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예술교육의관점에서예술과지식의문제존듀이와넬슨굿맨을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예술교육의관점에서예술과지식의문제존듀이와넬슨굿맨을중심으로"

Copied!
3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존 듀이와 넬슨 굿맨을 중심으로 :

김 연 희*

I. 머리말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의 의의 II.

예술과 지식 존 듀이와 넬슨 굿맨

III.

프래그머티즘 1.

질적 사유와 예술기호이론 2.

VI. 맺음말

머리말 I.

이 연구는 1960년대 이후 이루어진 넬슨 굿맨(Nelson Goodman) ‘의 지식론 적 예술론

1)

과 존 듀이(John Dewey) ‘의 경험으로서의 예술론

2)

이 암묵적으로 공 유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예술과 지식의 관계에 대한 탐구이다 예술을 지식의 관.

홍익대학교 미학과 박사과정

* .

1) 이는 굿맨의 예술의 언어들 (Nelson Goodman, Languages of Art,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second edition, 1976)을 말 한다 굿맨은 이 책의 머리말 첫 문장에서 이 책은 자신의 예술에 대한 관심과 지식. 론에 대한 탐구를 결합하려는 시도라는 점을 밝히고 있다.

2) 여기서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 (1934)은 일상적 경험과 미적 경험의 연속성이 핵심인데 질적 직접성을 강조하며 활동적이고 탐색적이며 정서적 힘을 필요로 하는, 프래그머티즘의 새로운 경험의 개념은 여전히 미적 경험의 토대이다 따라서 듀이의. 미적 경험은 사유 즉 지식의 문제와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2)

점에서 바라보는 일은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지니는 작업이다 그. 리고 넬슨 굿맨과 존 듀이는 둘 다 프래그머티즘(Pragmatism)의 영향아래 교육 적 실천을 중요하게 생각했다는 점에서 예술과 지식의 문제에 있어 두 사람의 공 통점에 대한 탐구를 시도했다.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된 최초의 문제의식은 철학적 미학이론으로부터 출발한 것이 아니라 학문기초미술교육, (DBAE: Displine-Based Art Education)로부터

그리고 시각문화교육 같은 커

neo-DBAE, (VCA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리큘럼 이론이나 예술기초연구(Art-Based Research)같은 미술교육의 연구방법의 이론들이 지닌 철학적 미학적 배경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미학을 예술교. 육의 철학을 만드는 도구로 삼고자하는 필자의 관심과 필요는 최근 미술교육이론 들에 가장 중요한 철학적 토대로 언급되는 듀이와 굿맨의 미학이 이론과 실천, 사유와 행위의 이분법을 거부하고 개인이 능동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낸다고 보는 구성주의적 사고와 프래그머티즘 요소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도록 만들 었다 왜냐하면 이들 두 사람의 예술론은 매우 교묘하게 통합된 형태로 특히 아. 이스너(E. Eisner) 같은 최근의 가장 대표적인 예술교육이론가의 교육이론 속에서 재구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상 예술교육 이론과의 관계를 근거로 시작한 듀이와 굿맨의 연속성을 찾겠다는 작업은 이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라 어려움이 많았다.

3)

최근 의 인지적 접근을 주장하는 예술교육 이론에서 듀이와 굿맨이 가장 중요하게 언 3) 필자는 듀이와 굿맨의 저서들을 읽으면서 둘 사이의 연속성이 느껴지는 언급들을 많 이 발견했지만 이 글을 완성하기까지 듀이와 굿맨의 예술론의 공통점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참고자료를 발견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 글을 완성하고 난 이후 인터넷 검색. , 을 통해서 한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모톤 화이트. (Morton White)의 저서 문화철학: 총체적 프래그머티즘의 범위(2002) (Morton White, A Philosophy of Culture: The Scope of Holistic Pragmat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라는 책의 서평 (“Essays in Philosophy,” in: A Biannual Journal, Vol. 8, No. 1(January 2007), (http:// www.humbolt.edu/~essays/schrorev11.html))에서 이 서평의 필자는 화이트, 는 굿맨과 듀이 사이에 특히 예술철학에 있어서 많은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 다 는 언급을 하고 있다 . 이 글에서는 참고하지 못했지만, 모톤 화이트(Morton 의 위 저서가 듀이와 굿맨 예술론 사이의 공통점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를 White)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가져 본다.

(3)

급되는 이유는 이들은 공통적으로 이론과 실천 지식과 행위의 분리를 거부하는, 프래그머티즘 정신을 수용하여 자신의 철학을 교육적 실천으로 확장하려는 적극 적인 연구업적을 남겼기 때문일 것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존 듀이는 자신의. 철학을 교육철학으로 만들었으며 반성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와 질적 사유 라는 예술과 과학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고의 논리적 과정 (qualitative thought)

과 질성(qualitativeness)이 강조되는 총체적 사유를 주장한다 듀이가 주장하는. 활동적 탐구과정으로서의 반성적 사고는 외부에 존재하는 진리를 발견하는 지식 이 아니라 주체가 주어진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interaction)하면서 구성해 내는 의미(mearning)가 바로 지식(knowledge)이라는 구성주의 사고로 이어진다.

그리고 듀이에게 색 톤 질감 등 고유하게 질적인 대상인 그림 같은 예술의, , 경험에서도 이러한 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른 경험들과 마찬가지로 반성적 사고는 작동한다 그러한 질적 문제 상황이 순조롭고 원만하게 해결될 때 사유는. 충만한 미적 성격의 경험으로 질적 전환이 일어난다 그것이 미적 경험이다 이렇. . 게 듀이는 이론적으로 사유와 분리된 미적 경험의 영역을 분리된 단계로 설정한 다 하지만 실제로 경험이 발생하는 상황. (situation)을 고려하자면 듀이의 미적 경 험의 단계는 질적 문제해결(problem solving)로서의 사유의 과정과 완전히 분리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이 지점에서 굿맨은. 20세기 중반 인지과학의 발달에 힘입어, 비과학적으로 보이는 후반성적으로 고양된 경험 즉 분리된 미적 경험의 단계를, 부정하고 수학적 언어적 기호들, (symbols)과 마찬가지로 예술도 기호체계(symbol 로 재구성함으로써 완전한 지식론적 예술론을 만들어 내었다고 판단된다

systems) , .

