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평생학습자로서 교사와 학교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평생학습자로서 교사와 학교장"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평생학습자로서 교사와 학교장 (TALIS2018 Results)

◈ 2018년 교수학습 국제조사(TALIS*) 개요

* TALIS :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 OECD가 2008년부터 매 5년 마다 실시하는 교사, 학교장 대상의 대규모 국제조사로 2018년 조사에 48개국 참여(15천개 학교, 26만명 교사)

○ 교사의 학교 근무, 동료 교사 간 상호작용, 전문성 개발, 학교장의 정책 이행 역할 등에 대한 교사 및 학교장의 인식을 조사

◈ 조사결과 주요내용

○ (교실에서 교수학습활동) 교사들의 2/3정도가 교실 관리 및 명확한 수업 전달 위주의 교수학습활동을 함. 학생 인지역량 활성화 활동은 적은 편임 - ‘복잡한 과제 해결 절차를 학생 스스로 결정하게 한다’는 교사는 OECD 평균

45%(한국 51%), ‘문제에 대한 공동 해결책을 찾도록 학생 소그룹 활동 을 하게 한다’는 교사는 OECD 평균 50%(한국 59%)

○ (교사의 혁신적 역량) 대부분의 교사와 학교장은 학교가 혁신적 실천 역 량이 있는 곳이라고 인식하며, OECD 평균 78% 교사들이 ‘새로운 아이 디어를 적용하기 위해 서로에게 실제적 지원을 한다’에 동의

- 그러나 학생평가는 ‘학생의 과제수행 관찰 및 신속한 피드백 제공’의 전 형적 방식으로 수행하는 교사가 OECD 평균 79%(한국 61%)

○ (교사와 교실 환경) 교사 평균연령 44세(한국 43세), 학교장 평균연령 52세 (한국 59세), 교실환경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 간 관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임 - 다만, 학교장의 14%가 ‘학생들 사이 위협 또는 따돌림이 정기적으로 발 생 한다’고 응답(한국 0.4%)하였으며, 교실 내 약 1% 난민학생이 있다 고 응답한 교사 33%, 10% 이상의 이민배경 학생이 있다는 응답 17%

○ (교직 선택동기 및 교원 양성) 대부분 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는 교수 학습을 통한 학생들 발전에 기여, 사회에 기여임. 교원양성교육은 교과 내용, 교수법, 교실 실제 등을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초임교사에 대한 멘토링(OECD 평균 22%)이나 입직교육(38%)은 저조한 편임

○ (전문성 개발) 대부분의 교사와 학교장은 직전 해 1개 이상의 연수프로 그램 참여, OECD평균 76% 교사가 오프라인 강좌 및 세미나 참여, 온라인 강좌 및 세미나 참여는 36%로 낮음(한국은 오프라인 76%, 온라인 91% 참여)

◈ 정책적 시사점

○ 효과적 수업 연수와 함께 혁신적 교수법을 확산하는 전문학습공동체로 학교 운영, 다양한 학생수요를 충족시키도록 학교단위 정책과 실천력 강화

○ 학생안전에 관련되는 최근 위협에 대비할 수 있도록 교원연수를 강화하고 효과적인 학습과 학생 웰빙에 대해 학교장과 교사의 인식 제고가 중요

※ OECD가 발표한「TALIS 2018 Results (Teachers and School Leaders as Lifelong Learners)」보고서(2019.6.) 주요내용 요약

(2)

1. TALIS2018 조사 개요

□ (교사와 학교장 대상 서베이) 교수학습국제조사(TALIS)는 교사, 교장, 학교교육 환경에 대한 대규모 국제조사로서 2008년 최초 조사 이후 매 5년 마다 실시

○ 교사의 학교 근무, 동료 교사 간 상호작용, 교사 전문성 개발, 학교장의 학교정책 이행 역할, 학교장 전문성 개발 등에 대해 교사 및 학교장의 인식 조사

