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5.4.1.부산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김기왕融融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015.4.1.부산대학교한의학전문대학원김기왕融融融"

Copied!
2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15.4.1.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김 기 왕

(2)
(3)

13:46

2

간은 눈에 개규[肝開竅於目]하는가?

脇肋脹痛, 心煩易怒, 精神抑鬱, 胸悶, 善太息, 多疑欲哭, 經 前乳房脹痛, 少腹脹痛, 月經不調, 舌紅, 脈弦〪

간기울결증

眩暈, 視物昏花, 夜盲, 肢體麻木, 筋脈拘攣, 面色淡白少華, 脇肋綿綿作痛, 筋惕肉瞤, 爪甲枯脆, 口脣指甲淡白, 耳鳴, 月經量少而色淡, 舌質淡, 脈細〪

간혈허증

頭暈目眩, 兩目乾澁, 脇肋隱痛, 五心煩熱, 口乾咽燥, 肢麻 筋攣, 爪甲不榮, 煩躁易怒, 兩顴紅赤, 尿黃便乾, 潮熱盜汗, 舌紅少苔, 脈弦細或弦細數〪

간음허증

眩暈, 耳鳴, 頭痛脹感, 面赤烘熱, 失眠多夢, 煩躁易怒, 頭重 脚輕, 腰膝酸軟, 咽乾口燥, 舌質紅, 脈弦細數 或 弦勁有力〪

간양상항증

抽搐, 拘攣, 肢體麻木, 口眼喎斜, 語言不利, 半身不遂, 卒然 僵仆, 頭痛, 眩暈欲倒, 腰膝痠軟, 面紅口乾, 神志不淸〪

간양화풍증

“ 肝 開 竅 於 目”을 지지

“ 肝 開 竅 於 目”의 증거 를 찾 을 수 없음!

(4)

§

병위 범주는 다의어多義語?

3

때문에 단언컨대 간기울결증의 간과 간혈 허증의 간은 그 본질에 있어 완전히 다른 두 가지 개념 이라 말할 수 있다. …(중 략)… 우리가 이와 같이 문제를 분석하는 것은 결코 언어의 유희가 아니며 증이라는 것의 근본적인 문제를 논증하려는 것이다 – 즉 중의학의 장부는 모두 다의어 多義語 라 는 것이다. “다의어”의 특징은, 하나의 어휘가 몇 개의 상이한 개념을 표현하고 상

이한 함의를 갖는다는 점이다.

양무신(梁茂新, 요녕중의약대학)

因而可以斷言, 肝氣鬱結證的肝與肝血虛證的肝是本質上完全不同的兩個槪念。 …(中 略)… 我們如此分析問題, 竝不是在敲文字遊戱, 只是想論證一個根本性問題: 卽中醫的臟 腑均是多義詞。而“多義詞”的特點是: 同一個詞表達幾個不同的概念, 有不同的含義。

梁茂新《中醫證硏究的困惑與對策》p.201

(5)

13:46

4

§ 병위 범주를 다의어로 보아야 하는가?

§ 한의학 전공자들의 통상적 관념과 불일치

§ 증(證)의 구성을 설명할 최소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 근본 적으로 불가능

§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 병위 범주(오장육부)의 개념적 단일성을 인정하고,

§ 어떤 병성 요소와 결합하느냐에 따라 증을 구성하기 위해

채택되는 증상이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낫다.

(6)

5

잠재적 구성 요소(증상)

발현되는 구성 요소(증상)

병성

α

병성

α

+

병성β

병성β

+

a1 a2 a3 a4

a5 a6

장부 증 甲

증상 a4, a5, a6이 발현됨 병성

α

와 결합

장부 증 乙 증상 a2, a3이 발현됨 병성β와 결합

병위 A

(7)

13:46

6

症 1.1 症 1.2

症 2.1 症 2.2

症3.1

症 4.1 症 4.2 症 5.1 症 5.2

症 1

症 2

症 3

症 4

症 5

채 택 병

위 지 표

병 성 지 표 배

제 채 택 배 제 채 택

채 택 채 택 채 택 채 택 채 택

症 1.1 症 1.2

症3.1

症 5.1 症 5.2

症 1 症 2 症 3 症 4 症 5

일부 계열 증상만을 선택적으로 채택

(원칙적으로) 전체를 채택

장부의 증 결

(8)