이리하여 20세기 초반 프래그머티즘 경험이론으로 탄생한 듀이의 미적 사고 , 1960년대 이후 인지과학의 발전에 힘입어 구성주의 인식론과 예술론으로 재 구성되었다고 생각한다 특히 분석철학 내부에서 분석적 전통을 넘어선 구성주의. 인식론에 입각한 예술기호이론을 전개한 넬슨 굿맨은 하버드 교육대학원에서 철 학과 인지과학이 결합된 프로젝트 제로 (Project Zero)’ 작업을 시작함으로써 자신, 의 기호체계(Symbol system)이론의 인지 심리학적 버전이라 할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탄생을 선도했다 따라서 듀이와 굿맨은

(Multi-Intelligence)’ . 1960

년대 이래 나타난 학문기초미술교육으로부터 시각문화교육에 이르기까지 심리적

(4)

이든 사회문화적이든 예술 인지주의에 근거한 예술교육의 이론적 탐구에 핵심적 인 철학적 미학적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고 하겠다.

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의 의의 II.

최근 아이스너(E. Eisner)를 비롯한 많은 예술교육 연구자들은 진정한 의미 에서 예술교육이 우리의 교육 속에서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전체 교육적 커리큘럼 속에서 하나의 교과로서 예술교육의 역할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예술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가 예술교육의 정당화를 위한 핵심적 연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교육의 주요한 기여는 학생들이 지각. (perception) 통해 사유하는 능력을 키우는데 있다 따라서 우리는 예술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 를 통해 지각을 통한 사유 활동의 본성을 규명함으로써 우리가 예술로부터 무엇, 을 배울 수 있는지 그리고 예술교육이 전체 교육에서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 밝힐 수 있기 때문이다.

사유와 결합된 지각은 고대 그리스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긴 역사를 가진 다 사실상 미학사에서 예술의 인지적 기능에 관해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가. 상반되는 관점에서 예술이 지식을 준다는 입장을 표명한 이래 예술이 인지, (cognition)’

4)

의 하나라는 관점은 끊임없이 유지되어온 전통적인 입장이라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예술. (art)’의 어원이 그리스어 테 크네(techne)’라는 사실은 이런 고대적 관념을 잘 보여준다 이 관념은 고전주의.

4) 이 글에서 인식 (認識, cognition)’ ‘과 인지(認知, cognition)’를 다소 혼용하고 있는데, 구분하자면 인식 이라는 용어는 고대 이래 철학이 탐구해온 오래된 우리의 마음과 지 식에 관련된 폭넓은 철학적 개념이라면, ‘인지 라는 용어는 20세기 후반 들면서 인지 과학의 발전과 함께 탄생한 인식 에 대한 인지과학적 탐구를 염두에 둔 개념이다 따 . 라서 이 글에서 다루는 사회과학인 교육학으로서 미술교육의 이론에서 제기되는 인 식 에 대한 연구는 많은 부분 인지 과학적 탐구를 전제하고 있으므로 인지 라는 용어 를 사용하지만 이 글에서의 인지 라는 용어는 예술에 대한 일반 인식론적 차원에서, 기술할 때는 인식 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 것이다 .

(5)

라는 형태로 예술의 관념이 형성된 르네상스 이래 18세기까지 지속되었으며, 18 세기 말 낭만주의 물결이 등장하면서 최초로 커다란 타격을 입게 된 아주 오래되 고 전통적인 관념이다 따라서 예술의 본질적인 기능이나 가치가 인지적. (conitive) 이라고 보는 견해는 실은 예술의 미적(aesthetic) 발상보다 훨씬 오래된 전통이었 다 고대 이후에도 인식으로 예술을 바라보는 입장은 근대의 합리주의 계몽주의. , , 영국의 경험론, 칸트의 미학에까지 이어진다. 게트만 지페르트(Annemarie

는 인식의 방식으

Gethmann-Siefert) 로서 감성적 경험을 재구성하는 바움가르텐 을 인식론으로서의 미학을 정초한 사람으로 보며 이는 칸트의 미학과 현대의 굿, 맨의 예술언어이론에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5)

예술교육자인 시제스먼드(Siegesmund)는 이처럼 오랜 전통을 가졌다고 할 인식으로서의 예술을 이성적 지각 (reasoned perception)’이라는 용어로 재정의한 다 시제스먼드는 이성적 지각 은 합리성 속의 감각들. (the senses in rationality) 의 역사적 역할을 교정하고자 하는 주창자들에 의해 계속 주장되었으며, 20세기 에 독일의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와 아도르노(Theodore Adorno)로부터 미 국의 존 듀이(John Dewey)와 맥신 그린(Maxin Greene) 등이 합리주의 전통의 업적을 보유하면서 인식론 내에서 지식을 확장하려고 시도해 온 사람들이라고 본 다 그리고 브라우디. (Broudy)가 말하는 지적인 감정(knowledgeful feeling)’

감정적 지식 에니스 의 비형식적 논리 마르틴

(feelingful knowledge)’, (Eniss) ‘ ’,

의 감각지각을 통한 앎 리처드 로티 가 말

(Martin) ‘ ’, (Richard Rorty) 하는 세계 와의 경험적 인간관계에 대한 지식으로서의 미적 이해 (aesthetic understanding)’

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고 본다.

6)

5) Annemarie Gethmann-Siefert,Einführung in Die Ästhetik(1995),공병혜 역,『미학입 , 철학과 현실사, 1999, 2제 장 참고.

6) Siegesmund, R., “Why Do We Teach Art Today?,” in: Studies in Art Education, Vol. 39, No. 3(1998), pp. 197-214, p. 209 참고. Broudy. H. S.,The Role of Imagery in Learning, Los Angeles: The Getty Center for Education in the Arts, 1987;

Martin, J. R., “Critical Thinking for a Humane World,” in: The Generralization of Critical Thinking, ed. S. P. Norr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2; Roty, R., Contingency, Irony, and Soridar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6)

심리학의 차원에서 보자면, 20세기 전반기부터 미술에 내재된 인지활동에 대한 연구가 있었다 미술활동에서의 인지적인 특성을 밝히는 주창자들 중에는.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이 있다.