※ 2018년, 48개국 참여, 약 15천개 학교, 26만명의 교사 대상 조사

□ (교사의 전문성) 2018년 조사에서는 교육(teaching)에서 전문성의 수준, 교사들의 전문직에 대한 인식 등 전문성에 대해 5개 영역*

으로 구분 조사

* 5개 영역 : 교육에 요구되는 지식과 역량, 전문직으로서 특권, 경력개발 기회, 교사들간 협력 문화, 교사와 학교장의 전문적 책임감과 자율성 수준

○ 이번 보고서(1권)는 교육에 요구되는 지식과 역량에 초점을 두어 분석 : 교수법을 통한 지식과 역량 활용, 학습환경 맥락에서 교 사의 인구통계적 특성, 교실의 사회문화적 구성, 학교분위기 등

○ 아울러, 교원양성교육을 통한 지식과 역량 개발 및 지속적 전문 성 개발 방식에 대한 평가도 포함

2. 교실에서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

□ 교수학습 활동 변화

○ 교사들의 2/3 정도는 교실 관리 및 명확한 수업 전달에 초점을 둔 전통적 활동 방식을 운영. 학생 인지역량 활성화(예 : 문제해 결을 위해 학생으로 하여금 정보를 평가하고 지식을 적용하게 하 는 활동) 등의 활동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

(3)

○ 한국의 경우, 51%의 교사가 ‘복잡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절차 를 학생들이 스스로 결정하도록 한다’(OECD 평균 45%), 59%의 교사는 ‘문제나 과제에 대한 공동 해결책을 찾아내도록 학생들에 게 소그룹 활동을 하게 한다’(OECD 평균 50%)라고 응답

□ 교수학습 시간

○ OECD 평균 교사들은 일반적 수업 시간의 78%를 ‘실제 수업과

(4)

학습’에 소비함. 참가국 중 절반 정도의 국가에서 지난 5~10년간 실제 수업과 학습에 쓰이는 시간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한국 교사들은 수업 시간의 76%를 실제 수업과 학습에 소비하였 으며, 이 비중은 지난 5~10년간 비교적 안정적임

□ 학생 평가 및 교사의 혁신적 역량

○ (학생 평가) 학습과정의 중요한 부분으로 교사가 교실에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은 학습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전반 적으로 2013년에 비해 더 많은 교사들이 더 자주 학생평가를 하 고 있다고 응답

- OECD 평균 79%의 교사들은 ‘학생들이 특정 과제를 수행하는 것 을 관찰하고 신속한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전형적(routine) 방식으 로 평가(한국 61%)

- OECD 평균 77%의 교사들이 ‘나만의 평가를 실시한다’(한국 53%) 고 응답하였으며, 41%만이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과정을 스스로 평가하게 한다’고 밝힘(한국 36%)

○ (혁신적 역량) 대다수의 교사와 학교장은 동료가 변화에 개방적이 고 학교는 혁신적 실천 역량이 있는 곳으로 인식하고 있음. OECD 평균 78%의 교사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하기 위해 서로에게 실제적인 지원을 한다’에 동의

3. 교사와 교실 특성

□ 교사의 연령별 성별 특성

○ (연령) 2018년 조사에서 교사의 평균 연령은 44세(한국 43세)로 2013년 조사에 비해 많은 국가에서 교사 평균연령이 5~10세 더 고령화됨. 학교장의 평균 연령은 52세(한국 59세)이며 그 중 20%

는 60세 이상으로 나타남(한국 44%)

(5)

- 교사가 고령화된 국가들의 경우 학령 인구가 줄고 있지 않다면 신규 교사 양성 및 선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임

○ (성별) OECD 평균 교사의 68%가 여성(한국 67%), 학교장의 47%

가 여성(한국 20%)으로 나타남

□ 교실 환경

○ (교사 및 학생들 간 관계) 교실 환경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 간 관 계는 전반적으로 긍정적. OECD 평균 96%의 교사들이 ‘교사들과 학생들은 평상시 서로 잘 지낸다’에 동의(한국 94%)

- 다만, 학교장 중 14%가 ‘학생들 사이의 위협 또는 따돌림이 정기

(6)

