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흉추 및 요추 골절의 장분절 척추 고정술 및 단분절 척추 고정술의 비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흉추 및 요추 골절의 장분절 척추 고정술 및 단분절 척추 고정술의 비교분석"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Journal of Korean Spine Surg.

Vol. 6, No. 1, pp 73~80, 1999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oon-Taek Jeo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90 Chilam-dong, Chinju-city, Gyeongsangnam-do, 660-702, Korea

Tel : 82-591-750-8101, Fax : 82-591-754-0477, E-mail : ssurgeon@nongae.gsnu.ac.kr

흉추 및 요추 골절의 장분절 척추 고정술 및 단분절 척추 고정술의 비교분석

정순택・조세현・송해룡・구경회・박형빈・정운화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Abstract –

Comparison of Short and Long-Segment Fusion in Thoracic and Lumbar Fractures

Soon-Taek Jeong, M.D., Se-Hyun Cho, M.D., Hae-Ryong Song, M.D., Kyung-Hoi Koo, M.D., Hyung-Bin Park, M.D. and Un-Hwa Chung,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hinju, Korea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and difference between short segment and long segment fixation, which was undertaken by posterior approach for thoracic and lumbar spine fractures.

Objective :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mechanical maintenance and ability of correction, and clinical and neurologic recov- ery between short segment and long segment fusion group.

Summary of Background Data : The long segment instrumentation is a cause of decrease of motion segment in thoracic and lumbar spine. In short segment fusion, screw failures were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9 thorough 1997, 54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the posterior approach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for spine inju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uthors applied the short segment transpedic- ular instrumentat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Short segment group included 35 cases, and long segment group, 19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one year and eight months for short segment group, two years and seven months for long segment one.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nterior vertebral height, sagittal index in simple roentgenogram and neurologic recovery.

Results : The average of anterior vertebral height which was 50.7% at preoperation, became 78.7% after the operation and measured 74.9% at final follow-up in long segment fusion group, while in short segment fusion group it was 59.7%, 79.3% and 77.7%,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agittal index of 17.5°at preoperation became 6.7°after the operation, and measured 8°at final follow-up in long segment fusion group, while in short segment fusion group it was 19.9°, 10.4°, and 12.1°, respectively. Overall clinical result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the thirty-six patients with neurologic deficits, twenty- two improved by over the one Frankel grade.

Conclusions :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instrumentat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is a successful method of thoracolumbar and lumbar burst fractures.

Key Words : Thoracic and lumbar spine, Fracture,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instrumentation

(2)

서 론

척추골절의 치료방법에 대하여 문헌상에 많은 보고 가 있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전방도달법 및 후방도달 법을 통한 치료의 결과에 대하여 보고하였다1-4, 6, 8, 9,

11-13, 16, 18). 최근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도입 및 수

술 수기의 발달에 따라 후방정복 및 고정술이 선호되 고 있다. 이전까지는 골절된 추체를 제외하고 상위 2 추체 이상 및 하위 2추체 이상을 고정시키는 술식이 주로 시도되었으며 이런 장분절 고정술은 흉요추부 의 운동분절이 많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2, 6, 11). 단분절 척추경 나사못 고정술의 경우는 상위 1추체 및 하위 1추체를 고정하는 술식으로 운동분절의 감소

를 줄일 수 있지만 교정력의 소실 및 금속파단 등의 문제점이 보고되고 있기에5, 15-18), 저자들은 골절된 척 추에도 추경 나사못 삽입술을 시행한 단분절 고정술 에서 추체 압박의 교정 효과와 최종 추시에서 교정력 의 소실을 기존의 장분절 고정술과 비교하여 단분절 고정술의 치료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1 9 8 9년 9월부터 1 9 9 7년 5월까지 경상대학교 의과대 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 흉추 및 요추의 방출성 골절, 골절-탈구 및 좌석벨트형 손상으로 척추경 나사못을

Fig. 1. Radiographs of a twenty-seven year old female patient who underwent the L1-L2 fracture-dislocation.

