험한 힘을 소유한 지적장애인 레니와 그를 헌신적으로 돌보는 친구 조 오지가 작은 목장을 마련할 목돈을 만들겠다는 소박한 꿈이 한순간에 무 너지는 과정에 있었는데, 작가가 시적인 묘사와 연극 대본의 기능을 작 은 지면에 함축적으로 담으려는 시도에서 등장인물의 성격을 일정하게 고정하고, 사건의 전개를 밋밋하게 또는 너무나 분명하게 드러낸 점을 더욱 커다란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

그런데, 이 의견으로만 상황을 해석하면, 생쥐와 인간의 예술성이 대 중성과 정면으로 충돌하고, 감상주의 양상과 도식화가 현대 일반 대중의 입장과 서로 충돌하는지가 의문점으로 남게 된다. 주지하듯이 인상적인 수천 권의 작품들이 매년 생산되는 가운데 통속적이거나 인간의 보편적 정서에 맞지 않은 작품들은 세월의 벽을 넘지 못하고 사장되기가 일쑤지 만, 유독 이 작품은 영국과 미국은 물론이고, 수많은 영어권 문화에서 인 기를 잃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론자들의 입장을 곤란하게 하고 있 다. 그런가 하면 생쥐와 인간를 옹호하는 평자들도 이 책의 감상주의 양상을 부인하지는 않고 있어서 대중성과 예술성이 어느 접점에서 조화 를 이루어야 할지가 연구자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는다.

이 작품이 대중적으로 성공한 이유는 독자나 관객들이 변변하지 못한 등장인물에 은밀한 친근감을 느끼고 있음과 일정한 정도의 감상주의 양 상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더하여 이 책에 나타난 장애인, 노인, 흑인, 여성 그리고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의 소외 현상과 꿈 그리고 우정이라는 주제는 인류의 보편적인 과제로 여전히 존 재하고 있는 문제들이다. 레니와 조오지는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전 혀 어울릴 것 같지 않은 불균형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꿈을 가지고 서 로에게 의지하고 살아온 친구이다. 독자와 관객들이 이 부분에서 깊은 감동을 느꼈기 때문에 어색하거나 유치하기까지 한 파국의 장면에 슬퍼 한 것이고, 이 현상은 감상주의적인 것으로 보일지라도 자연스러운 반응 으로 여겨진다.

또한, 생쥐와 인간는 요즘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학교폭력의 피해자 가 레니가 컬리로부터 폭행을 당하는 장면에 자기 동일시할 수 있고, 가

(19)

해자도 이 부분에 공감한다면 자신의 행위를 반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점과 관련하여 쉴링로가 생쥐와 인간 2000년 판본의 서문에 소개한 내 용에 따르면, 스타인벡은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한다면, 서로에게 친절 하게 될 것이다”고 말하고, “한 사람을 잘 알게 되면, 증오는 멀어지되 거의 항상 사랑하는 사이로 변하게 된다”는 교훈을 남겼다(Steinbeck, 2000: vii). 그리고, 이 작품이 연극으로 공연된 뒤의 소감으로 단지 두 명의 이주노동자에 대해 글을 쓰고 싶었을 뿐이지 그 이외에 의도한 것 이 없다고 말하였다(Bloom, 1996: 45).

이상을 종합하면, 생쥐와 인간의 대중성은 인간이 가장 소중하게 생 각하는 사랑과 꿈 그리고 그것이 좌절하게 되었을 때 느낄 수 있는 좌절 감에 기인하지만, 작가가 고의는 아닐지라도 등장인물의 언행과 사건의 진행에 글의 기교와 감성을 지나치게 싣는 도식화 때문에 작법에서 이탈 하여 생성 발전할 수 있었던 활력이 감소하여 예술성이 현저하게 감소하 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작품의 대중성과 예술성은 주제와 작법으로 치환될 수 있는지와 상호보완적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지를 연 구자들은 고민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생쥐와 인간, 존 스타인벡, 감상주의, 도식화된 등장인물과 사건 구성,

생쥐와 인간의 대중성

<참고문헌>

Bloom, Harold, ed.(1996). John Steinbeck's Of Mice and Men. New York:

Chelsea House.

