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직업구성의 변화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 직업구성의 변화 "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4장. 직업구조와 사회계층

(2)

1. 한국의 직업구조

(3)

1. 한국의 직업구조

* 2002년 「경제활동인구연보」및 KLI DB 자료를 통해 분석한 대분류 직업범주별 분포

<표 4.1> 대분류 직업별 분포 및 성별구성(2002년)

- 직업대분류별 비율 높은 직업: 6-5-4-8-9의 순서 * 전문가 7.1%

- 성별구성: 대부분의 직업범주에서 남성의 비중이 큼.

* ‘서비스 종사자’에서 68.1%, ‘판매종사자’의 56.3%, ‘사무종사자’의 50.2%가 여성. ‘농임어업’도 반가량.

(4)

2. 직업구성의 변화

(5)

2. 직업구성의 변화

(1) 대분류 직업별

- 공업화의 진전에 따라, 농․임․어업 종사자가 급격하게 감소:

1966(58.1%) → 2000년대(10% 미만)

- 제2차 제조업의 팽창에 따라, 생산직 종사자 증가 후 감소 추세:

1955년(8.7%) → 1966(16.7%) → 1990년(34.8%; 최고).

* 이후 감소추세

- 사무직 종사자도 증가: 2002년(12.7%).

* 1990년대 이후 정체 추세

* 여성 비율 높고(약 50%), 빠르게 증가. 1990년대 정체.

- 판매직․서비스직 종사자의 비중은 1985년 25%돌파. 이후 비슷.

(6)

2. 직업구성의 변화

(2) 성별 변화

- 구성: 30년간 사무직, 서비스직, 전문직 여성 비율 지속 증가추세 * 순서:(직종별 여성 구성비율 증가폭)

첫 번째: 사무직/ 1966년 9.8%에서 2002년 50.2%(5배) 두 번째: 전문직/ 16.7%에서 41.3%로 (2.5배) 증가

세 번째: 서비스직/ 44.7%에서 68.1%로 (1.5배) 증가

(3) 종사상 지위별

- 농․임․어업직 종사자 급격 감소: 자영업주, 가족종사자 축소 (1960년 78% ---> 2000년 40% 미만)

* 자영업주는 2000년에 29%

- 임시, 일용직 비율 증가 추세: 2004년 55% 수준

(7)

2. 직업구성의 변화

(4) 연령별

- 전반적으로 취업자의 연령 약간 높아짐 - 변화양상은 직종에 따라 다름

- 여성: 전문․기술직, 사무직, 판매직의 연령은 큰 변화 없음.

행정․관리직의 경우는 1980년대 중반 이후에 낮아지는 경향 서비스직의 평균연령은 지속적으로 높아짐

- 농․임․어업 종사자는 노령화

- 생산직 종사자 평균 연령: 1970년대에 20-22세--> 80년대 상승 (공업구조 변화, 젊은 층 생산직종 기피현상)

(8)

3. 취업구조 전망

(9)

3. 취업구조 전망

(1) 산업별 취업구조의 전망

- 지식기반경제의 진전(서비스화와 지식집약화)

- 제조업 부문은 성숙단계에 도달. 생산성이 낮은 부문의 구조조정, 기술집약 부문 확대

<표 4.2> 산업별 취업자수 전망

- 제조업 2002년 정점

- 서비스업 지속적 증가 추세

(10)

3. 취업구조 전망

(2) 직업별 취업구조의 전망

- 2010년 한국의 직업구조는 1990년대 선진국과 유사해질 전망

*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그리고 사무직의 비중은 증대 * 농림수산직의 비율 감소

* 생산관련직의 비율은 완만하게 감소

(11)

4. 직업과 계층구조

(12)

4. 직업과 계층구조

4. 직업과 계층구조

- 각 직업이 갖는 사회적 자원(권력, 경제적 보상, 사회적 위신)의 차별적 보상과 존경, 지위이동의 가능성에 따라 직업위계 초래 - 직업은 사회불평등과 밀접한 상관관계

- 교육수준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직업은 계층구조의 가장 강력한 단일 지표

- 계층/계급구조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대부분은 직업분류에 의존

(13)

4. 직업과 계층구조

(1) 직업분류를 이용한 서구의 계층연구 모형 직업분류에 기반한 계층연구는

① 직업분류를 사회계층의 위계구조와 동일시하여, 직업구분을 계층분류에 직접 이용

② 유사한 시장상황, 노동상황, 생활양식 등 직업상황에 따라 계층(계급) 분류

③ 직업활동에서 나타나는 지배(착취)/피지배(피착취) 관계 고려

(14)

4. 직업과 계층구조

▷ 직접적인 직업구분에 따른 계층분류

- 직업을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으로 대별,

- 다시 ‘상위 정신노동자’(전문, 관리, 행정직 종사자), ‘하위 정신노동자’(사무, 판매직 종사자),

‘육체노동자’(숙련, 반숙련, 미숙련직)의 상․중․하 3개의 사회계급으로 분류

▷ 직업상황에 따른 계급분류

- 골드소프(Goldthorpe, 1980): 직업위신에 따라 36개로 구분한 척도 활용

(15)

