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즈베키스탄 경제․ 에너지 세미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우즈베키스탄 경제․ 에너지 세미나"

Copied!
3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20년 1분기 기업활동지원협의회 및 에너지프로젝트협의회

우즈베키스탄 경제 ․ 에너지 세미나

2020. 3.

주 우즈베키스탄 대한민국 대사관

(2)

우즈베키스탄 경제․산업 동향

1. 국내총생산(GDP)

□ 2019년 GDP(명목)는 511.8조숨(579.1억불)으로 전년대비 5.6% 성장 하며, 2017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국내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조숨, 억불, 전년동기비 %)

2017 2018 2019

연간 연간 1/4 2/4 3/4 4/4 연간 1/4 2/4 3/4 4/4

명목GDP

(조숨) 302.5 406.6 71.8 103.4 114.7 116.4 511.8 91.0 130.9 139.8 149.9 (억불) 590.8 504.0 89.1 128.3 142.3 144.4 579.1 103.1 148.1 158.2 169.7 실질GDP성장률 4.5 5.4 5.1 6.1 5.3 5.2 5.6 5.3 6.2 5.4 5.3 농 림 어 업 1.2 0.3 1.6 1.2 0.1 △0.9 2.5 2.5 2.0 2.6 3.0 산업(광공업) 5.2 10.8 7.7 11.1 9.5 13.5 6.6 6.8 6.9 7.3 5.8 건 설 업 6.0 14.3 10.3 27.6 11.5 7.5 19.0 5.9 28.0 18.0 18.0 서 비 스 업 6.4 5.5 4.6 4.9 7.2 5.0 5.1 4.2 5.1 5.3 5.1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주: 1) 미화 기준 명목GDP는 당해년도 평균환율 적용‧환산

2)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유통, 교통‧정보통신, 기타‧서비스 등 포함

ㅇ 건설업 부문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개발사업 추진으로 19%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전반적인 경제성장률 상승을 견인

ㅇ 산업 부문은 전체 성장률을 상회하는 6.6% 성장하였으나, 전년에 비해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는 모습

ㅇ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서비스업 부문은 전년보다 다소 낮은 5%

성장하며, 총부가가치(GVA) 비중 및 경제성장률 기여도 감소

ㅇ 농림어업 부문은 정부의 시설농업 확대 등 적극적인 육성정책에도 불구하고 3%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 기록

(3)

경제활동별 비중 및 GDP성장률 기여도

(조숨, 전년동기비 %, %p)

2018 2019

부가가치액 비중 성장률 기여도 부가가치액 비중 성장률 기여도

총 부 가 가 치 ( G V A ) 361.1 100.0 4.5 465.4 100.0 5.0

농 림 어 업 113.7 31.5 0.1 130.6 28.1 0.7

산 업 ( 광 공 업 ) 95.8 26.5 2.1 139.8 30.0 1.6

건 설 22.1 6.1 0.5 29.9 6.4 1.0

서 비 스 업 129.5 35.9 1.8 165.1 35.5 1.7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주: 서비스업은 음식‧숙박‧유통, 교통‧정보통신, 기타‧서비스 등 포함

□ 지역총생산(GRP)은 14개 지역 중에서 타슈켄트시가 가장 큰 비중

(14.6%)을 차지하고, 성장률도 최고치(10.5%) 기록

ㅇ 호레즘 지역이 전년보다 성장률이 가장 많이 상승(4.6%p)한 반면, 안디잔 지역의 성장률이 가장 많이 감소(△3.3%p)

지역별 GRP 및 성장률

(조숨, 전년동기비 %)

2018 2019

G R P 비중 성장률 G R P 비중 성장률

카 라 칼 팍 스 탄 15.0 3.7 5.5 18.7 3.7 6.8

안 디 잔 26.5 6.5 9.8 32.9 6.4 6.5

부 하 라 21.2 5.2 5.4 26.7 5.2 6.1

지 작 12.1 3.0 4.0 15.2 3.0 5.9

카 쉬 카 다 리 야 28.0 6.9 2.0 36.5 7.1 1.4

나 보 이 22.1 5.4 4.7 36.7 7.2 5.2

나 망 간 18.0 4.4 4.5 23.2 4.5 7.0

사 마 르 칸 트 31.2 7.7 0.6 37.6 7.3 4.1

수 르 한 다 리 야 17.8 4.4 4.7 22.3 4.4 6.3

시 르 다 리 야 8.1 2.0 3.5 10.5 2.0 3.6

타 슈 켄 트 38.8 9.5 7.0 50.1 9.8 4.1

페 르 가 나 26.6 6.5 7.7 32.9 6.4 5.4

호 레 즘 15.2 3.7 3.1 19.1 3.7 7.7

타 슈 켄 트 市 54.7 13.5 12.1 74.5 14.6 10.5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4)

2. 경제활동별 동향 가. 산업생산

□ 2019년 연간 산업생산은 전년대비 6.6% 증가한 331조숨 기록 ㅇ 광업 생산은 전년보다 1% 감소하였으나, 제조업 생산이 9.4% 증가

하면서 전반적인 산업생산 증가세 시현

산업생산 증감률(Industrial Production Index)

(전년누계비 %, 조숨)

2018 2019

1/4 2/4 3/4 4/4 1/4 2/4 3/4 4/4 생산액 비중 산 업 생 산 7.7 9.5 9.5 10.8 6.9 6.9 7.0 6.6 331.0 100.0

광 업 25.8 35.9 22.0 26.5 5.3 4.8 1.7 △1.0 43.1 13.0 제 조 업 3.6 4.2 7.4 7.9 7.5 7.9 9.1 9.4 264.4 79.9 전기/가스/냉난방 5.2 △0.1 0.8 3.1 5.1 3.8 1.4 0.3 21.3 6.4 상하수/폐기물처리 5.7 10.1 9.3 11.3 6.3 3.1 3.1 6.3 2.3 0.7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제조업 생산 중 △자동차, 전기․전자, 의약품 등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세를 보인 반면, △기계장비, 석유정제품, 화학제품 등은 부진 ㅇ 자동차 부문 생산은 전년대비 20.8% 증가한 33조숨으로 △승용차

271,113대, △버스 1,534대, △트럭 5,320대 등 생산

* 2018년 자동차 생산량 : (승용차) 220,662대, (버스) 949대, (트럭) 4,237대

ㅇ 섬유 부문 생산은 전년대비 5.7% 증가한 31.7조숨이나, 원면 생산 량은 작년 817.7만톤에 비해 크게 감소한 476.5천톤 기록

□ 소비재 생산은 111.5조숨으로 전년대비 12.1% 증가하였으며, 전체 제조업 생산의 42.4% 차지

ㅇ △식품은 35.7조숨으로 15.9% 증가하였으며, △비식품은 75.8조숨 으로 10.3% 증가

(5)

제조업 생산 및 증감률(Industrial Production Index)

(전년누계비 %, 십억숨)

2018 2019

1/4 2/4 3/4 4/4 1/4 2/4 3/4 4/4 생산액 비중 제 조 업 3.6 4.2 7.4 7.9 7.5 7.9 9.1 9.4 264,431.8 100.0