Fig. 1.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ing fracture- dislocation of thoracolumbar junction and 40 degrees Sagittal index and anterior vertebral height was 58%. She had no neurologic symptom.

Fig. 1.B. Radiograph made after operation with short segment fus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Sagittal index was 13 degrees and anterior vertebral height was recovered to 93%.

Fig. 1.C. One year and two months post opeative radiograph demostrates a successful results.

D. Post-operative computed tomogram demonstrates the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instrumentat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A

D

B C

(3)

이용한 후방고정술 및 자가 장골을 이용한 후외측 유 합술을 시행한 환자중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이 가능 했던 환자로 단분절 유합술 3 5례, 장분절 유합술 1 9례 를 대상으로 하였다. 단분절 유합군은 골절된 추체에 도 척추경 나사못을 삽입하고 상위 1추체 및 하위 1 추체를 고정한 군으로(Fig. 1-A, B, C, D), 주로 1 9 9 5 년부터 최근까지 시행한 술식으로 평균 추시기간은 1 년 8개월이었으며, 장분절 유합술군은 골절된 추체를 제외하고 상위 2추체 및 하위 2추체를 고정하였으며 (Fig. 2-A, B, C) 대부분 1 9 8 9년부터 1 9 9 4년까지 행하 여졌고 평균추시기간은 2년 7개월이었다. 1995년 이전 에는 주로 장분절 유합술이, 1995년 이후에는 주로 단 분절 유합술이 시행되었으며 이것은 시기에 따른 고 정술의 차이로 환자의 수술방법의 변화에 의한 결과 의 오차는 피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단분절 유합술의 경우 남자가 2 3례, 여자가 1 2례이 었으며 장분절 유합술의 경우 남자가 1 5례, 여자가 4 례로 평균연령은 남자 3 7세, 여자 3 6세로 주로 활동 성이 많은 남자에서 척추골절이 많았다. 수상원인으 로는 추락사고가 2 7례, 교통사고가 2 2례, 낙하하는 물 체에 의한 손상이 5례였으며, 단분절 유합술의 경우 추락사고 1 7례, 교통사고 1 6례, 낙하하는 물체에 의한 손상이 2례였고, 장분절유합술의 경우 각각 1 0례, 6

례, 3례였다. 손상부위는 T4, T5, T7, T8가 각각 1례, T9 2례, T10 1례, T11 2례, T12 11례, L1 19례, L3 4 례, L4, L5가 각각 2례였고, 흉요추이행부가 3 0례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단분절 유합술의 경 우 T 1 1가 2례, T12가 8례, L1 12례, L2 6례, L3 3례, L4, L5가 각각 2례였고, 장분절 유합술의 경우 T 4 , T5, T7, T8가 각각 1례, T9 2례, T10 1례, T12 3례, L1 7례, L2, L3 각각 1례였다(Table 1, 2).

손상기전은 D e n i s의 분류법상 방출형 3 9례, 좌석벨 트형 2례, 골절 탈구형 1 1례였으며, 단분절 유합술의 경우 방출형 3 0례, 좌석벨트형 1례, 골절 탈구형 4례 였으며, 장분절 유합술의 경우 각각 1 2례, 1례, 6례였 으며 동반손상은 종골골절 8례, 골반골절 6례등 사지 골절이 3 3례, 흉부손상 6례, 복부손상 1례가 있었다.

2. 연구방법

수상후 전신상태가 허용하는 한 빠른 시간 내에 후 방도달법을 사용하여 수술을 시행하였고, 추경 나사 못을 이용하여 고정후 자가 장골이식으로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장분절 고정은 골절된 추체를 제외하고 상위 2개의 추체와 하위 2개의 추체를 고정하였고, 단분절 고정은 골절된 추체에도 척추경 나사못을 삽

Fig. 2. Radiographs of a sixty-three year old male patient who underwent the T12 bursting fracture.