적으로 발생하다고 응답(한국 0.4%). 많은 국가에서 이런 응답은 2013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오히려 증가한 국가도 있음(벨기에, 뉴질랜드, 핀란드, 영국, 불가리아 등)

○ (이민과 교실구성) OECD 국가에서 교사의 약 1/3정도가 교실에 1% 정도의 난민(refugees) 학생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학교에 이민배경 학생이 10% 이상이라고 응답한 교사는 17%(한국 3.2%)

○ (다문화교육) 대부분의 학교장(95%)들은 ‘교사들이 어린이나 청소 년들은 다른 문화의 사람들도 공통점이 많다는 점을 배워야 한 다’는 것에 동의할 것이라고 응답(한국 97%)

- 다문화 학생이 많은 국가들은 교육과정에 글로벌 이슈를 통합하 고 있고, 인종적 문화적 차별에 대처하는 법도 가르치고 있음

4. 교직 선택 동기와 교원 양성

□ 교직 선택

○ (첫 직업) OECD 평균 67%의 교사들이 교직을 첫 직업으로 선택 (한국 80%). 남교사는 59%, 여교사는 70%가 첫 직업으로 선택

○ (선택 동기) OECD 평균 92%의 교사들은 교직을 선택한 동기로

‘교수-학습을 통한 학생들의 발전에 기여’를(한국 89%) 88%의 교 사들은 ‘교수-학습을 통한 사회 기여’를 고려(한국 88%)

(7)

- 다만, 안정적 경력 경로(steady career path)가 선택 동기 중 하 나라고 답변한 교사는 OECD 평균 61%임

□ 교원 양성

○ (교원 양성교육) 교과내용, 교수법(pedagogy), 교실의 실제(class- room practice)에 대한 교육이 주된 내용이며, 그 다음으로 학생 행동, 교실 관리도 공통적으로 제공되고 있음. 한편, 교육에 ICT 활용(56%), 다문화 및 다언어 환경에서 교육(35%)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음

○ (입직교육) 신규 임용된 교사들이 첫 부임학교에서 공식·비공식적 입직교육(induction process)에 참여한다는 응답은 38%임

○ (멘토링) 학교장은 일반적으로 신규 교사에 대한 멘토링이 교사의 근무와 학생 성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여기고 있으나 OECD 평균 22%의 초임교사들(5년 이내 경력)에게 멘토가 배정 (한국 16%)

5. 교사와 학교장의 전문성 개발

□ 교원 연수

○ (교사의 연수 참여) 조사 참가국의 대부분의 교사와 학교장은 조 사 직전 해 적어도 1개 이상의 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했다고 보고

(8)

- 70%의 교사들은 학교 밖 연수프로그램과 세미나 참석

- 교사들은 협동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이 효과와 영향력이 크 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동료학습과 네트워킹에 기반한 연수에 참 석한다는 응답은 44%임

○ (학교장의 연수 참여) 한국은 학교장의 82%가 부임 전 ‘학교 경 영 또는 교장 연수 프로그램이나 과정’을 이수(OECD 평균 53%) 하였고 94%는 ‘수업지도성 훈련이나 과정’을 이수한 후 교장으로 부임(OECD 평균 53%)

○ (연수 프로그램) ‘오프라인 강좌 및 세미나’가 가장 인기 있는 전 문성 개발 프로그램 유형. OECD 평균 76% 교사 참여(한국 76%) - 그 밖에 44%의 교사들이 ‘학교의 공식적인 프로그램 일환으로

동료 또는 자기관찰 및 코칭’ 참여(한국 76%), 40% 교사들이 ‘교 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구성된 교사 네트워크’ 참여(한국 68%)

- OECD 평균 74%의 교사들은 교사 간 협력에 기초한 전문성 개 발이 가장 영향력이 크다고 인식하고 있음(한국 81%)

- OECD 평균 36% 교사들이 ‘온라인 강좌 및 세미나’ 참여하고 있 었으나, 한국에서는 91%로 가장 인기가 높음

○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도) OECD 평균 81%의 교사들은 전문성

(9)

개발 활동이 실제 수업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국 87%), 이러한 전문성 개발 활동에 참여하였다는 교사들은 자기효능감 (self-efficacy)과 직무만족도(job satisfaction)가 더 높은 경향

○ (전문성 개발 수요) 교사들은 심화(advanced) ICT 역량 개발, 다 문화적/다언어적 환경에서의 교육(teaching), 특별한 교육수요가 있는 학생 교육 등에서 전문성 개발이 더욱 필요하다고 인식.

