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업수학1]05 복소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공업수학1]05 복소수"

Copied!
1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복소수

목포해양대학교 김 용 화

개요



2차 방정식 근의 공식

 일 경우? a ac b b x c bx ax 2 4 0 2 2 − ± − = = + + 0 4 2− ac< b 4 36 2 0 5 2 2 2 − ± − = = + + x x x ? 36 = − 2

(2)

복소수



복소수 정의

 음의 제곱근을 다루기 위해 정의  실수에서는 제곱하여 음의 값을 얻을 수 없음  위에서 정의된 j를 “허수”로 정의  위와 같은 수를 “복소수 (complex number)”로 정의  “실수부 (real part)”와 “허수부 (imaginary part)”

1

2

=

j

j j 6 36 36 2 = × = − 2 3 1 4 6 2 4 36 2 0 5 2 2 2 j j x x x ± − = ± − = − ± − = = + + 3

복소수



실수 집합 R



복소수 집합 C



( )

z

a

( )

z

b

C

z

R

b

R

a

bj

a

z

=

=

+

=

Im

,

Re

,

,

( ) ( )

1

1

1

2 2 4 2 3

=

×

=

×

=

=

×

=

j

j

j

j

j

j

j

4

(3)

켤레 복소수



켤레 복소수 (complex conjugate)의 정의

 의 켤레 복소수는 

다항 방정식 P(x)=0의 모든 계수가 실수이면,

모든 복소수 해는 항상 켤레 복소수 쌍 (complex conjugate

pair)로 나온다

bj

a

z

=

+

bj

a

z

=

2 3 1 4 6 2 4 36 2 0 5 2 2 2 j j x x x ± − = ± − = − ± − = = + + 5

켤레 복소수



 , 에서 하나의 근을 가짐  다른 근은?

0

13

19

7

2 3

+

=

x

x

x

x

=

1

(

)

(

)

(

) (

)(

)

(

)

(

)

j

j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x

2

3

2

4

6

2

52

36

6

,

1

0

13

6

1

13

6

1

1

13

19

6

1

13

19

6

13

19

7

2 2 2 2 2 2 3 2 3

±

=

±

=

±

=

=

=

+

=

=

+

=

+

=

+

6

(4)

복소수 연산



두 개의 복소수가 같을 조건

 실수부가 서로 같고, 허수부가 서로 같아야 함 

덧셈과 뺄셈

 두 복소수의 덧셈은 실수부끼리 더하고 허수부끼리 더함  두 복소수의 뺄셈은 실수부끼리 빼고 허수부끼리 뺌

yj

j

x

+

6

=

3

6

3

=

=

y

x

(

) (

)

(

) (

)

(

) (

)

(

) (

)

j

j

j

j

z

z

j

j

j

j

z

z

j

z

j

z

6

1

2

4

4

3

2

4

4

3

2

7

2

4

4

3

2

4

4

3

2

4

,

4

3

2 1 2 1 2 1

=

+

=

+

=

=

+

+

+

=

+

+

=

+

+

=

=

7

복소수 연산



곱셈

 복소수에 실수를 곱하는 경우  복소수끼리 곱하는 경우

(

4 6j

)

12 18j 3 − = −

(

)(

)

( )

j

j

j

j

j

j

j

j

j

j

z

z

j

z

j

z

2

14

8

8

6

6

1

8

8

6

6

8

8

6

6

4

3

2

2

4

3

,

2

2

2 2 1 2 1

+

=

+

+

=

+

=

+

=

+

=

+

=

=

8

(5)

복소수 연산



켤레 복소수의 곱



공식

(

)(

)

13

4

6

6

9

4

6

6

9

2

3

2

3

2

3

2

=

+

+

=

+

=

+

=

=

j

j

j

j

j

j

j

z

z

j

z

(

)(

)

2 2 2 2 2

b

a

j

b

abj

baj

a

bj

a

bj

a

z

z

bj

a

z

+

=

+

=

+

=

+

=

9

복소수 연산



나눗셈

분모의 켤레복소수를 분자와 분모에 곱함

(

)(

)

(

)(

)