Fig. 2.A. Preoperative lateral radiograph showed T12 bursting fracture with 16 degrees of sagittal index and 56% of anterior verte- bral height comparing with normal vertebra. He had no neurologic symptom.

Fig. 2.B. Radiographs made after operation with long segment instrumentation and fusion. Sagittal index was 12 degrees and anteri- or vertebral height was improved to 69%.

Fig. 2.C. Two-years postoperative radiograph demonstrates solid bony fusion and minimal loss of correction.

A B C

(4)

입하여 상위 1개와 하위 1개의 추체를 고정하였다.

골절된 추체에 나사못을 삽입하는 방법은 다른 추체 에 나사못을 삽입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수술 시에 골절이 있는 추체에 삽입된 나사못을 손으로 당 겨 보아도 나사못이 움직이거나 당겨지지 않아 나사 못의 고정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algaigne골절이 동반된 1례에서 자가 장골을 이식할 수 없어 동종골 을 사용하여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후 일주일에

흉요천추 보조기( TLS O )를 착용하여 보행을 시작하 였고, 술후 2개월에 보조기 착용을 중단하였다.

최종결과에 따른 평가방법으로는 수상 직후, 수술 후 및 최종추시의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임상소견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합병증의 발생여부, 단순 방사선 상에서 골유합여부, 금속파단, 고정의 소실, 수술전후 및 최종추시 소견에서 전방추체의 높이 및 추체의 Sagittal index의 변화(Fig. 3)를 측정하여 양군간 교정

Table 1. Data of Short segment fusion group patients

Sex Mode Level Type Duration Neurologic Vertebral Body Height Sagittal Index

Case /Age of of of of F/U Grade (Percent) (Degrees)

1 (yrs) Injury Injury Injury (mos.) Preop. F/U Preop. Postop. F/U Preop. Postop. F/U