7)

그의 연구는 미술사와 심리학 그리, 고 미술교육이라는 세 학문영역을 연결시킨다 아른하임은 시각적 사고. (

Visual Thinking

, 1969)에서 지각 자체가 인지활동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사고라는 작용. 은 지각(preception) 이상의 심적 과정들의 전유물이 아니고 지각 그 자체의 핵심 요소임을 주장한다 여기서 그가 언급하는 작용들에는 능동적 탐색 선택 핵심의. , , 파악 단순화 추상 분석과 통합 완성 정정 비교 문제 해결 등은 물론 종합 분, , , , , , , , 리 맥락 안에 두기 등이 포함된다 그가 사용하는 인지적 이라는 용어는 정보의, . 수용 저장 및 처리에 관여하는 모든 정신활동 즉 감각적 지각 기억 사고 학습, , , , , 등을 의미한다 이런 용법은 일반적으로 여러 심리학자들이 감각 기관의 활동을. 인지활동에서 배제하는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는 상충되는데 아른하임, 은 이러한 상충되는 의미구별을 없애려고 한다 따라서 그는 인지적인 과 인지 라. ’ ‘ 는 용어의 의미에 지각의 개념을 포함시켜 그 뜻을 더욱 확장시킨다 이러한 맥. 락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사유(thought)를 지각활동에서 분리시킬 방도 를 찾을 수 없다 최소한 원칙적으로나마 지각에서 작용하지 않는 사고 과정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시지각은 시각적 사고이다. ”(시각적 사고, p. 37).

아이스너에 따르면 심리학의 영역에서 이러한 견해를 가진 학자는 아른하, 임만이 아니다 인지심리학의 선도자인 울릭 나이서. (Ulric Neisser)는 지각을 하나 의 인지활동으로 보았고 장 피아제, (Jean Piaget) 또한 사고과정의 인지적인 측면

7) Arnheim, R, R., Art and Visual Percep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4; Arnheim, R.,Visual Thinking(196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김정오 옮김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California, renewed, 1997; , , , 2004.

형태심리학은 예술의 인지적 기능을 주장하는 선구적 이론이다 존 듀이의 프래그머. 티즘 경험이론이나 구성주의 심리학도 모두 형태심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전통 경험. 론이 요소심리학에 기반한 것에 반하여 형태심리학에 기반한 프래그머티즘의 경험론 이나 구성주의는 예술을 인식의 영역으로 가져다주었으며 또한 미적 지각을 저급한, 인식이 아니라 중요한 인식으로 만들었다 동일한 맥락에서 형태심리학은 미술교육이. 론에도 중요한 심리학적 토대가 된다 아른하임은 시각적 사고 에서 미술교육에서. 시각적 사고의 문제를 다룬다.

(7)

과 감정적인 측면 간의 뚜렷한 차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아이스너의 연구도 인지. 활동의 개념을 의식의 모든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8)

예술의 인지적 특성은 현대의 심리학만이 아니라 철학에서도 주장된다 현. 대 미학에서 예술기호(symbol)의 구성을 통해 예술의 인지적 특성을 주장하는 대 표적인 예술이론가가 넬슨 굿맨(Nelson Goodman)이다 굿맨은 예시. (examplifica- 와 표현 을 대표적인 예술언어로 보며 예술 언어분석을 통해 세 tion)’ ‘ (expression)’ ,

계를 구성하는 예술 고유의 인지적 기능을 주장한다 굿맨은. 1960년대부터 예술 에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본래 완전한 인지 과정인 탐구과정과 예술 간의 상호, 관련성을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나는 시뿐만 아니라 회화도 읽어야 하며 미적, 경험은 정적이기보다는 역동적이라고 주장해 왔다 그것은 섬세한 구별을 하고. 미묘한 관계를 식별하고 기초체계들과 이 체계들 내의 부호들 그리고 이 부호들, , 이 지칭하고 예시하는 것을 알아내며 작품들을 해석하고 작품들에 의해 세계를, , 그리고 세계에 의해 작품들을 재조직하는 일들을 포함한다 우리 경험의 많은 부. 분과 많은 솜씨들이 의미를 갖게 되며 충돌에 의해 변형되기도 한다 미적 태도. 란 불안정적이고 탐색적이며 실험적인 것으로 태도라기보다는 오히려 행위이다 . 즉 창조와 재창조이다”(언어, 241).

9)

이처럼 미적 경험이 수동적이지 않고 활 동적이며 탐색적이고 실험적인 행위라는 관점은 굿맨의 예술인지주의에 핵심적 아이디어이다 이렇게 미적 태도는 활동적이고 탐색적인 태도이며 정서도 인지적. 으로 기능한다고 간주하는 것은 프래그머티즘의 새로운 경험의 개념을 계승한 것 이라 할 수 있다.

8) E. Eisner, The Arts and the Creation of Mind(2002), 강현석 김혜숙 박승배 손민, , , 호 이은적 이자현 역, , ,예술교육론 미술교과의 재발견 , 아카데미프레스, 2007, p.

44 참고. Ulic Neiser, Cognition and Reality, San Francisco: W. H. Freeman, 1976;

Jean Pieget, T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New York: Basic Books, 1954; E. Eisner, Cognition and Curriculum Reconsidered,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4.

9) Nelson Goodman, Languages of Art, An Approach to a Theory of Symbols, 이후 언어 로 표기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second edition, 1976, p. 241. . (번역본으로 김혜숙 김혜련 역, ,예술의 언어들(이화여대 출판부, 2002)을 참고 하였고 원본 대조하여 부분적으로 본인이 수정하였다, .)

(8)

분석철학 내의 굿맨이나 단토 같은 이는 바로 분석철학의 토대론적 전제나 구분들 예컨대 원자론적 검증이라는 전제나 분석적 종합적 범주 내용 세계 세, , - , - , - 계기술 등의 구별들을 훼손시키면서 탈근대적 유럽적 담론과 만나고 있는 대표적 인 철학자이다.

10)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을 수용하여 이성의 재구성 을 시도하는 구성주의 인식론자인 굿맨은 사실상 엄밀히 보자면 분석철학의 전통을 벗어나 있 .

11)

이렇게 프래그머티즘은 분석철학의 단호한 자기비판과 유럽 대륙의 이론의 호소력에 호응하면서 미국철학의 부흥을 꿈꾸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앞서 분석. 미학 내에서 분석미학의 한계를 넘어서는 넬슨 굿맨은 듀이가 앞서 그토록 강하 게 주장했듯이 예술도 과학과 마찬가지의 인지적 능력을 지닌다는 주장을 정교한 인지주의 예술론으로 표명하였다.

나아가 굿맨은 그의 예술기호론을 기반으로 예술교육의 기능을 재정립하면 서 프로젝트 제로 (Project Zero)’ 작업을 통해 예술에 대해 철학과 인지과학과의 통합연구를 선도했다 예술교육자들에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모든 유익한 예. 술 활동은 정교하고 세련된 사고형태를 요구한다는 사실에 대한 정당화이다 이. 렇게 예술이 인지(cognition)의 차원에서 과학적이고 분석적 엄밀성을 가지고 다 시 탐구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부터이다.