29 49 8 2 5 18 4 45 10 2 5 2 5 2 5 9 2 2 5 9 2 2 5 , 9 2 2 2 2 2 1 2 1 j j j j j j j j j j z z j z j z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2 2 2 2 1 1 2 2 1 2 1 2 2 2 2 2 2 1 1 2 2 1 1 2 1 2 2 2 1 1 1 , y x y x y x j y y x x jy x jy x jy x jy x jy x jy x z z jy x z jy x z + − + + = − + − + = + + = + = + = 10

(6)

복소수의 그래프 표현



복소평면 (complex plane)

 복소수 가 주어졌을 때,

 실수부를 수평축으로, 허수부를 수직축으로 좌표를 정함

 x축을 실수축 (real axis), y축을 허수축 (imaginary axis)

 그림 9.1, 그림 9.2 아르강 도표 (Argand diagram) bj a z= + j z j z j z j z 4 , 2 1 , 5 3 , 2 7 4 3 2 1 − = − − = + − = + = 11

복소수의 극 형식



직각좌표 (Cartesian coordinate)과 극좌표 (Polar

coordinate)

 그림 9.3  r : 복소수 z의 절대값 (modulus), |z|  θ: 복소수 z의 편각 (argument), arg(z)

(

θ θ

)

θ θ θ θ θ θ θ sin cos sin cos tan sin , cos sin , cos 2 2 j r jr r z b a r a b r b r a r b r a + = + = + = = = = = = 12

(7)

복소수의 극 형식



정리

 직각좌표 형식  극좌표 형식  켤레 복소수 bj a z= +

(

θ+ θ

)

= ∠θ =r j r z cos sin a b r b r a b a r z = = = + = = θ θ θ, sin , tan cos 2 2

( )

(

( )

( )

)

(

)

( )

θ θ θ θ θ θ θ − ∠ = − = ∠ = + = = − = − + − = − ∠ r bj a z r bj a z z j r j r r , sin cos sin cos 13

복소수의 극 형식



그림 9.4 그림 9.5

( )

     − ∠ = − − = = − + = − = 4 2 4 45 2 1 1 1 2 2 π π θ z or r j z 

( ) ( )

      − ∠ = − = = − + − = − − = 4 3 2 4 3 4 5 2 1 1 1 2 2 π π π θ z or r j z 14

(8)

복소수의 극 형식



극 형식에서의 곱셈

 곱셈은 두 복소수의절대값은 곱하고, 편각은 더함 

극 형식에서의 나눗셈

 나눗셈은 두 복소수의절대값은 나누고, 편각은 뺌

(

)

(

)

(

) (

)

(

) (

)

{

}

(

)

(

)

{

}

(

1 2

)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2 2 1 1 1 2 1 2 2 2 2 1 1 1 1 sin cos sin cos cos sin sin sin cos cos sin cos sin cos sin cos , sin cos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 ∠ = + + + = + + − = + + = + = + = r r j r r j r r j r j r z z j r z j r z

(

)

(

)

(

1 2

)

2 1 2 1 2 2 2 2 1 1 1

1 cos sin , cos sin

θ θ θ θ θ θ − ∠ = + = + = r r z z j r z j r z 15

벡터와 복소수



x-y 평면에서의 복소수와 벡터

 그림 9.6   그림 9.7, 그림 9.8 두 복소수의 합과 차는 평행사변형의 j z j z1=2+ , 2=1+3 16

(9)

복소수의 지수형



멱급수 전개

 실수 x 대신 복소수 z를 적용 ... ! 4 ! 2 1 cos ... ! 5 ! 3 sin ! ... ! 3 ! 2 1 4 2 5 3 0 3 2 − + − = − + − = = + + + + =

∞ = x x x x x x x n x x x x e n n x ... ! 3 ! 2 1 3 2 + + + + = z z z ez 17

복소수의 지수형



복소수 극 형식의 변형

(

)

... ! 3 ! 2 1 ... ! 3 ! 2 1 ... ! 5 ! 4 ! 3 ! 2 1 ... ! 5 ! 3 ... ! 4 ! 2 1 sin cos 3 2 3 3 2 2 5 4 3 2 5 3 4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j j j j j e j j j r j r j r z j