11 F/21 Fall L1 Burst 24 E E 70 97 97 10 15 16

12 F/20 Fall L2 Burst 14 E E 70 76 74 25 11 13

13 F/32 Fall L1 Burst 12 B C 47 83 80 13 12 12

14 M/48 Fall L1 Burst 48 D E 57 57 55 20 11 12

15 M/34 Fall L1 Burst 13 E E 32 41 40 20 21 22

16 M/32 MVA L1 Burst 15 C D 39 80 69 34 10 12

17 M/59 Fall L1 Burst 36 D E 39 38 35 15 20 25

18 F/37 Fall L2 Burst 48 D E 94 95 82 10 13 18

19 F/37 MVA T11 Burst 15 E E 49 88 79 27 18 10

10 M/59 Fall L1 Fx-D/L 37 A A 53 98 95 17 12 13

11 M/36 Fall L5 Burst 14 E E 74 100 86 14 20 22

12 M/43 Fall T12 Burst 12 E E 27 60 60 33 18 18

13 M/49 Fall T12 Burst 16 A A 24 63 45 23 15 18

14 M/26 Fall L3 Burst 18 C E 65 74 72 14 17 17

15 M/24 Fall L4 Burst 28 B D 74 90 89 16 20 20

16 M/46 Others L3 Burst 14 D E 79 83 82 22 15 16

17 F/35 MVA L2 Seat-belt 14 E E 86 97 95 22 10 11

18 F/57 MVA L1 Burst 13 D E 57 62 60 27 25 27

19 M/34 MVA T12 Fx-D/L 12 A D 79 82 80 24 10 11

20 M/39 MVA T12 Burst 19 C E 69 76 74 24 20 21

21 M/28 MVA L2 Burst 12 D D 57 85 85 33 13 14

22 F/49 Others L5 Burst 21 D D 73 97 95 28 17 18

23 M/41 Fall T12 Burst 15 A A 47 97 95 28 13 15

24 F/30 Fall T11 Burst 15 E E 69 73 72 25 11 12

25 F/18 Fall L4 Burst 18 B B 51 88 85 17 13 15

26 M/13 MVA L2 Burst 12 E E 74 77 75 12 10 12

27 M/31 MVA T12 Burst 12 E E 46 50 48 28 10 12

28 F/40 MVA T12 Burst 12 E E 62 74 72 19 11 13

29 F/22 MVA T12 Burst 15 E E 65 77 75 20 12 13

30 M/30 Fall L1 Burst 16 E E 74 88 85 16 14 15

31 M/39 MVA L1 Burst 16 C D 52 86 78 25 11 12

32 M/30 MVA L1 Burst 12 E E 45 62 61 20 19 10

33 F/26 MVA L1 Fx-D/L 14 E E 58 93 90 40 13 15

34 M/20 MVA L3 FX-D/L 12 C D 68 76 74 11 10 12

35 M/31 MVA L2 Burst 24 D E 58 73 70 16 14 17

yrs : years F/U : follow-up mos : months Preop. : preoperation Postop. : postoperation F : female M : male MVA : motor vehicle accident Fx-D/L : fracture and dislocation Others : struck by falling materials

Seat-belt : seat and belt injury

(5)

효과와 교정력의 소실을 알아보고자 하였고, 전방 추 체높이 및 Sagittal index는 Student t-test를 시행하여 통계학적으로 비교하였다. 양군간의 수술수기에 따른 신경증상의 회복정도에 대하여는 술전 및 최종추시 상의 신경증상을 Frankel 분류법에 의거하여 회복정 도를 알아보았다.

결 과

1. 전방추체 높이 변화

장분절군이 술전 상하 인접 척추를 감안한 정상 측정치의 5 0 . 7 %로 감소된 상태이었는데, 수술직후 7 8 . 7 %로 정복되었으며 최종 추시상 7 4 . 9 %로 감소 하였으며, 단분절의 경우 술전 5 9 . 7 %에서 수술후 79.3%, 최종 추시상 7 7 . 7 %로, 양군간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Table 1, 2)(P>0.05).

2. Sagittal index

장분절군이 수술전 평균 1 7 . 5°에서 수술직후 6 . 7°로,

9 . 8°의 교정을 얻었으며, 최종 추시소견에서 8°로서 수술직후에 비하여 교정력의 상실은 1 . 3°이었다. 단분 절군의 경우 수술전 1 9 . 9°에서 수술직후 1 0 . 4°로 9 . 5°

의 교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최종 추시소견에서 1 2 . 1°로 1 . 7°의 교정상실이 있었고, 두 군간의 통계학 적인 차이는 없었다(Table 1, 2)(P>0.05).

3. 신경증상의 변화

내원 당시의 신경학적 손상은 장분절군의 경우 1 6 례에서 관찰되었는데 그중 완전마비는 1 1례, 부분마 비는 5례이었다. Frankel1 0 ) 분류상으로 A등급 1 1례, B등급 3례, C등급 2례이었다. 최종 추시에서는 A등 급 1 0례, B등급 1례를 제외한 5례에서 1등급 이상의 호전을 보였다.

단분절군의 경우 신경학적 손상은 2 0례에서 관찰되 었는데 그중 완전마비는 4례, 부분마비는 1 6례였다.

Frankle 분류상으로 A등급 4례, B등급 2례, C등급 6 례, D등급 8례이었다. 최종 추시에서는 A등급 3례를 제외한 1 7례에서 1등급 이상의 호전을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수술 후 신경학적 증상이 나빠진 예는 없었다.