4. 직업과 계층구조

▷ 지배-피지배 관계에 따른 계급분류

- 맑스주의적 계급분석

- 생산수단 소유여부 및 임금노동자 고용여부

- ‘부르조아지’, ‘소부르조아지’, ‘프롤레타리아’의 3계급 모형이 기본적 - 플란차스(Poulanzas)

(16)

4. 직업과 계층구조

(2) 우리나라의 직업과 계층구조 연구

- 계층(계급)구조 연구는 1980년대 중반에 활발

- 인구센서스 이용, 종사상 지위 또는 직업별 대분류 혹은 중분류를 계급구성과 교차

▶ 김영모의 연구

- 인구센서스를 자료로 한 직업분류방법

- ‘종사상의 지위’와 직업대분류를 교차시켜 계급모형 구성

<표 4.3> 김영모의 계급판별 이론모델

(17)

4. 직업과 계층구조

- 1955-1980년간 계급구조의 변화:

① 신중산층의 증대와 구중산층의 급격한 감소,

② 자본가 계급의 확대(1960년에 비해 80년에 2배 이상 증가) ③ 노동자계급의 지속적인 비중증가

(18)

4. 직업과 계층구조

▶ 서관모의 연구

- 맑스주의 계급이론에 기반하여 계급범주화 시도

- ‘사회적 생산양식’을 기준으로 ‘자본제부문’과 ‘소생산부문’을 구분

- 자본제부문에서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이라는 두 기본계급을 설정 -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 사이에 ‘신중간 諸계층’을 설정

- 소상품 생산부문에 대해 ‘소부르조아지층’과 ‘반프로레타리아층’을 구분 - 농업부문은 경작규모에 따라 ‘부농-중농’, ‘빈농’ 및 ‘농업노동자’의

세 층으로 구분

<표 4.5> 서관모의 계급구분 모형

(19)

4. 직업과 계층구조

- 이러한 직업분류에 따른 현대 한국사회의 계급구성의 변화추세:

<표 4.6> 서관모의 한국사회 계급구성 변화

1960-1980년의 기간 중,

① 임노동자층은 70년대까지 노동력인구의 절반 집단으로 형성, 반면에 자영업자층은 축소 → 계급구조의 양극분화 급속진행

② 농업인구의 급속한 이농은 농업부문 자영업자층의 급속한 감소 초래

③ 자본제부문의 확대와 더불어 자본가의 수도 증가

(20)

4. 직업과 계층구조

▶ 홍두승 등의 연구:

1992년도 개정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계층구조의 변화와 특징

- ‘한국표준직업분류’에 따라 계급분류

- ‘부문’ 및 ‘사회적 자원의 통제수준’ 개념을 도입하여 계급분류 - 직업 중분류 뿐만 아니라 소분류를 다소 활용:

직업의 사회경제적 특성 반영

<표 4.7>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계급분류 모형

(21)

4. 직업과 계층구조

<표 4.8> 신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 1995(남성, 군인제외)

(22)

4. 직업과 계층구조

□ 계급구성 변화의 특징

(1) 독립자영농계급과 농촌하류계급의 급속한 감소

(2)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의 규모 증가 (‘빅3’) (3) 근로계급 > 신중간계급, 1990년대 양 계급 모두 감소추세 (4) 구중간계급은 1980년대까지 증가, 1980-1990년 정체, 최근 다시 증가

(5) 중상계급은 1960년 이후 서서히 증가, 1990-1995년 사이 급격 증가 - 구성비에 있어 1.9%에서 3.6%로 거의 2배

- 과학기술의 발전 및 교육수준의 향상, 정보사회로의 변화, 전문직 확대

(23)

4. 직업과 계층구조

(6) 중상계급,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을 합쳐서 ‘중간계급’으로 본다면, 그 비율은 1960년 20.5%에서 1995년에 51.3%로 크게 증가

* 한국 계급구조: 피라미드형 ---> 다이아몬드형

(7) 도시 하류계급은 1970년-1990년까지 줄었다가 1995년 다시 증가

※ 김영모, 홍두승, 서관모의 연구: 계급분류 기준상의 차이 → 동일한 자료 사용, 상이한 계급구성 결과

- 노동자계급의 구성비율에 차이를 보이는 가장 큰 분류상의 차이:

. 홍두승, 김영모가 사무직, 행정 관리직의 피용자들을 신중간계급

(24)

끝.

참조

관련 문서

• 미래의 행정은 정부-민간-시민 간의 협업적 거버넌스를 통한 소통과 신 뢰의 구축 및 사회적 자본의 구축이 요구. • 개인과 집단지성의 창의적인 발상, 공론화,

노사합의를 통해 한시적으로 8시간

(2) 개인의 수요가 타인의 수요에 영향을 받는 경우 : 다음과 같이 사람들의 수요가 상호의존적이거나.. 가격의 변화 때문에

Louis Working Paper No.. Louis Working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캠 축이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형태로 SOHC(Single Over Head Cam) 형과 DOHC(Double Over Head Cam)형이 있다. O 푸시

[r]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Organisationsprinzip)인데, 분배원리는 개인의 기본권의 보장에, 조직원리는 권력분립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 한다.. 원래 사기업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