(

)

θ

θ

θ

j re j r z = + = cos sin 18

(10)

복소수의 지수형



지수형 (exponential form)



(

)

θ θ θ j re j r z = + = cos sin

(

)

θ θ θ θ θ θ θ θ θ j j j re j r z j e j e − − = − = − = + = sin cos sin cos , sin cos j e e e ej j j j 2 sin , 2 cos θ θ θ θ θ θ = + − = − −

( )

(

)

( )

(

)

(

)

( )

(

(ω φ)

)

φ ω ω φ ω φ φ ω + + = + + + = + = t j t j e A t f t j t e t A t f Re sin cos cos 19

드무아브르 정리



드무아부르 정리 (De Moivre’s Theorem)

(

cosθ+ jsinθ

)

n=cosnθ+ jsinnθ, n∈N

(

)

(

) (

)(

)

(

)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2 sin cos sin 2 , 2 cos sin cos 2 sin 2 cos cos sin 2 sin cos sin sin cos cos sin cos sin cos sin cos sin cos 1 sin 1 cos sin cos 2 2 2 2 2 2 2 2 1 = = − + = + − = + + + = + + = + + = + j j j j j j j j j j 20

(11)

드무아브르 정리



드무아부르 정리 (De Moivre’s Theorem)

(

θ θ

)

θ θ q p j q p

jsin p q cos sin

cos + / = +

(

)

3 sin 3 cos sin cos sin cos 1/3 3 θ θ θ θ θ θ j j j + = + = + 21

드무아브르 정리



예제

 1의 세제곱근을 찾는 것  1의 극 형식 그림 9.16 절대값은 1, 편각은 0, ±2π, ±4π, … 1 3= z

(

cos2nπ jsin2nπ

)

1 1= +

(

cosθ jsinθ

)

r z= + 22

(12)

드무아브르 정리

그림 9.17  n=0일 때  n=1일 때  n=2일 때  n>2일 때는 위의 해가 반복됨

(

θ j θ

)

nπ j nπ r

z3= 3 cos3 + sin3 =cos2 + sin2 1 , 1 3= = r R r r Z n n n → = ∈ = , 3 2 2 3θ π θ π 3 2 sin 3 2 cos nπ j nπ z= + 1 0 sin 0 cos + = = j z 2 3 2 1 3 2 sin 3 2 cos j j z= π + π =− + 2 3 2 1 3 4 sin 3 4 cos j j z= π + π =− − 23

드무아브르 정리



예제

j z2=4

(

)

(

)

(

θ θ

)

θ θ θ θ 2 sin 2 cos sin cos sin cos 2 2 2 2 j r j r z j r z + = + = + =             + +       + = π nπ j π nπ j 2 2 sin 2 2 cos 4 4

(

)

π π θ π π θ π π π π θ θ n n r r n j n j r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2 2 2 2 4 2 2 sin 2 2 cos 4 2 sin 2 cos 2 2 24

(13)

드무아브르 정리

 n=0일 때 그림 9.18  n=1일 때       + = 4 sin 4 cos 2 π j π z       + = 4 5 sin 4 5 cos 2 π j π z

(

)

(

j

)

j z j j z + − = − − = + = + = 1 2 2 2 2 2 1 2 2 2 2 2 2 1 25

드무아브르 정리



극 형식에 의한 풀이

j z2=4 θ θ 2 = 22 ∠ =r z r z 4j=4∠

(

π 2+2nπ

)

(

)

π π θ π π θ n r n r 2 2 / 2 , 4 2 2 / 4 2 2 2 + = = + ∠ = ∠ 26

(14)

드무아브르 정리



예제

θ θ θ θ θ θ 3 3 sin 4 sin 3 3 sin , cos 3 cos 4 3 cos = − = −

(

)

(

)

(

) (

)

(

)