Table 2. Data of Long segment fusion group patients

Sex Mode Level Type Duration Neurologic Vertebral Body Height Sagittal Index

Case /Age of of of of F/U Grade (Percent) (Degrees)

1 (yrs) Injury Injury Injury (mos.) Preop. F/U Preop. Postop. F/U Preop. Postop. F/U

11 F/39 Fall L1 Burst 42 B C 54 92 90 20 12 14

12 M/58 Others L1 Burst 35 A C 42 57 51 26 13 16

13 M/33 Fall L1 Burst 24 E E 59 75 72 10 19 10

14 M/32 Others T12 Burst 48 A A 32 73 70 20 10 13

15 M/30 Fall L1 Burst 21 C D 44 70 63 18 11 11

16 M/20 Fall L3 Burst 39 E E 83 97 85 17 16 17

17 M/46 MVA T12 Fx-D/L 26 B D 58 77 77 20 13 13

18 F/29 Fall L2 Burst 39 C D 50 79 78 28 14 15

19 F/52 Fall T10 Burst 26 A A 38 100 90 21 11 16

10 M/45 MVA L1 Fx-D/L 34 A A 75 90 85 10 13 15

11 M/84 Fall L1 Burst 33 B B 54 74 72 22 19 10

12 M/30 Fall T7 Fx-D/L 23 A A 20 70 68 18 14 16

13 M/23 MVA T4 Burst 26 A A 55 70 62 13 19 11

14 M/50 MVA T9 Fx-D/L 45 A A 37 84 82 11 -1 10

15 M/18 Fall T5 Fx-D/L 40 A A 39 86 84 23 12 12

16 M/63 MVA T12 Burst 24 E E 56 69 68 16 12 12

17 F/41 Fall T8 Seat-belt 39 A A 42 94 68 13 16 13

18 F/31 Others L1 Burst 28 A A 60 89 83 30 13 13

19 M/46 MVA T9 Fx-D/L 29 A A 51 73 69 17 11 13

yrs : years F/U : follow-up mos : months Preop. : preoperation Postop. : postoperation F : female M : male MVA : motor vehicle accident Fx-D/L : fracture and dislocation Seat-belt : seat and belt injury

Others : struck by falling materials

(6)

4. 합병증

장분절군에서 창상 감염이 2례 있었으며 단분절군 에서 고정 기기 이완이 1례와 추경나사못 파단 1례 가 있었고 완전마비환자의 6례에서 욕창이 발생하였 다. 창상감염 2례는 수술시 다량의 출혈로 인해 형성 된 혈종이 원인으로 추정되고, 변연절제술 및 항생제 혼합 골시멘트를 사용하여 치유하였다. 골반골 골절 로 자가 장골이식을 못하고 동종골 이식을 하였던 예에서 수술후 불유합에 의한 고정기기 이완이 발생 하였고 이완된 고정기기를 제거하고 전방추체유합술 로 치료하였다. 수술후 4년 6개월전까지는 추경나사 못의 파괴가 없었으나 4년 6개월의 추시에서 가장 아래측의 추경나사못의 파단이 발견되었으나 고정력 의 소실은 없었던 1례가 있었다.

고 찰

흉추 및 요추 골절의 치료방법의 발달로 인하여

보존적인 치료방법보다는 수술적 치료방법이 선택되 고 있으며 전방구조의 심한 손상이나 그에 따른 신 경압박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주로 후방적 방법이 선 택되고 있다. 후방고정술은 1 9 7 7년 Dickson 등6 )이 흉 요추 골절의 치료로 Har-rington 신연 장치를 사용한 이래 L u q u e1 4 )는 분절고정 방법을 보고하였으나 이들 은 모두 유합범위가 5분절 이상으로 운동 분절 감소 와 수술시간의 지연, 출혈량의 증가 등의 단점이 제 기되어 왔다.