식 료 품 △15.1 △12.4 △2.1 △1.5 7.1 3.6 5.3 7.9 34,483.2 13.0 음 료 6.9 17.9 13.9 11.0 1.9 6.5 9.5 12.7 6,374.8 2.4 담 배 △3.2 7.2 5.9 10.6 8.1 10.0 4.0 5.4 1,743.6 0.7 섬 유 제 품 10.8 13.8 12.6 7.4 1.3 2.1 6.0 5.7 31,715.5 12.0 의 복 △0.3 △0.4 0.4 3.3 5.1 4.9 4.3 6.2 8,778.1 3.3 가 죽 제 품 3.7 9.0 △1.7 △5.4 2.7 2.0 3.5 2.2 2,126.9 0.8 공 예 품 1.8 19.4 51.9 56.0 △0.2 △4.5 △7.4 △10.8 1,888.5 0.7 종 이 제 품 6.9 7.4 4.3 4.5 5.1 8.8 7.5 7.8 1,786.0 0.7 인 쇄 / 기 록 매 체 0.2 △13.2 0.5 △3.8 11.0 5.8 6.7 0.3 1,481.9 0.6 코크스/석유정제품 6.6 2.5 3.5 4.0 △14.0 △11.9 △11.4 △7.7 10,019.0 3.8 화 학 제 품 8.2 4.8 3.3 △2.8 △0.4 1.6 1.0 2.6 19,070.0 7.2 의 약 품 △3.8 1.1 6.3 3.3 14.6 15.7 9.3 11.5 2,107.5 0.8 고 무 ․ 플 라 스 틱 5.5 24.5 37.1 23.5 6.3 6.5 6.5 8.5 6,661.4 2.5 비 금 속 광 물 △1.7 0.2 6.5 11.6 5.1 8.7 14.6 17.9 15,557.6 5.9 1 차 금 속 9.2 5.3 2.0 2.2 3.1 5.3 6.7 6.9 58,197.7 22.0 금 속 가 공 △14.7 3.6 4.9 5.4 13.1 15.8 7.2 9.3 7,154.0 2.7 컴퓨터/전자/광학기기 8.2 21.2 31.1 18.8 1.3 35.7 35.8 45.9 2,187.1 0.8 전 기 장 비 33.4 15.1 17.6 39.9 12.2 17.9 27.1 39.5 9,792.5 3.7 기 계 / 장 비 29.4 38.3 32.5 38.6 △21.1 △21.0 △15.0 △5.0 4,363.6 1.7 자 동 차 37.7 21.4 40.4 68.1 61.2 47.0 41.9 20.8 33,032.0 12.5 기 타 운 송 장 비 28.3 23.0 23.3 15.4 △28.5 4.1 2.6 10.5 708.8 0.3 가 구 △9.2 13.1 22.8 7.9 5.3 5.2 7.8 10.6 2,106.5 0.8 기 타 제 품 0.0 △3.3 △7.1 △3.6 1.4 5.0 8.0 7.6 1,458.4 0.6 산업용장비수리 15.1 7.4 0.0 △6.0 5.8 0.8 8.1 8.9 1,637.5 0.6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6)

나. 농림어업

□ 2019년 연간 농림어업 생산은 전년대비 2.5% 증가한 224.3조숨 기록 ㅇ 농작물, 어업 분문의 생산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축산,

임업 부문 생산은 다소 부진

농림어업 생산 및 증감률

(조숨, 전년동기비 %)

2018 2019

생산액 비중 증감률 생산액 비중 증감률

농 림 어 업 199.5 100.0 0.3 224.3 100.0 2.5

농 업 193.7 97.1 0.2 217.2 96.9 2.4

농 작 물 102.5 51.4 △4.7 108.3 48.3 3.7

축 산 90.2 45.2 6.5 107.4 47.9 1.7

임 업 4.8 2.4 3.1 5.7 2.5 1.8

어 업 1.1 0.5 13.8 1.4 0.6 27.0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다. 서비스업

□ 2019년 연간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대비 12.5% 증가한 190.4조숨 기록 ㅇ 업종별로 전반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금융ㆍ의료ㆍ

교육 분야에서 높은 성장률 시현

서비스업 생산 및 증감률

(십억숨, 전년동기비 %)

2018 2019

생산액 비중 증감률 생산액 비중 증감률

서 비 스 업 150,889.8 100.0 8.9 190,356.0 100.0 12.5

운 수 업 44,159.4 29.3 4.5 53,576.5 28.1 5.6

도 소 매 업 39,743.4 26.3 4.9 47,693.3 25.1 5.1

금 융 업 21,296.3 14.1 21.5 34,635.0 18.2 54.6

정 보 통 신 업 10,332.6 6.8 15.9 10,869.2 5.7 8.0

교 육 업 5,416.5 3.6 10.5 6,990.4 3.7 6.8

의 료 업 2,220.0 1.5 13.4 2,930.3 1.5 13.4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7)

3. 고정자산투자

□ 2019년 연간 고정자산투자는 전년대비 33.9% 증가한 189.9조숨 기록 ㅇ 정부부문 투자가 50.7조숨으로 20.0% 증가하였으며, 비정부부문

투자는 139.2조숨으로 39.8% 증가

ㅇ 분야별로 △설비투자 49.2%, △건설투자 43.3%, △기타 7.5% 구분

* 2018년 고정자산투자 구성 : (설비투자) 43.7%, (건설투자) 44.6%, (기타) 11.7%

ㅇ 업종별 비중은 △제조업 27.1%, △주택건축 10.2%, △전기․가스․

냉난방 10.8%, △광업 11.7%, △운수창고업 6.0% 순

재원별 고정자산투자

(십억숨, 전년동기비 %)

2018 2019

투자액 비중 증감률 투자액 비중 증감률

고 정 자 산 투 자 107,333.0 100.0 18.1 189,924,3 100.0 33.9

정 부 부 문 34,448.4 32.1 59.9 50,686,8 26.6 20.0

예 산 4,124.1 3.8 △11.3 14,518,0 7.6 17.7

기 금 13,634.7 12.8 23.6e 8,302.4 4.4 △19.8e

정부보증차관 16,689.6 15.5 2.8배 27,866.4 14.7 42.4

비 정 부 부 문 72,884.6 67.9 5.3 139,237.5 73.4 39.8

기 업 30,062.9 28.0 6.5 39,292.3 20.7 △9.5

개 인 12,127.8 11.3 4.1 16,302.5 8.6 3.0

금융기관대여 16,033.5 14.9 31.3 24,856.0 13.1 △1.8

외국인투자/차관 14,660.4 13.7 △14.2 58,786.7 19.6 3.9배 (외국인직접투자) (n/a) (n/a) (n/a) (37,171.3) (13.1) (3.6배)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전체 외국투자(정부보증/미보증 차관 및 FDI)는 전년대비 2.5배 증가한 86.7조숨(98억불)으로 전체 고정자산투자의 45.7% 차지

ㅇ 외국인직접투자(FDI)는 3.6배 증가한 37.2조숨(42.1억불) 유치 ㅇ 외국자본참여기업은 2019년말 기준 총 10,382개사

* 러시아(1,828개), 중국(1,652개), 터키(1,181개), 한국(811개), 카자흐(809개)

(8)

4. 소비 및 물가

□ 2019년 연간 소매판매는 전년대비 7.9% 증가한 164.2조숨 기록 ㅇ 유통업체 규모별로 △대형유통업체 25.8조숨(15.7%), △중소․자영

업체 138.4조숨(84.3%)

소매판매량 및 증감률

(십억숨, 전년동기비 %)

2018 2019

판매량 비중 증감률 판매량 비중 증감률

소 매 거 래 131,768.2 100.0 5.5 164,184.2 100.0 7.9 대 형 유 통 업 체 18,085.7 13.7 24.2 25,816.1 15.7 23.5 중소 ․ 자영 업체 113,682.5 86.3 3.1e 138,368.1 84.3 5.4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2019.12월 소비자물가(CPI)는 전년동월대비 15.2% 상승

ㅇ 식품 부문은 18.6% 상승하였으며 △제빵류 24.8%, △육류․어류 23.4%, △유제품 18.1%, △과일․채소 14.5% 등 상승

ㅇ 비식품 부문은 10.9% 상승하였으며 △인쇄물 22.1%, △통신기기 12.5%, △주방용품 10.0%, △가구 9.3% 등 상승

ㅇ 서비스 부문은 15.2% 상승하였으며 △교육 22.0%, △주택․공공 서비스 17.8%, △의료 11.7%, △통신 5.2% 등 상승

소비자물가 증감률(Consumer Price Index)

(전년동월비, 전년누계비, 전월비 %)

2018 2019

12월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전 년 동 월 비 14.3 13.0 13.5 13.6 13.7 13.7 13.6 13.5 16.5 16.0 16.3 15.6 15.2 식 품 14.9 14.1 15.1 15.3 16.0 16.3 16.3 17.4 19.7 17.5 18.0 18.4 18.6 비 식 품 12.5 10.4 10.7 10.4 11.1 11.2 10.9 9.5 11.5 12.1 12.2 11.8 10.9 서 비 스 15.8 14.8 14.9 15.7 13.3 12.5 12.9 12.7 18.6 19.5 19.5 16.3 15.2 전 년 누 계 비 14.3 1.5 3.1 4.3 5.3 6.0 5.6 5.2 8.2 9.7 11.4 13.3 15.2 전 월 비 2.1 1.5 1.6 1.2 0.9 0.7 △0.5 △0.4 2.9 1.3 1.5 1.7 1.7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9)