12)

이때부터 예술교육 커리큘럼 이론

10) Richard Shusterman, 프라그마티스트 미학, 김광명 김진엽 역, , 2002, pp. 4-6

11) R., Shusterman, “Analytic Aesthetics: Retrospect and Prospect,” in: Contemporary Philosophy of Art, Readings in Analytic Aesthetics, ed. John W. Bender, H. Gene 참고 분석적인 계획에서 모든 이성적 재구 Blocker, Prentice Hall, Inc. 1993, p. 11 . “

성을 배제시킨다면 비록 굿맨의 미학이 분석적인 경향의 예술철학에, 20년간 영향을 미쳤더라도 굿맨의 미학을 분석적이라고 분류하기 어렵게 된다, .”

12) 이 글의 주제가 되는 1960년대 이래의 미술교육 이론에서 논의되는 예술에 대한 인지 적 접근은 20세기 후반 심리학과 철학에서의 인지과학이라는 인지적 혁명과 맞닿아 있다 즉. , “인간의 마음(mind)과 컴퓨터의 인지(cognition)현상에 대한 탐구를 목표로 하는 인지과학은1950년대를 기점으로 태동하기 시작하여 1970년대 중반에 비교적 뚜 렷한 모습을 갖추어 부상한 다 학문적 종합과학이다 현재 인지 과학에는 심리학 인. , 공지능학 신경과학 언어학 인류학 철학 등이 참여하여 활발히 공동연구가 이루어, , , , , 지고 있다 인지 과학의 한 핵심적 개념은 컴퓨터의 발전과 더불어 부각되기 시작한. 정보처리 개념이다 그러나 이 개념을 더욱 중요하게 만드는 것은 컴퓨터뿐만 아니라.

(9)

도 자아 표현 으로부터 학문 기초 로 변모하기 시작했고 - 1980년대에 DBAE라는 명칭으로 확고히 자리를 잡았다 존 듀이 넬슨 굿맨 그리고 그들에게 영향을 받. , , 은 예술교육자 아이스너 등은 예술 활동은 사고의 복잡하고 미묘한 형태를 발달 시킨다고 강력하게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예술은 사고의 복잡한. 형태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아이스너는 예술은 추상적이라기보. 다 구체적인 것 지적이기보다는 정서적인 것 머리보다는 손에 의한 작업 현실적, , , 이고 실용적이기보다는 상상적인 것 일보다는 손에 의한 작업 일보다는 유희로, , 여겨졌다 그러나 질적 관련성에 주목하고 상상에 의해 가능성을 탐색하고 작품. , , 의 은유적 의미를 해석하고 그리고 작품 활동 중에 나타나는 예기치 못한 기회, 를 활용하는 이러한 예술 활동은 사고의 복잡한 인지 형태를 요구하는 것

13)

이라 는 점을 강조한다.

일견 예술교육을 정당화하기 위한 논변으로서 분석철학적 전통에 있는 넬슨 굿맨의 인지주의 예술론을 언급하면서 동시에 존 듀이의 경험 으로서의 예술론을 고려하는 것은 지금까지 프래그머티즘에 대해 상식적으로 알려진 바에 따르면 모 순적으로 비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분석철학적 전통은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이. 지닌 전체주의나 반토대주의 같은 헤겔적 주제에 대한 반감에서 시작되었기 때문 이다 이미. 50년대에는 프래그머티즘 미학은 분석적 예술철학에 의해 완전히 쇠퇴 해 버렸고 그 이후 줄곧 분석미학은 영미미학의 유일한 전통이 되어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이성을 재구성 하는 시도로서 모호한 예술의 성질들

을 예술적 기호 체계 로 지식 을 이해

(qualities)’ (symbol systems)’ , ‘ (knowledge)’ ‘ 로 재구성하면서 전통 분석미학으로부터 일탈을 시도한 넬슨 굿 (understanding)’

맨의 예술언어이론과 구성주의 인식론은 존 듀이의 경험으로서의 예술론과 질적 사유의 논리와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 공통점의 진원지는 두 사람의 사. 유 속에 스며들어 있는 프래그머티즘 이다 프래그머티즘의 방법을 수용한 철학자 . 들이 흔히 실천으로서의 교육에 주목하듯이 존 듀이와 넬슨 굿맨의 예술론은 최,

인간의 마음도 정보처리체계라는 아이디어로 이 아이디어가 인지과학의 탄생에 토대, 역할을 하였다 김영정”( , 심리학과 인지과학, 철학과 현실사, 1996, p. 65 참고).

13) E. Eisner, 앞의 글, p. 44.

(10)

근 예술교육이론에 가장 중요한 철학적 배경을 제공해 주고 있다는 점이 필자가 두 사람 사이의 관계에 주목하게 된 일차적 이유이기도 하다.

14)

두 사람 사이의 기본적 사유의 공통점과 구체적 변별점을 예술 과 지식 의 ’ ‘ 문제를 둘러싼 몇 가지 특성들로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존 듀이와 넬슨 굿맨 사이의 첫 번째 공통점은 프래그머티즘의 논리를 공유한다는 점이다 전통. 철학의 이분법을 넘어서려는 프래그머티즘은 문화적 다원주의나 철학적 상대주의 와 같은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공유한다 그리고. (2) 진화생물학과 실험과학 형태, 심리학 등의 영향으로 형성된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으로부터 나온 도구주의 지 식론과 자연주의 경험이론은 지식의 형성주체로서의 개인을 지식의 구성에 능동 적인 참여자로 끌어들이는 구성주의 인식론과 공통점을 가진다는 점이다 넬슨. 굿맨의 구성주의 인식론은 그런 점에서 존 듀이의 지식론과 연계된다 보다 구체. 적으로 (3) 존 듀이의 질적 사유 에 대한 강조는 듀이 미학의 기초를 이루는데 , 이러한 사유의 충만성과 질성을 강조한 질적 사유의 논리와 총체적 지식 이론은 굿맨의 이해 의 인식론으로 재구성된다고 할 (knowledge)’ (understanding)’

수 있다. (4) 여기서 듀이와 굿맨의 차이는 듀이가 미적 경험을 언제나 탐구과정, 으로서의 사유와 그 완성으로서 삶을 고양시키는 미적인 경험을 분리하는 데 반