Dick 등7 )이 기존의 내고정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 하여 새로운 기구를 고안한 이래로 다양한 종류의 단분절 고정이 가능한 척추경나사못 내고정 장치가 보고되었다. 그러나 McLain 등1 5 )은 흉요추 골절환자 1 9례을 대상으로 단분절 추경나사못 고정술을 시행 한 환자 5 2 %에서 조기 금속 파단등을 보고한 후 단 분절 고정술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런 단점 을 보완하기 위해 정과 임3 )은 상하 인접 척추골과 함께 골절된 척추골에도 추경을 통하여 나사못 삽입 을 시도하여 3점 고정방식(three point fixation)에 의 하여 고정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중간나사못의 머리 부분의 삽입길이를 조정함으로써 후만 및 전만 정도 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골절된 척추골에 삽입한 나 사못을 간봉( R o d )에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지렛대의 작용으로 압박된 척추 종판을 들어올리는 효과가 있 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은 골절이 일어난 추체에도 추경나사못을 고정함으로써 기존의 단분절 고정술보다 고정력을 향상시켰으며, 이것은 추경나사못의 고정력이 추체에 도 있지만 척추경에도 있음으로 척추경이 건재하다 면 골절된 추체에 나사못을 삽입하더라도 고정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골절된 추체에 나 사못을 삽입함으로써 골편의 이동으로 인한 신경학 적 증상이 나빠지는 일은 없었으며 수술 후에 전산 화 단층촬영을 시행한 예에서도 나사못이 추체내에 유지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방 추체 높이 변화는 장분절군에서 술후 28% 교 정이 되었으며 최종 추시상 3 . 8 %의 교정소실이 있었 고 단분절군의 경우 술후 19.6% 교정이 되었으며 최 종추시상 1 . 6 %의 교정소실이 있었다. Sagittal index는 장분절군에서 술후 9 . 8°의 교정을 얻었으며, 최종추시 상 1 . 3°의 교정력의 소실이 있었고, 단분절군에서는 술후 9 . 5°의 교정을 얻었으며, 최종추시상 1 . 7°의 교정 력의 소실이 있었다. 두 군에서 전방 추체높이 변화 와 Sagittal index의 변화를 비교하여 두 군간의 최종 추시상의 교정력의 차이는 없었다. 비록 단분절군의 경우 추시기간이 장분절군보다 짧지만 이식된 장골 Fig. 3. Measuring method of Sagittal index.

(7)

의 유합기간이 3 ~ 4개월이므로 1년 8개월의 추시기간 으로도 장기적인 예후 판단에는 차이가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른 저자들의 경우 장분절유합술을 시행 한 Gaines 등1 1 )과 왕 등1 )도 저자들과 비슷한 교정력 을 얻었고, 단분절군의 경우 단분절유합술을 시행한 McNamara 등1 6 ), Stephens 등1 8 , 1 9 )도 저자들과 비슷한 교정력을 얻었다고 보고하였다. 저자들의 예에서도 골절된 추체에 추경나사못을 삽입하여 고정한 단분 절 고정 3 5례에서 장분절 고정군과 비교하여 통계학 적인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어 골절된 추체에 나사 못을 삽입하는 수술수기가 이전의 단분절 유합술의 문제점인 교정력의 소실이나 기기의 파단등을 줄일 수 있고, 많은 운동분절을 유합해야 하는 장분절 유 합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수기로 사료된다.

양군의 신경증상의 회복정도는 장분절군의 경우 신 경증상이 있는 1 6례중 5례에서 Frankel 분류상 1등급 이상의 호전이 있었으며, 단분절군의 경우 신경증상 이 있었던 2 0례중 1 4례에서 Frankel 분류상 1등급 이 상의 호전을 보였다. 골절된 추체에도 추경나사못을 삽입함으로써 신경학적 손상이 증가한 예는 없었다.

이같은 결과로 보아 단분절군에서 더 많은 신경증상 의 회복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장분절군의 경우 완 전마비가 1 1례로 초기신경손상이 너무 심하여 신경증 상의 회복이 기대하기 어려운 예들이 많았기 때문으 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신경증상의 회복에 대하여 좀 더 많은 증례와 분석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여러 저자들의 보고4, 11, 16, 18)와 같이 신경증상의 회복 정도는 커다란 차이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에서는 골절 된 추체에 추경나사못을 삽입하여 시행한 단분절 유 합술을 시행하여, 장분절 유합술군과의 임상결과, 수 술교정력 및 교정소실 정도를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흉요추부 및 요추의 후방유합술시 많은 운동분절을 유합하는 장분절 고 정술보다는 골절된 추체를 포함하여 상위 1추체 및 하위 1추체를 고정시키는 단분절 고정술이 바람직한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1) 왕진만,노권재,윤여헌,김동준,김동욱,김석우:흉요추부방출골

절에 대한 장분절척추경나사기기와전방추체유합술.대한정형외 과학회지, 29:1672-1678, 1994.