5. 고용 및 소득

□ 2019년 연간 평균명목임금은 232.5만숨(262.9불)으로 전년대비 27.5%

상승하였으며, 실질임금상승률은 11.4% 기록

ㅇ 업종별로 △금융업 479.8만숨, △정보통신업 379.2만숨, △산업(제조업)

331만숨, △운수창고업 296.6만숨, △건설업 276.1만숨 등 수준

평균명목임금 및 상승률

(천숨, 전년누계비 %)

2018 2019

1/4 2/4 3/4 4/4 1/4 2/4 3/4 4/4

평 균 명 목 임 금 1,548.3 1,609.1 1,684.5 1,822.2 2,049.7 2,092.6 2,213.4 2,324.5 명 목 임 금 상 승 률 20.1 21.4 22.9 25.0 32.2 30.1 31.2 27.5 실 질 임 금 상 승 률 n/a n/a 4.0 6.4 16.7 14.6 15.0 11.4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2019년 기준 △고용률 71.2%, △실업률 9.0%(잠정, 연간통계만 발표)

* 고용률 추이(%) : (2016)68.7 → (2017)69.2 → (2018)67.4 → (2019 잠정)71.2

* 실업률 추이(%) : (2016) 5.2 → (2017) 5.8 → (2018) 9.3 → (2019 잠정) 9.0

□ 2019년 연간 1인당 실질소득 증가율은 전년대비 감소한 4.5%이며, 1인당 실질가처분소득 증가율도 5.7%로 다소 둔화

* 2019년 연간 △1인당 명목소득은 1,026.6만숨 △1인당 가처분소득은 954.3만숨

1인당 소득증가율

(전년누계비 %)

2018 2019

1/4 2/4 3/4 4/4 1/4 2/4 3/4 4/4

1 인 당 실 질 소 득 8.8 10.1 9.5 8.4 6.6 5.2 5.2 4.5

1인당실질가처분소득 n/a n/a 8.3 7.3 7.4 7.7 5.7 5.7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10)

6. 대외교역

□ 2019년 연간 총교역량은 전년대비 26.2% 증가한 421.8억불 기록 ㅇ △수출은 28% 증가한 179억불, △수입은 24.9% 증가한 242.8억불,

△무역수지는 63.7억불 적자 시현

수출입 실적 및 증감률

(억불, 전년동기비 %)

2018 2019

연간 연간 1/4 2/4 3/4 4/4

총 교 역 량 334.3(25.8) 421.8(26.2) 94.0(27.1) 102.7(32.3) 119.6(51.3) 105.4(1.7) 수 출 139.9(11.4) 179.0(28.0) 41.2(20.3) 43.1(33.8) 52.4(90.1) 42.3(△7.8) 수 입 194.4(38.7) 242.8(24.9) 52.8(32.9) 59.7(31.2) 67.2(30.6) 63.1(9.3)

무 역 수 지 △54.5 △63.7 △11.5 △16.6 △14.8 △20.7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국가별 교역량은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한국, 터키 순

* 수출(억불) : 1위(中 25.2) → 2위(러 24.9) → 3위(카자흐 14.3) → 4위(터키 12.0) → 15위(韓 0.94)

* 수입(억불) : 1위(中 51.0) → 2위(러 41.3) → 3위(韓 26.6) → 4위(카자흐 19.4) → 5위(터키 13.2)

* 무역적자(억불) : 1위(中 25.8) → 2위(韓 25.7) → 3위(러 16.4) → 4위(독일 8.7) → 5위(美 5.4) 국가별 교역량 및 증감률

(백만불, 전년동기비 %)

2018 2019

(국가별 순위) 교역량 비중 증감률 교역량 비중 증감률

1. 중 국 6,433.5 19.2 35.3 7,620.9 18.1 18.5

2. 러 시 아 5,655.9 16.9 19.6 6,626.9 15.7 17.2

3. 카자흐스탄 2,919.6 8.7 42.0 3,367.7 8.0 15.3

4. 한 국 2,159.2 6.5 55.6 2,755.4 6.5 27.6

(수 출) 108.7 - △24.1 93.6 - △13.9

(수 입) 2,050.5 - 64.8 2,661.8 - 29.8

5. 터 키 2,057.6 6.2 32.5 2,525.2 6.0 22.7

6. 독 일 778.7 2.3 25.6 980.1 2.3 25.9

9. 미 국 415.0 1.2 93.0 596.2 1.4 43.7

14. 일 본 707.5 2.1 325.7 413.6 1.0 △41.5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주) 국가별 순위는 2019년 교역량 기준

(11)

□ 수출 품목별로 △기계설비(자동차 포함), 금, 농식품, 섬유제품 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에너지․석유제품, 화학제품 등은 감소

품목별 수출액 및 증감률

(백만불, 전년동기비 %)

2018 2019

수출액 비중 증감률 수출액 비중 증감률

수 출 13,991.0 100.0 11.4 17,901.7 100.0 28.0

금 2,909.5 20.8 △10.8 4,918.3 27.5 69.0

에너지․석유제품 2,666.8 19.1 65.9 2,524.9 14.1 △5.3

섬 유 제 품 n/a n/a n/a 1,626.6 9.1 25.1

농 식 품 1,097.8 7.8 25.3 1,517.5 8.5 38.2

비 철 금 속 851.5 6.1 11.8 951.3 5.3 11.7

철 금 속 320.3 2.3 109.6 349.6 2.0 9.1

화 학 제 품 905.3 6.5 2.4 876.9 4.9 △3.1

원 면 222.1 1.6 △53.4 281.6 1.6 26.8

기 계 설 비 212.8 1.5 △40.0 451.4 2.5 2.1배

서 비 스 3,070.0 21.9 24.1 3,560.2 19.9 16.6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 수입 품목별로 대부분 증가세를 나타내며, 특히 비철금속, 기계설비

(자동차 포함), 화학제품 등이 높은 증가율 시현

품목별 수입액 및 증감률

(백만불, 전년동기비 %)

2018 2019

수입액 비중 증감률 수입액 비중 증감률

수 입 19,439.0 100.0 38.7 24,276.1 100.0 24.9

기 계 설 비 8366.1 43.0 67.4 10,635.2 43.8 27.1

화 학 제 품 2527.6 13.0 15.6 3,200.4 13.2 26.6

농 식 품 1581.6 8.1 24.2 1,885.1 7.8 19.2

철 금 속 1579.8 8.1 39.1 1,843.4 7.6 16.7

비 철 금 속 193.5 1.0 38.9 273.5 1.1 41.3

에너지․석유제품 879.5 4.5 18.5 928.1 3.8 5.5

서 비 스 2127.0 10.9 7.6 2,421.8 10.0 13.9

* 자료: 우즈베키스탄 통계위원회

(12)

한-우즈베키스탄 무역․투자 동향

타슈켄트 무역관

I. 무역동향

□ (총괄) `20년 1월 기준, 양국간 교역은 수출 137백만 달러, 수입 1백 만 달러로 총 교역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26.2% 감소한 138백만 달 러를 기록하였으며, 무역수지는 136백만 달러의 흑자를 시현

< 한-우즈벡 교역액 및 증감률 추이(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1월

총 교 역 1,198(26.2) 2,139(78.5) 2,358(10.2) 138(-26.3) 수 출 1,180(27.2) 2,117(79.4) 2,338(10.4) 137(-26.2) 수 입 18(-12.8) 22(21.0) 20(-10.1) 1(-20.1) 무역수지 1,162(28.1) 2,095(80.5) 2,318(10.6) 136(26.4)

* 자료원 : 무역협회 K-stat

□ (수출) `20년 1월 기준, 전년 동기대비 26.3% 감소한 138백만 달러 기록 ㅇ (자동차 부품) 현지 완성차 수량 증가 및 대중국수입량 감소로 인해

한국으로부터의 수입량 증가

ㅇ (승용차) 2020년 1월부 4만 달러 초과 수입산 승용차에 대한 세제 혜택 폐지로 승용차 수입량 급감

- 2020년 1월 수출액은 390천 달러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수출 액인 305,401천 달러대비 98.2% 급감

ㅇ (건설중장비, 펌프) 우즈베키스탄의 건설 관련 품목/장비의 수입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타국가 제품과의 경쟁이 치열해져 한국으로부 터의 수입량은 각각 55.8%, 55.4% 감소

(13)

< 품목별 對우즈벡 수출 현황(단위 : 천 달러, %)>

* 자료원 : 무역협회 K-stat (MTI 4단위 기준)

