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술 중 발생한 저체온증에 의한 무맥성 전기 활성과 부정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수술 중 발생한 저체온증에 의한 무맥성 전기 활성과 부정맥"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S 818

― S-143 ―

수술 중 발생한 저체온증에 의한 무맥성 전기 활성과 부정맥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손주웅, 김우식, 하상진, 우종신, 김석연, 김수중, 김원, 김명곤, 김권삼, 배종화

서론: 심실 무수축의 원인으로는 저산소, 저칼륨혈증, 고칼륨혈증, 긴장성 기흉, 심장 눌림증, 베타 차단제, 심근 경색, 아나필락시스, 폐혈색 전증, 저체온증 등이 있으며 이밖에도 다양한 형태의 부정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 중 저체온증은 수술실에서 간혹 발생하는 상황으로 감염, 내분비 기능 저하, 대사성 산증, 응고 장애, 심박출량 감소, 심근 경색, 부정맥이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척추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중에 발생한 무맥성 전기 활성, 부정맥을 동반한 저체온증이 발생했던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55세 남자 환자로 좌측 둔부와 허벅지의 방사통으로 척추 협착증 진단받고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특이 병력 없었고 수술 전 시행한 혈액학, 생화학, 뇨화학, 흉부촬영, 심전도 모두 정상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수술실 도착시 환자의 액와부 체온은 36.3도 였으며 혈압, 맥박, 호흡수는 정상 범위였다. 1% lidocain 30 mg, propofol 120 mg, rocuronium 30 mg을 정주하여 기관내 삽관을 하였고, 마취 유지는 N2O 2L/min, O2 2L/min 과 sevoflurane 1~3 vol%로 하였다. 수술은 특별한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고 문제 발생전까지 이상 징후는 찾을 수 없었다. 마취시 작 3시간 뒤 심전도, 동맥 파형이 편평해졌고 경동맥 맥박 또한 감지 되지 않아 심실 무수축을 진단하였고 즉시 epinephrine 1 mg, atropine 0.5 mg을 정주하였다. 이후 평균 동맥압 90 mmHg 측정되고 동빈맥소견 보였으나 곧 심실빈맥이 발생하여 제세동 시행 하고 lidocaine 60 mg, sodium bicarbonate 30mEq를 서서히 정주하였다. 이후 동빈맥, 심실빈맥, 동정지, PSVT가 번갈아가면서 발생하였고 제세동은 총 12회 시행하였다. 심폐소생술 시간은 약 20여분이었다. 체온 소식사를 액와부에 삽입하였을 때 체온은 31.9도 였고 당시 수술실 온도는 20도 였 다. 냉방 장치를 정지 시키고 강제적 공기 가온기 및 warm saline을 주입하여 체온이 34도 까지 오르고 자발호흡 회복되는 것을 확인한 후 기관 삽관 유지하고 중환자실로 이송하였다. 중환자실에서의 심초음파상 EF 67%로 정상 심근 수축 보이고 있었고 심장 효소 수치도 정상으 로 심근경색을 배재할수 있었다. 이외 심장판막의 이상 및 폐 동맥 고혈압 소견도 보이지 않았다. 중환지실로 옮긴후 한시간뒤 생체징후는 혈압 100/50 mmHg, 맥박 110회/분, 호흡수 18회/분, 체온 35.4도 였고 심전도상 동빈맥 소견을 보였다. 의식은 회복되었으며 기관내 튜브 발관을 시행하였다. 이후 6일간 중환자실에서 관찰 했으나 특별한 일은 발생하지 않았고 환자는 일반 병실로 옮긴 뒤 5일 후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 S-144 ―

Stanford B형 대동맥 박리증에 대한 Stent Graft 삽입치료 후 발생한 역행성 Stanford A형 대동맥 박리증 1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학교실1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학교실2

*김태훈1, 신상훈1, 이찬주1, 위진1, 김중선1, 이도연2

서론: 합병증 없는 Stanford B형 대동맥 박리증은 비침습적으로 치료하는 질환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stent graft 삽입치료의 안전성과 효용성이 입증 되면서부터 이러한 stent graft 삽입치료를 통한 치료 사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사망률과 이환율에도 불구하고 Stent graft 삽입 치료의 중장기적인 치료 성적은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으며 대동맥 박리증에 대한 stent graft 삽입 치료 후의 합병증에 대한 보고는 최근까지 꾸준 히 지속되고 있다 합병증 중에서 역행성 A형 대동맥 박리증은 매우 드문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이 합병증이 최근에 상당수 보고되고 있으며 이 합병증의 발생율 또한 상당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역행성 대동맥 박리증의 발생에 대한 보고가 없어 저자 등이 경험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대상 환자는 48세 남자로서 1일간의 명치 부위 및 등의 통증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과거력 상 3년전 다낭성 신질환(Polycystic kidney disease) 및 고혈압을 진단 받고 약물 치료 중이었으며 흡연력 및 음주력은 없었다. 응급실에서 시행한 대동맥 컴퓨 터 단층 촬영(CT) 상 Stanford B형 대동맥 박리증을 진단하였다. 약물 치료하며 병세가 안정화 된 후 내원 15일째 stent graft 삽입치료를 진행하였으 나 내원 22일째 시행한 추적 대동맥 컴퓨터 단층 촬영상 stent graft 근위부의 순용수철(bare spring) 부위가 대동맥벽을 뚫고 대동맥 바깥으로 돌출되 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stent graft 근위부에서부터 시작되는 역행성 Stanford A형 대동맥 박리증이 발견되어 1일 후인 내원 23일째 개흉 술로 전환하여 상행대동맥에 Graft replacement 수술을 시행 받았다(그림1). 환자는 내원 34일째 퇴원하였으며 현재까지 별다른 증상 없이 외래 추적 관찰 중이다.

참조

관련 문서

수술 후 추적 시행한 심전도에서 기존에 하부 유도의 R파에서 관찰되던 crochetage 양상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

연자들은 아메리카구충 감염에 의한 만성적이고 심한 철분 결핍성 빈혈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내원 1 개월 전부터 발생한 호흡곤란을 주소로 개인 의원을

본 저자들은 독사교상 후 토혈과 혈변이 발생하여 내시경을 시행받은 증례가 있어 보고하는 바이다.. 내원 1시간 후 토혈을 하였고 내원 2시간 후 혈변이 발생하여

저자들은 잠복 결핵 치료 시행 위해 rifampicin 복용 후 발생한 설사 환자에서 위막성 대장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76세 여자 환자는 내원 한달전부터

환자는 내원 당 일 저녁부터 38.6 도의 열이 발생하여 감염성 위장관염 의증으로 세프트리악손 투여를 시작했으며 경과를 지켜보던 중 내원 다음 날 혈변 및 복통이 발생하여

본원에서 시행한 흉부 단순 촬영사진과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상 양측성 폐렴, 농흉으로 진단되었고, 흉강경을 통한 흉막제거술 및 배농을을 시행후, 항생제등 투여하며 일주일간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 중 십이지장 점막하종양의 조직 검사 후에 발생한 천공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2년전부터 변비가 있었고 내원 1주일

만성 변비를 주소로 내원 4년 전 및 2년 전 외과 외래를 방문하여 당시 대장 내시경 및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특이 소견 없어 약물 치료 하면서 지내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