12) 정재윤, 임인수: 흉요추 골절의C o t r e l - D u b o u s s e t장치. 단분절 추경고정술의결과. 대한정형외과학회지, 29:940-948, 1994.

13) Akbarnia BA, Crandall DG, Burkus K and Matthews T : Use of Long Rods and a Burst Fractures of the Thoraco- lumbar Spine. J Bone Joint Surg, 76-A:1629-1635, 1994.

14) Benson DR, Burkus JK, Montesano PX, Sutherland TB and McLain RF : Unstable Thoracolumbar and Lumbar Burst Fractures Treated with the AO Fixation Interne. J Spinal Disord, 5:335-343, 1992.

15) Chiba M, McLain RF, Yerby SA, Moseley TA, Smith TS and Benson DR : Short-Segment Pedicle Instrumentation:

Biomechanical Analysis of Supplemental Hook Fixation.

Spine, 21:288-294, 1996.

16) Dickson JH, Harrington PR and Erwin WD : Results of reduction and stabilization of the severely fractured tho - racic and lumbar spine. J Bone Joint Surg, 59-A:143-153, 1977.

17) Dick W, Kulger P, Magerl F, Worsdofer O and Zach G : A New Device for Internal Fixation of Thoracolumbar and Lumbar Spine Fractures. The “Fixateur Interne”.

Paraplegia, 23:225-232, 1985.

18) DeWald RL : Burst Fracture of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 Clin Orthop, 189:150-161, 1984.

19) Doerr TE, Montesano PX, Burkus JK and Benson DR : Spinal Canal Decompression in Traumatic Thoracolumbar Burst Fractures: Posterior Distraction Rods versus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J Orthop Trauma, 5:403- 411, 1991.

10) Frankel HL, Hancock DO, Hyslop G, Melzak J, Michaelis LS, Ungar GH, Vernon JDS and Walsh JJ : The Value of Postural Reduction in the Initial Management of Closed Injuries of the Spine with Paraplegia and Tetraplegia. PartⅠ. Paraplegia, 7:179-192, 1969.

11) Gaines RW, Breedlove RF and Munson G : S t a b i l i z a t i o n of Throacic and Thoracolumbar Fracture-Dislocations with Harrington Rods and Sublaminar Wires. Clin Orthop, 189:

195-203, 1984.

12) Gurwitz GS, Dawson JM, McNamara MJ, Federspiel CF and Spengler DM : Biomechanical Analysis of Three Surgical Approaches for Lumbar Burst Fractures Using Short-Segment Instrumention. Spine, 18:977-982, 1993.

13) Krag MH, Beynnon BD, Pope MH, Frymoyer JW, Haugh LD and Weaver DL : An Internal Fixator for Posterior Application to Short Segments of the Thoracic,

(8)

Lumbar, or Lumbosacral Spine. Clin Orthop, 203:75-98, 1986.

14) Luque ER : The Anatomic Basis and Development of SSI.

Spine, 7:256-259, 1982.

15) McLain RF, Sparling E and Benson DR : Early Failure of Short-Segment Pedicle Instrumentation for Thoracolumbar Fractures. J Bone Joint Surg, 75-A:162-167, 1993.

16) McNamara MJ, Stephens GC and Spengler DM : Tran- spedicular Short-Segment Fusion for Treatment of Lumbar Burst Fractures. J Spinal Disord, 5:183-187, 1992.

17) Roy-Camille R, Saillant G and Mazel C : I n t e r n a l Fixation of the Lumbar Spine with Pedicle Screw Plating.

Clin Orthop, 203:7-17, 1986.