순번 코드 품목명

2019년 2020년 1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 - 총계 2,388,488 10.4 137,042 -26.2

1 7420 자동차부품 910,176 11.0 87,238 19.0

2 7111 원동기 43,752 3.8 6,194 22.6

3 5121 의자 29,742 14.2 4,769 36.1

4 2140 합성수지 67,104 9.9 3,644 -28.6

5 8223 카스테레오 22,074 55.9 2,498 -9.8

6 9990 기타 잡제품 164,552 177.5 2,493 -84.9

7 7251 건설중장비 76,597 43.7 2,408 -55.8

8 7112 펌프 67,523 61.2 2,193 -55.4

9 7131 공기조절기 21,587 -64.3 1,877 -5.4

10 2290 기타정밀화학제품 16,997 12.9 1,316 -11.3

11 8422 전동기 10,774 -3.2 1,178 30.3

12 7515 전동축및기어 11,641 10.7 1,136 27.1

13 7511 볼트및너트 11,210 3.7 1,062 10.8

14 3209 기타고무제품 8,699 13.5 881 4.3

15 6211 알루미늄괴및스크랩 5,595 53.9 878 63.5

16 5151 문구 12,336 2.2 844 -32.4

17 6900 기타철강금속제품 7,572 54.8 743 78.2

18 7413 특장차 3,319 -54.1 728 6,563.5

19 3109 기타플라스틱제품 7,611 12.7 637 4.1

20 8352 축전지 8,553 8.4 623 76.9

(14)

□ (수입) `20년 1월 기준, 전년 동기대비 20.1% 감소한 97만 달러 기록

ㅇ 섬유 부분의 경우 수출 품목 다변화, 완제품 품질 향상 등으로 인해 우즈베키스탄으로부터의 수입이 증가함

< 주요 품목별 對우즈벡 수입 현황 (단위 : 천 달러, %)>

* 자료원 : 무역협회 K-stat (MTI 4단위 기준)

순번 코드 품목명 2019년 2020년 1월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 - 총계 19,708 -10.1 972 -20.1

1 0156 식물성한약재 1,937 -20.6 230 0.9

2 4213 면사 1,251 62.4 157 31.9

3 0191 천연섬유원료 554 -36.9 148 0

4 0116 과실류 1,994 -31.5 102 163.3

5 4490 기타섬유제품 32 133.7 91 1,072.1

6 4331 순면직물 2,968 34.8 72 -68.2

7 0125 견과류 10 -77.8 43 0

8 2511 펄프 7,048 -25.3 33 -88.5

9 7420 자동차부품 223 -51.7 29 -67.9

10 3109 기타플라스틱제품 64 0 27 0

11 2262 의약품 52 0 17 0

12 0121 채소류 51 328.4 9 -48.3

13 0159 음료 227 129.6 8 16,104.2

14 0113 두류 113 46.2 5 0

15 0219 기타산동물 62 17.5 3 -77.8

16 8230 냉장고 0 0 1 0

17 711 펌프 3 516.6 0 0

18 7902 기타기계류부품 0 0 0 0

19 5151 문구 0 -100.0 0 0

20 0111 곡류 0 0 0 0

(15)

II. 투자동향

□ 한국의 對 우즈베키스탄 투자 (누계 기준)

ㅇ (연도별) `92년 수교 이후 `19년 3분기까지 360건 7.3억 달러를 기 록하였으며, 이 중 `19년 투자규모는 45건, 2,332만 달러를 기록

< 연도별 對우즈벡 투자 현황 (단위 : 건, 천 달러)>

연 도 투자형태

신고금액 실투자액

법인 지점 지사 계

1992∼2005 50 0 3 53 611,071 309,260

2006 15 1 1 17 41,278 22,399

2007 32 4 3 39 345,765 70,264

2008 28 0 2 30 119,733 65,844

2009 14 1 2 17 41,085 32,757

2010 19 0 1 20 42,379 40,726

2011 13 0 2 15 50,743 54,955

2012 13 1 3 17 37,973 18,964

2013 14 1 3 18 36,706 13,172

2014 7 1 4 13 16,785 11,603

2015 7 0 0 8 18,297 14,725

2016 10 3 8 21 32,243 26,827

2017 10 0 1 11 11,277 7,234

2018 29 1 6 36 64,814 17,683

2019 / 3분기 41 2 2 45 43,342 23,327

농업·임업·어업 5 0 0 5 3,856 1,178

광업 0 0 0 0 400 437

제조업 11 0 0 11 24,085 4,207

건설업 3 1 1 5 1,115 2,752

도매 및 소매업 8 1 0 9 3,809 3,478

운수 및 창고업 2 0 1 3 1,041 1,025

정보통신업 1 0 0 1 172 223

부동산업 4 0 0 4 1,082 33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 0 0 1 3,600 3,503

사업시설 관리 임대 0 0 0 0 106 121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0 0 0 0 25 0

교육 서비스업 3 0 0 3 1,096 678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0 0 0 0 2,010 5,225

협회 및 단체, 수리 1 0 0 1 546 72

전기, 가스, 증기 등 1 0 0 1 46 46

숙박 및 음식점업 1 0 0 1 350 50

기타 0 0 0 0 3 0

합 계 305 15 40 360 1,513,537 730,353

* 자료원 : 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 2019년 3분기까지가 최신통계임(2020.3.3.일 기준)

(16)

ㅇ (업종별) 누계 기준, 제조업이 143건, 4.5억 달러로 가장 큰 비중(61.4%)을 차지하며, 이외의 주요 투자분야는 △ 부동산업 23건, 57백만 달러, △ 광업 8건, 47백만 달러, △ 금융․보험업 11건, 42백만 달러, △ 정보 통신업 11건, 41백만 달러 등을 기록

< `92∼`19년 3분기 누계 업종별 對우즈베키스탄 투자 현황 (단위 : 건, 천 달러)>

업 종 투자형태

신고금액 실투자액

법인 지점 지사 계

제조업 131 3 8 142 822,173 448,541

부동산업 22 0 1 23 339,955 56,789

광업 8 0 0 8 60,835 47,370

금융 및 보험업 8 0 3 11 72,228 41,971

정보통신업 9 0 2 11 42,713 41,299

운수 및 창고업 14 0 7 21 32,998 25,295

숙박 및 음식점업 9 0 0 9 50,829 17,289

도매 및 소매업 39 1 2 42 20,854 15,242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13 0 3 16 14,716 13,771

건설업 26 9 5 40 30,105 8,172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2 0 0 2 9,090 7,091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 5 2 8 15 5,880 2,035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2 0 0 2 1,862 1,512

농업, 임업 및 어업 9 0 0 9 6,505 2,413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3 0 1 4 1,420 829

교육 서비스업 3 0 1 4 1,136 718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0 0 0 0 52 0

공공 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0 0 0 0 25 0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1 0 0 1 46 46

기타 0 0 0 0 86 0

합계 304 15 41 360 1,513,508 730,383

* 자료원 : 수출입은행 해외투자통계

□ 우즈베키스탄의 對 한국 투자 (누계, 도착기준)

ㅇ `19년 4분기 기준, 총 284건으로 금액은 2,293만 달러를 기록

구분 `92-`14 `15 `16 `17 `18 `19.4Q 합계

금액(천 달러) 18,410 178 530 863 1,028 1,914 22,923

* 자료원 : 산업통상자원부 외국인투자통계

(17)

참고

2020년 2월 수출입 동향

(산업부 보도자료) 2월 수출 412.6억 달러(+4.5%), 수입 371.5억 달러(+1.4%)

1. 2월 수출입 동향 개요

□ (실적) 2월 전체 수출은 4.5% 증가한 412.6억 달러, 수입은 1.4%

증가한 371.5억 달러, 무역수지는 41.2억 달러로 97개월 연속 흑자

* 수출 증감률(%) : (’19.2)△11.3 → (3)△8.4 → (4)△2.1 → (5)△9.8 → (6)△13.8 → (7)△11.1

→ (8)△14.0 → (9)△11.9 → (10)△15.0 → (11)△14.5 → (12)△5.3 → (‘20.1)△6.3 → (2)+4.5

□ (평가)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 2월 수출은 15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ㅇ ’19.10월 수출 저점 이후 감소세가 지속 개선 추세를 보인 가운데,