14) 미술교육의 주요 이론서들을 살펴보면, 1960년대 이래 예술교육에 대한 인지적 접근방 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발휘하는 이론가들은 피아제와 비고츠키 브루너 같은 구성주의, 심리학자들과 넬슨 굿맨의 기호체계이론과 구성주의 인식론 그리고 굿맨을 이어받아, 다중지능이론을 주장한 하워드 가드너 같은 사람들임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심. 리학과 철학에서 구성주의 맥락에 있는 사람들이다 교육적 담론에서 구성주의는. 60 년대 이래 가장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이론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특히 아이. 스너가 ABR(Art-Based Research)논의에서 그러하듯이 예술의 인지적 차원에서 노골 적으로 존 듀이의 영향을 언급하고 있다 아이스너의 주장 속에는 굿맨과 듀이의 주. 장은 절묘하게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여기에서도 예술에 관하여 철학. 하는 방법은 달랐지만 그 정신은 일치하는 두 사람을 본다 이는 두 사람이 이성 의. 재구성이라는 프래그머티즘의 사유를 공유하기 때문이다 두 사람사이의 이론적 관계. 에 관한 연구는 선행연구를 찾아보기 힘들어 필자 스스로 거대한 체계를 가진 두 미 학자 사이의 관계를 찾아가는 작업이 쉽지 않았지만 대단히 보람 있는 작업이라고 생 각한다 그런 이유로 이 연구는 연구의 첫 걸음이라고 생각하고 두 사람 사이의 관계. 에 대해 그동안 필자가 탐구한 바를 정리해 보겠다.

(11)

하여 굿맨은 듀이가 분리해 놓은 두 단계를 하나로 즉 예술의 성질을 기호화하, , 여 인지 과정 속에 통합시켜 완전한 예술 인지주의를 이룩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듀이가 과학자는 지배적으로 기호, (symbol)를 통한 사유를 하는데 반해 예, 술가는 규정할 수 없는 성질 (quality)’을 통한 사유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굿. 맨은 듀이에게서는 예술작품에서 지배적인 성질들 이라고 규정한 것을 예시 나, 표현 같은 예술적 기호들로서 재구성하면서 듀이가 말하는 질적 사유를 예술기

,

호이론으로 전환함으로써 미적 경험도 완전한 인지적 경험으로 만들어 놓는다는 점이다 이 점이 양자 사이 관계의 핵심이다. .

듀이는 거칠지만 열정적으로 지식의 가변성과 예술적 경험과 정서가 가진 인지능력과 일상적 삶과 미적 경험의 연속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20세기 중반 이래 더욱 과학적으로 발전해간 인식론이나 인지 심리학은 굿맨의 인식론을 통해 우리의 인식과 진리는 그렇게 투명하게 분석되거나 증명될 수 없으며 예술뿐만, 아니라 과학에서도 정서와 인지의 극단적인 구별을 거부하면서 사유하는 지각, 미적 사유나 질적 사유를 필수적인 사유방식으로서 재개념화하도록 만들었다 따. 라서 우리는 듀이의 미적 경험 엄밀하게는 실험과학적 지식론이나 진화생물학적( 심리학 같은 19세기 말의 철학적 경향에 속한 프래그머티즘이 전통적 경험주의를 넘어서 탄생시킨 새로운 경험 개념 에 내포되어 있는 예술의 인지 기능을 굿맨과) 의 비교를 통해 새롭게 지식의 재구성이라는 차원에서의 탐구함으로써 예술 경, 험이 주는 지각적 미적 지식의 중요성을 선도한 존 듀이의 면모를 새롭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술과 지식

II. - 존 듀이와 넬슨 굿맨

프래그머티즘 1.

프래그머티즘의 의의 1)

질적 사유를 강조하고 지각을 통해 지식과 행위와 정서가 결합된 통합적 지

(12)

식을 추구하는 듀이의 철학의 의의는 프래그머티즘 방법(pragmatic method)

15)

로부터 연유한 것이며 미적 인식 지각적 지식을 화두로 삼아온 미학적 탐구와, 맞닿아 있다 정순복은 듀이는 무엇보다도 경험 본유적 특성으로서 경험의 실천. 적 국면(practical aspect)’의 효용성을 탐구하는 과정 중에 경험의 질적 직접성 과 그 유기적 조화 를 탐구하는 그 특유의 미학을 체계화 (qualitative immediacy)’

하였으며 그러한 프래그머티즘으로부터 현대철학의 근본문제를 해명하는 포스트, 모더니티(post-modernities)의 단서를 지니게 된 것 으로 해석하고 있다 .

16)

세기의 진화 생물학 실험과학 형태 심리학 생리학 등의 영향을 받아 형

19 , , ,

성된 프래그머티즘은 20세기 중반부터 논리실증주의에서 출발한 분석철학의 흐름 에 밀려 철저히 무시되었던 철학이다 하지만 프래그머티즘은 점차 새롭게 발전. 해간 미국적 분석철학 내부의 사유에도 강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슈스터만.

에 따르면 프래그머티즘은 년대 이후 콰인 굿맨

(Shusterman) , 1960 (W. V. Quine),

데이빗슨 과 같은 분석철학자들이 토대주의

(Nelson Goodman), (D. Davidson)

적 전제나 구분들을 해체시키면서 해석학 후기구조주의 그리고

(foundationalism) ,

마르크스주의와도 같은 대륙적 주제들에 다가가는 맥락들과 맞물려 있다 그 결. 1980년대 리차드 로티(Richard Roty)의 네오프래그머티즘(neo-pragmatism) 론에 이르러 유럽의 해체주의적 흐름과 만나면서 최근 포스트모더니티를 지닌 철 학의 미국적 원형으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알렉산더. (T. M. Alexander)에 따 르면 리차드 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 (1979) 3과 년 뒤의 프래그머티즘의

15) W. James, Pragmatism, The Works of Pragmatism(1907), Harvard University

프래그마틱한 방법 은 일차적으로 달리는 끝나

Press, 1975, p. 28. “ (pragmatic method)

지 않는 형이상학적 논쟁을 매듭짓는 방법이다 세계가 일인가 다인가. ?-운명지어졌 는가 자유로운가, ?- 여기에는 그것들 중 어느 것도 세계에 대해 맞을 수도 맞지 않 을 수도 있는 관념들이 있고 그런 관념들에 대한 논쟁은 끝없이 계속된다 그런 경우, . 들에서 프래그머틱한 방법은 각 관념을 그것의 실제적 귀결들을 추적함으로써 해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만일 저 관념이 아니라 이 관념이 참이라면 실제적으로 무슨 차이. 가 생기는가 만일 아무런 실제적 차이도 추적될 수 없다면 그 대안들은 실제적으로? , 같은 것을 의미하고 모든 논쟁은 한가한 것이다, .”