18) Stephens GC, Devito DP and McNamara MJ : S e g m e n t a l Fixation of Lumbar Burst Fractures with Cotrel-Dubousset Instrumentation. J Spinal Disord, 5:344-348, 1992.

19) Stephens GC, Devito DP, McNamara MJ and Spengler DM :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Cotrel-Dubousset Instrumentation: A Porcine Corpectomy Model. J Spinal Disord, 3:252-255, 1993.

연구계획 : 척추골절의 치료를 위한 내고정시 사용되는 장분절 고정과 단분절 고정의 임상적 결과 및 차이점을 알 아보고자 후향적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목적 : 장분절 고정술과 단분절 고정술 사이에 역학적 견고성과 골절의 정복력, 신경학적 회복 정도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부터 1 9 9 7년까지 척추의 외상 환자중 후방도달법에 의한 척추경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5 4명 을 대상으로 장분절 고정군과 단분절 고정군으로 구분하였고 단분절 고정술의 경우 골절된 추체에도 척추경 나사 못을 삽입하였다. 단분절 고정군은 3 5례로 평균 1년 8개월 추시하였고 장분절 고정군은 1 9례였으며 평균 2년 7개월 까지 추시하였다. 결과는 단순 방사선사진에서 전방추체 높이의 변화, sagittal index, 및 신경학적 회복정도를 비교 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장분절 고정군에서 전방추체 높이는 술전 50.7%, 술후 78.7%, 최종 추시상 7 4 . 9 %이었고, 단분절 고정군에서 는 각각 59.7%, 79.3%, 및 7 7 . 7 %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Sagittal index는 장분절 고정군에서 술전 1 7 . 5°, 술후 6 . 7°, 최종 추시상 8°였으며 단분절 고정군은 1 9 . 9°, 10.4°, 및 1 2 . 1°로 차이가 없었다. 다른 임상결과도 양군간의 차이 는 없었다. 신경증상이 발생한 3 6례중 2 2례에서 F r a n k e l분류에서 1등급 이상의 회복이 있었다.

결론 : 흉요추 및 요추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골절된 추체를 포함하여 상하위 1추체씩 고정하는 추경나사못 사용 단분절 고정술이 권장할 만한 수술방법으로 사료된다.

색인단어 : 흉요추 및 요추, 골절, 추경나사못, 장분절고정술, 단분절고정술 국 문 초 록

※ 통신저자 : 정 순 택

경상남도 진주시 칠암동 90번지(660-702)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Tel : 82-591-750-8101, Fax : 82-591-754-0477, E-mail : ssurgeon@nongae.gsnu.ac.kr

수치

Fig. 1. Radiographs of a twenty-seven year old female patient who underwent the L1-L2 fracture-dislocation
Fig. 2. Radiographs of a sixty-three year old male patient who underwent the T12 bursting fracture.

참조

관련 문서

때문에 소설일반에 대한 이론이 미흡함으로써 문학 이론 혹은 비평 이론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후기로 올수록 신비평가들은 지나친 사실성, 작품의 객관성만을 탐구함으로

순이익 감소는 코로나19로 인한 수요감 소 및 유가 폭락에 따른 정제마진

많은 저자들이 경피적 신경관을 경유한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제거술의 장 점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나 수술적 결과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22) 본 연구 에서는

Pennel 등 36) 은 비구 골절의 임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절양상,체중 부하 부위의 손상 정도,치유시의 전위 정도,골반환의 동반 손상 여부,환자의 나

Sandberg D, Lavyne M (1999) Symptomatic spinal epidural lipomatosis after local epidural corticosteroid injections:

해외건설 부문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국내 및 해외에서 태양광, 풍력 등 신 재생에너지에 대한 신규 투자가 증가하여 단지조성을 위한 수요가

다만, 목적세에 따른 세입·세출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별회계를 설치·운용하여야 한다. ③ 지방자치단체가 특별회계를

다만, 목적세에 따른 세입ㆍ세출은 다른 법률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별회계를