2월 수출은 +4.5% 증가하며 15개월만에 반등

ㅇ 다만, 코로나19 영향이 장기화될 경우, 세계 경기 둔화에 따른 교역 부진 및 중국發 수요 둔화로 3월 이후 수출은 녹록치 않을 전망

< 2월 수출입 실적 (통관기준 잠정치) > (단위 : 백만 달러, %)

구 분 2019년 2020년

2월 11월 12월 1월 2월

수 출 39,482(△11.3) 44,041(△14.5) 45,668(△5.3) 43,260(△6.3) 41,262(4.5) (일평균) 2,078(△9.0) 1,874(△12.6) 1,986(△7.3) 2,012(4.6) 1,834(△11.7)

수 입 36,651(△12.2) 40,729(△13.0) 43,687(△0.8) 42,725(△5.4) 37,147(1.4)

무역수지 2,830 3,312 1,981 535 4,115

< 수출 증감률 추이(%) > < 수출액 증감 추이(억 달러) >

(18)

□ 주요 특징

➊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 우리 수출은 15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ㅇ 우리 수출은 ’19.10월 저점 이후 우상향 흐름을 보여왔으며, ’20.2월

전년동기대비 +4.5% 증가하며 15개월만에 반등

ㅇ 반도체 업황부진, 국제유가 하락 등 경기적 요인과 미 중 분쟁 및 코로나19 영향이 겹쳤음에도 불구, 수출 부진 시기 조기 극복

ㅇ 최근 감소는 ’08∼’09년 감소시기(12개월 연속), '15∼'16년 시기(19개월 연속)에 비해 감소폭 및 일평균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나은 모습

< 수출 감소 시기 분석 >

구 분 ‘01~’02년 ’08~’09년 ’15~’16년 ’19~‘20년 감소

기간

‘01.3~’02.3 (13개월 연속)

’08.11~‘09.10 (12개월 연속)

’15.1~‘16.7 (19개월 연속)

‘18.12~’20.1 (14개월 연속) 부진

요인

닷컴 버블 이후 IT 산업 부진시기 (경제성장률 및 교역성장률 급감)

글로벌 금융위기 (경제성장률 및 교역성장률 급감)

경기순환적 요인 (저유가 쇼크, 글로벌 공급 과잉)

경기순환적 요인 + 미중 분쟁 + 코로나19 확산 (반도체 단가・유가변동성 확대・

글로벌 경기 위축) 최대

감소月 (‘01.7)△21.2% (‘09.1)△34.5% (‘16.1)△19.6% (‘19.10)△15.0%

일평균 (‘01)5.5억 달러 (’02)5.9억 달러

(‘08)15.3억 달러 (’09)13.0억 달러

(‘15)19.3억 달러 (’16)18.1억 달러

(‘19)19.9억 달러 (‘20)19.2억 달러

➋ 반도체 수출은 15개월만에 플러스(+9.4%)로 전환

ㅇ 코로나19 불확실성 증대에 따른 일부 물량의 구매 이연에도 불구, 데이터센터 서버 수요의 견조한 증가세 및 D램 고정가격 2개월 연속 상승 등 영향으로 반도체 수출 플러스 전환

* D램 고정價($) : (‘18.9)8.19 → (’19.1)6.00 → (7~9)2.94 → (10~12)2.81 → (‘20.1)2.84 → (2)2.88

ㅇ 다만, 코로나19 영향 장기화시 수요부진 등으로 3월 이후 반도체 수출 플러스 지속 가능성 여부는 모니터링 필요

(19)

➌ 2월 수출 물량(+7.3%)은 견조한 증가세

* 물량 증감률(%) : (’19.2)△3.4 → (5)0.6 → (9)2.9 → (12)0.7 → (‘20.1)△10.1 → (2)7.3

ㅇ 수출 물량은 품목별로 살펴보면 20개 주요 품목 중 15개 증가하였 으며, 특히 반도체 물량(+14.4%)은 ’19.7월 이후 8개월 연속 증가

* 반도체 물량 증감률(%) : (‘19.7)11.1→(8)10.7→(9)20.7→(10)11.2→(11)18.2→(12)31.8→(‘20.1)1.3→(2)14.4

< 품목별 수출 물량 증감률, 2.1~25일 기준 (%) >

반도체 일반

기계

석유 제품

석유

화학 철 강 차부품 선 박 섬 유 가 전 바이오

헬스 +14.4 +12.3 +2.5 +1.9 +12.2 +20.3 +91.6 +23.9 +5.5 +25.2

이차 전지

농수산

식품 화장품 플라스틱

제품

정밀화학 원료

디스 플레이

무선통신

기기 자동차 컴퓨터 로 봇

+12.6 +22.2 +27.6 +24.9 +33.0 △24.1 △20.3 △14.8 △1.2 △2.5

➍ 반도체 일반기계 무선통신기기 등 20개 주요 품목 중 14개 증가

* 수출 증감률(%) : (반도체)9.4, (일반기계)10.6, (무선통신)8.0, (차부품)10.0, (가전)2.5, (섬유)19.8, (컴퓨터)89.2, (선박)8.0

< 반도체 수출(억 달러, %) > < 일반기계 수출(억 달러, %) > < 무선통신 수출(억달러, %) >

< 차부품 수출(억 달러, %) > < 가전 수출(억 달러, %) > < 섬유 수출(억 달러, %) >

➎ 정밀화학원료를 제외한 新수출성장동력 품목 모두 수출 증가 ㅇ 바이오헬스는 6개월 연속, 화장품은 8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이차전지 농수산식품은 2개월만에 플러스 전환

* 수출 증감률(%) : (바이오헬스)22.2, (이차전지)3.3, (농수산식품)9.4, (화장품)13.5, (로봇)23.2, (플라스틱제품)10.6, (정밀화학원료)△5.3

(20)

< 바이오헬스 수출(억 달러, %) > < 이차전지 수출(억 달러, %) > < 농수산식품 수출(억달러, %) >

< 화장품 수출(억 달러, %) > < 로봇 수출(억 달러, %) > < 플라스틱제품 수출 >

➏ 중국을 제외한 모든 지역 수출 증가

ㅇ 對中 수출 부진(△6.6%) 불구, 對아세안(+7.5%, 2개월 연속) 등 新남방과 對CIS(+12.2%, 4개월 연속) 등 新북방向 수출은 견조한 성장세 유지 ㅇ 기존 주력 시장인 對미국(+9.9%) 수출은 9개월만에 플러스로 전환

하며 2월 전체 수출 플러스 견인

< 미국 수출(억 달러, %) > < 아세안 수출(억 달러, %) >

< CIS 수출(억 달러, %) > < 중남미 수출(억 달러, %) > < 인도 수출(억 달러, %) >

(21)

우즈베키스탄 에너지‧인프라 프로젝트 동향

한-우즈벡 인프라협력센터

1. 건설 시장 동향

≪2020년 1월 건설시장 동향 요약 ≫

◦ (건설 총량) 금년 1월 총 건설 공사 규모는 4.4조숨(약 4억7천만불)으로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

◦ (기업 규모별) 대기업 4,821억숨, 중소기업 3.71조숨, 비공식 부문 887억숨 ◦ (부문별) 정부 부문 2,133억숨, 비정부 부문 4.2조숨

◦ (유형별) 건물 및 구조 공사 69.9%, 토목 공사 14.4%, 기타 공사 15.7%

※ 자료 : 우즈베키스탄 국가통계위원회

□ 2020년 1월 건설 공사 총량은 4.4조 숨으로 전년 동월 대비 소폭 증가, 특히 중소기업 건설 규모가 9.2% 증가율을 보임

ㅇ 전체 건설 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중소기업이 69.2%로 전년 동월 대비 1.2%p 소폭 증가하였고, 대기업 비중은 0.3%p 소폭 하락함

ㅇ 유형별 비중은 건물 및 구조 공사는 69.9%로 전년 동월 대비 2.0%p 증가, 토목 공사는 14.4%로 0.7%p 감소, 기타 공사는 15.7%로 1.3%p 감소

(22)

□ 지역별 건설증가율은 전년 동기 대비 전체 평균 7.7% 증가하였고 특히 지작, 나망간, 타슈켄트市가 각 16.9%, 14.3%, 14.8%로 대폭 증가함

< 2020년 1월 지역별 건설 현황 >

지역명 금액(십억숨) 비중(%) 전년동기대비

증가율(%)