(

)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3 3 2 3 2 3 3 3 2 3 2 3 3 2 2 3 3 2 2 3 3 sin 4 sin 3 sin sin sin 1 3 sin sin cos 3 3 sin cos 3 cos 4 cos 3 cos 3 cos cos 1 cos 3 cos sin cos 3 cos 3 cos sin sin cos 3 sin cos 3 cos sin sin cos 3 sin cos 3 cos 3 sin 3 cos sin co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 j j j j j j 27

드무아브르 정리



예제

θ θ θ θ sin 2 1 , cos 2 1 sin cos j z z z z j z = − = + + =

(

)

( )

( )

(

) (

)

(

θ θ

) (

θ θ

)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θ sin 2 sin cos sin cos 1 cos 2 sin cos sin cos 1 sin cos sin cos sin cos 1 1 1 j j j z z j j z z j j j z z = − − + = − = − + + = + − = − + − = + = = − − 28

(15)

드무아브르 정리

θ θ θ θ θ θ n j z z n z z n j n z z n j n z n n n n n n n sin 2 1 , cos 2 1 sin cos 1 sin cos = − = + − = = + = − 29

드무아브르 정리



예제

(

cos2 1

)

2 1 cos2θ = θ+

(

)

(

)

(

2cos 1

)

2 2 cos 2 1 1 2 1 cos 2 1 cos 2 2 2 2 2 2 2 2 2 − = − = + + + =       + = + = θ θ θ θ z z z z z z z z 2 12 2 cos 2 z z + = θ

(

)

2 1 2 cos cos 2 cos 1 cos 2 2 cos 2 1 cos 2 2 2 2 2 + = = − = − θ θ θ θ θ θ 30

(16)

복소평면의 궤적과 영역



원점을 중심으로 반경이 2인 원주 상의 점들

그림 9.19  절대값이 2이고 편각이 -π<θ≤π인 복소수  원의 내부는 , 원의 외부는 

제 1 사분면 안의 점들

그림 9.20  2 = z 2 < z z >2

( )

2 arg 0< z <π 31

복소평면의 궤적과 영역



예제

 인 점의 궤적  그림 9.21

( )

4 arg z =π 32

(17)

복소평면의 궤적과 영역



예제

 인 점의 궤적  그림 9.22  점 P가 점 A로부터의 거리가 3인 점들의 궤적  점 A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3인 원주상들의 점 3 2 = − z 2 − = − = = + → → → → → → z OA OP AP OP AP OA 33

복소평면의 궤적과 영역

 점 A를 원점으로 반지름이 3인 원주 상의 점들 그림 9.23  원의 내부  원의 외부 3 2 < − z 3 2 > − z

(

)

(

2

)

9 3 2 3 2 3 2 , 2 2 2 2 = + − = + − = + − = − + = y x y x jy x z jy x z 34

(18)

복소평면의 궤적과 영역



예제

 z− = z− j 인 점들의 궤적 2 1 1

(

)

(

)

(

)

(

(

)

)

(

)

(

)

9 8 3 1 3 4 3 8 3 1 3 3 4 3 0 3 2 3 8 3 1 4 1 4 1 4 1 1 1 2 1 1 2 2 2 2 2 2 2 2 2 2 2 2 2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y x y x y y x x y x y x y x y x y j x jy x jy x z 35

참조

관련 문서

As Sangmin told the story, Juwon wasn’t really listening again.. Juwon seemed to be thinking

[r]

해석 사람들은 그들이 사는 환경에 따라 자신들의 집을 짓는다?. 몽골사람들은 휴대가 쉽기

한국탄소산업진흥원 직무설명자료 05.소재부품개발사업 고속성형사업실무. ■

※ 주관연구기관의 장은 주관연구기관(주관연구책임자 포함)의 부적절한 연구비 관리 사용으로 인해 외부기관으로부터 조사, 감사, 자료요구 등의 사안이

Fitted with an integrated sideshift and tilting car- riage as standard, the uniquely designed triplex fixed mast has no central lift cylinder which, together with the

05 현대 기업상황에서 트라팔가

• 일반형-특수형-일반형 주기이론 : 소매시스템에서 우세한 소매형태가 취급하는 상품계열수의 측면에서 현대 상업시스템의 진화를 설명하는 이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