16) 정순복 존 듀이 미학의 방법론적 특성과 포스트모더니티, 」 『, 미학43 (2005), pp. 209-210.

(13)

결과들(1982)이 출간된 이래로 듀이의 이름은 비트겐슈타인 하이데거와 함께 토, 대주의에 대항하는 십자군으로 간주되었으며 이 사상가들은 반본질주의, (anti-

반체계주의 반데카르트주의적인

essentialist), (anti-systematic), (anti-Cartesian) 것을 성립시킨 사람들로 인정되었다.

17)

듀이가 가진 포스트모던적 함의는 그의 트랜스액션 (transaction)’ 개념을 중 심으로 전개되는데 듀이의 프래그머티즘은, “ 1900년 경 문화적 다원주의와 정치적 진보주의 순수과학과 과학적 탐구 논리에 대한 매혹 무작위적 불규칙성과 불확, , 실성에 대처하는 수단으로서의 확률이론의 발전 문화에 대한 역사주의 접근 방, 식의 확산 다윈의 진화론에 대한 급속한 동화 현대 물리학적 성과와 맞물린 불, , 확정성의 원리에 대한 점증되는 인식 및 제도적 권위에 대한 에머슨적인 의심 등 이 강조되는 맥락 가운데 성숙했다

18)

고 볼 수 있다.

미국 철학에서 프래그머티즘의 의미는 대단히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역사적. 맥락 속에서 사용되는 프래그머티즘이라는 용어의 다중적 의미를 정리하고 있는 러브조이(A. O. Lovejoy)에 따르면 첫째 프래그머티즘은 다원주의적 경험주의, , 의 특성을 지니는 그룹을 지칭하고 둘째 고정된 관점이 (pluralistic empiricism) , ,

아니라 변화하는 시간적 관점(temporalistic view)을 존재의 문제에 투입시키고 있는 그룹을 지칭한다 그리고 셋째 그것은 절대주의적이거나 비연관주의적인 관. , 념을 떨쳐버리고 모든 철학의 문제들에 대해 상대주의적이거나 연관주의적 관념 과 맞물리는 패러다임을 지닌 그룹을 지 (relativistic or contextualistic conception)

칭한다는 것이고 넷째 개연주의적 관점, , (probabilistic view)에서 보다 경험적인 탐구태도를 지닌 그룹을 지칭하고 다섯째 세속적이고도 민주적인 개인주의에 기, , 초하고 있는 철학 그룹을 지칭하는 것으로 정리된다.

19)

17) Richard Roty, Consequences of Pragmatism, The Harvester Press, 1982, xviii 리 Thomas Alexander, John Dewey’s Theory of Art, Experience, and Nature, The Horizons of Feeling,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7, xi 참고. 18) 정순복 존 듀이의 철학에서 자연과 트랜스 액션 의 문제, 」 『, 미학20 (1995), pp.

311-340 참고.

19) A. O. Lovejoy(1908),Journal of Philosophy5, pp. 36-39; 정순복 앞의 글, , 2005, pp.

216-217 재인용.

(14)

정서의 인지적 기능과 이해 2)

프래그머티즘의 방법(pragmatic method)에 따르면 지식 은 행위 로서 검증, ‘ ’ ‘ 되어야하며 이전에 축적된 지식들을 현재의 문제 상황에 끌어와서 상호작용할, 수 있을 때만 새로운 의미를 발생시킨다 그 의미가 바로 지식이며 지식은 환경. , 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연쇄적으로 일어난다 유기체가 당면한 불확정적 사태들을. 문제 상황으로 속으로 끌어내는 근원적인 힘에 해당하는 충동과 이러한 반성적, 상호작용 과정에서 모든 요소들을 통합시켜주는 힘이 바로 정서 (emotion)’이다. 듀이에게 정서는 운동하고 응결하는 힘이다 정서는 동질적인 것을 선택하고 선 . 택한 것을 자기의 색으로 물들이며 이를 통해 외적으로는 개별적이고 이질적인, 사물들에 성질상의 통일성을 부여한다”(예술, p. 42).

20)

그리고 듀이에게 지식은 정서적인 느낌으로 충만한 지각적 지식 이다 듀이 . 의 설명에 따르면, “지각(perception) 유기체의 전신을 통해 확장해 나간다 그리. 고 지각된 대상이나 장면은 정서적으로 철저히 침투된다 야기된 정서가 지각되. 거나 사유된 내용을 침범하지 않는다면 그 정서는 예비적인 것이거나 병적인 것 이다”(예술, p. 53). 이처럼 듀이에게 지각 (Perception)’ ‘과 인식(cognition)’ 연결시켜주는 것이 정서 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굿맨의 말처럼 . , “이해

가 감정과 함께 부여되는 것 언어

(understanding) ”( , p. 248)

21)

이라고 할 수 있 .

22)

따라서 듀이가 추구하는 지식의 통합 은 정서 적인 힘 ’ ‘ 으로 시작 충동 되(“ ”) 20) Dewey, John,, Art as Experience(1934), New York: Minton, Balch & Company,

1964, p. 42 (예술 로 표기 )

21) Nelson Goodman, Language of Art, An Approch to a Theory of Symbols, second 언어 로 표기

edition,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76. p. 248( ).

22) Israel Scheffler, “In Praise of the Cognitive Emotion,” in: Inquires, Hackett 황유경 넬슨 굿맨의 예술기호론 서울대박사학위논 Publishing Co., 1986, p. 347; , ,

, 1993, p. 117.정서의 인지적 기능에 대해서는 듀이 굿맨뿐만 아니라 쉐플러, (Israel 도 유사한 주장을 한다 그는 인지적 기능이 인지적 기능이 어떻게 여러 정

Scheffler) .