전 체 4,440.7 100% 7.7%

타슈켄트市 1,209.60 27.2% 14.8%

카쉬카다야르 385.1 8.7% 0.2%

안디잔 319.7 7.2% 5.5%

페르가나 311.5 7.0% 4.1%

타슈켄트州 298.6 6.7% 1.6%

사마르칸트 268.4 6.0% 1.4%

카라팔칵 공화국 261.3 5.9% 1.3%

부하라 243.2 5.5% 6.1%

수르한다리야 241.9 5.4% 1.6%

나망간 213.6 4.8% 14.3%

나보이 206.5 4.7% 6.4%

호레즘 188.5 4.2% 6.7%

지작 173.9 3.9% 16.9%

시르다리야 118.9 2.7% 7.9%

※ 자료 : 우즈베키스탄 국가통계위원회

(23)

2. MDB 및 정부 부처 등 주요 동향

□ WB, 우즈벡 항공 부문 현대화 사업 지원

ㅇ 세계은행은 우즈벡 항공 부문 현대화 사업*에 자문 서비스를 제공키로 협정 체결

* 러시아‘Novaport’, 일본‘Sumitomo’와해당사업협상진행중이지만운영권양도기한관련하여난항

- 관련 협정이 2018년에 체결되었지만 작년 만료되어 이를 재연장하기 위함 ㅇ 지방공항 현대화 사업, 민간 항공 관련 정책, 민간 투자 유치 등에 관한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 IFC 지원, 시르다리야 1,300MW 발전소 입찰 의향서 제출 고시 ㅇ 시르다리아 지역에 10억 불 규모의 1,300MW CCGT*를 PPP로 건설 계획

* CCGT(Combined Cycle Gas Turbine) : 복합화력발전

- IFC는 거래 자문으로서 본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 있어 컨설팅 예정 ㅇ 3월 3일까지 해당 프로젝트의 입찰 의향서 최종 제출

ㅇ 3월 3일, 본 프로젝트 관련하여 투자 설명회 개최

□ IFC 지원, 지작-사마르칸트 200MW 발전소 입찰 의향서 제출 고시

ㅇ 지작과 사마르칸트 지역에 각각 200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PPP 방식으로 진행할 예정

- IFC는 현재 10억 달러 규모의 총 900MW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고 있으며 작년, 나보이 100MW 태양광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를 PPP로 진행 ㅇ 3월 21일까지 해당 프로젝트의 입찰 의향서 최종 제출

(24)

□ ADB, 우즈벡 경제 개혁 지원을 위한 3억 달러 차관 승인

ㅇ ADB는 ‘경제 관리 개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8년 6월, 3억 달러 차관을 승인한 데 이어 작년 12월, 3억 달러 차관 추가 지원

- 해당 차관은 우즈벡 경제 개혁을 지원함으로써 거시경제 안정을 달성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함

- 거시경제 데이터 관리 시스템, 내부 감사 제도, 공공부문 회계 분야 등을 개혁 ㅇ 프랑스개발청(AFD)도 우즈벡 경제개혁을 위해 2018년 12월, 1백

50만 유로를 지원한 데 이어 5천5백5십만 달러 차관을 추가 제공 ㅇ 세계은행도 우즈벡 경제 개혁을 위해 2018년 6월, 5억 달러 차관

승인에 이어 2019년 6월, 5억 달러 추가 지원

□ ADB 지원, 200MW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입찰 의향서 제출 고시

ㅇ ADB 지원 하, 수르한다리야 지역의 셰라바드구에 200MW 태양광 발전소 건설을 PPP로 진행할 예정

- 현재 ADB는 1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의 거래 자문을 지원

- 발전소를 포함한 220kV 변전소 및 52Km 길이의 송전선로 건설 예정

- PPPDA에 따르면 해당 프로젝트는 나보이 지역 태양광 프로젝트와 비슷하지만 좀 더 정부에 친화적인 사업 구조로 진행될 것

ㅇ PPPDA 및 에너지부 홈페이지에 해당 프로젝트의 입찰 의향서 제출 관련 기사를 기재

- 2월 22일*까지 입찰 의향서 최종 제출

* 서면 제출 시, 최종 제출 기한은 3월 2일

(25)

□ EBRD, 우즈벡 민간 섹터에 투자 결정

ㅇ 우즈벡 ‘Healthline*’사에 855만 유로 투자 승인

* 우즈벡 ‘Healthline’사는 의학 일회용품 생산 전문 업체

- 이는 EBRD가 우즈베키스탄의 민간 섹터에 제공하는 첫 차관 ㅇ Anglesey Investments PTE*사에 최대 4천만 달러 지분 투자 승인 - Anglesey Investments PTE는 FE Anglesey Food LLC를 소유하고 있으며

해당 사는 우즈벡 전역 50여 개의 대형 유통 업체인 ‘Korzinca’를 운영

□ EBRD, 타슈켄트-사마르칸트 유료도로 건설 사업 자문 협약 체결 ㅇ EBRD는 12월 말, 타슈켄트-사마르칸트 유료도로 건설 PPP 프로젝트에

기술 자문 지원 협정 체결

- 현재 해당 프로젝트는 EBRD의 예비타당성 조사 단계에 있음

-‘2020-2022년 유료도로 건설 PPP 프로젝트 로드맵*’에 따르면 내년 초, 프로젝트 컨셉의 승인이 있을 예정

* 2019년 12월, 대통령령 “우즈베키스탄 도로 시스템 개선을 위한 조치”에 따라 2022년까지의 유료도로 건설 PPP 프로젝트 로드맵 발표

□ EBRD, 2019년 우즈벡에 총 5.76억 불 투자

ㅇ EBRD는 2019년 공공 및 민간 부문의 13건 프로젝트에 총 5.76억 달러를 투자했으며 이는 사무소 개소 이래로 가장 많은 금액

- 대표적으로 탈리마르잔 복합화력발전소 건설에 2.13억 불 차관, 나보이 지역 송전선 건설에 7천8백만 불 차관 등을 지원

(26)

□ 대통령,‘한국·일본과의 경제협력 현황 및 전망’에 관한 회의 주재

ㅇ 작년 우즈벡-한국·일본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양국 관계의 격상 및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이 증진됨을 강조

ㅇ 본 회의에서 타슈켄트 아동병원 및 제약 클러스터 건설 사업의 추진과 보건 및 표준화 분야에서의 한국과의 협력이 성공적임을 평가 ㅇ 향후 한국과의 유망 협력 분야로 농업·ICT·보건·제약·화학·

전자·경공업·보석 산업 등을 꼽음

□ 대외투자무역부, Mubadala 국부펀드와 에너지 분야 협정 체결

ㅇ Mubadala 국부펀드, 2020년 3분기에 우즈벡 탈리마르잔 TPP*의 지분 80%를 매수하기로 대외투자무역부와 협정 체결

* 과거 탈리마르잔 첫번째 TPP는 현대건설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수주하여 건설

ㅇ Masdar사*(Mubadala 국부펀드 자회사)는 나보이 지역에 6억불 규모의 400MW 풍력발전소 건설 협약 체결

* Masdar사는 우즈벡에서 처음 시행된 PPP 프로젝트(100MW 태양광발전소 건설) 낙찰업체

□ 교통부·관광개발 국가위원회, ‘우즈벡 항공·공항·물류 국제 포럼’ 개최 ㅇ 해당 포럼에서 항공 분야 개혁의 중요성, 성과 및 전망 등을 발표 - 교통부 신설, 우즈벡 항공과 공항의 분할, Open Sky 정책* 도입 등 항공 분야 개혁 추진

* 국가 간 항공편을 개설할 때 어느 항공사든 신고만 하면 취항을 허락하는 제도

ㅇ 가니에프 교통부 장관은 활주로 및 터미널 건설 등의 공항 인프라 현대화를 통해 관광객 유입 증가와 교통 시스템 향상을 달성할 수 있음을 강조 - 사마르칸트 국제공항 현대화, 테르메즈 국제공항 활주로 신설, 안디잔

공항 재건 등의 공항 인프라 현대화 및 개선 사업 계획

(27)

3. 인프라 관련 주요 이슈(투자 및 투자 활동에 관한 법률)

□ 법령의 구성

투자 및 투자 활동에 관한 법률* 은 총 12개 장·69개 조항으로 구성

* Law no. ZRU-598 “Law on investment and investment activities”(2019.12.25) 1장 일반 조항(1항~4항)