Burns, Robert, and Michael Kuch(1875). To a Mouse: On Turning Her Up in Her Nest with the Plough, November 1785. Savage, MD: Bartleby.

Benson, Jackson J.(1984). The True Adventures of John Steinbeck,

(20)

Writer. New York: Viking.

Collins, Dorothea Brande(1937). Reading at Random. American Review 11.1, April. 104-106.

French, Warren(1961). John Steinbeck. New York: Twayne, 1961.

Geismar, Maxwell(1942). Writers in Crisis: The American Novel Between Two Wars. Boston: Houghton Mifflin.

Krutch, Joseph Wood(1939). The American Drama Since 1918: An Informal History. New York: Random House.

Lee, Geon-Geun(2015). John Steinbeck’s Play-Novelette Would Be Burning Bright: On Burning Bright and The Moon Is Down. Foreign Literature Studies. 293-312.

Levant, Howard(1974). The Novels of John Steinbeck: A Critical Study.

Columbia: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Of Mice and Men"(1937). London Mercury36, Oct. 595.

Oliver, James Ross(1937). Book News and Views. Monterey Peninsula Herald 25 Feb. 5.

Pritchett, V. S.(1937). New Novels. New Statesman and Nation, England, 25 Sep. 448-449.

Rhodes, Russell(1937). "The Stage at Eve." Where to Go, New York, 1 Dec. 7.

Shedd, Margaret(1937). Of Mice and Men. Theatre Arts 21. 774-780.

Steinbeck, Elaine, and Robert Wallsten(1989). Steinbeck: A Life in Letters. New York: Penguin.

Steinbeck, John(1964). Of Mice and Men: Play in Three Acts. Acting ed.New York: Dramatists Play Service.

Steinbeck, John(1988). Conversations with John Steinbeck. Ed. Thomas Fensch. Oxford, MS: UP of Mississippi.

Steinbeck, John(2000). Of Mice and Men. New York: Penguin, 2000.

Thompson, Ralph(1937). Of Mice and Men. New York Times, 27 Feb.

15.

Timmerman, John H.(1986). John Steinbeck's Fiction: the Aesthetics of the Road Taken. Norman, OK: U of Oklahoma P.

Van Doren, Mark(1937). Wrong Number. Nation 10 March. 275.

(21)

Watt, F. W.(1962). John Steinbeck. New York: Grove.

Young, Stark(1937). Two from the Novel. New Republic 93. 170-171.

Name Lee, Geongeun

Belong Dp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Chosun University

E-mail leegg@chosun.ac.kr

투고일 2019/11/22 심사일 2019/12/16 게재확정일 2019/12/18

Name Cho, Ikyoung

Belong Dp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Chosun University

E-mail joik4dr@gmail.com

참조

관련 문서

이 장에서 제시된 개념을 가지고 멀리뛰기(다이빙) 선수의 팔과

• 30초 동안의 아래 3가지 스트레칭 기법을 사용하여 햄스트링근 신전 전후에 다리를 완전히 편 상태에서 동료와 함께 각도계를 이용하여

- 복식에도 이전의 과도한 장식적 화려함 보다는 인간 본연의 자연미 추구 - 여성 인체에 만족스런 기하학적인 형태와

• 투사체 운동의 수직성분과 수평성분으로 분리해서

• 수영선수에게 작용하는 양력이 부분적인 추진력으로 작용한다는 이론. • 가장 효과적인

만약 태아를 인간 생명으로 본다면 임신중절은 살인과 다름없는 행위가 되는 것이고, 만약 태아를 인간 생명이 아닌 단순한 유기체에 불과한 것으로 본다면 임신중절은

인간 이외의 살아 있는 유기체에 대한 음악의 영향에 대한 일 부 실험들은 유명하다. 특별한 음악 작품들이 연주되었을 때, 암탉들 은 더 많은 알을 낳았고 젖소들은 더

만든다.. 인간의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만큼 자연은 파괴되었다. 인류는 물질적으로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자연이 파괴되면 행복 할 수 없다. 자연은 인간 행복의 필수 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