서적 요소를 채용하고 통합시키는가를 보여준다 진리에 대한 사랑이나 거짓말에 대. 한 혐오 같은 합리적 열정(rational passion)이 인간 활동으로서의 과학을 유지시켜주 는가 하면, “대담 기상 사색적 과감 과 같은 이론적 상상력 이 과학적 방법을 불모, , 가 되지 않도록 해준다 그리고 보다 좁게는 우리가 위험의 독립된 증거를 갖지 않을. 때에도 위험 출현의 고지의 단서가 공포의 감정 같은 예민한 느낌(perceptive

(15)

고 완성 하나의 경험 되는 것이다 이렇게 듀이에게 정서와 느낌은 지식의 구성에(“ ”) .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듀이에게 정서는 단순히 주관적 감정에 머물지 않고 자 연적 환경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인지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프래그머티즘은 정서를 인지적 활동으로 만들어 놓는다.

굿맨에 앞서 듀이는 미적 경험이든 일상적 경험이든 모든 경험은 사유와 정 서와 행위가 지각 속에 통합된 경험이며 그러한 경험은 언제나 의미를 창출하는 반성적 경험과 동시에 일어나며 따라서 문제 상황에 맞닥뜨렸을 때 상황을 총체, 적으로 파악하고 분별하고 방향을 정하고 몰아가는 힘으로 작용하는 정서는 중요 하게 인식적 기능을 수행한다고 주장했다 이것이 제임스로부터 듀이로 이어지는. 전통적 경험주의를 넘어서는 프래그머티즘의 경험론이다 따라서 프래그머티즘의. 영향은 정서를 인지적인 것으로 만든다 이렇게 우리의 경험에서 정서가 개입하. 지 않으면 인식적 경험도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은 듀이와 굿맨이 공유하는 관점이 라 할 수 있다.

정서가 인지적 활동 이라는 사실은 듀이의 미학을 세기 이래 형성된 무관

18

심적 관조의 태도로부터 발생하는 순수한 미적 즐거움으로서 미적 경험을 주장하 는 전통적 미학으로부터 과감히 벗어나게 만든다 듀이의 미적 경험론은 인지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를 함축하고 순수예술과 도구적 예술 응용예술 의 분리를 거( ) 부함으로써 예술의 도구적 유용성 다시 미학 속으로 가져다 놓은 대단히 독창적 인 미학이 된다 이것이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중요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프래그. . 머티즘의 논리는 1960년대 이후 프래그머티즘 영향권의 분석철학자이며 구성주의 인식론자인 넬슨 굿맨이 전통적 분석방법을 벗어나 예술기호이론으로서 예술적 이성을 재구성하는 예술인지주의에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이와 같이 정서의 인식론적 의의를 밝히는 것은 굿맨의 인식론이 지식 이 아니라 이해 의 개념을 채용하여 미학을 인식론의 영역으로 가져오는 것과 동일 한 맥락이다 굿맨과 엘긴은 재개념. (Reconceptions)철학 그리고 다른 예술과 과학에 있어서(1988)

23)

을 통해 다분히 프래그머티즘적인 방법으로 지식 을 이 ’ ‘

이 있다고 주장한다 feelings)” .

23) Goodman N. and Catherine Z., Reconceptions in Philosophy and Other Arts and

(16)

(understanding)’로 재개념화한다 황유경에 따르면 굿맨과 엘긴은 인식론이 예. , 술을 수용해야 한다고 보는데 예술도 같은 인지적 기여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 예술은 과학과 대등하게 수용되어야 하며 예술철학은 형이상학과 인식론의 불가 결한 부분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는 것이다 이렇게 지식 이 이해 로 받아들여지면 . ’ ‘ 인지적 우수성 의 문제 즉 인식적 가치 관심 목표에 대한 탐구가 중요해진다

, , , .

즉 가치 규칙 방법 회화 음악 등이 사고체계의 유지가능성에 포함되며 이해에, , , , 기여하므로 인식적 평가의 올바른 주제가 된다는 것이다.

24)

나아가 굿맨과 엘긴은 이해 의 증진은 인지적 진보, (cognitive progress) 함축한다고 본다 즉 새로운 사실을 배우고 지식을 축적한다고 할 때 그 사실의. , 발견이 놀랍지도 않고 유익한 결과를 일으키지도 않는 다면 그 새로운 사실은 ’ ‘ , 우리의 이해증진에 기여하는 바가 없다는 것이다 나아가 인지적 진보란 언제나. 새로운 것을 배우는 문제도 아니다 엘긴은 어느 영역을 다른 종류의 견지에서. 재조직하는 것 그 영역의 지금까지 무시된 국면을 강조하는 것 그 영역에 대한, , 새로운 접근을 개발하고 전개하는 것 그 영역에 관련하여 새로운 도전을 두려는, 것이 이해를 향상시키는 방식에 속한다 그리고 인지적 진보는 종종 재구성 지.” 금까지 간과되거나 충분히 강조되지 않은 특징 패턴 기회 방책이 드러나기 위한, , , 어느 영역의 재조직 에 있다

25)

고 말한다 이처럼 지식에서 이해로의 이행은 과. 학을 보다 정당하게 다루고 예술을 포함하는 인식론을 구축하려는 시도가 된다. 여기에서 정서 예시 허구 은유가 세계의 이해증진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굿맨, , , 의 전략은 이들이 이전에는 구하지 못했고 간과했을지도 모르는 세계에 대한 통 찰을 준다는 것이다 이처럼 과학과 예술은 나란히 진행한다는 것이 굿맨의 주장. 이다 이처럼 정서의 인지적 기능이나 이해의 증진과 인지적 진보라는 관념은 명. 백하게 프래그머티즘의 논리이며 듀이의 탐구의 논리를 떠올리게 한다 그런 점. 에서 예술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듀이가 전개하는 질적 사유의 논리를 품고, 있는 경험으로서의 예술론과 굿맨의 인지주의 예술론 연속성을 가정하는 것은 무

Sciences, Indianapolis: Hackett, 1988.재개념 으로 표기 .

24) 황유경 지식으로부터 이해로의 이행, (I) ,」 『미학 제 42 (2005), pp. 248-251 참고 25) Elgin, “Art in the Advancement of Understanding,” in: American Philosophical

Quarterly, No. 39(2002), p. 1, p. 3.; 황유경 위의 글, (2005), p. 253 재인용.

(17)

리가 없다고 본다.