2장 투자, 투자 활동의 주체와 대상 (5항~14항)

3장 투자 주체의 권리 및 투자 보호에 관한 국가의 보증(15항~23항) 4장 투자 활동에 대한 국가의 규제(24항~29항)

5장 투자 및 투자 활동에 대한 국가 지원(30항~33항)

6장 투자와 투자 활동의 국가 지원을 위한 혜택((34항~36항)

7장 정부 이외의 투자자에 의한 투자 (Decentralized Investments)(37항~39항) 8장 우즈벡 정부와의 투자 협정(40항~45항)

9장 외국 투자자에 대한 법률 제도(46항~50항) 10장 외국인 투자 기업(51항~56항)

11장 우즈벡 이외 지역에서의 투자 활동의 이행(57항~59항) 12장 최종 조항(60항~69항)

□ 일반 사항

ㅇ (기존법 통합) 외국인 투자에 관한 법률」,투자 활동에 관한 법률」,

외국인 투자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증과 조치들에 관한 법률의 주요 조항들을 통합하여 제정

* 기존 법률은 동 법의 시행과 동시에 폐지

ㅇ (제외 분야) 양허 계약(concessions), 생산물 공유 협정*의 체결, 이행 및 종료, 투자·지분·벤처 자본 펀드, 자본 시장 규제, PPP, 특별 경제 구역에 관한 사항은 개별 법령의 규정에 따름

* 생산물 공유 협정 : 정부와 민간 자원 채굴 회사 간에 자원 채굴 후 생산물의 배분에 관하여 맺은 협정

ㅇ (법 시행) 2020. 1. 27일부터 시행

(28)

□ 주요 내용

ㅇ (투자의 유형) 투자를 자본 투자, 금융 투자, 사회 투자 3가지로 구분

자본 투자 여러 유형의 생산물 개발, 고정 자산 형성, 신규 건설, 현대화 등을 위한 투자 금융 투자 주식, 채권(기업, 인프라, 정부), 다양한 유형의 증권에 대한 투자 사회 투자 여러 가지 무형 자산의 개발, 사람의 잠재력, 기술 등의 향상을 위한 투자

ㅇ (투자 활동에 대한 규제) 투자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 활동에 대해 아래 방법으로 국가가 규제

- 투자 활동에 대한 법 체계 개선, 우호적인 투자 환경 조성, 특별 경제 구역 및 소규모 산업단지 조성, 경쟁 촉진 조치 실시 등 - 투자자가 시장 지배적 지위를 갖게 되는 배타적인 권리를 주는 조치 금지 ㅇ (투자자 지원을 위한 혜택) 투자자 지원책은 우호적인 조건의 제공,

투자 세금 공제, 투자 보조금으로 구분되며, 투자 규모·지역·분야·

사회 경제적 기대 효과·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에 따라 달라짐

우호적 조건 제공

우호적인 가격으로 국가 자산 또는 국가 자산에 대한 권리를 투자자에게 이전 세금 혜택의 제공, 프로젝트 관련 융자금에 대한 이자 보조

투자 세금 공제

특정 기간 동안 투자와 관련된 세금 납부를 유예한 뒤, 일정 기간 경과 후 이자와 함께 세금을 납부

투자 보조금

외부 기반시설 건설 및 통신 설비 구축을 위한 보조금 제공 세금 또는 관세 혜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

투자대외무역부가 재무부가 협의하여 결정

ㅇ (투자 협정 절차) 추가적인 투자자 지원 혜택을 받으려고 하는 외국인 투자자는 투자 협약을 체결하여야 하며, 협정에는 반부패 및 반독점 관련 조항이 포함되어야 함

- 외국인 투자자가 특정 분야*에 투자하는 경우에 한해, 추가적인 지원 혜택이 제공되며, 세금 혜택은 영구적이 아닌 일정 기간에만 적용

*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 및 기술 혁신을 보장할 수 있는 분야, 수출 잠재력을 강화하고 세계 경제와의 통합을 확대시킬 수 있는 분야

(29)

우즈베키스탄 외환 동향 및 전망

KDB 우즈베키스탄

1. 환율 동향

□ 숨화 환율은 ‵19. 8월 CBU의 ‵환율안정화정책′발표 이후 현재까지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음

○ ‵19. 7월 중순 이후 수출경쟁력 제고 목적 및 무역수지 악화 등에 따라 급격한 숨화 평가절하(연초 대비 +13.9%)가 이루어졌으나 ‵19. 9월 이후 안정화 추세임

<외환자유화 이후 환율 내역(RCE)>

(단위 : UZS) 구 분 ‵17. 9. 5 ‵17. 12. 31 ‵18. 12. 31 ‵19. 8. 20 ‵19. 12. 31 ‵20. 2. 28 SUM/USD 8,110 8,138 8,341 9,384 9,501 9,526

상승률

(연초대비) - + 0.35% + 2.49% + 12.50% + 13.91% + 0.27%

< 환율 추이 현황 (‵17.9월 이후) >

* RCE exchange rate, 우즈벡 환전거래소(www.uzrvb.uz)

(30)

※ (참 고) 주요 무역 상대국 최근 환율동향 ◈ 러시아 루블화(RUB)

- 러시아의 중국향 수출물량 급감(1월, △21%) 영향으로 환율 약세 ․ 2월에는 전년 동기비 50% 수출물량 감소로 추가 악화 예상 ◈ 카자흐스탄 텡게화(Tenge)

- 자국 외환보유고 중 비중이 높은 금값 상승 영향으로 환율 강세시현 ◈ 중국 위안화(CNY)

- 코로나 확산에 따른 영향은 SARS시기보다 클 것으로 우려

- 코로나 글로벌 전염우려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위안화는 달러 대비 약세 시현중

<주요 무역상대국 통화의 환율 추이(‵17. 9월 ~ ‵20. 2월) >

(31)

2. 외화수급 동향 □ 외환보유고 추이

○ ‵20. 2. 1자 외환보유고는 U$ 294.3억으로 이 중 57.6%는 금보유량임 - 최근 금가격 상승으로 외환보유고는 증가 추세이나, 실질적인

금 보유 수량은 감소 추세

< 외환보유고 현황 >

(단위: U$억, OZ백만) 구 분 ‵18. 1. 1 ‵19. 1. 1 ‵20. 1. 1 ‵20. 2. 1

총금액 280.8 270.8 286.0 294.3

외화 140.4 124.4 122.7 124.7

금 140.4 146.4 163.3 169.6

금(수량) 10.8 11.4 10.8 10.7

* 출처 : 우즈벡중앙은행

□ 무역 동향 (Foreign trade)

○ ‵20. 1월까지의 수출은 U$ 129억, 수입은 U$ 166억으로 정부의 수출 장려와 재정지출 축소 노력 등에도 불구하고 적자 지속

- 전년 동기비 수출입 물량은 U$25억 가량 감소(수출 △15%, 수입 △1.3%)

- 주요 수출품은 금(38.1%), 서비스(17.8%), 섬유(12.1%)이며, 수입품은 기계기구(41.2%), 화학제품(13.0), 서비스(11.2%)

<무역수지 현황>

(단위: U$ 억)

구 분 ‵17년 ‵18년 ‵19.6월말 ‵19년 ‘20.1월

수 출 139.0 142 84.4 179 12.9

수 입 130.0 195 112.5 243 16.6

수 지 +9.0 △53 △28.1 △64 △3.7

* 주요 교역국 : 중국(17.5%), 러시아(16%), 카자흐스탄(7.4%), 한국(6.5%), 터키(5.7%) 등 * 국가통계위원회 자료

(32)

<수입 및 수출 현황(‵20.1월)>

(단위: U$ 억, %)

수 출 수 입

품 목 금 액 비 중 품 목 금 액 비 중

Gold 4.9 38.1% Machine & Equipment 6.8 41.2%

Service 2.3 17.8% Chemicals 2.2 13.0%

Textile 1.6 12.1% Service 1.9 11.2%

Energy 1.5 11.9% Consumer goods 1.3 7.8%

Non-ferrous metals 0.7 5.3% Ferrous materials 1.1 6.7%

Cosumer goods 0.7 5.3% Energy 0.7 4.3%

chemicals 0.5 3.5% Non-ferrous metals 0.4 2.2%

Others 0.7 6.0% Others 2.2 13.6%

계 12.9 100% 계 16.6 100%

* 국가통계위원회 자료

□ RCE 거래규모

○ ‵20. 1월 기준 법인의 외화매도(공급)는 U$ 6.9억, 외화매입(수요)은 U$ 10.3억으로 외화 수요는 지속 증가 추세임

- 전년 동기비 U$매입(전년 동기비 +0.6%), U$매도(전년동기비+23%) 모두 증가 * 외화 매도자: 수출업체, 은행(포지션 보유) 등

* 외화 매입자: 수입업체, 외채상환 및 배당 지급 기업 등

○ 외화 공급과 수요의 부족분은 중앙은행에서 인플레이션 수준 등을 고려하여 공급

<RCE 거래규모>

(단위: U$ 억)