7

1. 필수 증상(또는 필수 계열)은 우선 채택된다

2. 비필수 계열은 결합되는 병성요소에

따라 선택되거나 배제된다

(9)
(10)

병성 병위 결합 형식 1

양·기부족

(기허와 양허)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11)

13:46

10

기허증

심기허증 비기허증 폐기허증 신기허증 위기허증

신불납기증 심폐기허증 비폐기허증

양허증

심양허증 비양허증 신양허증

심양폭탈증

폐양허증

심신양허증 비신양허증 심담허겁증

담기허증

비불통혈증 신기불고증 수기능심증 신허수범증

비기하함증

대장허한증 방광허한증

(12)

11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

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

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

少陽/弦脈 痛/悶

帶下 음·혈부족

(혈허와 음허)

병성 병위 결합 형식 2

(13)

혈허증

간혈허증 심혈허증 비기허증 심기허증 혈허생풍증

심기혈양허증

심간혈허증 심비양허증

내풍증

(14)

13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양허

병성 병위 결합 형식 3

표시되지 않은 부분은 양·기 부족의 원칙에 따름

(15)

병성 병위 결합 형식 4

13:46

14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음허

표시되지 않은 부분은 음·혈 부족의 원칙에 따름

(16)

음허증

간음허증 심음허증 비음허증 폐음허증 신음허증

폐신음허증 간신음허증 심신불교증

위음허증

간양상항증

심기음양허증 신음양양허증

신양허증 심기허증

(17)

병성 병위 결합 형식 5

13:46

16

정허 심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

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

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18)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

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

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풍

병성 병위 결합 형식 6

(19)

병성 병위 결합 형식 7

13:46

18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20)

19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병성 병위 결합 형식 8

(21)

병성 병위 결합 형식 9

13:46

心主神志_輕

情緖·睡眠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_重

陽的 症狀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情志通暢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實熱症狀(=目赤)

少陽/弦脈 痛/悶

帶下 열

실열

(22)

21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기체

병성 병위 결합 형식 10

(23)

병성 병위 결합 형식 11

13:46

心主神志_輕

心主血脈脈結代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_重

神昏

脾主運化

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

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혈어

(24)

心主神志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_重

陰的 症狀, 神昏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痛/悶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담

병성 병위 결합 형식 12

담습에서

(25)

병성 병위 결합 형식 13

13:46

24

心主神志 _輕

心主血脈 心開竅於舌

痛/悶 心主神志 _重

脾主運化_水穀

脾主肌肉 脾開竅於口

脾主四末

脾主運化_水濕

肺主宣肅

_呼吸

肺主皮毛_汗/表

肺開竅於鼻 肺主聲音

痛/悶

肺主宣肅

_痰

腎藏精

腎開竅於二陰_前陰

腎開竅於耳

痛/悶

腎開竅於二陰_後陰

肝主疏泄 肝藏血 肝主筋 肝開竅於目

少陽/弦脈 痛/悶

帶下

痛/悶

식적

참조

관련 문서

그것은 이미지를 문자적 으로 서술하는 문제이며 옐름슬레브Hjelmslev[4]의 용어를 쓰자면 (코노테 이션과 반대되는 의미로서) 공정작용operation의

1) 고구려어 어휘는 중세 한국어와 대응되는 예가 적고 신라어와 백제어의 어휘가 대부분 중세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r]

[r]

Granger causality tests shaw that agriculture and transport storage industry are affected loan but the loan of restaurants and hotel industry and

4) 기술무역장벽이란 무역 상대국 간에 서로 상이한 기술규정 및 인증제도 등을 채택 적용함으로써 상 · 품의 자유로운 이동을 저해하는 무역에 있어서의 제반

자석 팽이는 볼록한 두 부분에는 고리 자석이 들어 있고, 받침대에는 팽이의 고 리 자석 위치와 일치하는 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자석이 네 개 들어 있다..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