3) 구성주의

사회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의 분과학문영역에 속하는 예술교육학은 심리학과 철학의 기반을 필요로 한다 자신의 철학을 교육철학으로 정립한 듀이는 심리학. 과 철학 모두에 있어 구성주의적 사고를 선도했다 우선 심리학의 차원에서 구성. , 주의는 심리학에서 행동주의 심리학으로부터 인지심리학으로의 이행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구성주의적 관점의 등장이라는 배경을 가지고 있다

26)

. 그리고 듀이의 인식론과 미적 경험이론은 철학적 심리학에 속하는 문제들을 다루고 있으며 이, 는 이후 등장한 구성주의 심리학의 선구적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구성주의는. 학습자가 스스로 지식을 형성 혹은 구성한다고 주장하는 심리학적 및 철학적 관 점이다 이에 따르면 지식이란 개체와 별개로 존재하는 객관적이고 외적인 실재. 가 아니라 능동적인 구성의 산물이다 구성주의는 개체와 상황의 상호작용을 강. 조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구성주의는 환경이 개체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하는. 행동주의와 대비되며 학습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학습이 개체의 정신 내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하는 정보처리 이론과도 대비된다 구성주의는 개체 환경 행동. , , 이 상호작용한다고 가정하는 사회적 인지이론과 견해를 같이한다 구성주의는 개. 인이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노력할 때 유의미한 학습이 이루어진다고 전제한다 이와 같은 구성주의의 견해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듀. 이 피아제 비고츠키 브루너와 같은 학자들이 지속적으로 주장해 온 견해이다, , , .

27)

구성주의는 워낙 다양한 가지를 가지고 있어서 하나로 규정하기는 힘들지 만 듀이는 통상 비고츠키류의 사회적 구성주의에 가까운 것으로 해석된다 타일, . (J. E. Tiles)에 따르면 듀이가 제시한 새로운 심리학, (New Psychology)’은 생 리학적 심리학을 위한 새로운 실험적 테크닉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과학을 평가하는 도구를 포함하고 언어 민속학과 신화 원시적 문화 사, , , 회적 관습 실제적 도덕성 윤리적 이념들 정부와 국가를 연구할 필요가 있음을, , , 26) A. E. Woolfolk, 김아영 외 역, 교육심리학, 박학사, 1997, pp. 256-302 참고. 27)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p. 266.

(18)

주장한다 즉 듀이에게 가장 광범위한 측면에서 역사는 심리학적 문제 그 자체. , 가 된다 는 것이다 .

28)

이렇게 구성주의적 사고가 존 듀이를 비롯하여 심리학에서는 피아제 비고, , 츠키 브루너의 심리학 넬슨 굿맨의 철학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많은 연구자, , 들이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듀이로부터 굿맨으로 이어지는 구성주의적 사고를. 추적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구체적으로 주체가 어떤 상황에서 환경과. , 상호작용하면서 의미 즉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설명하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 과정은 곧 의미와 지식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는 구성주의적 사고의 선구적 사례라 할 것이다 구성주의에 대해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는 맥신 그린. 은 존 듀이가 대부분의 생애를 교육철학에 바쳤지만 그는 구성

(Maxine Greene)

주의와 관련된 사고를 발달시킨 심리학자 라고 말하며 존 듀이의 철학 속에서 구 성주의의 원형을 찾아낼 수 있다고 본다.

29)

구성주의 연구의 강점은 진리의 발견 이나 발굴이 아니라 의미를 만들어가는 데 있다는 점이며 듀이는 바로 그러한 사 고방식을 제안했다는 것이다 그는 듀이의 철학은 우리에게 알아야 할 것을 요구. 하는 사고이다 그것은 반응적인 태도이며 가능한 것에 대한 개념이지 성취된 사. 실에 대한 기록이 아니다”(John Dewey, 1916)라는 말을 인용하면서 구성주의와 존 듀이의 사고를 연결시킨다 울포크 역시 구성주의 관점이 존 듀이의 교육철학. 을 위시하여 피아제 비고츠키 게슈탈트 학파 심리학 바틀렛, , , (Bartllett), 브루너

등의 연구에 뿌리를 두고 있다

(Bruner)

30)

고 말한다.

철학의 흐름 속에서 굿맨의 예술론과 인식론은 네오프래그머티즘의 한 양태 로 분류된다.

31)

물론 분석철학자인 굿맨의 프래그머티즘은 분석적 방법을 통해 28) J. E. Tiles, Dewey, The Argument of the Philosopher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88, p. 31 참고.

29) Maxine Greene, Catherine Twomey Fosnot 외 공저 조부경 외 공역, ,구성주의 : 론 관점 그리고 실제, , , 양서원, 2001, p. 185

30) A. E. Woolfolk, 앞의 글, p. 303.

31) 2005년에 발간된 프래그머티즘 엔솔로지 전집인 Pragmatism, Critical Conceps in Philosophy(ed. Russell B. Goodman, Routledge, 2005) Vol. IV 에는 네오프래그머티 즘 으로서 넬슨 굿맨 힐러리 퍼트남 리차드 로티 번스타인 하버마스 스텐리 카벨 , , , , , 등의 글을 소개하고 있다 여기서 첫 번째로 실린 글이 넬슨 굿맨의. “Word, works,

참조

관련 문서

이렇게 부엌 과 안방이 같이 남향으로 일렬로 늘어서고 큰 대청이 동서로 면하게 ㄱ자로 꺾인 것은 개성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

premium) : 앞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위험기피적 소비자는 불확실성이 있는 기대상금 800원의 복권에 대해 최대한 지불할 수 있는 가격은

그러므로 이와 같이 형 변홖 (type casting) 연산자를 사용하여 드러 나게 형을 맞추어주는 것이 좋은 프로그램 습관이다.. 이 시작 주소가

Starting the Jungyun, the Jungsayou(正思惟, right thinking), the Jungeo(正語, right speech), the Jungup(正業, right conduct), the Jungmyung(正命, right

ㅇ 사회 서비스의 지원 대상 선정시 투자 제안(investment proposals)의 과정을 통해 담당 부서의 판단만이 아니라 이해 관계자 또는 다른 당사자로부터 광범위하게

이렇듯 일상 속에서 자주 볼 수 있지만 쉽게 버려지거나 쉽게 구할 수 있는 것들에 게 새로운 가치를 심어주어 환경을 보호하는 측면에서의 제품 개발 계획 즉 사회적

이와 같은 cover 의 명사로서 혹은 동사로서 의미 확장은 Langacker 와 Lakoff 가 제 시하는 인지 기제로서 관습적 지식 은유 환유의 쓰임 여부에 따라 원형적 의미와 ,

Fig. 4-13에 역류제트 분사압력에 따른 콘의 온도변화를 나타내었다. 유동장의 전압력인   보다 작은 역류분사 압력으로도 냉각효과를 나타는 것은 그림에서 나타난 것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