구 분 ‵18년말 ‵19.6월 ‵19년말 ‵20.1월

USD 매도 (공 급) 63.7 31.0 67.3 6.9

USD 매입 (수 요) 95.3 46.7 105.2 10.3

Net △31.6 △15.7 △37.9 △3.4

* CBU 자료

(33)

□ 개인환전 거래규모

○ ‵19. 8월 개인 대상 환전 자유화 시행으로 비제도권 거래량의 일부가 은행으로 편입되어 거래규모는 소폭 증가되었으며,

○ ‵20. 1월 Exchange Office를 통한 개인의 외화매도(공급) 물량은 전 년 동기 대비 2.6배 증가, 외화매수(수요) 물량은 전년 동기대비 2.7 배 증가하였음

<개인 환전 거래규모>

(단위: U$ 억)

구 분 ‵18년말 ‵19.6월 ‵19년말 ‵20.1월

USD 매도 (공 급) 27.0 14.0 38 4.2

USD 매입 (수 요) 9.8 5.6 18 3.0

Net +17.2 +8.4 +20 +1.2

* CBU 자료

3. 환율 전망

□ ‵20년말 숨화 환율은 UZS10,600~10,800 수준으로 예상

○ 당해년도 우즈벡 물가상승 정도에 따라 숨화의 평가절하 수준도 결정될 것 - 우즈벡중앙은행의 ‵20년 인플레이션 목표치 : 12~13.5%

○ 주요 교역국인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의 경제상황 역시 주요 변수 - 러시아, 카자흐스탄의 주요 수출품인 유가 상승시 동 국가들에 대한

우즈벡의 상품 및 서비스 수출 확대로 숨화 환율 절하폭 축소 기대 ○ 최근 코로나 사태 악화로 USD, 엔화 등 안전자산 선호로 기타

통화 추가 약세 가능성도 상존

- 숨화는 무역수지, 인플레이션, 국제 금융시장 등 대내외 경제여건에 취약하므로 지속적인 주시가 필요

※ (‵20년도 인플레이션 전망) Ficth 16%, World Bank 14.1%, ADB 13%

(34)

참 고참 고 최근 정부 정책 및 Market News

□ 1 / 26자 (reuters.com)

○ 우즈벡 중앙은행, 기준금리 16% 유지

- 우즈벡 중앙은행은 현재의 기준금리 16%를 당분간 유지하는 것 으로 결정하였으나, 인플레이션 하향 추세가 이루어진다면 금년중 금리 인하를 검토할 것을 시사

※ 現 기준금리는 ‵18. 9월 인상(14% → 16%) 이후 지속 유지 중임

□ 2 / 6자 (gazeta.uz)

○ ‵19년 우즈벡 모기지론은 전년대비 66.6% 증가

- ‵19년 우즈벡 내 모기지론은 약 8조숨으로 전년대비 66.6% 증가 하였으며, 이 중 83%가 정부은행을 통한 우대금리 대출임

□ 1 / 10자 (akipress.com)

○ EBRD, ‵19년 우즈베키스탄 앞 신용공여 U$ 576백만 (전년 대비 20% 증가)

- ‵17년말 우즈벡에 다시 진출하여 인프라투자*를 적극 지원 중에 있으며, 최근 은행 및 제조업 분야로 자금지원 확대

* (‵19년 주요 투자) Talimarjan power plant(€213.8백만), Navoi power transmission (€71.5백만), Kashkadarya wastewater project(€ 53.4백만) 등

- 우즈벡 정부와 투자환경 개선 등을 위해 ‵The Foreign Investors Council(FIC, ‵19.11월)′설립 지원

- 무역금융 지원 등을 위해 현지 시중은행* 앞 Credit line제공

* NBU, Asaka, Uzpromstroy, Ipoteka, Hamkor Bank

(35)

□ 1 / 21자 (morningstar.co.uk)

○ TBC(Tbilisi Business Center) Bank Group(조지아), 우즈벡 은행업 진출 - TBC Bank는 ‵92년 조지아에서 설립한 소매 및 중소기업금융에

특화된 은행으로 ‵16. 8월 London Stock Exchange에 상장 ․ 자산 U$ 63억, 자본 U$ 7.5억, 순이익 U$ 1.4억 (‵19년말 기준)

- TBC는 우즈벡에 자회사 설립(51%)을 통해 은행업 진출 계획으로 EBRD, Uzbek Oman Investement 등을 대상으로 공동 투자자 물색 중

* 전체 투자금액은 U$40백만 예상

- 영업모델은 개인 할부금융 상품(전자제품 및 가구 구입)으로, ‵20. 1월 은행업 예비인가를 승인 받았으며, ‵20년 여름즈음 최종 은행업 인가 후 영업개시 예정

* TBC는 개인할부금융 진출을 위해 ‵19. 4월 우즈벡 Payment Service Provider인

‵Payme′의 지분을 51% 인수(U$ 5.5백만)

□ 1 / 6자 (spot.uz)

○ 일본 Sawada Holdings, 우즈벡 Asia Alliance Bank 인수 추진 - 우즈벡 정부는 경제 개방정책의 일환으로 정부은행 민영화 추진 - ‵19. 12월 우즈벡 대통령의 일본 방문시 Package agreement의 하나로

일본 Sawada Holdings이 Asia Alliance Bank 인수 추진

(인수가액 U$ 32백만(지분 50% 초과), ‵20. 5월 예정)

☞ (Sawada Holdings) ‵58년 일본에서 설립, 대출 및 증권 중개업 특화 ․ 자산 U$ 40억, 자본 U$ 4.9억, 순이익 U$ 0.5억 (‵19. 3월 기준)

* 現 Sawada Holdings는 키르기즈스탄, 몽골, 러시아 소재 현지은행을 인수․ 영업중임

☞ (Asia Alliance Bank) ‵09년 설립, ‵18년말 부실로 우즈벡 정부*가 인수 ․ 자산 U$ 2.5억, 자본 U$ 0.3억, 순이익 U$ 4백만 (‵19. 9월 기준) * State assets management agency (100%)

(36)

□ 2 / 27자 (Uzdaily.com)

○ 우즈벡, ‵21년부터 국제회계기준(IFRS) 도입 예정

- ‵21년 회계결산부터 적용할 계획으로 ‵20년중 변경되는 회계 기준에 대한 교육 등 진행 예정

- JSC(Joint Stock Company), 은행, 보험사 및 고액 납세기업은

‵21년말까지 3명 이상의 회계사 자격증 보유자를 직원으로 고용 의무

참조

관련 문서

- 토카예프 대통령은 예정된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의 카자흐스탄 국빈방문이 앞으로 의 양국 발전에 매우 중요한 이벤트가

우무르자코프 부총리 겸 투자대외무역부 장관은 국산품 수출 지원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주재하여 국내 기업들의 수출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유관 부처에 문제

Sanoat Energetika Guruhi(SEG) 사는 나보이州 자라프샨(Zarafshan) 저지대에서 가장 큰 석유 및 역청 유전인 'Yangi

우무르자코프 부총리 겸 투자대외무역부 장관은 쉬씬 첸(Shixin Chen) 아시아 개발은행(ADB) 부총재와 면담을 갖고, 주요 프로젝트 진행현황 및 협력방안을 논의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이 서명한 부가가치세(VAT) 개선에 대한 명령에 따라 금년 10.1부터는 수출기업의 국내계좌로 외화가 입금되었는지 확인절차 없이 실제

o Bekhzot Normatov 우즈벡가스유통공사(Uztransgaz) 회장은 최근 영국 BP가 사업전략을 친환경(green path) 중심으로 전환하면서 우즈베키스탄 3개 광구에서

[r]

은면제거를 위해 시점기준 가장 가까운 물체면 화소를 구함.. 해당 화소 물체면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