- 또한, 50% 정도의 교사와 학교장은 일정 충돌, 인센티브 부족이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를 제한하고 있다고 보고 있음

6. 시사점

□ 질 높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여건 조성

○ 효과적인 수업에 대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관련 역량을 지속적 으로 개발할 수 있고 실제 수업에서 실행할 수 있는 여건 조성

○ 교사는 수업준비, 교수학습 설계 및 개선, 교사협력활동, 학생 및 학부모 면담 등에 충분한 시간을 투입하여 학생의 학습을 극대화

□ ICT의 효과적 사용 및 혁신적 교수법 확산

(10)

○ ICT 관련 교원 연수는 특정 기술적 능력의 습득이 아니라, 교과 수업 또는 교실내 활동들에 맞는 ICT의 효과적 활용 역량을 개발

○ 학교장은 학교 분위기가 혁신적 아이디어나 혁신적 교수법을 확 산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로 운영할 필요

□ 교실 및 학교에서 다양한 학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역량 제고

○ 교원양성교육 및 교원연수의 교육과정에 다문화/다언어/혼합 교 실 환경 등에서 효과적 교수전략(teaching strategies) 포함 필요

○ 학교장이 자율적으로 학교 단위의 정책과 실천을 설계 및 이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속 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 개별적 학습 수요나 역량 차이에 맞추어 모든 학생의 질 높은 학습 지원

□ 학생의 학습과 웰빙에 도움이 되는 교실 및 학교 분위기 조성

○ 학생들에 대한 모니터링 및 감독, 교사들 간 의사소통과 파트너십, 교사-학부모 회의 및 면담, 교실관리 등 ‘학교폭력(bullying)’을 근 절할 수 있는 시스템 차원 및 학교 단위의 정책들 실천

○ 학교폭력의 최근 양상 업데이트 등 학생 안전과 관련된 새로운 위협들에 대비할 수 있도록 연수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효과적 학 습과 학생 웰빙에 대해 교사와 학교장의 인식 제고

※ 작성: 김현진 참사관(원소속: 교육부), hjikim17@mofa.go.kr

참조

관련 문서

[r]

소규모 그룹지도란 종래의 교사와 학생의 1: 1개인 지도에서 벗어나 3~8명까지의 아동의 집단 원리를 바탕으로 그룹 구성원간의 협동 정신과 상호 작용을 통하여 가창

나아가 고입을 앞둔 중학교 학생들에게 미래사회 속 자신의 역할을 찾 아가는 진로 탐색 기회까지 제공함으로써, 교실 수업을 통해 교사와 학생 모두 앞에 놓인 과제를 풀

또한 이렇게 다양한 교사와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학생 주도 참여형 프로젝트가 다양해질 수 있도록 본 연구회에서 개발한 연구 결과물 이 외에

26) Charles Dempsey, Poussin and Egypt , in: Art Bulletin, Vol.. 즉 , 1650 년대의 일부 순간에 따르면 푸생 자신이 성립한 완숙도는 고전적인 또는 성서의 장면을

교육상황을 구성하는 행위자로서의 교사와 학생에 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 하고 그들 간의 상호관계를 생생하게 기술함으로써 학교 특히 교실 내에

Electronic properties of graphitic carbons Graphite is a well-known electric conductor in industry. Contacts in

∙ X라는 사고방식에 대한 지향성을 가진 교장이 운 영하는 학교의 풍토는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폐쇄 적이고, 비개인적이며, 경계적이고, 억압적이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